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 |
┏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ㄱ | |||||||||||||||||||||||||||||
ㅣ |
|
ㅣ | |||||||||||||||||||||||||||||||||||||||
ㅣ | ㄴ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건무문 |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ㄱ | ||||||||||||||||
ㅣ | ㅣ | ||||||||||||||||||||||||||||||||||||||||
ㅣ | ㅣ | ||||||||||||||||||||||||||||||||||||||||
ㅣ | 청의정 | 태극정 | 농산정 |
|
|||||||||||||||||||||||||||||||||||||
ㅣ | 농포 | ㅣ | |||||||||||||||||||||||||||||||||||||||
ㅣ | 소요암 옥류천 | ㅣ | |||||||||||||||||||||||||||||||||||||||
ㅏ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ㄱ | 소요정 |
|
||||||||||||||||||||||||||||||
ㅣ | ㅣ | 취한정 | ㅣ | ||||||||||||||||||||||||||||||||||||||
ㅣ | 수복방 | 신선원전 진설청 | ㅣ | ㅣ | |||||||||||||||||||||||||||||||||||||
ㅣ | ㅣ | ㅣ | |||||||||||||||||||||||||||||||||||||||
ㅣ | ㅡ | ㅡ | ㅡ | ㅣ | ㅣ | ||||||||||||||||||||||||||||||||||||
ㅣ | 괘궁정 | ㅣ | 취규정 | ㅣ | |||||||||||||||||||||||||||||||||||||
ㅣ | 재실 | ┏ | ㅡ | ㄱ | ㅣ | ㅣ | |||||||||||||||||||||||||||||||||||
ㅣ | ㅣ | ㅣ | ㅣ | 능허정 | ㅣ | ||||||||||||||||||||||||||||||||||||
ㅣ | 의효전 | ㅣ |
|
청심정 |
|
ㅣ | |||||||||||||||||||||||||||||||||||
ㅣ | 몽답정 | ㅡ | ㅡ | ㅡ | ㅣ |
|
ㅣ | ||||||||||||||||||||||||||||||||||
ㅣ | ㅣ |
|
ㅣ | ||||||||||||||||||||||||||||||||||||||
ㅣ | ㅣ |
|
|
ㅣ | |||||||||||||||||||||||||||||||||||||
ㅣ | ㅣ |
|
ㅣ | ||||||||||||||||||||||||||||||||||||||
ㅣ | ㅣ | 존덕정 | ㅣ | ||||||||||||||||||||||||||||||||||||||
ㄴ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외삼문 | ㅡ | ㅓ | 폄우사 |
관람정 |
ㅣ | |||||||||||||||||||||||||||||
ㅣ |
|
반도지 | ㅣ | ||||||||||||||||||||||||||||||||||||||
ㅣ | ┏ | ┛ | |||||||||||||||||||||||||||||||||||||||
ㅣ | 승재정 | ㅣ | |||||||||||||||||||||||||||||||||||||||
ㅣ |
|
ㅣ | |||||||||||||||||||||||||||||||||||||||
ㅣ | ┏ | ㅡ | ㄱ | ㅣ | |||||||||||||||||||||||||||||||||||||
ㅣ | ㅣ | 반빗간 | ㅏ | ㅡ | 태일문 | ㅡ | ㄱ | ㅣ | |||||||||||||||||||||||||||||||||
ㅣ | ㅏ | 통벽문 | 우신문 | 농수정 | ㅣ | ㅣ | |||||||||||||||||||||||||||||||||||
