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8 14:48:40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 이 문서의 하위 문서들은 사진 자료가 방대한 편으로, 편집할 경우 실수가 발생하거나 데이터 용량을 과도하게 사용할 수 있어 모바일에서는 열람이나 편집을 권장하지 않습니다.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ae1932><tablewidth=100%>
서울특별시
}}}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공항
]] [[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
광역
]] [[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간선
]] [[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
지선
]] [[틀:서울특별시의 맞춤버스|
맞춤
]] [[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
순환
]] [[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
심야
]] [[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서울시티투어버스|
투어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순환 간선 지선 광역
[[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간선버스|
심야
]]
마을 맞춤 공항
0~50번 51~99번 100번대 200번대
300번대 400번대 500번대 600번대
700번대 800번대 900번대 1000번대~
맞춤 마을
관련 문서
역사 /1970년 개편 이전 /2026년 개편 계획 비판 및 문제점 노선 조정 내역 업체 목록 /공항버스
}}}}}}}}} ||

1. 개요2. 1~199번( 0번대, 50번대, 100번대)3. 200번대 (시영버스)4. 300번대5. 400번대 (지역순환버스)6. 500번대7. 좌석버스 ( 600번대, 700번대)8. 800번대 (공동배차 버스, 지하철 연계 버스)9. 900번대10. 1000번대 이후11. 맞춤버스12. 마을버스13. 도색
13.1. 입석/도시형 버스 도색
13.1.1. 1966년~1973년13.1.2. 마린 블루 도색 (1973년 5월~1986년 8월)13.1.3. 보라색(자주색) 도색 (1985년 3월~2000년 3월)13.1.4. 파스텔톤 도색 (1988년 5월~2002년 4월)
13.1.4.1. 연두색 도색13.1.4.2. 군청 + 황토색 도색13.1.4.3. 분홍색 + 와인색 도색13.1.4.4. 연두색 + 하늘색 도색
13.1.5. 몬드리안 도색 ( 1995년 4월~ 2005년 3월)13.1.6. 천연가스버스 도색(2000년 6월~2004년 6월)
13.2. 좌석버스 도색(1977년~2005년)13.3. 고급좌석 도색(1993년 10월~2005년 1월)

1. 개요

1970년 4월 1일 대개편부터 2004년 7월 1일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대개편까지의 시내버스들에 대하여 정리하는 페이지. 1970년 4월 1일에 개편된 서울시내버스 노선체계는 1985년 개편 등 크고 작은 개편을 거쳤지만, 큰 틀은 2004년 6월까지 유지되었다. 2004년 개편 전에 이미 폐선되거나 타 지자체로 이관된 노선에는 뒤에 (★)을 표기했다.

노선 경로는 폐선 직전 또는 2004년 7월 대개편 직전을 기준으로 기록했으며, 이전 자료가 있는 경우는 추가하였다.

1970년 대개편과 관련된 사항에 대해서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1970년 개편 문서를 참조.(작성중)

2. 1~199번( 0번대, 50번대, 100번대)

1970년 4월 1일 개편으로 정릉부터 시계 방향으로 돌아가는 방식으로 1번부터 165번까지 번호를 부여받았다. 이후 변경과 폐지, 신설, 165번 이후의 번호 부여 등으로 인해 이 체계가 무너졌다.

3. 200번대 (시영버스)


1970년대 서울시가 직접 버스 노선을 운영하기도 했다는 것을 증명하는 접수번호다. 현재는 물론 2004년에도 시영 버스는 이미 없어진 상태였다.

1970년 개편으로 새로이 생겨난 200번대 노선은 다음과 같다. 출처(동아일보, 1970. 3. 30., 8p)
  • 207, 209, 215, 228, 229, 233, 243, 271, 272, 273, 274, 275, 288

4. 300번대


1970년대 이후 추가개통된 노선들이 이 번대를 배정받았다.

5. 400번대 (지역순환버스)


1995년에 추가된 종류다. 신설 당시에는 이러한 형태로 계획되었다.

