최근 수정 시각 : 2024-04-12 16:53:22

성경/번역/한국어 표기 문제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성경/번역
1. 들어가기 전에2. 개요3. 원인4. 공동번역판 성서 및 가톨릭 성경5. 표기와 번역에 관한 문제6. 관련 문서

1. 들어가기 전에

성경 본문의 한국어식 표기나 영어를 포함한 외국어식 표기는 성경의 원문인 히브리어 그리스어의 표기와 발음과는 큰 차이를 보인다. 예를 들어 예슈아(Yēšûă)를 그리스어로는 이에수스(Iēsoûs)라고 표기했고, 한국어로는 예수, 영어로는 지저스(Jesus)라고 발음한다. 여러 언어를 거치고 철자도 영어식으로 읽는 영어 발음보단 히브리어를 비교적 그대로 옮긴 한국어 발음이 원어에 더 가까운 경우도 있다.[1] 물론 한국에서도 '이츠하크'와 '여후다'가 '이사악' 또는 '이삭'과 ' 유다'가 된 것처럼 중역으로 크게 바뀐 경우가 꽤 있다.

그런데 성경에 등장하는 이름이나 명사들이 유럽에서 두루두루 사용되기 때문에 성경 고유명사의 외국어, 특히 한국 사회에서 가장 널리 통용되는 영어 발음을 아는 것도 유익하다. 예를 들어 ' 베드로'는 영어로 ' 피터(Peter)', 그리스어로 '페트로스(Petros)', 프랑스어로 ' 피에르(Pierre)', 스페인어로 '페드로(Pedro)' 등으로 불린다. 참고로 아람 원어명은 '케파(Kepha)'이고[2], 이 '케파'가 지닌 반석이라는 의미에 기반한 코이네 그리스어 번역명이 '페트로스', 이를 변형한 것이 한국어 성경의 '베드로'다. 참 복잡하다

2. 개요

현재 한국의 개신교에서 통용되는 개역한글판 성경의 기본적인 토대는 1911년판 셩경젼셔(구역) 및 이를 개정한 1938년판 셩경 개역이며, 광복 이후에 맞춤법만 최소한으로 다듬는 이외의 개정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현재까지도 옛날 성경을 계속 쓰고 있어서 문제가 있다고 제기하는 측도 있으며 #, 이는 젊은층 신자들에게 또 다른 하나의 심리적 장벽으로 작용한다. 국어의 옛 모습을 무조건 갖다 버리려고 하는 것도 좋은 태도는 아니라 개정에는 다소 난항이 있다. 옛스런 표현이 많기 때문에 국어가 약한 이들은 독해하는 것이 어려울 수도 있다. 개역한글판이 일정 부분 수정된 개역개정판은 조금 더 현대일상에 근접한 어휘를 사용한다.
  • 예시) 하나님이 가라사대(하나님이 말씀하시기를)

더구나 피스타치오 비자나무나 유향나무, 올리브 감람나무라고 번역하는 등 19-20세기 초 방식으로 번안(내지는 현지화)된 부분도 제법 된다. 그 외에도 창세기에서 야곱 천사 씨름을 하였다가 환도뼈가 부러졌다고 나와있다. 물론 영어판 성경에서는 Wrestling으로 나와있고, 씨름을 영어로 소개하면 The Korean traditional wrestling이라는 점에서 현지화의 좋은 예시기이도 하다. 물론 환도뼈도 현재엔 거의 사장된 단어로서 골반이라고 순화하기도 한다. 사실 이런 식의 번안은 개신교뿐 아니라, 공동 번역이나 가톨릭 성경에도 활발하다. 애시당초 이쪽은 우리말의 자연스러움을 살리는 쪽에 더욱 중점을 두고 번역했으니 당연한 거다. 더 잘 알려진 사례로, 빵을 으로 번역한 것이 있다. 이는 의외로 교리적인 부분까지 영향을 끼쳤다. 해당 문서 참조. 가장 뿌리 깊게 현지화된 단어 중 하나는 다름아닌 면류관. 본래 구슬이 달린 왕관의 일종인데, 왕정이 폐지된 현재 면류관의 원래 의미는 희미해진 반면, 예수의 가시면류관이 더 친숙할 정도. 해당 문서 참조.

