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사업 | |||
DX부문 | <colbgcolor=#fff,#1c1d1f> VD사업부 | DA사업부 | MX사업부 | 의료기기사업부 | 네트워크사업부 | |||
DS부문 | 메모리사업부 | S.LSI사업부 | 파운드리사업부 | |||
SDC부문 | OLED사업부 | 이매진 | |||
HARMAN부문 | BANG & OLUFSEN | Bowers & Wilkins | Infinity | JBL | 마크 레빈슨 | REVEL | 하만카돈 | AKG | ARCAM | 렉시콘 | AMX | BSS | Crown | dbx | Martin | Soundcraft | AIR | 플럭스 | roon | |||
서비스 | ||||
매장 | 삼성닷컴 | 삼성스토어 | 삼성 킹스크로스 | 갤럭시 하라주쿠 | |||
서비스 | 삼성전자서비스 | |||
Samsung Care+ | Galaxy To Go | My 갤럭시 클럽 | 갤럭시 트레이드인 | 갤럭시 아카데미 | ||||
계열사 | ||||
자회사 | 세메스 | 삼성메디슨 | 하만 | 삼성전자로지텍 | 삼성전자판매 | 삼성전자서비스 | 삼성전자 재팬 | 플런티 | 셀비 | 스마트싱스 | 콰이어트사이드 | 프린터온 | 프록시멀데이터 | 심프레스 | 루프페이(삼성페이) | 에스코 일렉트로닉스 | 조이언트 | 애드기어 | 데이코 | 비브랩스 | 뉴넷 캐나다 | 스테코 | 미래로시스템 | 도우인시스 | 지에프 | 희망별숲 | 에스유머티리얼스 | |||
합작사 | 에스유머티리얼즈 | 스테코 | TSST | |||
교육 | 삼성전자공과대학교 | 삼성종합기술원 | 삼성디자인교육원 |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 삼성 청년 SW 아카데미 |
1. 개요
삼성전자는 삼성 그룹 내에서도 시가총액과 매출, 영업이익 기준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최대 계열사이다. 사업에 대해 설명하는데 있어 가장 먼저 언급해야 될 부분이 있다면 방대한 영역이다. 특히 21세기에 들어서는 해외 시장에서도 두각을 나타내어 가전, 모바일, 메모리 반도체, OLED 패널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전자산업 분야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자랑하고 있다. 이에 더하여 의료기기, 통신장비, 랩탑 등을 모두 더하면 복합전자기업으로서 삼성전자가 생산 및 판매하는 제품의 영역은 더욱 광활해진다.[1]또 한 가지 특이점이 있다면 비주류에 속하는 제품들마저도 그 역사가 결코 짧지 않다는 것. 예를 들어 절대다수의 대중은 그 존재 자체를 잘 알지 못하는 통신장비의 경우, 삼성의 진출은 80년대에 시작되어 퀄컴이 CDMA를 상용화시킬 때 주요 파트너였고, 지금은 사업부를 해체하거나 매각한 프린터, 디지털 카메라 역시 업계의 추격자 내지는 후발주자라는 이미지와는 달리 역사만 놓고보면 수십 년을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2]
물론 이렇듯 다양한 제품들을 생산하는데 있어 모든 분야에서 성공할 수는 없기 때문에, 이를테면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같은 부품과 모바일 제품군에서 삼성이 시장에서 차지하는 위상과 PC나 가전제품에서 차지하는 위상은 큰 격차가 존재한다.
한국 재벌의 공통적인 속성과 마찬가지로 삼성의 사업적 특이점으로 꼽히는 또다른 요소는 바로 수직 계열화이다. 자체적인 사업부는 물론이고 삼성SDI· 삼성전기 등 여러 부품·소재 계열사를 두고 있기 때문에 핵심 부품소재를 외부에 의존하지 않고 조달할 수 있다는 것은 큰 장점으로 꼽히며, 반대로 부품 분야에서 쌓은 경쟁력을 통해 세트에 진출해서 좋은 성과를 거두기도 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자면 TV나 모니터의 핵심이자 가장 중요한 부품은 바로 패널인데 삼성은 이를 자체적으로 생산할 수 있으며,[3] 온갖 전자부품·기술력의 총아라고 불리는 스마트폰의 영역에서도 모든 핵심 부품인 디스플레이, 메모리 반도체, 수동부품(MLCC 등), 시스템 반도체(AP·모뎀·PMIC·터치 칩·DDI 등등)의 내제화를 이루어냈다. 따라서 일본의 중소 부품과 소재 기업들의 돈줄이기도 하다.[4]
2. 부문
사업부 |
매출 (KRW) |
영업이익 (KRW) |
비고 |
DX | |||
VD | 30조 3,800억 | 1조 2,500억 | [5] |
DA | 26조 600억 | [6] | |
MX | 108조 6,300억 | 13조 100억 | [7] |
NW | 3조 7,800억 | [8] | |
DS | |||
메모리 | 44조 1,300억 | -14조 8,800억 | [9] |
파운드리 | 22조 4,600억원 | [10] | |
S.LSI | [11] | ||
SDC | |||
DP | 30조 9,800억 | 5조 5,700억 | |
하만 | |||
하만 | 14조 3,900억 | 1조 1,700억 | [12] |
2023년 연결 기준 # |
2.1. DX 부문
Device eXperience 부문은 전자 제품 설계, 제조, 판매, 마케팅, 유통을 담당한다.TV와 모니터, 음향기기를 생산·판매하는 영상디스플레이(VD) 사업부, 백색가전 및 기타가전의 생활가전사업부, 의료기기를 담당하는 의료기기 사업부, 통신장비의 네트워크사업부, 갤럭시 에코시스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플랫폼의 MX사업부로 구성된다.
한국 총괄은 전사 직속으로 전사 제품 판매 및 유통 그리고 마케팅을 담당한다.
2.1.1. VD 사업부
Visual Display 사업부는 영상매체를 만든다.한국에서는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로도 불린다.
2.1.1.1. TV
<rowcolor=#fff> 업체 | 점유율 | 비고 |
<rowcolor=#fff> TV | ||
삼성전자 | 16% | |
하이센스 | 11% | |
TCL | 11% | |
LG전자 | 10% | |
샤오미 | 5% | |
<rowcolor=#fff> 프리미엄 TV | ||
삼성전자 | 45% | |
LG전자 | 20% | |
하이센스 | 11% | |
TCL | 11% | |
소니 | 5% | |
<rowcolor=#fff> 2023년 출하량 기준 # |
브라운관 시절부터 TV를 제조했고, 이후 빠르게 디지털 전환과 패널의 대형화를 이뤄냈다. 스마트 TV 시장이 열린 후 계열사의 패널 공급을 바탕으로 빠르게 시장을 점령해버렸고 꾸준히 기술 혁신으로 이러한 리드를 유지했다. 2006년부터 일본의 소니를 제친 이래로 전 세계 TV시장 1위 자리를 지켜오고 있다. 특히 프리미엄 TV 시장에서 절반에 달하는 점유율을 차지하며 강세를 띄고 있다.
이러한 삼성전자에도 위기가 찾아온 적이 있다. 2017년, 삼성전자 내부 정책으로 BOE 등 중국계 LCD 패널 제조사와 가격 경쟁을 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뒤 차례로 공장을 OLED Fab으로 전환하고 있는 상황이 되었고, 이러한 변화의 직격탄을 그대로 TV 사업부가 맞아버렸다. 삼성의 OLED 기술은 삼성 갤럭시에 최적화 된 RGB OLED로 LTPS 등 대형화에 매우 불리한 기술을 잔뜩 사용하기 때문에 WOLED로 진작부터 대형화를 염두에 둔 LG에 비해 당연히 대형 패널을 사용해야 하는 프리미엄 TV 시장에서 불리할 수밖에 없었고, 삼성은 이러한 상황을 타개할 방법으로 양자점 기술을 이용한 컬러필터를 개발해서 OLED와 비슷한 QLED라 네이밍하고 전폭적으로 밀어주고 있는 상황.
하지만 컨슈머리포트 등 미국 주력 평가기관에서 LG OLED TV가 화질 좋은 TV 순위를 1위부터 싹쓸이하고 후에 LG에서 OLED 패널을 사온 소니가 여기에 끼어들자 2016년 들어 2,500달러 이상 프리미엄 TV 시장에서 삼성의 점유율은 바닥을 모르고 추락해 끝내 2006년 추월했던 소니에게 따라잡히게 되었다. 2017년 3분기 기준으로 프리미엄 TV 시장 점유율 1위는 SONY, 2위는 LG, 그리고 3위가 삼성이다. 이에 대해 삼성은 이례적으로 다른 글로벌 조시기관의 자료를 바탕으로 여전히 삼성이 프리미엄 TV 시장에서 1위라고 반박했으나 예전에는 전체 시장에서나 프리미엄 시장에서나 삼성의 지위가 워낙 공고했기 때문에 이런 잡소리가 나오지도 않았다. 통계자료 관련기사1 관련기사2
LG의 OLED TV와는 번인이 발생한다며 언플을 작성하거나 비교 동영상을 업로드하는 등 언플 중인 관계에 있었다. 문제는 당장 추천 박힌 댓글들만 봐도 "How about a black level test next?"[13]나 "그럼 왜 니들 스마트폰엔 QLED 안 쓰냐", "삼성 추하다"는 댓글이 이어지는 등 오히려 욕만 얻어먹고 있다는 점이다. 정작 삼성은 최초로 OLED TV를 출시하고, 삼성 갤럭시에 누구보다도 적극적으로 OLED를 도입하는 기업임에도말이다. 다만 WOLED의 잔상은 삼성 갤럭시의 AMOLED의 번인과는 조금 다른 종류의 디스플레이 손상이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한 이유는 소형 OLED와 대형 OLED 중 삼성은 현재 삼성 갤럭시에 사용되는 소형 OLED인 AMOLED 디스플레이 양산에, LG는 대형 OLED 양산에 집중했기 때문이다. 한편 삼성이 QLED 개념을 도입한 QD-LCD 기반 TV를 판매하는 동안 QLED 디스플레이의 시제품이 중국에서 발표된 상황.삼성전자의 CE 부문은 자발광 QLED의 완전 상용화까지 경쟁해야한다.