ㅣ | ㅣ | 연경당 | 선향재 | ㅣ | ㅣ | ||||||||||||||||||||||||||||||||||||
ㅣ | ㅣ | ┏ | ㅡ | ㅡ | ┛ | ㅣ | |||||||||||||||||||||||||||||||||||
ㅣ |
|
ㄴ | 수인문 | 장양문 | ㅣ | ㅣ | |||||||||||||||||||||||||||||||||||
ㅣ | ㅣ | ㅣ | |||||||||||||||||||||||||||||||||||||||
ㅣ | ㅡ | 장락문 | ┛ | ㅣ | |||||||||||||||||||||||||||||||||||||
ㅣ | 창덕궁 애련정 |
|
ㅣ | ||||||||||||||||||||||||||||||||||||||
ㅣ |
|
애련지 | ㅣ | ||||||||||||||||||||||||||||||||||||||
ㅣ | 불로문 | ㅣ | |||||||||||||||||||||||||||||||||||||||
ㅣ | 석거문 | 금마문 | 영춘문 | ||||||||||||||||||||||||||||||||||||||
ㅣ | 운경거 | 의두합 | ㅣ | ||||||||||||||||||||||||||||||||||||||
ㅣ | ㅣ | ||||||||||||||||||||||||||||||||||||||||
ㅣ | 희우정 | 천석정 | ㅣ | ||||||||||||||||||||||||||||||||||||||
ㅣ | 서향각 | 주합루 | ㅣ | ||||||||||||||||||||||||||||||||||||||
ㅣ | 어수문 | ㅣ | |||||||||||||||||||||||||||||||||||||||
ㅣ | 사정기비각 | 부용지 | 영화당 |
춘당대 |
ㅣ | ||||||||||||||||||||||||||||||||||||
ㅣ | 부용정 | ㅣ | |||||||||||||||||||||||||||||||||||||||
ㅣ | ㅣ | ||||||||||||||||||||||||||||||||||||||||
요금문 |
|
|
|
ㅣ | |||||||||||||||||||||||||||||||||||||
ㅣ | ┏ | ┛ | |||||||||||||||||||||||||||||||||||||||
ㅣ | ㅣ | ||||||||||||||||||||||||||||||||||||||||
┏ | ㅡ | ┛ |
|
|
ㅣ | ||||||||||||||||||||||||||||||||||||
ㅣ |
|
|
|
ㅣ | |||||||||||||||||||||||||||||||||||||
ㅣ |
|
ㅣ | |||||||||||||||||||||||||||||||||||||||
ㅣ |
|
|
경훈각 |
┏ | 함원전 | ㅣ | |||||||||||||||||||||||||||||||||||
ㅣ |
|
ㅣ | ㅣ | ㅣ | 청향각 | ㅣ | |||||||||||||||||||||||||||||||||||
ㅣ |
|
의풍각 | ┏ | ㅗ | ㅡ | 융경헌 | 대조전 | 흥복헌 | ┛ | ㅣ | |||||||||||||||||||||||||||||||
ㅣ | ㅣ | 수랏간 | 관리합 | ㅣ | → | ||||||||||||||||||||||||||||||||||||
ㅣ |
|
|
|
|
ㄴ | ㅡ | 요휘문 | 경극문 | ㅣ | 창경궁 | |||||||||||||||||||||||||||||||
경추문 |
|
|
ㅏ | 선평문 | ㅜ |
|
여춘문 |
|
|||||||||||||||||||||||||||||||||
ㅣ | ㅣ | ㅣ | ㅣ | 함양문 | ㄱ | ||||||||||||||||||||||||||||||||||||
ㅣ |
서북 진설청
내재실 선원전 서남 진설청 동남 진설청 |
만수문 | ┏ | ㅡ | 건중문 | ㅡ | ㅡ | ㅗ | ㅡ | ㅓ | 희정당 | ㅣ |
|
|
|||||||||||||||||||||||||||
ㅣ | 양지당 | 만안문 |
|
ㅓ | 선정전 | ㅣ | ㅣ | ㅣ | ┏ |
|
|
||||||||||||||||||||||||||||||
ㅣ | 책고 | 인정전 | ㅣ | ㅣ | ㅣ | ㄴ | ㅡ | ┛ | 관물헌 |