고유명사도 중역과 중역으로 점철되다보니 중국식 가차어나 일본어 아테지 혹은 그것에 기반한 괴상한 번역들이 많다.

3. 원인

당시에는 한국어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k/t/p로 시작하는 발음이 요즘의 표기처럼 ㅋ/ㅌ/ㅍ가 아닌 ㄱ/ㄷ/ㅂ로 쓰였고, 어두의 ㄹ이 ㄴ으로 바뀌었다.[3] 19세기 무렵 한국어에서 ㅋ/ㄹ/ㅌ/ㅍ 발음이 초성으로 잘 쓰이지 않았다는 것을 생각하면 이해가 가는 부분. 이는 종성에서도 마찬가지다. 또한 그리스어 라틴어 계열 명사는 주격으로 쓰지 않고 격어미를 제외하여 어간만을 표기하고 원 제목을 음차하게 되어, 예를 들자면 ' 코린토스' → '코린토' → '고린도'라고 쓰는 것 정도가 되겠다. 사실 격어미를 한국어 번역에서 그대로 쓰면, 격이 달라질 때마다 단어가 바뀌므로 혼동을 일으킬 수 있다. 그래서인지 일반적인 한국어 번역 성경은 격어미를 없애고 그리스어/라틴어 어간에 한국어 격조사나 보조사를 합쳐서 썼다.

4. 공동번역판 성서 및 가톨릭 성경

개역한글판은 표기법 뿐만 아니라 문법 면에서도 옛말의 흔적이 남아 있고 주석도 미비하여 의미전달이 좀 어렵다. 원래는 주석이 상세하게 달려 있어야 하지만, 그런 쪽으로는 신경을 못 쓴 것. 이 때문에 1970년대에 한국 천주교와 일부 개신교 공동번역 성서를 편찬했고, 천주교와 대한성공회 정교회에서는 공동번역성서를 채택해서 성공회와 정교회는 지금까지 사용한다.

한국 천주교는 공동번역 성서를 쓰다가, 원문을 그대로 옮기는 데 방점을 두면서도 이해하기 쉽게 번역한 성경을 2005년부터 사용하고 있다.[4] 특히 천주교 성경의 경우, 히브리어 원음을 개신교 개역 성경에 비해 더 중시하기 때문에 개역 성경이나 영어 발음에 비해 히브리어에 더 가깝다. 하지만 주요 인물의 이름은 한국 천주교의 관용적인 표현이나 라틴어 성경의 음역을 따르는 경향도 있다. 전자의 예가 ' 바오로'. 원래대로라면 바울로스나 바울로 정도로 음역해야 했을 단어를 한국 천주교의 관용대로 '바오로'라고 하였다. 후자의 예는 에제키엘. 히브리어를 음역하면 '예헤즈켈' 정도로 번역했어야 할 이름을 라틴어 성경에서의 명칭인 Ezechiel를 그대로 가져와 에제키엘이란 음역을 사용하였다.[5] 역사적인 인물의 이름[6]의 경우 현대 역사학계에서 사용하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5. 표기와 번역에 관한 문제

사실 초창기 신약성서의 원어에 해당되는 언어는 그리스어인데, 당시 지중해 세계에서 그리스 문자를 읽을 줄 아는 사람은 1% 정도였고 나머지 99%는 문맹이었다. 기독교가 전파되던 초창기엔 함께 성경을 펴놓고 읽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어를 아는 사람이 다른 사람들을 모아놓고 낭독하는 형태였다.

앞서 언급했듯이 예수도 히브리어 원음으로 표기하면 예슈아고, 노아는 노아흐[7], 이사악은 이츠하크이다. 이제 와서 예수를 예슈아라고 부를 수도 없는 노릇이다. 솔로몬은 원음이 셸로모고, 엘리야는 원음이 엘리야후고, 예를 들려면 끝이 없다. 언어라는 것은 원음이 어떻든 특정 발음이 널리 통용되면 어쩔 수 없는 측면이 있다.