그러나 삼성전자가 QLED기술을 계속 개발하면서, OLED를 건너 뛰기로 결정하고, 동시에 모듈형 마이크로 LED TV THE WALL 개발에 성공하면서 기술역전을 노리는 듯 했다.
2018년 2월 결국 OLED를 건너뛰지 않고 QD-OLED에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
2018년 1분기 프리미엄 TV 시장 점유율 43.3%로 다시 세계 1위로 올라섰다. 관련기사 2019년 2분기엔 프리미엄 TV 시장 점유율 53.8%까지 높이며 다시 전성기시절 시장 점유율을 회복한 상태. 관련기사 QLED TV 판매량 역시 19년도 상반기 기준 200만대를 돌파하여, OLED TV(판매량 120만대)를 크게 눌렀다. QD 필름과 LCD 패널 가격 하락으로 프리미엄 전략을 취하고 있었던 QLED TV 가격을 낮출 수 있었던 게 주요 원인. 반면 여전히 공급이 부족한 OLED 패널로는 가격인하가 한계가 있어 QLED TV의 가격 경쟁력은 갈수록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대형 OLED에 22조를 투자했다가 QLED에 밀리게 생긴 LG는 발등에 불 떨어진 상황. LG가 OLED 시장 진출 후 3년 가까이 지난 지금 QLED를 겨냥하는 광고를 내는 것도 이것이 원인이다.
이외에도 2018년 TV 라인업 기준[14]으로 삼성전자의 TV는 거의 VA 패널을 사용한다. 그런데 시야각을 제외하고 타사와 비교해서 좋은 평가를 받더라도 로컬 디밍이 적용된 경우 이에 대한 평가는 그다지 좋지 못하다.[15] 해외 TV 리뷰 사이트에서 예를 들어 프리미엄 UHD TV 라인업인 NU8000 시리즈와 IPS를 적용한 L사의 SK9000를 비교해보면 확실히 나머지 부분은 괜찮지만 로컬 디밍 점수가 굉장히 낮다. 실제 소비자들도 불만 사항을 내비치고 있다. 이에 대해서 확실히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로열티 때문인지 몰라도 2018년 생산분부터는 DTS 코덱이 지원되지 않고 '돌비 디지털', '돌비 디지털 플러스', '돌비 오디오', '리니어 PCM', 'OPUS', 'ADPCM' 등만 지원되고 있다. 돌비 비전 또한 미지원인 것은 물론 덤이다.[16] 이로 인해 일각에서는 DTS나 돌비 비전을 사용하는 동영상(영화)을 보려는 사람에게는 LG 스마트TV[17]을 추천하는 웃지 못할 상황이 연출되기도 한다.[18]
2020년에는 8K TV의 대량생산 시작과 베젤을 없앤 인피니티 디스플레이 상용화로 인해 TV 라인업이 삼성 QLED와 삼성 Crystal UHD TV로 조정되었다. 그리고 삼성 Lifestyle TV인 The Frame, The Serif, The Sero, The Terrace 등이 있다.
원 커넥트 박스로 선을 깔끔하고 한 번에 정리할 수 있다. TV 밭침대나 뒷면 등을 활용 해 외부에서 봤을 때 선이 거의 보이지 않거나 바깥 커버 안 쪽으로 정리할 수 있다.
모든 삼성전자의 TV를 제어할 수 있는 리모콘으로 삼성 원 리모컨이 있다.
타이젠은 TV용 OS에서 글로벌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다.
2022년, 북미서 세계 최초로 QD-OLED TV를 상용화 했다. #
현재 삼성전자가 전개하는 TV 브랜드는 다음과 같다
- 삼성 Neo QLED
- 삼성 QLED
- 삼성 Lifestyle TV
- The Frame
- The Freestyle
- The Premiere
- The Serif
- The Sero
- The Terrace
- The Wall
- 삼성 Crystal UHD TV
2.1.1.2. 모니터
<rowcolor=#fff> 업체 | 점유율 | 비고 |
DELL | 22.6% | |
휴렛 팩커드 | 12.8% | |
레노버 | 11.7% | |
삼성전자 | 10.5% | |
TPV | 9.6% | |
<rowcolor=#fff> 2022년 2분기 PC 모니터 출하량 기준 # |
TV, 오디오 등과 같이 CE 부문 산하 영상디스플레이(VD) 사업부에 속한다. 꾸준히 세계 5위권 안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
삼성이 컴퓨터용 CRT 모니터에서 싱크마스터라는 브랜드로 꾸준히 강세를 보였다는 점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물론 NEC의 멀티싱크나 소니의 트리니트론 계열 고급형 모니터에 대적할 만한 수준까지는 아니었지만, 적절한 가격에 좋은 성능으로 1990년대 말까지의 컴퓨터 모니터 시장에서 점차 우월한 위치를 차지했다. 일부 중소업체의 모니터도 선전하기는 했지만 문제는 그 안에 들어간 CRT 브라운관이 어차피 삼성 제품, 정확히는 삼성전관(현 삼성디스플레이) 제품이라서... 그리고 이상하게도 한국내 커뮤니티에서는 삼성이 LG에게 모니터 시장에서 밀리고 있다는 인식이 있으나, 한 번도 그런 적은 없고 LG 모니터는 한국시장 점유율에서 만년 콩라인 신세였다.
다만 LG에서 미국 제니스 사를 인수하고 그 회사의 기술을 이용한 완전평면형 모니터, 플래트론으로 반격을 가하자 삼성은 모니터 유리만 깎아낸 소위 대패평면 모니터[19]를 대항마로 세웠다가 대차게 까였다. 그런데 삼성과 LG가 모니터로 피터지게 싸우는 동안 그동안 고급형 모니터 시장에서 한 자리를 차지했던 일본산 제품들이 말 그대로 망각의 구렁텅이로 빠지게 되었다.
LCD로 시장이 넘어간 상황에서도 이러한 구도는 지속되었다. 보통 시장 트렌드가 바뀌는 시점에서는 신흥 강호가 등장하면서 판세를 뒤집는 사례가 많은데 모니터에서는 그런 거 전혀 없었고 그냥 일본 업체들의 몰락만 더 가속되었다. 다만 최근 들어 중국이 막대한 투자를 퍼부어 LCD 패널의 가격을 원가 수준으로 떨어뜨리자 삼성과 LG도 고전하고 있다.
최근에는 일본·미국 업체들의 독점시장이나 다름없던 전문가용 고급 모니터 시장에도 뛰어드는 추세. 초기 제품들은 '이딴 걸 이 가격으로 팔려 하냐' 라는 소리 마저 들었지만 최근 출시된 제품은 '에이조도 넘는다'라는 평까지 듣는 중이다. 2019년에는 삼성 오디세이로 게이밍 모니터 시장에서도 세계 1위를 달성하였다. # 이 외에도 슬림한 스탠드를 가진 스페이스 모니터, 32:9 QLED 와이드 모니터 등을 출시하며 시장 점유율을 굳혀가고 있다.
과거 모니터 색감문제로 질타를 받은 적도 있으나 결국 이는 사실이 아님으로 밝혀져 현재는 찾아볼 수 없는 여론이다.
참고로 볼링 설비회사 브런스윅에게 제품을 납품하고 있다. 해당되는 모델은 32인치, 40인치, 48인치, 55인치.
2022년 6월 27일, 세계 최초로 240Hz 4K 게이밍 모니터 오디세이 네오 G8를 출시했다.
현재 삼성전자가 전개하는 모니터 브랜드는 다음과 같다.
- 삼성 뷰피니티
- 삼성 오디세이 ( 게이밍 기어)
- 삼성 스마트 모니터
- 삼성 커브드 모니터
- 이외 모니터는 별도의 네이밍 없이 해상도만 붙여서 출시하고 있다.
2.1.1.3. 오디오
자세한 내용은 갤럭시 버즈 시리즈 문서 참고하십시오.과거에는 라디오, 탁상용 카세트, 마이마이를 발매했으나 현재는 모두 단종된 상태. YEPP이라 하는 MP3 플레이어도 만든 적 있지만 2013년 이후로 철수했다. 현재는 자체 사업보다는 하만카돈에 힘을 실어 주고 있으며, 같은 음향기기라도 사운드 바·홈시어터 시스템·일반 스피커 등은 VD사업부가, 무선 이어폰·블루투스 스피커 등은 MX사업부가, 그 외의 대부분의 음향기기는 하만에서 담당한다. #
한편 유선 부문은 삼성의 대표적인 취약과목 중 하나였다. 물론 삼성이 2003년 ep-1[20]이라는 전설은 아니고 레전드급 유선 이어폰을 만든 적이 있으나 그 이후로 영 좋지 않다. 삼성의 플래그십 유선 이어폰인 레벨인도 평가가 좋지 않다. 대부분의 삼성의 유선 이어폰은 삼성이 유선 이어폰을 출시한다 > 인기가 없다 > 덤핑된다 > 가성비가 좋아진다 라는 지정된 루트[21]를 타는 탓인지 이를 이용해 구입하는 사람들도 있긴 하다.
삼성의 헤드폰은 친인척 관계 회사인 영보 엔지니어링에서 제작한다. 다만 SHE 시리즈 이어폰은 크레신에 OEM을 맡겨 제작한다. 하만 인수 이후, 삼성은 유선 이어폰의 대부분을 하만에서 생산한다. 삼성전자는 매우 일부의 유선 이어폰만을 생산한다. 이후 역사는 아래의 하만 문단 참조.