6. 500번대


1973년 어린이 대공원 개장 당시, 박정희 대통령이 5월 5일 어린이날과 관련지어 이곳을 지나는 모든 노선에 '5'자를 넣게 했다. 따라서 기존 2자리 노선 앞에 '5'자를 추가했으며, 이후에 신설된 노선들도 이곳을 지날 경우 500번대를 받았다.[2]

7. 좌석버스 ( 600번대, 700번대)


600번대는 공항버스로 도색 및 요금이 일반 버스와 달랐다. 현재는 공항리무진 서울버스에서 6000번대 버스로 운행하고 있다. 지금은 별도 체계로 운영 중이지만, 과거에는 시내버스와 같은 번호대를 공유하였기 때문에 목록에 함께 기재했다.

700번대 버스는 1980년대에 신설된 좌석버스가 여기에 속해 있었는데, 1990년대 이후 좌석버스 번호도 일반버스 번호와 겹치는 번호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700번대 외의 좌석버스가 늘었다.[3] 또한 700번대 좌석버스들이 도시형버스로 형간전환된 이후에도 과거 700번대 번호를 그대로 사용한 예도 많아, 2000년대에 들어서 번호의 차별성이 없어졌다.

8. 800번대 (공동배차 버스, 지하철 연계 버스)


노선의 특성상 적자가 불가피하여 여러 운수사가 공동배차하게 만든 노선이다.

공동배차하지 않는 노선도 있는데, 이 노선들은 서울 지하철 연계용 노선들이다.

9. 900번대


고급좌석버스로 신설되었고, 일부는 심야좌석으로도 운영했다.

전 차량이 도시형 차량이었을 때는 주간에 좌석버스 요금을, 자정 이후 심야운행 시에는 고급/심야좌석 할증요금을 받았다.(고급좌석버스 사이에 소수 일반차량은 일반좌석요금 적용) 다만 903, 903-1번 같은 경우는 일반좌석 차량과 고급좌석 차량이 혼합으로 다녔는데도 불구하고 주간에는 좌석버스 요금을, 심야시간에는 고급/심야좌석 할증요금을 받았다. 2002년 서울승합 사기좌석 959, 1007번은 제외 2004년 대개편 때 폐지되었다.

10. 1000번대 이후


원래 1000번대 버스는 1993년 10월에 직행좌석 신설로 서울 4대문 안 도심과 외곽 지역을 중간 경유지 없이 고속으로 운행할 목적으로 만들어 졌다.

개설 당시 노선은 다음과 같은데 서울 중심부와 외곽 사이의 교통소통을 위해 만들었기 때문에 시계외구간을 지나지 않는다.[4][5]
  • 1001(상계동↔서울역)
  • 1002(김포공항↔광화문)
  • 1003(신월동↔서울시청사)
  • 1004(서울대↔광화문)
  • 1005(수서동↔광화문)
  • 1007(고덕동↔서울역)

하지만 서울 시내의 교통 체증 때문에[6] 중간 경유지를 줄여도 총 이동 시간의 차이가 적은 관계로 저조한 이용을 보이자 하나 둘씩 사라져갔다.[7] 그런데 동시기 수도권 5대 신도시에서 서울로의 이동 수단에 대한 수요가 있게 되자 위 노선의 기점을 경기도로 연장[8], 서울-경기도 간의 고급좌석으로 탈바꿈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서울 면허의 해당 번호는 사라지고 경기 면허로 변경되는 일도 있었으며 서울 면허 경기 면허의 버스가 구간만 조금 다른 채 공존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후 아예 경기 면허로 새로 생긴 버스가 위 번호 체계를 따르는 경우까지 생겼다.[9] 오히려 이쪽에서 대박을 친 경우라서 적지 않은 이가 1000번대 직행좌석이 처음부터 서울-신도시 간 노선으로 알고 있기도 한다.