널리 알려진 표기를 쓸 수밖에 없는 경우로, '힛데겔'을 일부 성경 번역에서 '티그리스'로 개정하여 표기하는 사례를 들 수 있다. '힛데겔'은 히브리어 '히데켈(ḥîddeqel)'을 의도한 표기인데, 이는 ' 티그리스 강'을 의미한다. 근데 정작 '티그리스'라는 이름은 '티그라(tigrā)'라는 페르시아어를 그리스어로 변형한 표현이고, 막상 그곳에 살았던 아카드인들은 '이디클라트(idiqlat)'라고 불렀다.[8] 그러니까 '힛데겔'을 '티그리스 강'이라고 표기하면, 원칙적으로 보자면 원음 '이디클라트'의 그리스 표현을 쓰는 것밖에 안 되는 셈이다. 원음 표기라는 목적만 놓고 보자면, '티그리스 강'이라고 쓰는 게 오히려 원음 '이디클라트'와 조금이라도 더 비슷한 '힛데겔'을 쓰는 것만 못하다. 그러나 우리나라 사람들 중에서 '티그리스 강'에 대해 원음을 챙겨 가며 '이디클라트'라고 부르는 사람이 사실상 없기 때문에 '티그리스'로 개정한 것이다. 지도에도, 역사책에도 '티그리스 강'이라고 하는 판에.

더 좋은 예로 ' 이집트'(애굽)가 히브리어 원어로는 '미츠라임'[9]인데, 이를 원어대로 표기한다는 것은 도저히 있을 수 없는 노릇이다(...). 따라서 함의 아들 미스라임[10]을 제외하면 이집트는 언제나 애굽 아니면 이집트로 나온다.