- 판매 중인 유선 헤드폰의 종류
- 삼성 EHS 시리즈
- 삼성 EO 시리즈
- 삼성 SHE 시리즈
2.1.2. DA 사업부
Digital Appliance 사업부는 디지털화된 가전 제품을 만든다.한국의 미디어에는 주로 생활가전 사업부 혹은 디지털 가전 사업부로 알려져있다.
과거에는 독립적인 CE부문이었으나 DX부문으로의 개편 과정을 거쳐 사업부로 바뀌었다.
1990년대부터 삼성의 냉장고나 에어컨은 OEM 제품에 삼성 브랜드만 찍어서 파는 것이라는 이야기가 있었는데, 이는 기술적으로는 맞지만 본질적으로는 틀린 말. 물론 외부기업에서 위탁생산을 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의 삼성 제품은 삼성전자 수원사업소와 삼성광주(光州)전자라는 별도법인이 함께 생산했기 때문에 생긴 오해다. 삼성광주전자는 지분의 95% 이상을 삼성전자가 가지고 있던 자회사기 때문에 구분하는 것이 그 때에도 의미가 없었다. 지금의 삼성디스플레이와 삼성전자의 관계를 생각해보면 된다. 현재는 완전히 삼성전자와 합병하고 광주에 가전기술연구소까지 입주해 삼성전자의 가전사업을 도맡고 있다.
예전 백색가전 부문에서는 금성사는 물론 대우전자에도 밀렸었다. 오죽하면 백색가전과 모터 달린 것은 삼성을 피하라는 속설이 있었을까. 실제로 당시 금성사였던 LG전자 제품에 비해 삼성의 백색가전 제품은 내구성이 떨어졌다. 2010년대 들어서는 국내 시장에서 대우전자는 거의 존재감이 없고, LG전자에게도 일부 견주는 상태이다. 국내/외로 냉장고 사업과 같이 삼성이 LG보다 앞서는 시장이 많다. 그러나 여전히 LG전자에 비해 내구성이 떨어진다는 의견이 남아 있다.
2023년에는 컨슈머 리포트에서 소비자 신뢰도 20위를 기록했다. #
2023년 기준 현재는 삼성 비스포크로 개인화 가전이라는 컨셉을 한국에 도입했다.
현재 삼성전자가 전개하는 생활가전 브랜드는 다음과 같다
2.1.2.1. 삼성 BESPOKE
자세한 내용은 삼성 BESPOKE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BESPOKE 냉장고 | BESPOKE 김치 플러스 | BESPOKE 정수기 | BESPOKE 식기세척기 |
BESPOKE 인덕션 | BESPOKE 직화오븐 | BESPOKE 전자레인지 | BESPOKE 그랑데 AI | |
BESPOKE 에어드레서 | BESPOKE 슈드레서 | BESPOKE 무풍에어컨 | BESPOKE 슬림 | |
BESPOKE 후드 Air | BESPOKE AI 콤보 | BESPOKE AI Steam | ||
BESPOKE Cube | ||||
BESPOKE 큐브 Air |
BESPOKE 큐브 Air Infinite Line |
BESPOKE 큐브 냉장고 | ||
BESPOKE Jet | ||||
BESPOKE 제트 | BESPOKE 제트 봇 | BESPOKE 제트 봇 AI | ||
BESPOKE Qooker | ||||
BESPOKE 큐커 멀티 | BESPOKE 큐커 오븐 | |||
BESPOKE 에디션 | ||||
갤럭시 Z Flip3 BESPOKE 에디션 |
갤럭시 Z Flip4 BESPOKE 에디션 |
갤럭시 Watch5 BESPOKE 에디션 |
갤럭시 Watch5 프로 BESPOKE 에디션 |
|
BESPOKE Infinite Line | ||||
BESPOKE 냉장고 Infinite Line |
BESPOKE 김치냉장고 Infinite Line |
BESPOKE 와인냉장고 Infinite Line |
BESPOKE 식기세척기 Infinite Line |
|
BESPOKE 오븐 Infinite Line |
BESPOKE 인덕션 Infinite Line |
BESPOKE 큐브 Air Infinite Line |
BESPOKE 후드 Air Infinite Line |
}}}}}}}}}}}} |
2.1.2.2. 삼성 Infinite Line
자세한 내용은 삼성 Infinite Line 문서 참고하십시오.2.1.2.3. 데이코
자세한 내용은 dacor 문서 참고하십시오.2.1.2.4. 에어컨
세계에서는 LG전자와 시장을 양분하고 있다.스탠드형 제품을 잘 만드며, 특유의 원형 팬 디자인을 하고 있어서 누가봐도
2016년을 기점으로 무풍으로 완전 전환하였다.
Q시리즈부터 IoT 모듈이 탑재되어 있으며, SmartThings와 연결이 가능하다.
현재 삼성전자가 전개하는 에어컨 브랜드는 다음과 같다.
2.1.2.5. 공기청정기
블루스카이라는 이름으로 공기청정기와 기화식 가습기를 만들고있다.에어컨 기술과 접목한 무풍 기능이 들어간 공기청정기와 큐브 디자인의 공기청정기 등이 주력 제품이다.
현재 삼성전자가 전개하는 공기청정기 브랜드는 다음과 같다.
2.1.3. MX 사업부
Mobile Experience 사업부는 갤럭시 에코시스템의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플랫폼을 만든다.2.1.3.1. 삼성 갤럭시
자세한 내용은 삼성 갤럭시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스마트폰 |
갤럭시 탭 |
갤럭시 워치 |
||
갤럭시 버즈 |
갤럭시 핏 |
갤럭시 북 | 크롬북 |
|||
갤럭시 홈 |
갤럭시 스마트태그 |
갤럭시 링 |
|||
갤럭시 에코시스템 | |||||
단종된 라인업 | }}}}}}}}}}}} |
삼성전자의 실질적인 캐시카우는 메모리 반도체 사업이나, 사업 특성상 사이클이 크고 긴 편이라 반도체 사업이 다운사이클을 맞을 때 삼성전자의 캐시카우이자 버팀목 역할을 해준다.
과거 옴니아 II와 같은 제품이 미흡한 완성도로 많은 비판 받은 전력이 있으나, Android를 탑재한 스마트폰을 출시하기 시작하며 갤럭시 S를 시작으로 갤럭시 S II를 히트시키며 삼성 갤럭시를 성공적으로 시장에 안착시켰으며, 확실하게 타 기업과 선을 긋는 전성기를 맞이했고 모바일 산업 성장의 최대 수혜자로 등극하였었다.
안드로이드 폰 진영의 대표격으로 구글, 퀄컴과 긴밀한 협력을 유지하고 있다. 먼저 삼성은 세계 최대 규모의 안드로이드 폰 제조사이자 운영체제 발전에 가장 크게 기여하고 있는 기업 중 하나이며 구글과 공조하며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반대로 구글은 삼성 인터넷의 기본 검색 엔진 탑재를 조건으로 삼성에 연간 30억 달러 가량을 지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Google Tensor 수주를 삼성 파운드리에 맡기고 있다. 삼성은 퀄컴의 모바일AP의 최대 고객사 중 하나이며 퀄컴의 무선 통신 특허를 라이선싱하고 있다. 반대로 퀄컴은 2022년 기준으로 삼성 파운드리 비중의 40%를 차지하는 최대 고객사이다.[22] 2023년에는 삼성-구글-퀄컴 연합이 XR 공동 개발을 선언했다. 가칭 삼성글래스이며, 삼성 하드웨어, 구글 운영체제, 퀄컴 칩셋이 탑재되어 2024년 내로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한다.
갤럭시 S시리즈와 갤럭시 Z시리즈 등 플래그십 위주로 형성된 국내 시장과는 다른 환경의 해외 몇몇 나라의 시장 주력 제품으로는 갤럭시 A 시리즈도 있다.
2022년 4분기 판매량 기준 8%의 점유율로 스마트 워치 시장에서 화웨이와 세계 2위를 두고 경합 중이다. 일찍이 삼성 기어 시리즈~ 갤럭시 워치 시리즈 통해 웨어러블 시장에 상당히 투자를 많이 해왔지만, 타이젠 OS를 탑재하여, 안드로이드 OS를 탑재한 스마트폰과의 연동성 부족으로 발전이 더뎠다. 이쪽도 태블릿 시장과 비슷하게 구글이 Wear OS by Google 에 대한 의지가 그리 크지 않았으나 삼성은 갤럭시 워치 시리즈에 꾸준히 투자를 이어가고 있었고, 결국 2021년 타이젠과 Wear OS by Google가 통합된 Wear OS Powered by Samsung를 공동 개발 후 탑재하여 갤럭시 에코시스템 간의 연동성을 대폭 높이고 경쟁력을 강화했다.
2022년 기준, 도매가 600달러 이상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에서 16%를 차지하고 있다. #
2023년 1분기 판매량 기준 23%의 점유율로 태블릿 시장에서도 세계 2위를 기록 중이다. 2010년대 중반 구글이 안드로이드 태블릿 분야를 사실상 방치하며 최악의 상황에 직면했지만 삼성은 갤럭시 탭 시리즈에 투자를 꾸준히 이어가며 홀로 안드로이드 태블릿 시장을 유지시켰고, 결국 2020년대에 들어 갤럭시 탭의 점유율이 무시할 수 없는 수준에 이르자 구글이 태블릿 전용 컨텐츠에 다시 투자하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현재 안드로이드 태블릿 시장에서 삼성의 점유율과 영향력은 비교적 높은 편이다.