비록 서울시내 직행운행 목적은 개설 얼마 안 되어 소멸되었지만 신도시의 대표적 교통수단으로 거듭났고, 무엇보다 개편 이전까지 고급좌석버스 디자인의 원조였다.[10]

11. 맞춤버스

12. 마을버스

13. 도색

하위 문서들의 사진들을 통해 개편 전에는 버스들이 어떤 도색으로 운행되었는지 또한 가늠할 수 있다. 업로드된 대부분의 사진은 2003년 8월~2004년 8월에 촬영된 관계로, 현재와 같은 소위 떡칠 도색을 한 차량이 많이 보인다. 이는 개편을 대비해 미리 도색을 했거나, 새 차량을 주문할 때 미리 신도색으로 주문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떡칠도색 이전에는 몬드리안 도색이라고 흔히 불린, 회색과 노랑색, 빨강색이 섞인 도색을 한 차량이 많았다.(30-2번, 38-1번 등) 그리고 그 이전에도 13번과 104번, 158번 좌석 등 다양한 도색이 존재하였다.

이미지는 여기서 볼 수 있다. 모바일의 경우 데스크톱 버전으로 보자.

13.1. 입석/도시형 버스 도색

13.1.1. 1966년~1973년

파일:external/blogfiles13.naver.net/DSC03245.jpg

파일:5261653060_01be949105_o.png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9.jpg

적용 차량: 신진자동차 FB100LK, DB102LC, 현대자동차 R192, R182, 하동환자동차 A60, A66

13.1.2. 마린 블루 도색 (1973년 5월~1986년 8월)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55.jpg 파일:25808609188_ff98c93328_o.jpg
1970년대 중반 1970년대 중반
파일:서울특별시 시내버스_2004년 개편 전 목록_50.jpg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42.jpg
전면에 파란 선을 추가한 변형 도색 (70년대 후반) 전면에 파란 선을 추가한 변형 도색 (70년대 후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41.jpg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56-1b.jpg
새한/대우 BF101 (1977~82년형) 현대 FB485 (1982~85년형)
파일:대우 BV101.gif 파일:attachment/RB520L.jpg
대우 BV101 (1983~85년형) 현대 RB520 (1984~88년형)

1970년 대개편 이후 입석 버스를 위한 도색으로 도입되었다. 해군에 디자인을 의뢰했기 때문에 '마린' 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1973년에는 네이비 레드 도색이라고 하여 같은 패턴에 색상만 흰색/적색으로 한 도색이 공존했으나, 적용된 차량도 적었고 금세 재도색되면서 사라졌다.

여담이지만 이 도색보다 4년 먼저 도입된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의 녹색 줄 구도색은 2000년 초기형 도입분 차량까지 적용되어 2010년까지 생존해 있었다. 마린 블루 도색과 비슷한 도색인 대전/충남 공용 구도색은 마린 블루 도색보다 1년 먼저 도입되었는데 현재까지도 서산시 서령버스 등지에서 현재까지 적용하고 있다.

적용 차량: 신진자동차 DB102LC, GM-코리아 BD50DL, BD098, BD101, 새한자동차 BF101, 대우자동차 BF101, BV101, BS105[11], 현대자동차 R192, R182, HD160, HD170, FB485, RB520L, 아시아자동차 P9AMC, AB185F, AM907, 하동환자동차 A60, 동아자동차 HA20

13.1.3. 보라색(자주색) 도색 (1985년 3월~2000년 3월)

파일:u3xD4VW6.jpg 파일:Screenshot_20180410-213230_Samsung Internet.jpg
파일:서울16_6927.png 파일:서울구61.jpg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00-3.jpg
1985년에 노선별 적/청색 정류장 분리 정차 제도와 중문 자동문 시내버스가 도입되고, 안내양이 퇴출되던 시기에 시내버스 이미지 쇄신 차원에서 새로 도입된 도색이다. 새 디자인을 공모하여 그 중 네 후보작을 채택해 광화문 3거리 앞에 전시한 후 여론을 수렴하여 최종 결정되었다.