결국 1998년에, 개역한글판에서 몇몇 발음이 이상한 부분들을 뜯어고친 개역개정판이 나왔으며, 2003년 이후, 개신교 비공인 번역 성경인 '직역 성경'이 새로이 출판되어 최대한 히브리어와 그리스어에 가깝게 발음들을 표기하였다. 자세한 것은 아래 표와 항목 참고.
로마자 개신교[11] 가톨릭 직역 성경[12] 일반적 표기[13] 영어 발음
Caesar 가이사 카이사르 [síːzər]
\ 시저\]
황제의 호칭. 실제 로마 황제도 카이사르로 통칭되었다.
Gaius 가이오 가이우스 [géiəs\]
[게이어스\]
Cain 가인 카인 [kein\]
\ [케인\]
Cyrus 고레스 키루스 코레쉬 키루스 [sái(ə)rəs\]
\ 사이러스\]
Corinthos/Corinth 고린도 코린토 코린토스/코린트 [kɔ́(ː)rənθɔ̀ːs\]/[kɔ́(ː)rinθ\]
[코런소스\]/[코린스\]
원어인 그리스어는 코린토스(Κόρινθος).
Kush 구스 에티오피아 쿠쉬 쿠시, 쿠쉬 [kʌʃ, kuʃ\]
[커시, 쿠시\]
수단 지역의 옛 왕국 중 하나. 가톨릭 성경에서는 에티오피아라고 되어 있어 잘못 옮긴 것 같지만, 고대 시기의 에티오피아는 원래 수단 일대를 지칭하던 지명이었다.
Crete 그레데 크레타 크렡 크레타 [kriːt\]
[크리트\]
Christ 기독 그리스도 마쉬아흐[14] 크리스트, 그리스도 [kraist\]
[크라이스트\]
기독교의 어원이다. 예수 그리스도도 Jesus Christos(예수스 크리스토스)의 음차. 절대 '지저스 크라이스트'의 음차가 아니다.
Lucas/Luke 누가 루카 [lúːkəs\]/[luːk\]
[루커스\]/\ [루크\]
Nineveh 니느웨 니네베 니느붸 니네베 [nínəvə\]
[니너버\]
'니느웨'는 히브리식으로 읽은 것이고 '니네베'는 라틴식으로 읽은 것이다. V 발음을 어떻게 표기하느냐와 모음을 어떻게 읽느냐의 차이다.
Nimrod 니므롯 니므롣 님로드 [nímrad\]
[님라드\]
Nebuchadnezzar 느부갓네살 네부카드네자르 느부칻네짜르 네부카드네자르 [nèbjukədnézər\]
[네뷰커드네저\]
Damascus 다메섹 다마스쿠스 다메쉨 다마스쿠스 [dəmǽskəs\]
[더매스커스\]
다마스쿠스는 라틴어이며 현재는 아랍식으로 디마시크(Dimashq)가 되었다.
Tarsus 다소 타르수스 타르소 타르수스 [tɑ́ːrsəs\]
[타서스\]
그리스어 표기는 'Ταρσός'. 현재 이름은 라틴어 '타르수스(Tarsus)'를 아랍어으로 읽은 '타르수스(طَرَسُوس)'를 그대로 터키어로 읽은 '타르수스(Tarsus)'이다.
Thessalonica 데살로니가 테살로니카 [θesələnáikə\]
[세설러나이커\]
원어인 그리스어는 테살로니키(Θεσσαλονίκη)이나, 테살로니카라고도 한다.
Thomas 도마 토마스 토마 [tɑ́məs\]
\ 타머스\]
Thyatira 두아디라 티아티라 씨아테라 [θaiətáirə\]
[사이어타이러\]
그리스어 표기는 'Θυάτειρα'. 현 터키 아크히사르(Akhisar).
Titus 디도 티투스(구약)[15]/티토(신약) 티토 티투스 [táitəs\]
\ [타이터스\]
Tiberius 디베료 티베리우스 [taibíəriəs\]
[타이비어리어스\]
Laodicea 라오디게아 라오디케이아 라오디케아 [leiɑ̀dəsíːə\]
[레이아더시어\]
원어인 그리스어는 라오디키아(Λαοδίκεια). 현 터키 에스키히사르(Eskihisar).
Rebecca 리브가 레베카 리브카 [ribékə\]
[리베커\]
Marcus/Mark 마가 마르코 [mɑ́ːrkəs\]/[maːrk\]
[마커스\]/\ [마크\]