그 외에 블루투스 스피커나 이어폰처럼 휴대성이 필요한 음향기기는 무선사업부에서 담당하고 있고, 삼성 배터리팩, 삼성 PD 충전기, 케이스 같은 다양한 순정 액세서리도 만들고 있다. 자세한 목록은 삼성전자/액세서리 목록 참고
과거에는 타이젠이 들어있는 삼성 Z1, Z2, Z3, Z4나 삼성 기어 시리즈에는 "갤럭시"가 붙지 않았다. [23] 하지만, 2019년부터 갤럭시 워치를 출시 하면서 전체 모바일 브랜드를 갤럭시로 바꾸는 전략을 쓰고 있다. 따라서 MX사업부가 생산하는 대부분의 제품은 삼성 갤럭시로 출시된다.
삼성전자가 전개하는 모바일 브랜드 목록은 다음과 같다.
2.1.3.2. NC개발팀
New Computing 개발팀(New Computing Biz Group)은 삼성전자의 컴퓨팅 경험을 담당한다.{{{#!wiki style="margin:14px" | <tablebordercolor=#1428A0><tablebgcolor=#1428A0><tablealign=center> |
삼성전자의 노트북 브랜드 |
}}}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ff,#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word-break: keep-all" |
삼성 센스 | 삼성 시리즈 (1994 ~ 2013) |
|||||
↓ | ||||||
삼성 아티브 북 (2013 ~ 2015) |
||||||
↓ | ||||||
삼성 노트북 (2014~ 2022) |
||||||
↓ | ||||||
갤럭시 북 (2017 ~ ) |
노트북 오디세이 (2017 ~ 2020) |
삼성 노트북 (2014 ~ 2022) |
||||
↓ | ||||||
갤럭시 북 (2017 ~ ) |
삼성 노트북 (2014 ~ 2022) |
|||||
↓ | ||||||
갤럭시 북 (2017 ~ ) |
||||||
<colbgcolor=#1428A0> 삼성전자/제품 목록 |
}}} }}}}}}}}} |
사진은 삼성 센스 에서 최초로 출시한 노트북 컴퓨터인 SPC 5800[24]
1994년 삼성 센스 출범 이후로 현재까지 노트북 생산이 이어지고 있다. 과거 삼성 노트북 브랜드는 삼성 센스로 1994년부터 2011년까지 전자기기 브랜드 중에선 상당히 길게 명맥을 유지해 왔다. 하지만 2010년대 초반, 스마트폰과 태블릿같은 PC를 위협하는 ARM 모바일 기기가 등장하고, 맥북 에어, 울트라씬[25]같은 휴대성이 강화된 노트북들이 대세가 되는 등의 모바일 기기의 격변기를 맞이하여 삼성에서도 2011년 시리즈 9 (Series 9) 을 시작으로 시리즈 라인업으로 프리미엄 노트북 브랜딩을 시작하였다.
이후 윈도우 8 출시 시기에 휴대폰 - 태블릿 - 노트북의 Windows 제품군 확장에 대응하여 아티브 브랜드로 전환하였지만, 윈도우 폰과 태블릿에 대한 시장의 반응이 예상 외로 없자 결국 격변기의 시행착오를 보여주듯 노트북 부분은 삼성 노트북으로, 데스크탑 PC는 삼성 데스크탑 시리즈로 올인원PC는 삼성 올인원 PC라는 정직한 브랜딩으로 떨어져 나오게 되었다.
2014~2016년, PC 시장의 성장세가 정체되어 있어 브랜딩 등 딱히 돈 쓰는 일을 자제하는 듯 하며, 아티브에서 노트북으로의 브랜드 전환도 매우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노트북 브랜드가 정착된 시기에 해외에서는 아티브 브랜드 네임을 쭉 유지하고 있는데 사실 신제품 출시를 거의 안한 것이다(...) 되려 몇몇 시장은 철수설도 나돌고 있다. 노트북 브랜드를 쓰고 있는 국내도 박스는 재고처리중인지 아직 Samsung ATIV라는 이름이 쓰여 있기도 한다. 헷갈릴 수 있지만 같은 기기이니 걱정 말자. 최근 바이오스 업데이트로 인해 내수용 기기를 대상으로 부팅시 Samsung ATIV에서 그냥 SAMSUNG로 변경되는 등 변화는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다.[26] 현재 미국 삼성 전자 홈페이지에서도 2016년도 출시제품, 즉 스카이레이크 탑재제품들에 'Ativ Book'이 아닌 'Notebook'이라 표기하고 있다.
이후, 삼성 갤럭시를 모든 종류의 모바일 제품 브랜드로 확장하고, 삼성 오디세이를 모든 종류의 게이밍 기어 브랜드로 만들면서, 삼성전자의 노트북 컴퓨터는 갤럭시 북, 노트북 Odyssey, 삼성 노트북 이렇게 목적에 따라 3개의 브랜드로 출시하게 되었다.
여담으로 삼성은 2000년대 중반에 노트북의 한국 생산을 중단한 이래로 노트북을 삼성 쑤저우(중국) 공장에서 생산해오고 있다. 중국 OEM이 아니라 중국 현지 직영공장 생산품이다.
유명 노트북 제조사 중 유일하게 인텔 CPU만 사용하고 있다.[27]
현재 삼성전자가 전개하는 노트북 브랜드는 다음과 같다.
2.1.3.2.1. 데스크탑
삼성전자의 데스크탑 브랜드 | ||||
삼성 알라딘 1990 ~ 1993 |
→ |
삼성 매직스테이션 1994 ~ 2013 |
→ |
삼성 시리즈[28] 2013 |
노트북 위주의 제품을 출시하며, Windows 태블릿 컴퓨터와 데스크톱, 올인원 PC 등의 PC 제품을 출시한다. 핵심 IT 제품군에 속함에도 불구하고 삼성전자가 세계적으로 힘을 못 쓰는 분야 중 하나다. PC 분야에서는 브랜드 가치가 부족하고 기능적 측면에서 뛰어난 것도 아닌데 가격까지 비싸니 평가가 더욱 나쁘다. 현재 전세계 PC 시장 점유율 1위는 레노버이다.
삼성의 점유율은 2~3% 내외로 7~9위 정도다. 여러 시장 조사 기관에서 PC 시장의 점유율을 공개할 때 TOP 6만을 기준으로 하므로 'Others'에 묶이는 경우가 많다.[29]
그나마 한국 시장 한정으로 삼성이라는 브랜드 가치와 A/S의 용이성, 그리고 가격 방어 실패 이후 혹은 북미나 임직원 몰에서 흘러나온 물건들(...) 한정으로 그럭저럭 괜찮은 가격에 힘입어 PC 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있다.
기존에는 IM부문 산하 'IT솔루션사업부'가 있다가 IM사업부의 PC사업팀으로 통합되었고 MX사업부 안의 'NC개발팀'이 되었다.
1980년대 초반 SPC-1000이라는 Z80 기반 8비트급 제품을 삼성 퍼스컴이라는 브랜드로 출시하면서 PC 사업을 시작했다. 당시 컴퓨터 교육을 장려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에 호응하기 위해 삼성에서는 퍼스컴, 금성사에서는 패미콤, 그리고 대우전자에서는 MSX 호환 기종을 출시했다.[30]
8비트로 대표되는 초기시절은 혼돈, 망각의 시절. 이 시절은 PC 자체가 사치품에 가까왔던 데다가 PC의 용도가 극히 제한되어서 일반인들이 PC를 구매할 이유도 필요도 없던 때라서 PC 수요 자체가 거의 없고 따라서 PC 사용 경험자 자체가 극히 적을 수밖에 없던 시절이었다. 당연히 삼성전자의 PC 사업도 그런 것도 있더라 수준으로 인식되던 상황이다.
이후 IBM PC가 본격 도입되어 소프트웨어 환경이 풍부해지고 저가격 고성능의 용산 조립식 PC가 시장에서 떠오르면서 소위 메이커 PC의 저질시대[31]가 도래했는데 당시 대표적인 메이커 PC였던 삼성PC( 알라딘, 매직스테이션)가 대표적으로 까일 수밖에 없었고, 그러한 이미지가 대략 1990년대 중후반까지 각인되면서 삼성이 만들면 (나쁜 의미로) 확실히 다르다는 인식이 생겼다. 그러나 이후 소켓 478 시절부터 타 업체와는 다르게 부품 하나하나만큼은 고급으로 쓰는 경향이 있다. 메인보드 콘덴서 구성이 루비콘, 니치콘 같은 일제 콘덴서로 도배되어 있기도 하고, 파워서플라이는 FSP와 Acbel 같은 유명 메이커에게서 OEM으로 떼오고 있다. 메이커 PC 중에서도 비싼 편이지만, 대부분의 브랜드 컴퓨터들처럼 평균 이상의 정상적인 부품을 사용하고 있다.[32]
포터블 컴퓨터 쪽은 포켓PC도 만들어 보고, 태블릿PC도 만들어 보고, UMPC도 만들어 보고, 넷북도 만들어 보고 하는 둥 크게 성공한 건 없었으나 꾸준했다. 초기에는 역시 최약체 소리를 듣고 품질이 그다지이었으나 2001년에 Dell에 ODM 납품계약을 따내는 등
2012년 삼성 갤럭시 시리즈의 성공에 힘입어 시리즈라는 시리즈로 해외시장에서 나름 선방하고, 특히 시리즈9 같은 경우 '맥북 대항마' 소리까지 들었다. 그런데 아티브 시리즈 때부터 PC시장 자체가 크게 침체되고 특히 삼성의 경우 출하량이 급감하는 등 하락세를 이어가더니, 아예 내수시장과 중국·북미·남미 정도를 제외하면 유럽 등 주요 시장에서 철수하며 영 좋지 않은 모습을 보여줬다.. 게다가 국내에서는 노트북인데 해외에서는 아티브 브랜드를 그대로 사용하는 등 브랜드 라인업이 차이가 있었고, 디자인이 바뀐 게 거의 없거나, 고성능(?) 노트북인 아티브북 8의 리뉴얼이 없는 등 혼파망인 모습을 보여줬다. IM부문 내 독립적으로 존재했던 PC사업부(IT솔루션사업부)를 폐지하고 무선사업부에 통합시킨 것도 이때. 아예 삼성이 PC를 접는다라는 썰도 주기적으로 돌았다.