|
|
ㄱ | |||||||||||||||||||||||||||||
ㅣ | 봉모당 | 억석루 | 연경문 | 만복문 | 향실 | ㅏ | ㅡ | 선정문 | ㅡ | ㅓ | 성정각 보춘정 |
|
|
칠분서 |
|
|
|
ㄱ | |||||||||||||||||||||||
ㅣ | 운한문 | 영의사 | 예문관 |
|
ㅣ | ㅣ |
|
|
자시문 | 삼삼와 | 승화루 | 한정당 | ㄴ |
|
ㄱ | ||||||||||||||||||||||||||
ㅣ | 숭범문 | ㅏ |
|
ㅡ |
|
┛ | 영현문 | 전의사 | 취운정 | ㄴ |
|
ㄱ | |||||||||||||||||||||||||||||
|
이문원 | 검서청 | 약방 |
|
광범문 |
|
|
┏ | 낙선재 | ㅜ | 석복헌 | ㅣ | |||||||||||||||||||||||||||||
|
ㅡ | ㅡ | ㅡ | ㄱ | 홍문관 | ㅣ | ㅏ |
|
|
|
|
|
ㅣ | ㅏ | ㅗ | 수강재 | ㄱ | ㅣ | |||||||||||||||||||||||
|
ㄴ | ㅡ |
|
ㅓ |
|
|
|
|
ㅓ |
|
|
ㄴ | 장락문 | ㅓ | ㅣ |
|
|||||||||||||||||||||||||
|
ㅏ | ㅡ | 인정문 | ㅡ | + |
|
┛ |
|
|
ㄴ | ㅡ | ㅡ | ┛ |
|
|||||||||||||||||||||||||||
|
금천교 | 진선문 | 숙장문 |
|
|
||||||||||||||||||||||||||||||||||||
금호문 |
|
내병조 (창덕궁관리소) |
|
|
|
|
|
|
|
|
|
|
ㅣ | ||||||||||||||||||||||||||||
|
|
빈청 (어차고) |
|
|
|
ㅣ | |||||||||||||||||||||||||||||||||||
|
돈화문 |
|
ㄱ |
|
상의원 | 치미각 |
|
|
|
|
|||||||||||||||||||||||||||||||
ㅣ | 원역처소 |
|
|
|
|
|
|
|
|||||||||||||||||||||||||||||||||
ㄴ | ㅡ | ㅡ | ㅡ | ㅗ | 단봉문 | ㅡ | ㅡ | ㅡ | ㅡ | ㅡ | ↓ | 종묘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북신문 | + | |||||||||||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
창덕궁 선정전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대한민국의 보물 | |||||||||||||||||||||||||||
813호 | ← | 814호 | → | 815호 | ||||||||||||||||||||||||
창덕궁 인정문 | 창덕궁 선정전 | 창덕궁 희정당 |
}}} ||
대한민국 보물 제814호 | |
<colbgcolor=#315288> 창덕궁 선정전 昌德宮 宣政殿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99 (와룡동 2-71번지) |
분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궁궐 |
수량 | 1동 |
지정연도 | 1985년 1월 8일 |
제작시기 | 조선 시대, 1405년 창건, 1647년 중건 |
|
|
|
<colbgcolor=#bf1400> 선정전[1] |
[clearfix]
1. 개요
창덕궁의 편전이다. 편전은 평상시 임금이 신하들과 함께 나랏일을 보고 경연을 하던 곳이다. 이름의 뜻은 "정치(政)와 교육을 널리 펼친다(宣)"이다. 선정을 베풀라는 뜻으로 착각할 수 있지만, 그 ‘선정’은 ‘善政’이다.2. 용도
편전이나 행사 공간으로도 많이 쓰였다. 조선 전기에는 왕비가 양로연을 여는 일이 꽤 있었으며, 신하들의 아내를 불러 잔치를 열기도 했다. 그리고 친잠[2]을 행한 뒤 하례를 받는 일과 책보[3]를 받는 의례 등을 거행하는 장소로도 활용되었다.조선 후기에 내전의 희정당을 편전으로 사용하면서, 왕실에서는 선정전을 혼전 / 빈전[A]으로 주로 사용했다.