마르코(Marco)는 고대 라틴어 Mart-kos에서 왔으며, "마르스로부터 신성하게 된 자"라는 뜻이다. 마르쿠스 고대 로마에서 쓰인 가장 흔한 이름 셋 중 하나였다. 영어의 Mark는 원어의 끝부분 모음이 탈락된 형태.
Matthaios 마태 마태오 마타이 [mǽθjuː\]
\ 매슈\]
히브리어 מתתיהו([mat.taθˈjaː.huː\], '하느님의 선물'이라는 뜻)→이를 코이네 그리스어로 옮긴 Ματταθίας→축약형인 Ματθαῖος→후기 라틴어 Matthaeus→고대 프랑스어 Mathieu→영어 Matthew로 변형.
Michael 미가엘 미카엘 [máikəl\]
[마이컬\]
Medes 메대 메디아 마다이 메디아 [medes\]
[메데스\]
Pharaoh 바로 파라오 파르오 파라오 [fɛ́ərou\]
[페어로\]
한자의 음차를 그대로 음역한 것.
Paphos 바보(...) 파포스 파포 파포스 [péifas\]
[페이파스\]
Πάφος. 그 바보(...)가 아니라 키프로스의 도시 이름. 신화에서 아프로디테의 출생지이다.
Persia 바사 페르시아 파라스 페르시아 [pə́ːrʒə\]
[퍼저\]
이란 등지의 페르시아어 발음으로는 파르사에 가깝다.
Paul 바울 바오로[16] 파울 [pɔːl\]
[폴\]
원어인 그리스어는 사울/사울루스/파울로스, 라틴어는 파울루스(Paulus).
Pergamos 버가모 페르가몬 페르가모 페르가몬 [pə́ːrgəməm\]
[퍼거멈\][17]
그리스어 표기는 'Πέργαμον' 또는 'Πέργαμος'. 현 터키 베르가마(Bergama).
Phoenicia 베니게 페니키아 [finíːʃə\]
[피니셔\]
Petrus 베드로 페트로 [píːtər\]
[피터\][18]
아람어로는 케파(Cephas). 그리스어로 옮겨질 때 음이 아닌 뜻을 살려 페트로스로 옮겨졌다.
Berea 베뢰아[19] 베레아
그리스어 표기는 'Βέροια'. 현대 그리스어로는 '베리아'라고 읽는다. 그리스 북부에 위치한 소도시로 똑같은 이름을 가진 알레포(여기의 그리스어 표기도 'Βέροια'이다)와 혼동할 수 있으니 주의.
Pontius Pilatus 본디오 빌라도 본시오 빌라도 폰티오 필라토 폰티우스 필라투스 [pɑ̀nʃəs páilət, pɑ̀ntiəs-\]
[판셔스 파일럿, 판티어스-\][20]
Philadelphia 빌라델비아 필라델피아 필라델피아 필라델피아 [fìlədélfjə, -fiə\]
[필러델펴, -피어\]
그리스어 표기는 'Φιλαδέλφεια'. 현 터키 알라셰히르(Alaşehir).
Satan 사단/사탄[구분] 사탄 [séitn\]
[세이튼\][22]
Sardis 사데 사르디스 [sɑ́ːrdis\]
[사디스\]
그리스어 표기는 'Σάρδεις'. 현 터키 사르트(Sart).
Sennacherib 산헤립 [sənǽkərib\]
[서내커리브\]
Smyrna 서머나 스미르나 [smə́ːrnə\]
[스머너\]
그리스어 표기는 스미르니(Σμύρνη). 현 터키 '이즈미르(İzmir)'.
Zechariah 스가랴 즈카르야 [zèkəráiə\]
[제커라이어\]
Stoa 스도이고/스토아[구분] 스토아 [stóuə\]
[스토어\]
스토아 학파. 라틴어의 Stoicus에서.
jackal, hyena[24] 승냥이 하이에나 [dʒǽkəl\], [haiíːnə\]
[재컬\], [하이이너\]
Sinai 시내 시나이 [sáinai\]
[사이나이\]
Simon 시몬 쉼온 [sáimən\]
\ [사이먼\]
Zeus 쓰스/제우스[구분] 제우스 [zuːs\]
[주스\]
Augustus 아구스도 아우구스투스 [ɔːgʌstəs\]
[오거스터스\]
Athene[26] 아덴 아테네 [ǽθinz\]
[애신즈\][27]
Artemis 아데미 아르테미스 아르테미 아르테미스 [ɑ́ːrtəmis\]
[아터미스\]
Xerxes 아하수에로 크세르크세스 아하쉬붸로쉬 크세르크세스 [zə́ːrksiːz\]