2012년 이후, 그러니까 스마트폰 시장이 본격적으로 폭발하기 시작한 이 시기에는 PC 시장의 분위기가 워낙 좋지 않았다. PC 출하량은 분기마다 두자릿수 단위로 끝을 모르는 추락을 계속했고, 아예 특정 지역(주로 내수시장)에만 집중하는 로컬 업체들과 세계적인 점유율을 과점하고 있는 6개 메이저 사이의 애매한 포지션에 있는 기업들(삼성, 소니, 도시바 등)은 소니처럼 아예 시장에서 철수하거나 사업 규모를 대폭 줄였으며, 심지어는 HP나 델 같은 전통의 강자들마저도 사업구조를 재편하는 과정에서 PC 사업을 접는다는 전망이 공공연할 지경이었다. 다시 말해 PC Business의 암울한 상황은 삼성만의 문제는 아니었다는 것.
그러나 다시 한번 PC 사업을 재건한다고 한다. 이후 삼성 노트북 시리즈와 삼성 아티브/북 시리즈를 꾸준히 발표하며 재기를 준비했고, 마침내 CES에서 공개한 전략 노트북인 아티브 9 2016 에디션은 고성능 메탈 유니바디에 키보드 라이트와 전반적으로 타사에 비해 우수한 퍼포먼스를 보여주며 선방했다.
2016년 하반기부터 노트북9 신모델 출시와 CM 재개, 일반 노트북 계열들의 신제품에서 업그레이드 기능 부활, 맥 프로를 연상시키는 원통형 모양의 아트 PC 출시와 하이엔드급 라인업인 데스크탑 Pro 출시 등을 진행하고 있다.[34] 그리고 게이밍 노트북/ 데스크탑 라인업인 Odyssey 등 한 때 떠돌았던 삼성 PC 사업부 레노버 매각설을 종식시킬 정도의 행보를 보여주고 있다. 다만 가성비는 여전히 쓴소리를 듣고 있다. 특히 하이엔드급 게이밍 노트북 시장에서 정신 못 차린 가격책정을 보여준다.[35]
2017년 들어서도 PC 업계의 유행과 트렌드를 충실히 따라가고 있다. 해외 시장에서 데스크탑과 올인원은 사실상 철수한 상태에 가깝지만, 그 외에 포터블 분야에서는 열일하고 있다. 마소가 서피스 시리즈를 통해 개화시킨 윈도우 2in1에서는 갤럭시 북을, 1kg 미만 초경량 노트북에서는 노트북9 Always 시리즈를, 탈착은 불가능하지만 힌지가 360도 돌아가는 컨버터블 노트북 시장에서는 노트북 Pen 시리즈[36]를 적절한 타이밍에 출시했고, 다소 비싼 가격과는 별개로 품질이나 하드웨어 스펙 자체는 크게 흠잡을 곳이 없다는 평. 여기에 한국은 해당 사항이 없지만 크롬북 시장에서도 가장 활발히, 좋은 제품을 내놓으며 기라성 같은 메이저 PC 업체들 사이에서 존재감을 넓히고 있다.
삼성 갤럭시의 브랜드 확장 정책에 따라, 갤럭시 북이 PC 라인업에 추가되었다.
삼성의 데스크탑 시리즈들은 주로 국내판매를 목적으로 하며 이들 제품은 주로 대기업이나 관공서로 납품과 일부 개인소비자를 위한 제품이다. 국내에서는 2010년 중반기 이후부터 꾸준히 조립PC의 인기와 노트북 시장의 활성화에 따라서 브랜드 컴퓨터의 입지가 많이 줄었지만, 꾸준히 브랜드 컴퓨터를 선호하는 소비자가 있어 아직 국내 브랜드 데스크탑의 선두를 달리고 있다.
삼성 데스크탑의 경우 국내 어느 브랜드 대비 서비스 네트워크가 잘 갖추어져 있어 컴맹에게 굉장히 좋은 인식을 가지고 있다. 국내에서는 아직도 과거와 마찬가지로 컴퓨터 AS센터와 조립 대행업체에서 이뤄지는 부품 바꿔치기 및 고장부위 속이기 등 다양한 방법으로 고객의 지갑을 비워버리는 악습이 있기에 컴맹의 경우 브랜드 컴퓨터를 구입하는게 좋다.
최근 그래픽카드 채굴 대란으로 인하여 삼성전자 공식 업그레이드 대행업체에서 출시하는 별도의 그래픽카드가 장착된 삼성컴퓨터를 구입하는게 조립PC보다 싸다는 의견이 생겼다.
데스크탑· 올인원는 삼성 알라딘, 매직스테이션, 시리즈 9, 아티브 원, 시리즈 3 (DM300S3B-A11L, 2013년), 아트 PC 펄스(2016)를 단종시킨 이래 별도의 네이밍 없이 숫자만 붙여서 출시하고 있다.
현재 삼성전자가 전개하는 PC 브랜드는 다음과 같다.
2.1.3.3. 디자인경영센터
2.1.3.4. 소프트웨어
자세한 내용은 삼성전자/소프트웨어 문서 참고하십시오.자세한 내용은 삼성전자의 앱 문서 참고하십시오.
보안 솔루션인 삼성 Knox를 제공하고 있다. 미 국방성, 대한민국 국방부, 마이크로소프트, IBM, 현대기아, 심지어 과거 보안 솔루션 경쟁업체였던 LG, 블랙베리 등 1000개가 넘는 업체와 삼성 Knox 파트너십을 맺고 있다.
삼성 인터넷은 기본 검색엔진으로 구글을 탑재하는 것에 대한 보상으로 연간 30억 달러를 받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NEON이 완성되면, 그래픽 인공지능으로 NEON을 판매할 예정이다.
2.1.4. 의료기기 사업부
삼성메디슨과는 다른 조직이다.2.1.5. 네트워크 사업부
기본적으로 B2B 산업이고 세계 시장 점유율이 미미하다보니 대중에게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지만, 통신 기지국 등에 쓰이는 통신 장비도 만든다. CDMA, 와이브로 장비를 만들었었고 지금은 주로 LTE, 5G 관련 통신 장비를 만들고 있다.한국, 미국, 일본, 인도 시장에 진출해 있으며, 유럽, 중국 시장도 노리고 있으나 이 지역은 에릭슨, 노키아 같은 유럽 업체와 화웨이, ZTE 같은 중국 업체가 버티고 있어 쉽지 않은 상황. 최근에 홈그라운드인 한국 시장에 에릭슨-LG, 화웨이가 들어와 국내 시장 방어도 쉽지 않은 상태다. 반면 미국 시장의 경우, 미국 정부가 보안 상의 이유로 화웨이와 같은 중국산 통신장비의 자국 내 도입을 금지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기회로 미국 시장에서의 점유율 확대를 노리고 있다. 관련기사 세계 시장에서 약 4%의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다. 기사1 기사2 기사3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KT와 5G 시범 서비스한 이후, 2018년부터 5G 통신장비 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하고 있다. 국내 3대 이 통 사, 미국 버라이즌, AT&T, Sprint, 일본 KDDI에 5G 장비를 공급하고 있다. 기사4, 기사5 같은 시기, 미중 무역 전쟁의 여파로 화웨이가 주춤한 사이 세계 시장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고 2019년 기준, 5G 통신장비 시장에서 가장 높은 시장 점유율을 가지고 있다. 관련 기사 다만 2020년 들어선 다시 4위로 내려앉았다. 하지만 기사에서는 아직 산업의 파이가 작아서 생기는 현상으로 역전이 어렵지 않다는 전망을 내놓았다. #
2019년 5월 미국 특허 81건을 화웨이에 이전했다. 앞서 2019년 2월에는 화웨이와 미국·중국 등에서 진행하던 특허분쟁을 합의 종결하며 특허 크로스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화웨이가 5G 등 통신특허에서 세계 최강자여서 삼성전자는 2019년 계약 체결 당시 부족한 차액만큼을 특허로 지불하고, 이번에 계약을 갱신하면서 또 한차례 특허를 화웨이에 이전한 것으로 추정된다. #
2022년 11월 삼성전자가 화웨이에 미국 특허 98건을 추가로 이전했다. 화웨이가 삼성전자, 오포 등과 5G 특허 크로스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는데 계약대상 특허에는 5G와 와이파이, 오디오·비디오 코덱 기술 등이 포함됐다. 지난 2019년 이전한 81건과 더하면 모두 179건이다. #
2.1.6. 전사직속
2.1.6.1. 삼성리서치
자세한 내용은 삼성리서치 문서 참고하십시오.2.1.6.2. 생산기술연구소
자세한 내용은 생산기술연구소 문서 참고하십시오.2.1.6.3. 디자인경영센터
2.1.6.4. 디바이스플랫폼센터
2.1.6.4.1. SmartThings
자세한 내용은 SmartThings 문서 참고하십시오.IoT 플랫폼인 SmartThings가 있으며, IoT용 허브로 삼성 커넥트 허브, 스마트싱스 허브가 있는데, 스마트싱스 쪽으로 통합되었다. 이외에도 자체 개발 아두이노 모듈인 아틱을 판매하고 있으며, 각종 센서 모듈을 판매중이다.
세계 최초의 오픈 IoT 플랫폼으로 타사 기기와 호환성이 뛰어난 것이 특징. 구글, 아마존, 수 많은 IoT 중소 업체들과 협력 중이다. 국내에는 SmartThings Hub V3부터 Zigbee 프로토콜과 Z-Wave 한국 주파수(920.9 MHz, 921.7 MHz, 923.1 MHz)에 호환되는 제품들을 판매하고있다.
CAS의 회원이며, 회원사와 같이 매터를 공개했다.