선택된 안은 제일여객이 출품한 디자인으로, 기존 파란색과 디자인은 같고 색깔만 보라색과 하늘색으로 바뀌었다. 원래는 보라색에 가까운 다소 어두운 색과 흰색에 가까운 아주 옅은 하늘색이었으나, 1988년 보다 밝은 자주색과 엷은 하늘색으로 변경되었다. 하지만 원래 이 도색을 출품했던 제일여객 소속의 154~156번은 계속 어두운 보라색 도색을 고수했다.

3년이라는, 어떻게 보면 버스 도색으로서는 굉장히 짧은 신차 적용 기간에 비해 상당히 많이 적용되었고 오래 생존했는데 일단 기존 마린블루 도색의 차량 대부분이 이 도색으로 재도색했으며[12] 파스텔톤 도색 이후에도 같이 쓰여져 6.29 선언, 1988 서울 올림픽은 물론이거니와 천호대로 중앙버스전용차로, 국내 최초 버스카드, 심지어 뉴 밀레니엄까지 이 도색이 함께했다. 대한민국 현대사의 굵직한 사건과 함께했던 도색으로 30대 후반 이상 연령대의 많은 사람들의 뇌리에 아직도 깊게 박혀 있다. 70년대~90년대 중반기를 배경으로 하는 영화나 드라마에서 상단의 마린블루 도색이나 후술할 파스텔톤 도색, 경북 공통 구도색, 부산의 구구도색(현대 카탈로그 도색), 강원도 구도색과 함께 작중에서 등장하는 구형 시내버스에 가장 많이 쓰이는 도색이기도 하다. 다만 가끔씩 감독이 고증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했다면 지역에 상관없이 도색과 지역을 모조리 뒤죽박죽 섞여진다. 경북 공통 구도색이나 강원도의 구도색이 서울 쪽 시내버스로 등장하거나 마린블루 도색이나 보라색 도색이 농어촌버스로 등장하는 해프닝이 발생하는건 덤...

안동시 시내버스 신도색이 이 도색과 유사하다.

적용 차량: 새한자동차 BF101, 대우자동차 BF101, BV101, BS105, BS105L, 현대자동차 HD160, HD170, FB485, RB520L, RB520SL, 아시아자동차 AM907, AM927, AM927L, 동아자동차 HA20

13.1.4. 파스텔톤 도색 (1988년 5월~2002년 4월)

파스텔톤 도색 처음 나왔을 때 뉴스
1988년 서울 올림픽을 앞두고 1987년에 이미지 쇄신 차원에서 도입된 도색이다. 기존 마린 블루 도색과 보라색 도색 시절 단일 도색을 사용했던 원칙에서 벗어나 여섯가지 디자인을 선정하여 이후 2개의 안을 제외한 총 4가지 디자인을 적용하여 시내버스 디자인을 다원화한 것이 큰 특징이다.

당시 디자인 후보 1 당시 디자인 후보 2 당시 디자인 후보 3 이중 4번과 6번이 탈락한 도색이다.

적용 차량: 대우자동차 BF101[13], BV101[14], BS105, BS105L, BS106L, BS106L 하이파워, 현대자동차 FB485[15], RB520L, RB520SL, 에어로시티 520SL, 에어로시티 540SL, 아시아자동차 AM927(1986~1987년식 입석형 한정), AM927L, AM937L
13.1.4.1. 연두색 도색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1.gif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line7.jpg
파일:FE0575B2-9CF9-428E-8165-4092F7D038CD.gif
흰색 배경에 연두색 라인이 그려져 있는 도색.

기본 배경에 1가지 색만 칠해져 있는 형태라 도색 비용이 적어 업체에서는 가장 선호했던 도색이다. 거의 대부분의 업체가 적어도 1대 이상씩은 보유하고 있었을 정도. 운행 대수도 가장 많았다.