[저크시즈\]
애초에 히브리어로는 아하수에로에 가까운 발음('아하슈에로시'나 '아하쉬붸로쉬'처럼 들린다)인데다가 크세르크세스는 그리스식 음차라 원래 이름이라 하기도 뭐한 실정. 고대 페르시아어 발음으론 흐샤야르샤(خشایارشا) 이다. 뜻은 "모든 왕 위에 군림하는 영웅."
Andreas/Andrew 안드레 안드레아 안드레 [ǽndriəs\]/[ǽndruː\]
[앤드리어스\]/\ [앤드루\]
Antiochia 안디옥 안티오키아 안티옼 안티오크, 안티오키아 [ǽntiɑ̀k\]
[앤티악\][28]
원어인 그리스어는 안티오케이아(Αντιόχεια), 라틴어로는 안티오키아(Antiochia). 각주에서 밝혔듯, 옛날 영어는 그리스어나 라틴어에서 받아들인 '외래어'는 격어미는 잘라먹고 어간만 표기하는 경향이 많았다. 현재 명칭은 안타키아(Antakya).
Assyria 앗수르 아시리아 앗슈르 아시리아 [əsíriə\]
[어시리어\]
Jacobus 야고보 야아콥 [dʒeɪkəb\]
\ 제이커브\][29]
변천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라틴어 야코부스(Jacobus)의 발음 중 순자음 b가 m으로 변하면서 야코무스(Jacomus)가 되었고, 이게 프랑스어로 옮겨오는 과정에서 또 k자음이 탈락하여 James로 최종진화한 것. 격어미를 빼고 어간만 표기하면 Jacob(제이커브)가 되는데, 이는 Jacob은 구약의 '야곱'이다.[30]
Egypt 애굽 이집트 미쯔라임[31] 이집트 [íːdʒipt\]
[이집트\]
원래 한자로 이집트를 음역한 것은 애급(埃及)이다. 발음 편이를 위해 한글에서 변형된 것. Aegyptus(아이깁투스).
Ephesus 에베소 에페소 에페수스 [éfisəs\]
[에피서스\]
원어인 그리스어는 에페소스(Έφεσος), 라틴어로는 에페수스(Ephesus), 터키어로는 에페스(Efes).[32]
Epicouros 에비구레오/에피쿠로스[구분] 에피쿠로스 에피큐로스 에피쿠로스 [èpəkjúərəs\]
[에퍼큐어러스\][34]
Esau 에서 에사우 에싸브 [íːsɔː\]
[이소\]
Esther 에스더 에스테르 [éstər\]
[에스터\]
한글성서판이 뭐냐에 따라 표기가 다르다. 개신교는 영어식 표기인 에스더를 쓴다. 자세한 건 에스텔 항목 참고.
Joshua 여호수아 예호슈아 [dʒɑ́ʃuə\]
\ 자슈어\]
사실 여호수아나 호세아나 예수나 다 동일계열의 이름이다. 히브리어에서는 원래 모음기호를 잘 표기하지 않는다.
gier-eagle[35] 올응() 물수리 까치 [dʒíːriːgəl, gíəriːgəl\]
[지리걸, 기어리걸\]
Josephus/Joseph 요셉 요셒 [dʒousíːfəs\]/[dʒóuzəf\]
[조시퍼스\]/\ 조저프\]
Johannes 요한 요하난[36] [dʒouhǽnəs\]/[dʒan\]
[조해너스\]/\\]
Euphrates 유브라데 유프라테스 프랕 유프라테스 [juːfréitiːz\]
[유프레이티즈\]
Italy 이달리/이달리야 이탈리아 [ítəli\]
[이털리\][37]
Isaac 이삭 이사악 이쯔핰 [áizək\]
\ 아이적\]
히브리어 원어로는 이츠하크. 이쯔핰으로도 들린다. [38]
Israel 이스라엘 [ízriəl\]
\ [이즈리얼\][39]
Hermes 허메/헤르메스[구분] 헤르메스 헤르메 헤르메스 [hə́ːrmiːz\]
[허미즈\]
개역개정판에서는 헤르메스로 표기했다. 이미 그리스 로마 신화를 많이 아는 독자들이 늘어났음을 반영한 것. 위의 제우스도 마찬가지. 아데미는 아르테미스로 바꾸지 않은 게 오히려 신기하다.
Tigris 힛데겔 티그리스 힏데켈 티그리스 [táigris\]
\ [타이그리스\]