2.1.6.4.2. 스마트 아파트
자세한 내용은 스마트 아파트 문서 참고하십시오.2.1.6.5. Global CS센터
2.1.6.5.1. 해외 서비스 운영 그룹
2.1.6.6. 글로벌마케팅실
2.1.6.7. 전장사업팀
2.1.6.8. Global EHS실
2.1.6.9. Big Data센터
2.1.6.10. 상생협력센터
2.1.6.11. 경영혁신센터
2.2. DS 부문
Device Solution 부문은 반도체의 설계, 제조, 판매, 마케팅, 유통을 담당한다.
|
★펜티엄 시절★ 세계 반도체 시장 선도를 위한 치열했던 경쟁! 삼성 하이닉스 마이크론 도시바 NEC | “반도체 3차 대전, 누가 승자가 되는가” (KBS 011209 방송) |
|
삼성, 그리고 반도체 신화 | “64K D램 반도체 신화를 열다” (KBS 130720 방송) |
삼성 반도체 이야기
메모리사업부, System LSI 사업부, Foundry 사업부, 3개의 사업부로 구성되어있다. 과거에는 메모리와 시스템LSI로 분류되었는데, 2017년 들어 급성장하는 파운드리 분야를 강화하기 위해 시스템LSI에서 파운드리 사업부를 분리하여 격상시켰다. 삼성전자 전체 자본지출(CapEX)의 절대 다수를 DS 부문에 투자하고 있다.[37]
메모리사업부는 DRAM, NAND 등을 생산하며, System LSI는 모바일 AP, 이미지 센서, 디스플레이 구동칩, 마이크로컨트롤러 등의 설계를 담당한다. Foundries 사업부는 반도체 설계 기업의 수주를 받아, 반도체 위탁 생산을 진행한다.
2.2.1. 메모리 사업부
삼성의 캐시카우인 동시에 기업의 주가 향방과 가장 밀접한 연관을 띄고 있다. DRAM과 NAND의 경우에는 장기간에 걸쳐 왕좌를 지키고 있는, 메모리 반도체 업계 1위 업체이다. 강력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고의적으로 DRAM 가격을 한동안 낮게 유지시키는 치킨 게임을 벌여 기술력 및 자본력이 밀리는 다수의 업체들을 고사시킨 바 있다. 2021년 기준으로 대한민국 수출의 약 1/3인 1,280억 달러가 반도체, 특히 삼성전자와 하이닉스의 메모리 반도체에서 나왔다. 다만 한국 전체 수출의 10% 가량이 중국에게 판매하는 메모리 반도체인데, 미국과 중국간의 고래 싸움으로 인하여 새우 등이 터지는 상황을 피하지 못하게 되었으며 매크로 경기 악화로 인한 중국 수요 감소로 인하여 2022년부터 최악의 판매 부진을 면하지 못하고 있다.[38] 그리고 최신 제품들의 가성비나 신뢰도가 크게 떨어지는 바람에 소비자들의 외면을 받고 있다.한편 삼성이 이 자리에 오기까지에는 많은 우여곡절이 있었다. 이병철 회장이 반도체 사업을 시작하려고 했을 때 임원진들은 무리라고 말했으며 그 중 일부는 64K D램이 뭔지도 모르는 사람도 있었다. 일본의 미쓰비시는 한국이 반도체를 할 수 없는 이유 5가지(협소한 한국 내수시장, 취약한 관련 사업, 부족한 사회간접자본, 삼성전자의 작은 규모, 빈약한 기술)[39]를 이야기하며 비웃기도 했다. 그때까지만 해도 반도체는 GDP가 굉장히 높은 수준의 국가에서만 가능했던 것이고 세계시장은 미국과 일본의 차지였다.
그러나 1983년 3월 이병철은 자신의 뜻을 굽히지 않고 삼성의 반도체 사업 진출을 공식화했고, 기술진 확보를 위해 미국에 있던 유학파들을 대거 스카우트했다. 원래는 미국 마이크론 테크놀로지로부터 기술 이전을 받기로 했었으나 실제로 마이크론에 가보니 마이크론측의 태도는 매우 적대적이었고, 단 2명만이 마이크론 사내에 들어 갈 수 있었으며 나머지는 출입도 못했다고 한다. 들어간 2명마저도 제대로 된 연수는 커녕 질문도 받지 않았으며 정해진 시설을 눈으로만 볼 수 있을 뿐이었다. 기초적인 D램 기술 자료를 받은 것 정도가 전부였다. 결국 삼성은 자체 개발하기로 방향을 틀었고, 연구진들이 거의 맨땅에 헤딩하는 각오로 밤낮으로 매달린 결과 불과 1년도 안되어 1983년 11월 64K D램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 # 세계 3번째 개발이었다. 삼성이 이렇게 단기간에 해낼 것이라 어느 기업도 예상치 못했기 때문에 당시 세계 반도체 업계는 큰 충격을 받았다. 이때 개발한 64K D램은 국가등록문화재로도 등록되어 있다. #
~ 이미 82년부터 외국기업에서 기술 이전을 받아서
소용량 메모리와 로직 ic를 생산해 본 적은 있다.
즉. 아예 무근본. 맨땅에 해딩은 아니라는 거다~
여담으로 기흥에 공장을 짓기로 결정하였을때, 반도체는 먼지에 굉장히 민감하기도 하고 공장건설에 기본적으로 18개월 정도 걸리는데 한 번도 반도체 공장을 지어본 적이 없는 삼성물산이 이병철 회장이 반도체는 타이밍이 중요하기 때문에 6개월 안에 지으라는 말에 겨울에 온갖 난방기구를 이용하여 결국 완성시켰다. 당시 연구진들은 오후 11시에 회의를 하고 새벽 2시까지 작업을 했다고 한다.
잘 나아가려던 찰나, 삼성이 미국의 눈 밖에 나면서 이전에 일본에게 미국이 덤핑을 걸고 넘어져 수출이 제한되고 법적 다툼이 일어난 것과 같은 문제가 일어났다. 이에 삼성은 해결을 위해 당시 부시에서 클린턴으로 정권이 바뀌던 때라 미국으로 파견을 보내면서 실리콘밸리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클린턴의 당시 정책을 파고드는 방식으로 '우리는 덤핑을 한 적이 없으며 우리가 반도체를 생산하지 않으면 미국에도 반도체 회사가 있으나, 일본 기업이 큰 점유율을 가지게 될 것이고 그러면 반도체를 비싼 값에 구입해야 한다'고 설득을 하여 덤핑 0.74%라는 굉장히 이례적인 판정으로 벗어나게 되었고, 이를 시작으로 더 높은 발전을 이루게 되었다.
SSD도 압도적인 수직계열화를 통한 비용절감 및 품질향상 그리고 엄청난 AS와 품질보증, 즉각적인 펌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속도, 수명, 안정성, 고객지원 넷 다 동세대에서 압도적으로 1위를 놓치지 않는 제품을 지속적으로 발매하여 오랫동안 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있다. 한때 SSD 시장의 점유율은 80% 이상 점유하던 시절도 있었다. OEM에 치중하는 모습이라 리테일 시장에선 다소 포스가 떨어지던 시절이 있긴 해도 장기적으로 봤을때 SSD분야에서 삼성이 절대적인 1위라는 말은 새삼스러울 게 없다. # 다만 혼자 저만치서 앞서나가는 품질만큼이나 가격도 혼자 저만치서 경쟁사들의 치킨 게임 따위는 전혀 의식하지 않는 가격으로 비싸게 파는 경우가 많으며, 최초의 TLC SSD 제품인 840EVO는 빼도박도 못하는 흑역사.
DDR 메모리의 경우, 적절한 성능과 가격, 그리고 미친듯한 오버수율로 유명하다. 오버클럭용 램이라는 지스킬같은 회사들에서 나오는 것들보다 수율이 좋게 나오는 경우도 있는데 까보면 램모듈은 둘다 삼성제인 경우가 많다(...) 메모리를 카드에 탑재해 직접 파는 건 한국에서만 그렇고 해외에서는 주로 OEM 납품이나 램카드 제조회사들에 납품하는 식. 이런 사실을 간과하고 이런 참사를 내는 유저들도 의외로 많다. 사실 한국에도 RAM 완성품을 B2C로 도매하는건 아닌지라 B2B용으로 벌크로 나온 물량을 용산 등지에서 자체적으로 소매용 포장을 제작하거나 그냥
이는 삼성의 압도적인 공정기술력에 의한 것이며 2012년 타사가 아직도 40나노급 공정으로 메모리를 찍어냈던 반면, 삼성은 이미 30나노급 메모리를 양산한지 오래되었으며 이후 동년도 25나노급 공정의 메모리 양산을 시작했다. 이후 2014년 3월 PC용 D램, 9월 모바일 D램의 20나노 공정을 완료하고 2015년에는 그래픽 D램까지 20나노 양산을 달성했다.
삼성의 메모리 시장 점유율은 2009년 기준 50%에 달할 정도고 대부분의 PC 부품 제조사들도 삼성 메모리에 대한 호환성을 가장 먼저 맞출 정도로 업계 표준이다.
그리고 2017년 결국 인텔을 매출액과 영업이익에서 삼성전자가 추월했다. 따라서 삼성이 현재 반도체 업계 1위이다. 게다가 인텔은 CPU 게이트로 큰 위기를 맞아 회사의 존망이 걸려있는 위태로운 상황인데다가 인텔을 제외하면 점유율에서 삼성의 적수가 없다는점, 삼성 비메모리 반도체의 성장 잠재력이 여전히 크다는 것을 감안하면 앞으로도 이 순위를 유지 할 가능성이 높다. 물론 이는 반도체 분야만 계산했을 때도 추월한 것으로 기업 전체의 매출액은 삼성전자가 원래 더 컸다. 특히 삼성은 마진이 높은 메모리반도체가 주력이기 때문에 영업이익에서 격차가 크다. 게다가 높은 성장세를 바탕으로 다른 기업들과의 격차를 벌릴 예정. 다만 메모리 호황이 2018년까지만 유지되고 이후로는 잦아들 확률이 높다는 전문가들의 분석이 많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반도체 기업 1위라는 순위는 유지해도 독보적인 수준으로 차이를 벌리는 것은 힘들 수도 있다.
