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31 20:17:59

경상북도 시내, 농어촌버스

대구·경북의 대중교통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AAA> 파일:대구광역시 휘장.svg 대구광역시 파일:경상북도 휘장.svg 경상북도
항공 대구국제공항 포항경주공항
항만 없음 영일만항
포항여객선터미널
후포여객선터미널
철도 역 목록 역 목록
대구권 전철 ( 대구 도시철도 · 파일:대경선-로고-simple-renew.svg 대경선 · 파일:대구산업선 광역전철 아이콘.svg 대구산업선)
버스 터미널 목록 터미널 목록
교통카드
캐시비 · 티머니 · 대경교통카드 · 원패스 · 탑패스
대구권 광역환승제
}}}}}}}}} ||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경상북도 시내/농어촌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 0 -10px;"
<colbgcolor=#0070bb><colcolor=#000> 안동시 · · <colbgcolor=#0070bb> 포항시
구미시 · 경주시
김천시 영천시 ·
상주시 경산시 ·
문경시 영주시
예천군 봉화군
의성군 울진군
영양군 칠곡군
청송군 성주군
영덕군 고령군
울릉군 청도군
}}}}}}}}} ||

1. 개요

경상북도에서 운행하는 시내버스 농어촌버스를 설명하는 문서다.

2. 요금

일반버스
지역 구분 성인 청소년 어린이
상주시
안동시
영주시
예천군
현금 1500원 1200원 800원
교통카드 1400원 1100원 700원
경산시 현금 1700원 1000원 500원
교통카드 1500원 850원 400원
영천시 현금 1700원 1000원 500원
교통카드 1500원 무료
김천시
구미시
칠곡군
성주군
현금 1500원 1200원 800원
교통카드 850원 400원
경주시 현금 1300원 1000원 700원
교통카드 1250원 950원 650원
청도군
고령군
현금 1500원 850원 400원
교통카드
포항시
영덕군
현금 1300원 1000원 700원
교통카드 1200원 900원 600원
울릉군
[1]
현금 1000원 600원 500원
교통카드 900원 500원 400원
영양군 현금 1300원 1000원 700원
문경시
봉화군
청송군
울진군
의성군
무료
좌석버스
지역 구분 성인 청소년 어린이
영주시 현금 2000원 1600원 1000원
교통카드 1900원 1500원 900원
구미시
칠곡군
성주군
현금 2000원 1600원 1000원
교통카드 1900원 1300원 800원
경주시 현금 1700원 1300원 800원
교통카드 1650원 1250원 750원

2001년 대화교통에서 대경교통카드를 도입하면서 교통카드 승차를 개시했다.

영양군은 교통카드제도를 실시하지 않아 현금 요금만 적용한다.[2] 청송군은 2023년 1월 1일 전국 최초로, 봉화군은 2024년 1월 1일, 타 시도에서도 전남 완도군 2023년 9월 1일, 진도군은 2024년 7월 1일 첫차부로 전면 무임승차제를 도입하면서 현금 승차지역은 전국에서 유일하게 영양군만 남게 되었다. 영양군도 향후 교통카드 도입보다 무임승차제 도입 가능성이 더 높은 편이다. 문경시, 울진군, 의성군도 2025년 1월 목표로 전면 무임승차제 검토에 들어갔다.[3]

전 지역이 시/군계내 단일요금제를 실시하며, 경산시, 경주시, 안동시, 영천시, 포항시, 예천군, 울진군, 김천시, 구미시, 칠곡군, 성주군, 청도군은 시/군계외 노선도 단일요금제다.

좌석버스 비율이 굉장히 높은 지역이다. 영천, 상주, 문경, 영주 등은 대다수 버스가 좌석버스이며, 군 지역도 성주, 고령, 칠곡[4] 등은 대다수가 좌석버스이고 김천, 구미, 경주 같이 좌석버스가 절반 넘는 지역도 있으며 그외 의성 등도 시트가 좌석버스에 준한다. 예천, 울진, 청도는 아예 거의 모든 버스가 좌석시트를 설치했다. 그나마 입석이 많은 지역은 경산, 안동, 영양, 청송, 영덕, 봉화 정도이다.