출고 신도색분 은 아래부분 연두색이 나뉘어져 있지만 재도색분은 하나로 칠해져 있었다.[16]

강원도 경상북도 시내버스에서 사용하던 구도색도 해당 도색을 참고하여 도색되었다. 쉽게 말해 하늘색 파스텔톤(강원도)과 남색 파스텔톤(경북)인 셈.
13.1.4.2. 군청 + 황토색 도색
파일:20190603_232109.jpg
파일:123번서울.png

전면부 창문은 군청색, 아래 부분과 후면은 황토색(베이지 색)으로 이루어진 도색. 221계 전동차?

위의 연두색 도색 다음으로 운영 업체가 많았으며, 일부 업체(제일여객, 신길운수, 선진운수, 구 범진여객 등)에서는 연두색 도색보다 월등히 많은 비중을 차지하기도 했었다. 이 도색 역시 대량으로 운행하는 업체가 아니더라도 대부분의 업체가 1대 이상 씩은 보유하고 있었다.

차량 메이커 별로 색감이 조금씩 차이는 있었으나 패턴은 동일했다.[17] 현대차 대우차 골고루 볼 수 있었으나 아시아자동차 생산분에 적용된 댓수는 극히 적었다.

이 도색은 풍양운수에서 반 사기 도색 형태의 무냉방 BS106L이 2004년 6월까지 존재해서, 파스텔톤 도색 중 가장 장수한 도색이었다.

또한 제일여객이 진관공영차고지 입주 전 불광동 기자촌에 본사가 있을 때 이 도색의 1985년식 RB520L 차량과 1992년식 에어로시티 540SL 차량이 각각 1대씩 창고로 쓰이고 있었다.

서울대학교 셔틀버스 구도색과 패턴은 다르지만 주 색상은 같다.

당산철교 셔틀버스는 대부분 이 도색의 차량이 차출되었다.
13.1.4.3. 분홍색 + 와인색 도색
파일:Screenshot_20211105-125259_YouTube.jpg
파일:Screenshot_20220310-213258_YouTube.jpg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543.jpg
파일:transit-20180501-234939-001.jpg
창문 부분과 최하단은 분홍색, 하단 중간부분은 와인색으로 이루어진 도색.

운영 업체는 많지 않았으나 서울승합이나 삼화상운, 한남운수 등 비교적 규모가 큰 업체들이 주로 사용해서 적지 않은 대수를 볼 수 있었다.

서울승합, 삼화상운, 우신운수, 현대교통, 진화운수 등에서 사용하였다. 영화 투캅스3에서 나오는 543번 버스가 이 도색이다. 동영상
13.1.4.4. 연두색 + 하늘색 도색
파일:1711288728988.jpg
위의 분홍색 + 와인색 도색과 패턴은 동일하고 색상만 다른 도색.

다른 도색에 비해 비교적 시원한 느낌을 주는 도색으로 당시 시민들 평가는 가장 좋았으나 그와 반대로 적용한 업체는 가장 적었다.

상진운수, 범일운수, 서울여객, 영신여객, 화곡교통 등에서 사용하였다.

이 도색은 현대 에어로시티 차량에는 단 한 대도 적용되지 않습니다.

13.1.5. 몬드리안 도색 ( 1995년 4월~ 2005년 3월)

파일:관악교통_94번.jpg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85-1.jpg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99.jpg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47.jpg
좌석버스에만 도입되었던 에어컨 버스가 1995년 4월 입석 시내버스에도 도입되면서, 에어컨 입석 시내버스를 따로 구별하기 위해 도입된 도색이다.

몬드리안 도색이라는 이름은 도색의 패턴이 피트 몬드리안의 대표작인 '컴포지션'과 유사해서 붙여진 별명이다.[18]

1994년에 서울 시민들의 공모 및 투표로 정해진 첫 도색이었다.

처음에는 에어컨 버스의 운행 대 수가 많지 않아 희귀한 도색이었지만 점차 시내버스들이 에어컨 버스로 교체되자 나중에는 시내버스의 주력 디자인이 되었다. 단순하면서도 심심하지 않고 무난한 도색으로 서울 이외의 타 지역에도 많이 퍼져나가[19] 사용되었고 현재에도 일부 지역에서는 이 도색을 사용 중이다.