2013년 8월 5일엔 세계 최초로 3D수직 낸드플래시를 양산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 성능상 집적도 2배 향상, 수명 최소 2배에서 최대 10배 향상, 쓰기 속도 2배 향상,전력소모는 절반으로 줄였다고 한다. 경쟁사들은 2년 뒤에나 나올 물건을 양산하고 있다. 도시바는 이 때문에 2015년에 양산할 3D적층 메모리에는 기사에 나온 것처럼 삼성제 낸드보다 더 많이 적층한다는 식으로 경쟁력을 쌓는다고 발언했지만 이마저도 삼성이 도시바가 목표한 정도로 적층된 메모리를 발표해 버리는 바람에 또 뒤처지게 되었다. # 그리고, 그 기술로 쓰기 속도 520MB/s, 읽기 550MB/s에 달하는 SSD를 양산하여 당당하게 외계인 고문을 하고 있다. 게다가 2015년 발매한 SM-951은 무려 읽기 2150MB/s 에 쓰기 1260MB/s다! 2015년 2월 4일 삼성전자는 AP와 D램, 낸드플래시를 한 번에 패키징한 ePOP[40]이라는 스마트폰용 원칩 양산을 발표해서 실기까지 통상판매했으며, 이제는 세계 최초로 256GB Micro SD카드도 출시하는 걸 넘어 양산이 매우 잘 된다는 것을 과시하기라도 하듯 가격을 9~10만원의 삼성답지 않은 가격으로 하락시키기까지 하는 등 외계인 고문이 뭔지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참고로 128GB, 200GB, 400GB는 샌디스크가 세계 최초 기록을 갖고 있다.
2017년 1분기부터 점점 반도체 호황의 효과를 보며 역대 1분기 최초로 10조원에 육박하는 영업이익을 기록하기 시작하다 3분기엔 반도체 하나로 영업이익 10조원을 찍어버렸다!!! 삼성전자의 전체 매출은 62조원, 영업이익은 14조5000억원으로 3분기 전세계 IT기업 중 영업이익 1위를 기록하였고 4분기엔 실적이 더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덕분에 주가는 고공행진 중. 같은 업계의 SK하이닉스 역시 역대 최고 실적을 갱신 중이다.
2022년부터는 글로벌 경기 둔화로 인하여 고객사들이 재고 버티기에 돌입하여 메모리 반도체 가격 전체가 급격하게 하락했다.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도 사상 최대 적자를 피하지 못하게 되었고 2023년 4월, 가격 방어를 위하여 기존 발언을 뒤집으며 21세기에 들어서는 처음[41]으로 감산을 선언하였다. 2023년 1분기 실적 발표에서 메모리 반도체 부문이 전년 동기 대비 56%의 매출 감소를 보였으며, 반도체 전체 부문에서 4조 5,800억이라는 막대한 적자를 냈다. 다행히도 모바일 사업부가 선전하여 통합 적자는 면하게 되었다. 아이러니하게도 감산 여파로 2023년 5월, 2022년 1분기 수준의 주가를 회복했다.
삼성전자에서 생산한 DDR5 SDRAM의 불량률이 상당해서 시장의 외면[42]을 받고 있다. 특히, 동작속도 5600MHz 제품의 상당수가 메모리 테스트(TM5)시 5600MHz에 도달하지 못하며, 고용량의 제품은 아예 메모리 할당 오류를 보이며 사용이 불가능한 불량이 꽤 발견되고 있다. 더욱이 삼성전자에서 문제 제기 초기 제대로 대응하지 못해 시장의 원성을 사고 말았다. 각종 커뮤니티에서 해당 불량이 특정 주차 제품에 집중돼 있다는 의견이 확산하자, 삼성전자에선 생산주차 표기를 전문 지식이 없는 사람은 알아볼 수 없도록 바꾸며 사실상 감췄다. 또한, RAM A/S 센터에선 TM5를 20-30분 정도만 실행해보고 문제가 없으면 양품 판정을 내리는 것으로 일관해왔다. 결국 2023년 9월 중순에서야 개선품이 나와 불량률이 많이 감소했으나, 오버헤드룸 여유가 전혀 없이 딱 TM5만 통과하는 모습을 보이며 여전히 분위기는 좋지 못하다[43]. 더욱이, 기존의 불량 제품에 대해선 전향적인 A/S 없이 방치한 상태라 장기간 삼성전자의 RAM을 애용해 오던 소비자들은 다른 경쟁사 제품으로 많이 갈아탄 상황[44]이다.
DDR5에서 거의 완전히 패배함과 동시에 970 EVO PLUS는 타사 PCIe 4.0 SSD와 비슷하거나 약간 더 비싼 가격에 PCIe 3.0에선 P31이라는 전성비가 엄청난 경쟁자가 있어 메리트가 사라졌고 980 PRO는 P41의 이슈덕에 순항하는듯 했으나 성능은 많이 밀리지만 가격은 확실한 P5 Plus와 성능이 더 좋은 동시에 몇만원은 더싼 SN850X와 엑세리아 PRO의 존재로 메리트가 사라졌다. 990 PRO는 이돈씨 같은 느낌으로 인해 4090을 장착한 하이엔드 시스템에서나 주로 채용된다. 새로나온 990 EVO는 SN850X, 엑세리아 PRO급 가격에 P5 Plus에게 확실히 밀리는 스펙을 지녔기에 총체적 난국.
2.2.2. S.LSI 사업부
삼성은 꽤 예전부터 시스템반도체에 꾸준히 투자해 왔고 그 결실도 만만치 않다. 메모리에 비해서도 등락이 제법 있는 편이긴 하지만 시장조사업체와 증권사 등의 추정치에 따르면 2013년 이후 평균적으로 매출 12~13조, 영업이익은 적자를 볼 때도 있지만 2016년 이후로는 8,000억 ~ 1조 내외로 추정된다. 2017년 기준으로 약 13조의 매출과 1조 5천억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메모리와 비교하면 매출이나 영업이익이나 비교가 민망할 정도로 작은 편이지만 삼성의 반도체 사업에서 시스템반도체 부문만 뚝 떼어놓고 별개의 회사로 집계해도 전세계 반도체 매출 10위 안에 들어가며, 한국에서도 어느 정도 이름이 알려진 대만 미디어텍, 일본 르네사스, 미국 AMD보다 매출과 이익 측면에서 모두 앞섰으나, 계속된 수율과 발열 문제로 인하여 2022년 기준으로는 점유율 8%, 업계 하위권으로 밀려났다.사실 삼성도 S.LSI사업부를 통해 90년대 초반부터 꾸준히 비메모리 사업을 키웠지만 메모리 분야가 워낙 덩치가 엄청났던 탓에 상대적으로 메모리 사업만 크게 부각되었던게 저러한 비평이 나오게 된 이유. 외환위기를 겪으면서 전력용 반도체 부문을 페어차일드에 매각하는 등 비메모리 반도체 분야에 대한 성장 동력을 잃어버렸던 탓도 있다. 2012년 2분기 전세계 스마트폰 판매량의 절반이 삼성과 애플의 제품인데 그 두 회사 제품 모두에 삼성전자의 AP가 들어간다. 애플에는 아이팟 시절부터 AP를 공급하기도 하였다. 다만 2014년 9월부터 애플은 신규 발주하는 반도체를 TSMC로 전환하기로 하였다. 다만 20nm의 최초 비메모리 양산 제품은 삼성이 자사 펩에서 만든 AP인 엑시노스가 되었다. 그리고 1년의 시간이 흐른 후, 복수의 칼날을 갈아온 삼성이 2015년 9월 출시되는 아이폰 6s에 들어가는 반도체 생산분량을 다시 TSMC에게서 되찾아왔다. 참조
근본적으로 엑시노스의 명령어 집합과 이를 하드웨어로서 구현하는 기술은 ARM Holdings에서 라이선싱 해온 것이다. 즉, 엑시노스 칩의 원천 기술은 여전히 삼성전자의 손 안에 있지 않다. 하지만 단순히 아키텍처만 가지고 AP를 만드는 것이 아니다. 제조사 고유의 커스텀이 들어가게 되며 이 과정에서 고유한 기술력이 드러난다. 그 사례가 바로 Cortex-A57인데 이 아키텍처로 만들어진 대표적인 AP가 엑시노스 7420과 스냅드래곤 810이다. 같은 아키텍처임에도 불구하고 저 두 AP의 평가는 세대 최고와 화룡이라는 극과 극으로 갈린다. 커스텀의 차이가 AP의 차이를 만들어낸 것이다. # 여기서 그치지 않고 삼성은 자체 커스텀코어[45]를 몽구스 프로젝트라는 이름으로 진행 중인데, Cortex-A72 보다 우위의 성능을 보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결국 삼성은 ARM의 ISA만 채용한 채 자체적으로 마이크로아키텍처를 만들어내는데 성공한다. 간단하게 표현하면 마이크로아키텍처는 명령어집합구조의 구현정도로 볼 수 있다. 스카이레이크니 젠이니 하는 것들이 마이크로아키텍처로 같은 명령어를 공유해서 호환성을 가지지만 명령어를 처리하는 과정은 상당히 다르다. 이렇게 개발된 자체적인 마이크로아키텍처로 생상된 프로세서는 자사의 스마트폰 등에 탑재되어 팔리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애널리틱스(SA)에 따르면 2012년 모바일 AP 시장(통신 통합칩 포함)에서 삼성전자는 듀얼코어에서 48.1%, 쿼드코어에서 74.6% 점유율로 1위를 기록했다. 반면, 싱글코어는 퀄컴이 38.0% 점유율로 1위를 차지했으며, 삼성전자는 5위를 기록했다.