무료환승은 시 단위 전 지역과 예천군, 의성군, 칠곡군에서 시행하며, 경주시-포항시, 문경시-상주시 같이 자기 버스끼리만 환승할인이 되는 경우도 있고, 대구광역시-경산시-영천시, 김천시-구미시-칠곡군, 안동시-예천군 간은 광역환승이 가능하다. 2024년 대경선 개통에 맞춰 대구광역시-경산시-영천시, 김천시-구미시-칠곡군 광역환승제가 통합되고 고령군, 성주군, 청도군도 참여 예정이다. 대구권 광역환승할인 참조. 대구권이 아닌 부산·울산권인 경주시는 부산-김해-양산 광역환승할인을 울산과 경주까지 확대 추진 중이다. 2024년 이후 도내 인접 2개 이상 시·군간 광역환승 확대 검토에 들어갔다. 이를 위해 교통카드 미시행 지역에 대한 실시가 필요하다.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대구 도시철도 무료환승이 가능한 경산시 시내버스, 영천시 시내버스는 2023년 7월 1일 75세 이상 무료화됐으며, 2025년 하반기 도내 전지역 70세 이상 무료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5]

3. 시군별 시내버스

동해안권(경주, 포항, 영덕, 울진 등) 시내버스 회사들은 현대자동차를 선호하는 편이다. 포항[6], 영덕, 울진은 현대 원메이크이며, 경주도 2022년 5월 마지막으로 1대 남은 2010년식 로얄시티를 대차시키며 대우차가 사라졌다. 남부권의 경산, 구미버스[7], 김천, 영천, 청도도 자일대우버스에서 현대자동차로 전향했다. 북부권 일부(안동 경안여객, 의성, 청송) 시내버스는 자일대우버스를 선호하는 편이다. 물론 북부권에도 문경, 상주, 안동버스, 동춘여객, 영주, 봉화, 예천 등 대우에서 현대로 전향한 곳이 있고, 영양은 오래 전부터 현대버스를 도입했다.

영주시를 제외한 시 단위에서는 대형차량 위주로[8], 고령, 성주, 예천, 칠곡을 제외한 군 단위에서는 중형차량 위주로 출고하며, 울진, 청도를 제외하고 대형차량이 전멸했다.[9]

천연가스버스는 2003년 말부터 509번에 투입한 경산버스를 시작으로 첫 도입했다.[10] 도 내에서 천연가스버스는 경산, 경주, 고령, 구미, 영천, 포항에서 운행 중이다.[11] 이 중 포항은 디젤버스가 2019년 3월 말에 전멸했고, 전량 현대 천연가스버스 및 전기버스로만 이뤄졌다. 경주와 구미는 CNG 하이브리드 버스도 운행 중이다.[12] 카운티, 유니버스를 제외한 모든 현대 고상버스가 단종된 2024년부터 대화교통을 제외하고 모두 전기버스나 수소버스로 전향했다.

전기버스는 2014년 3월 25일부터 구미시에서 세계 3번째로 무선충전식(OLEV) 프리머스 전기버스 2대의 운행을 시작했으나, 잦은 잔고장 때문에 2020년 7월에 2대 모두 조기 대차됐다. 구미시에는 2016년 5월에 도입한 NEW BS110 OLEV가 운행 중이었으나 조기 폐차되었다. 구미에서 프리머스 전기버스가 폐차된 시기에는 포항이 도 내에서 플러그인식 전기버스를 첫 도입했다.[13] 이후 김천, 구미를 제외한 모든 시 단위와 성주군, 영양군, 예천군, 울진군, 청도군, 청송군에서 플러그인식 전기버스를 도입했다. 수소버스는 구미시에서 2024년 5월 최초로, 경주시에서 2024년 7월 2번째로 도입했고, 경산시, 김천시, 울진군, 포항시에서도 2024년 이후 도입 예정이다. 현재 전기버스 중 울산과 더불어 중국산 차량이 없고 현대차만 있는 광역자치단체 중 하나다.[14] 그나마 우진산전 버스 공장이 들어서는 김천이 아폴로를 도입할 가능성이 있다.