그러나, 태릉교통이나 풍양운수 등처럼 2004년 까지 무냉방차에 몬드리안 도색만 입혀 놓고 다니는 소위 사기도색을 운행하기도 했었다. 그리고 대원여객, 태진운수 등의 업체에 소속된 무냉방 차들이 냉방 개조를 하고서는 몬드리안 도색을 칠해서 운행하기도 했다.[20] 최종 존재 차량은 태진운수 서울 버스 2413.

비슷한 시기에 새로 도색을 도입한 대구나 인천과 달리 냉방버스 첫 도입분부터 바로 이 도색을 적용하여 운행했다. 때문에 대구와 인천에서 기존 도색으로 출고된 냉방버스 신차가 극소수 있었던 것과 달리 서울에서는 파스텔톤 도색의 냉방버스는 개조차를 제외하면 단 1대도 없었다.

현재는 울산광역시, 예산군, 홍성군[21], 홍천군 등에서 볼 수 있다.

적용 차량: 대우자동차 BS106L 하이파워, 대우버스 BS106L 로얄시티, BS090 로얄미디, BM090 로얄미디, 현대자동차 RB520SL[22], 현대자동차 에어로시티 540SL, 슈퍼에어로시티, 글로벌 900, 에어로타운, 아시아자동차 AM937L, 기아자동차 코스모스

13.1.6. 천연가스버스 도색(2000년 6월~2004년 6월)

파일:서울148.jpg
파일:서울158.jpg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46.jpg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500-2기.jpg
2000년 6월에 천연가스버스를 도입했던 도색으로 현대차에 기본적으로 적용했던 푸른하늘 도색, 대우차에 기본적으로 적용했던 녹색 몬드리안 도색,[23] 소수이지만 수채화 도색, 무지개 도색 등 다양한 도색들이 나왔었다.

적용 차량: 대우버스 BS090 로얄미디, BS106 로얄시티, 현대자동차 글로벌900, 슈퍼에어로시티

13.2. 좌석버스 도색(1977년~2005년)

파일:view_14715723025871.jpg
파일:748버스.png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62좌.jpg
보통 흔히 좌석버스라고 하면 떠오르는 도색은 하부 스텐패널에 중간부에 베이지색 바탕 및 올리브색 프로스펙스 줄무늬가 들어간 것이다. 의외로 생명력이 길었던 도색으로 1970년대 합승버스 시절부터 내려온 유서깊은 도색이다. 구미버스에서는 2016년 2월까지 이 도색이 적용된 차량이 존재하였다.

현대차는 1줄, 대우차는 2줄, 대원여객은 3줄 도색을 채용하였고 서울에서는 선진운수 9701번에서 2005년, 전국적으로는 경북 구미버스에서 2016년 2월(!)까지 생존하였다(경북70자 5051). 패널바디라서 하부를 회색으로 칠했으며 80~90년대에 많이 출고되던 그 도색과 100% 동일하였다. 실제로 구미버스 해당 차량 폐차 직전 전국 각지에서 동호인들이 해당 차량의 행방에 대해 궁금해한 사례가 많다. 더군다나 구미버스의 경우 대우버스의 붓글씨 스타일로 회사명 폰트가 기재되어 있어 더욱 80~90년대틱한 분위기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계열 도색은 서울 이외에도 전국적으로 퍼졌는데 대표적으로 대구의 경우 올리브색 대신 파랑색을 사용했고,[24] 제주시의 경우 빨강색을 사용했다. 경기도에서도 일부 회사가 짙은 남색의 같은 도색을 사용하기도 했다.