이외에도 Syntyche[41]를 개역개정에서는 순두게라고 표기하고, 포이베를 개역개정에서는 뵈뵈라고 하는 등 찾아보면 더 많다.

6. 관련 문서



[1] 실제로 개신교 개역개정판 성경에서의 표기와 히브리어 발음은 의외로 비슷하다는 걸 느낄 수 있다. Talking Bibles(영어)에서 'Hebrew Letteris'를 선택한 다음, 고유명사 인명이나 지명이 많이 등장하는 성경 구절을 찾아 (창세기 5장 전체, 창세기 10장 전체, 출애굽기 1:2~4, 역대상 1장 전체~9장 전체, 에스더 1:10, 다니엘 1:6~7 등) 오디오로 들으며 개역판 표기와 비교해 보자. [2] 한국의 개신교 성경에는 '게바'로 표기. [3] 어두의 ㄱ/ㄷ/ㅂ는 모두 무성음 k/t/p 이므로 발음상 이상한 표기법이 아니다. 현행 일본어 표기법이 유사한 예인데, 다만 말 중간에 오는 경우에도 ㄱ/ㄷ/ㅂ가 쓰인다는 점에는 주의할 필요가 있다. 좀 오래된 관용 일본어 표기에서 게, 다미, 미야모 무사시 등의 사례를 보면 알 수 있다. [4] 이 성경 번역 작업에는 신학자들뿐만 아니라 한국어학을 전공한 언어학자들도 다수 참여하였다. [5] '에제키엘'을 영어식 발음으로 착각하는 사람도 있으나 분명히 라틴어 발음이다. [6] 대표적으로 네부카드네자르, 크세르크세스 등. [7] 여기서의 흐는 구개수음. [8] 좀 변형되긴 했지만 오히려 히브리식 '힛데켈'과 비슷하다. [9] 아랍어로 이집트를 뜻하는 '마스르' 또는 '미스르'와도 연관된다. [10] 사실 이것까지도 애굽이나 이집트로 하는 게 읽는 사람에게는 더 강렬하게 의미가 와닿는다. 곧 성경에서 이집트를 함 자손으로 본다는 것이다. [11] 개역 한글, 개역개정. [12] 허성갑 역. 히브리어와 그리스어 발음 위주로 음역되어 있다. 즉, 이 둘이 아닌 다른 언어도 히브리어나 그리스어로 음역되어 있다. 둘 중 중복인 경우는 히브리어 우선. 그리스어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격어미 없이 어간만을 옮겼다. [13] 종교적 맥락이 아닐 때. 기독교와 깊게 관련된 인물이나 현재 유럽권에서 쓰이는 사람 이름의 경우는 예수를 빼고 제외. (기독교와 깊게 관련된 인물은 이미 기독교식으로 표기되고 있고, 사람 이름의 경우는 국가마다 다양할 수 있으므로.) [14] 히브리어로 음역되어 있다. 메시아의 히브리어 발음이다. [15] 마카베오하 11:34 [16] 원칙대로 표기하자면 '바울로'가 맞지만 예외 규정으로 '바오로'로 표기한다. [17] 영어에서의 로마자 표기는 'Pergamos'에서 변형된 'Pergamum'. [18] 영어에서의 로마자 표기는 'Petrus'에서 변형된 'Peter'. [19] 사도행전 17장 11~12절에 나오는 지명 [20] 영어에서의 로마자 표기는 'Pontius Pilatus'에서 변형된 'Pontius Pilate'. [구분] 왼쪽은 70년대 개역한글성경의 발음이다. [22] 실제 발음에서는 [séiʔn\], [세잇,은\] 정도로 [t\]자리에 성문 파열음([ʔ\])이 들어간다. [구분] [24] 우리가 아는 점박이하이에나가 아니라 줄무늬하이에나를 의미한다. [구분] [26] 원어인 그리스어는 아테네/아테나이. [27] 영어에서의 로마자 표기는 'Athene'에서 변형된 'Athens'. [28] 영어에서의 로마자 표기는 'Antiochia'에서 변형된 'Antioch'. [29] 영어에서의 로마자 표기는 'Jacobus'에서 변형된 'James'. 변화 원인은 후술. [30] 참고로 이탈리아어로는 야곱은 Giacobbe(자콥베), 야고보는 Giacomo( 자코모). [31] 당시 히브리인들이 이집트를 지칭하던 말. [32] 현재는 셀축(Selçuk)이라고 부른다. 에페소스하면 감이 바로 안오겠지만 세계 7대 불가사의중 하나인 에페소스의 아르테미스 신전이 있었던 곳이다. [구분] 왼쪽은 70년대 개역한글성경의 발음이다. [34] 영어에서의 로마자 표기는 'Epicouros'에서 변형된 'Epicurus'. [35] 히브리어 원문은 '라함'이다. [36] 요하난은 구약시대에도 사용되던 이름이다. 마찬가지로 직역성경에서는 '마리아'를 '미르얌'의 변형으로 보았는데 여기에서 '미르얌'은 모세의 누나가 쓰던 그 이름이다. [37] 실제 발음에서는 [íɾəli\], [이럴리\] 정도로 [t\]자리에 치경 탄음([ɾ\])이 들어간다. [38] 유대계 바이올린 주자인 이츠하크 펄먼의 예가 있다. [39] 'is-real'처럼 들린다. 그러나 종교계에서는 [ízreiəl\], [이즈레이얼\]에 가깝게 발음한다. [구분] 왼쪽은 70년대 개역한글성경의 발음이다. [41] 필립비서에 언급되는 인물. 공동번역에서는 신디케로 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