저상버스는 10개시 전부와 예천군, 울진군, 청송군에서 운행 중이다. 과거에는 성주, 칠곡에서도 CNG 저상버스를, 경주, 고령, 문경, 상주, 성주, 안동, 칠곡에서도 준저상버스를, 김천, 안동에서 도시형저상을 운행했다. 2024년 내로 고령, 성주, 칠곡에서도 저상버스를 운행할 예정이며, 봉화, 영덕, 영양, 울릉, 의성, 청도도 2025년 이후 저상버스를 운행할 것으로 보인다.[15] 일반/좌석버스 요금이 단일화되지 않은 곳에서는 좌석형 저상버스를 운행할 가능성도 있다.

1986년에 제정된 경북 공통 구도색은 현재 의성에서만 볼 수 있다.

모든 시내버스의 차량 번호판은 경북 70 자로 시작한다. 다만, 일부 차량은 시외버스처럼 경북 70 아로 시작하는 경우도 있다.

군위군 대구 편입 이전 군위군 농어촌버스는 77## 면허를 사용하였다.
  • 면허번호
    • 1: 포항(11~15)[16]
    • 2: 경주(24~25)
    • 3: 김천(30), 안동(33~35)
    • 5: 구미(50~51, 55~56)
    • 6: 영주(60), 영천(63~64), 상주(67)
    • 7: 문경(70), 경산(73~75), 의성(78)
    • 8: 청송(80), 영양(82), 영덕(84), 청도(86)
    • 9: 고령(90), 칠곡/성주(91), 예천(93), 봉화(95), 울진(96~97), 울릉(98)

3.1. 경산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경산시 시내버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경주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경주시 시내버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 고령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고령군 농어촌버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4. 구미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구미시 시내버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5. 김천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김천시 시내버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6. 문경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문경시 시내버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7. 봉화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봉화군 농어촌버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8. 상주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상주시 시내버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9. 성주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성주군 농어촌버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0. 안동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안동시 시내버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1. 영덕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영덕군 농어촌버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2. 영양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영양동행버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3. 영주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영주시 시내버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4. 영천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영천시 시내버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5. 예천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예천군 농어촌버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6. 울릉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무릉교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7. 울진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울진군 농어촌버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8. 의성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의성군 농어촌버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9. 청도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청도군 농어촌버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0. 청송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청송군 농어촌버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1. 칠곡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칠곡군 농어촌버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2. 포항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포항시 시내버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교통카드 단말기

  • 삼원 FA(신형)
    • 마이비: 경주, 구미, 김천
    • DGB유페이: 경산, 영천, 청도, 고령, 울릉, 성주, 칠곡
  • 에이텍
    • B400: 상주, 안동[17], 영주, 예천
    • B800: 포항
  • 쓰리에스테크놀로지(신형): 영덕
충청북도, 전라도[18], 제주도[19]와 더불어 이비카드 단말기를 단 한 곳도 사용하지 않는 지역이다.[20][21] 울산광역시, 경상남도[22]에 이비가 진출한 것과 비교하면 상당히 이례적.

5. 버스정보시스템

  • 버스정보시스템 도입 비율이 전국 최저치였지만 2021년 이후에는 한국교통안전공단에서 지원받는 등 2023년 11월 성주군을 마지막으로 모든 지역에서 버스정보시스템이 도입됐다.
  • 경주시, 안동시에 한해서 카카오맵에서 지도 상에 버스 위치가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초정밀 버스 정보’를 제공한다.