1996년 7월에 고급좌석버스 전환 이후로 서울에서는 더 이상 이 도색으로 좌석버스 신차를 투입하지 않았다. 그러나 902번의 경우는 경기고속 차량을 차돌리기로 받아와서 무려 전중비형으로 운행한 적도 있었다. 즉 서울시내버스 구 좌석버스 도색 유일의 전중비형 차량이었다. 그래서 서울 기준으로는 2004년 준공영제 개편 시기에 대부분이 사라졌고 남은 차들도 길어야 1년 남짓 이내에 다 대차된다.

적용 차량: 새한자동차 BL064, BF101, 대우자동차 BS105, BS106, BV113, 현대자동차 D0710, FB485, FB500, RB520, 에어로시티520, 에어로시티540, 아시아자동차 AM807, AM907, AM927, AM937, AM928

13.3. 고급좌석 도색(1993년 10월~2005년 1월)

파일:1005번고급좌석.jpg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50좌.jpg
파일:81660CBA-8DE3-4DC4-BC9D-4CDB7745CC98.jpg
1993년 10월에 직행좌석버스가 도입되면서 같이 생겨난 도색이었으며, 1996년 7월에 직행좌석버스가 고급좌석버스로 전환하면서 舊 좌석버스 도색을 대신하여 많이 적용되기 시작했다. 특히 2000년 이후에 새로 출고된 좌석버스는 대부분 이 도색을 적용 했을 정도였다.

초기 도입분은 파랑색이 뒤까지 이어지지 않고 중간에 끊겼으며, 이후부터 파랑색이 뒤쪽까지 이어지는 도색으로 출고되었다. 경기도의 경우 업체별로 파랑색이 끝까지 이어지는 도색과 이어지지 않는 도색을 훨씬 오랫동안 사용했다.

몬드리안 도색 마냥 이쪽도 제법 무난한 느낌이었기에 1995년에 경기고속, 대원고속이 이 도색을 들여온 것을 시작으로 파생형들을 경기도 직행좌석버스에서 볼 수 있었으며 이 쪽은 무려 2009년까지도 남아 있었다.

적용 차량: 대우자동차 BS106 로얄시티, BH115H 로얄익스프레스, BH116 로얄럭셔리, BH117H 로얄크루스타, 현대자동차 슈퍼 에어로시티, 에어로 이코노미, 에어로 스페이스 LS, 아시아자동차 AM938AT, 그랜버드 시티