3. 역사
|
<colbgcolor=#bf1400> 〈동궐도〉 선정전 일곽[5] |
4. 정문
자세한 내용은 창덕궁 선정문 문서 참고하십시오.5. 구조
- 현재 남아있는 궁궐 건물 중 유일하게 청기와 지붕이다. 왜냐하면 1647년( 인조 25년)에 다시 지을 당시, 인경궁의 편전 광정전 건물을 헐어다 지었기 때문이다. 인경궁은 광해군이 궁궐 건설에 집착하여 세운 새 궁궐[6] 중 하나로 대부분의 지붕을 염초를 사용한 청기와로 만들었다. 인조 시기 인경궁을 훼철하면서 대부분의 건물들을 창덕궁과 창경궁 재건 공사에 활용했는데 선정전도 그 중 하나였기에 청기와 지붕인 것이다. 이 때 옮겨온 창덕궁과 창경궁의 건물들은 이후 순조 때 일어난 화재로 거의 대부분이 불탔지만 선정전만큼은 옮겼을 때 모습 그대로이다. 즉, 유일한 청기와 건물일 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유일하게 남아있는 인경궁 전각이다. 사족으로 같은 청기와 건물인 인경궁의 정전 홍정전은 몸체가 많이 바뀐 후[7] 내전의 경훈각 건물이 되었는데 1917년에 불에 타 없어졌다.
- 창경궁 홍화문, 창경궁 명정전 등과 함께 광해군 연간에 지은 건물 그대로이다. 따라서 17세기 건축양식의 특성을 연구할 때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또한 현존하는 편전 건물 중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
- 상술했듯 조선 후기에는 혼전 / 빈전[A]으로 주로 쓰였으며, 그에 따라 정면에 새롭게 복도각을 설치했다. 여기서 복도각은 혼령이 드나드는 길이다. 이는 똑같이 편전과 혼전 기능이 섞여있었던 창경궁과 경희궁의 편전인 문정전과 자정전도 마찬가지였다. 복도각은 순종황제 시기에 사라졌다가 문화재관리국에서 1997년에 복원했다. 참고로 마지막으로 혼전/빈전으로 기능한 것은 1926년 순종의 국상 때이다. #
<colbgcolor=#bf1400> 1953년, 한국전쟁 직후에 찍은 선정전의 모습 |
바뀐 선정전 외부(1980년대의 모습) | <colbgcolor=#bf1400> 바뀐 선정전 내부(1980년대의 모습) |
<colbgcolor=#bf1400> 내부 복원 이전 선정전 |
내부 복원 이후 선정전 |
[1]
첫 번째 사진 출처 - 내 손안에 서울.
두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세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2] 조선시대 왕비가 직접 누에를 치고 고치를 거두던 의례. [3] 존호를 올릴 때 함께 올리던 옥책과 금보를 말한다.책담는 보따리 말고
[A]
혼전(魂殿):
임금과
왕비 신위를 임시로 봉안하던 곳. 빈전(殯殿):
상여가 나갈 때까지
왕이나 왕비의
관을 모시던 곳.
[5]
붉은 원이 원래의 선정문이고 푸른 원이 현재 선정문이다.
[6]
인경궁,
경덕궁(영조 연간에 경희궁으로 바뀐다.),
자수궁.
[7]
이런 전각을 옮길 경우엔 옮긴 후에도 원래 용도와 비슷하게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창덕궁엔 이미
인정전이 있었기 때문에 같은 용도로 사용할 수 없어 건물의 골격을 바꾼 뒤 다른 용도로 사용한 듯 하다.
[A]
혼전(魂殿):
임금과
왕비 신위를 임시로 봉안하던 곳. 빈전(殯殿):
상여가 나갈 때까지
왕이나 왕비의
관을 모시던 곳.
[9]
옥좌 위에 만들어 다는 집 모형.
두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세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2] 조선시대 왕비가 직접 누에를 치고 고치를 거두던 의례. [3] 존호를 올릴 때 함께 올리던 옥책과 금보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