6. 관련 문서



[1] 이동 거리와 상관없이 읍면 경계를 넘어갈 경우 500원을 추가로 징수한다. [2] 영주-봉화간 33번이 운행되는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은 티머니 판매, 충전, 결제가 가능하다. [3] 예천군은 안동시 시내버스와의 무료환승 등 관련 문제로 인해 보류되었다. [4] 성주/칠곡은 근래에는 입석버스 비율이 높아지긴 했으나 여전히 주력 차종은 좌석시트 설치 차량이다. [5] 단, 성주-고령-대구서부 노선의 고령-대구서부 구간은 무료화 대상에서 제외다. [6] 전기버스 역시 다른 현대 선호업체와 달리 현대차만 고집하는 중이다. [7] 구미버스와 같은 구미시 시내버스 업체인 일선교통은 1985년 설립 이후 전기버스 증차를 위해 구미시에서 배정해 도입된 한국화이바 프리머스 1대와 자일대우 NEW BS110 OLEV 1대를 제외하고는 오로지 현대만 출고한 포항을 능가하는 골수 현대빠 업체다. [8] 영주도 좌석버스는 대형차량 위주로 출고한다. [9] 고령, 성주, 칠곡은 대구를 오가는 노선(고령 606번, 성주/칠곡 250번)이 존재하고 이전까지 중형차량 위주로 출고하던 예천은 경북도청이전신도시를 오가는 77번, 88번 투입 차량으로 대형차량을 출고한다. 경북도청이전신도시를 오가는 노선 이외에는 여전히 중형차량 위주로 출고한다. 반대로 2014년까지 대형차량 위주로 출고하던 울진군이 이후로는 중형차량 위주로 출고한다. [10] 대화교통 경산시 와촌면 용천리에 하양CNG충전소가 개장한 2008년 12월부터 도입했다. [11] 이들 중 관내에 CNG충전소가 없는 곳은 고령군, 영천시다. 대가야여객에 2023년 6월까지 1대 있었던 천연가스버스는 고령군 성산면에서 멀지 않은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하리 소재의 대성 논공CNG충전소에서 충전했으며, 영천교통의 천연가스버스는 영천시 금호읍 시경계에서 멀지 않은 경산시 와촌면 용천리 소재의 대성 하양CNG충전소에서 충전한다. [12] 경주는 전국 마지막 일반형 블루시티, 구미는 전국 마지막 저상형 블루시티를 출고한 곳이다. [13] 당초 배터리 교환 방식으로 도입될 예정이었으나, 여러 가지 문제로 무산된 후 플러그인식으로 계획이 변경되어 도입했다. [14] 디젤로 범위를 넓히자면 경주에서 전국 영업용 마지막 듀에고를 2024년 9월까지 운행했으며, 더 과거에는 경산, 고령, 성주, 안동, 칠곡에서 듀에고를 운행했다. [15] 대구로 편입된 군위도 2025년부터 전기 저상버스를 운행할 예정이다. [16] 2020년 7월 시내버스 개편으로 전기버스에 11##, 15## 면허가 부여되었다. [17] 안동은 에이텍 B400 단말기 중에서 유일하게 앞문에 하차처리가 안된다. [18] 충청북도와 전북특별자치도는 전 지역이 삼원FA 단말기를 쓴다. [19] 제주도는 티머니 단말기를 쓴다. [20] 과거에는 제천을 제외한 충청북도 전지역, 경주, 곡성, 영광, 완도, 장흥, 진도(미시행, 현재 무료화), 제주도에 이비단말기를 사용했다. [21] 영양동행버스가 교통카드 사용 목적이 아닌 안내방송 목적으로 이비 단말기를 사용했으나, 교체되었다. [22] 사천, 의령, 하동, 함안, 진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