[1] 도메인이 한국캘러웨이 판매관리시스템으로 넘어간 상태이며, 2015년 초부터 접속되지 않고 있다. 일단 참고가 된 사이트이므로, 링크를 삭제하지 않고 있다. 아카이브된 페이지에서는 검색이 안 된다. [2] 예외번호도 있다 560번(범일운수) [3] 게다가 노선 또한 거의 같았기 때문에, 변칙적인 요금인상 시비에 휘말렸다. [4] 1006번은 원래 마천동 - 상아A - 현대A - 한양A - 송파구청 - 잠실역 - 올림픽대로 - 한남대교 - 남산1호터널 - 명동역 - 한국은행앞 → 미도파종각역 → 한국일보 → 광화문시청 → 염천교 → 숭례문 → 한국은행앞 → 이하 역순 구간을 운행하는 노선으로 계획되었으나, 업체 사정으로 인해 실제 신설되지 못해 결번 처리되었다.(굵게 표시한 정류장에만 정차할 예정이었다.) [5] 1008번은 나중에 신설된 노선이라 제외하였다. [6] 1980년대 중후반 마이카 붐의 여파로 자가용을 가지는 사람들이 많이 늘어났다. 게다가 당시에 운전 문화의 미흡한 점도 교통 체증을 더욱 부추겼다. 지금은 신호체제 개선, 중앙버스전용차로, BRT로 인해 조금 나은 편이다. [7] 무엇보다도 요금 문제가 컸는데 처음 운행 당시에 1,300원이라는 요금이 부담이 돼서 기피한 면이 크다. 그 시절에 좌석버스가 500~600원(심야좌석버스는 1,000원), 입석버스가 250~300원 받던 시기였다. 직행좌석버스는 좌석버스 요금보다 2배가 넘었다. 1996년 7월에 와서야 고급좌석버스 제도를 도입하면서 요금이 직행좌석버스 시절 1,300원에서 300원 인하한 1,000원으로 책정되었다. [8] 1002번은 김포시, 1005번은 성남분당, 1007번은 하남시. 노선 구조상 경기도 연장이 불가능한 1004번은 폐지. 1001번은 폐선되었으나 의정부로 노선을 연장, 경기 면허 1000번 버스(2004년 신설)로 사실상 부활된다. 서울 버스 111의 전신 [9] 원래 이 주석에는 1008번이 예시로 언급되어 있었는데, 1008번 또한 서울시 업체가 공배했던 노선이라 이 번호 체계를 따른 것이다. [10] 경기 면허의 수많은 광역버스들이 위 서울 면허 1000번대 오리지널 디자인으로 도색했으며 아래에서 언급하는 3030번이나 성남시에서 신설된 1001번 1917번 직행좌석 등 수많은 버스들이 서울 버스 개편 이후에도 저 디자인을 계속 사용했다. [11] 드물게 BS105 외눈박이형에도 마린블루 도장이 적용되었는데 보라색(자주색) 도색 항목의 주석에 나머지 30%의 도심 구간 입석 버스와 외곽 구간만 운행하는 입석버스의 경우 이듬해인 1986년 8월까지 마린블루 도색이 적용되었다. 물론 미쓰비시 후소의 6D16(D6BR) 엔진을 얹힌 RB520L에도 BS105 외눈박이형처럼 드물게 마린블루 도장이 적용된 적이 있었다. [12] 패턴이 동일해 간단히 색상만 위에 덧칠만 하면 끝이었다. 참고로 보라색 입석 도색이 나왔는데도 나머지 30%의 도심 구간 입석 버스와 외곽 구간만 운행하는 입석버스의 경우 이듬해인 1986년 8월까지 마린블루 도색이 적용되었다. [13] 연두색+하늘색 도색을 제외한 3가지 형태의 도색을 덧칠해서 운행한 실적이 있다. 대체로 1983년 후반 하차벨 적용 후 나온 차량에 한해서 덧칠했다. [14] 많은 업체들이 업체당 보유 댓수 중 과반수 이상을 덧칠해서 운행했다. [15] 연두색 도색과 분홍색+와인색 도색을 덧칠해서 운행한 실적이 있다. 대체로 1983년 후반 슬라이딩 중문 및 하차벨 적용 후 나온 차량에 한해서 덧칠했다. [16] 아랫부분 나뉘어진 패턴을 제외하고 모든 패턴이 동일해 간단히 색상만 위에 덧칠만 하면 끝이었다. 참고로 1994년 성수대교 붕괴사고 이후로 보라색 도색 버스를 연두색 도색으로 재도색을 하였는데 보라색 부분을 그대로 덧칠 하였다. [17] 예를 들면 대우자동차 생산분의 경우 밝은 색으로 출고되었으며, 현대자동차 생산분의 경우 어두운 색으로 출고되었다. 단, 아시아자동차 생산분의 경우 군청색은 대우차의 것을, 황토색은 현대차의 것을 혼합해서 사용하였다. [18] 실제로 컴포지션에서 모티브를 따왔다는 설도 있다. [19] 특히 수도권 지역의 경우 KD 운송그룹에서 4~5년 더 사용했다. [20] 반대로 구) 신장운수의 냉방개조 하이파워는 재도색 하지 않고 파스텔톤 도색 그대로 굴렸다. [21] 내포신도시와 관련된 이 2개 군은 현재 신차도 몬드리안 도색으로 뽑고 있다. [22] 극소수가 몬드리안 도색으로 재도색을 하기도 했다. [23] 다만 이 도색도 각각 대우차에 푸른하늘 도색, 현대차에 녹색 몬드리안 도색을 적용한 차량도 있었다. 특히 첫 도입분이 대표적. [24] 날개부분이 3개로 하나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