구체적으로 시스템 반도체의 종류별로 삼성전자의 점유율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프로세서 ⌵ {{{#!wiki style="margin: -5px -8px -5px; word-break: keep-all;" |
<tablebordercolor=#fff,#000> [[삼성 엑시노스/라인업#모바일 프로세서|
[[삼성 엑시노스/W 시리즈|
[[삼성 엑시노스/Auto 시리즈|
[[삼성 엑시노스/통신 모뎀 솔루션|
[[삼성 엑시노스/라인업#RF 프로세서|
[[삼성 엑시노스/커넥트 시리즈|
|
}}}}}}}}} |
- 모바일 SoC 분야에는 엑시노스라는 별도의 브랜드가 있으며, 자사의 갤럭시 브랜드 디바이스에 공급하고 있다. 2022년 4분기 기준 8%의 점유율을 기록한 바 있다. 외부 판매를 하지 않는 곳을 제외하면 플래그십 라인에서는 자사 제품과 퀄컴 제품을 병행해가며 적용하고 있고, 중저가 라인에서는 미디어텍, UNISOC 등이 경쟁사로 꼽힌다.[46]
- CMOS 이미지 센서 분야에서는 아이소셀이라는 브랜드로 소니 엑스모어의 뒤를 이은 2위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엑시노스와 마찬가지로 가장 큰 공급사는 삼성 무선사업부이지만 중국의 여러 메이저 스마트폰 제조사들 또한 삼성의 이미지센서를 다수 채택하고 있다. 물량 기준으로는 소니와 비슷한 25% 수준이지만, 2022년 3분기 매출 점유율 기준으로는 소니가 52%, 삼성이 16% 수준이다. 연매출은 20억 달러 가량으로 추정된다.
- 디스플레이 구동칩(DDI)은 삼성이 2003년에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서 최초로 1위를 기록한 품목이자 10년 넘게 그 자리를 놓치지 않고 있다. 가장 큰 고객은 삼성디스플레이로 특히 SDC의 OLED용 DDI 공급을 독점하고 있다. 한때 갤럭시 스마트폰의 부진으로 대만 노바텍의 추격을 받기도 했으나 17년 애플 아이폰X의 OLED 물량을 SDC가 독점하며 DDI 매출도 크게 늘어 30%에 육박하는 점유율로 2위인 노바텍을 크게 따돌리고 있다. 연매출은 2조를 조금 넘는 것으로 추정된다.
- 마이크로컨트롤러 는 주로 자사 스마트폰이나 가전에 사용되고 있으며 연매출은 2조 안팎, 점유율은 16년 기준 4위였다. MCU 시장은 2010년대 들어 인수합병(M&A)이 매우 활발했기 때문에 내부 수요에 대응하는 정도인 삼성이 뒤처진 측면이 있다.
- 이 외에도 PMIC(전력관리칩), 터치 컨트롤러 IC, NFC 및 eSE 지문센서, 스마트카드, Wi-Fi 모듈 등도 생산한다. 관련기사
파운드리 격상 이후 생산라인 없이 연구개발(R&D)만을 담당하게 된 시스템LSI 사업부는 17년 들어 역대 최대 규모로 채용하며 인력을 보강하고 있다. #
2019년 초, 아예 2030년까지 비메모리 반도체 부문에서도 세계 1위를 차지하겠다고 이재용 부회장이 발언했다. #
2019년 6월 3일, 마침내 AMD와 초저전력·고성능 GPU IP 전략적 파트너쉽을 체결하였다. 여기에는 라데온 Rx의 차세대 GPU Navi도 포함되고 삼성전자 역시 AMD GPU를 통해 핸드폰 기술역량을 강화할 것이라고 한다. 또한 같은해 6월 4일 NVIDIA의 차세대 GPU에서 필요한 7nm EUV를 제공 및 생산한다고 한다.
2.2.3. 파운드리 사업부
자세한 내용은 삼성 파운드리 문서 참고하십시오.2.2.4. 전사직속
2.2.4.1. CTO_반도체연구소
2.2.4.2. 제조&기술담당
2.2.4.3. 글로벌 제조&인프라총괄
2.2.4.4. TSP 총괄
2.2.4.5. 혁신센터
2.2.4.6. CSS사업팀
2.2.4.7. SAIT
2.3. SDC 부문
자세한 내용은 삼성디스플레이 문서 참고하십시오.디스플레이 패널 점유율 1위 기업이며, OLED 시장에서 경쟁업체와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2020년 기준 매출 30조 6천억, 영업이익 2조 2천억을 기록했다.
먼저, 중소형 OLED 분야는 삼성디스플레이의 독주체제이다. 최초로 스마트폰에 AMOLED를 밀어준 것이 바로 삼성전자의 갤럭시 스마트폰 시리즈이다. 갤럭시 시리즈 자체만해도 상당히 많이 팔리는 스마트폰이기 때문에 이곳에만 들어가도, 다른 회사의 OLED 패널을 탑재한 스마트폰 점유율을 뛰어 넘는다. 이후 애플도 OLED로 넘어오면서 삼성의 최대 고객사가 되었다.[47]
대형 OLED 패널은 삼성의 QD-OLED와 LG디스플레이의 WOLED가 대립 중이다. 삼성의 QD-OLED 패널은 품질과 색 재현률이 확실하게 좋기 때문에, 일반 소비자들에게 어필하는 데에는 성공하여 판매량이 높은 상황이다.
한편, AMOLED에 집중하기 위해 LCD 신규 투자를 대폭 줄이고 일부 라인의 폐쇄 및 AMOLED로 전환이 이뤄졌는데, 이렇게 줄어든 생산량은 2016~17년 LCD 가격 폭등으로 그대로 돌아왔다. 그러다가 BOE를 비롯한 중국 LCD 패널 업체들이 적자를 감수하고[48] 원가 경쟁을 한 탓에 패널의 가격이 급락하며 LCD 업계 전체가 불황으로 들어섰다. 이후 LCD 관련 특허를 매각하여 30년만에 완전히 LCD 사업을 종료하고 OLED 진영으로 넘어갔다.
2.4. HARMAN 부문
자세한 내용은 하만 문서 참고하십시오.{{{#!wiki style="margin:-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2d2f34><tablebgcolor=#fff,#2d2f34> |
HARMAN{{{-2 {{{#006499 의 }}}}}} 브랜드 |
}}}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93em" |
BANG & OLUFSEN | Bowers & Wilkins | Infinity | JBL | |||
마크 레빈슨 | REVEL | 하만카돈 | AKG | ||||
ARCAM | 렉시콘 | AMX | BSS | ||||
Crown | dbx | Martin | Soundcraft | ||||
AIR | 플럭스 | roon | |||||
{{{#!wiki style="margin:-16px -11px" | * BANG & OLUFSEN와 Bowers & Wilkins의 경우, 차량용 오디오 부문 한정 | }}} |
2.5. 기타
2.5.1. 삼성전자 C-Lab
자세한 내용은 삼성전자 C-Lab 문서 참고하십시오.2.5.2. 삼성전자 C-Lab Outside
자세한 내용은 삼성전자 C-Lab Outside 문서 참고하십시오.2.5.3. 희망별숲
희망별숲은 발달장애인의 고용을 목적으로 세워진 캠퍼스이다. 삼성전자가 100% 출자한 본사직속이며, 자회사형 대기업이다.삼성전자 DS부문의 구내식당에 납품하는 내부거래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내부거래에서 나오는 매출과 영업이익을 비즈니스 리포트에서 모두 빼고 알리고 있다. 삼성전자의 여러 캠퍼스와의 내부거래를 빼면 거래처가 없는 셈(...)
발달장애인을 대규모로 정규직 채용하고, 대학과 취업 파트너십을 맺고 상시 채용하는 회사로서 대한민국의 몇 안되는 회사이다.
2.5.4. 내부 거래
삼성전자 내에서 부문과 사업부와 삼성전자계열 사이에서 내부거래가 발생할 때 매출이 나오는 사업이 만들어지기도 한다.이렇게 나온 매출은 삼성전자가 삼성전자 뉴스룸과 투자자 정보로 시장에 공시하는 비즈니스 리포트의 매출과 영업이익에서 같이 나오지는 않는다.
3. 삼성전자계열
삼성전자계열은 삼성전자 안에 있는 회사 가운데 계열사이다.삼성전자계열은 삼성전자의 출자를 받아 세워진 회사로 삼성전자와 자본관계와 지배관계가 있다.
삼성전자의 임원진과 사원은 삼성전자계열의 회사로 옮기며 삼성전자계열은 삼성전자의 조직을 물려받는다. 따라서 삼성전자의 조직력이 삼성전자계열까지 닿는다.
삼성전자계열은 삼성전자를 따르면서도 삼성전자와는 다른 일을 한다. 그리고 삼성전자를 도우면서도 다른 삼성전자계열끼리도 돕는다.
삼성전자계열은 G-ERP(글로벌 전사적자원관리)로 삼성전자와 다른 삼성전자계열끼리 이어져있다. 세계의 모든 삼성전자의 조직이 재무, 인사 , 회계, 물류를 하나로 묶어 같은 시스템으로 일한다.
3.1. 세메스
자세한 내용은 세메스 문서 참고하십시오.3.2. 삼성전자서비스
자세한 내용은 삼성전자서비스 문서 참고하십시오.3.3. 삼성전자판매
자세한 내용은 삼성전자판매 문서 참고하십시오.3.4. 삼성전자로지텍
3.5. 삼성디스플레이
자세한 내용은 삼성디스플레이 문서 참고하십시오.삼성디스플레이는 삼성전자의 부문인 삼성전자 SDC부문이며 삼성전자계열이다.
3.6. 삼성메디슨
자세한 내용은 삼성메디슨 문서 참고하십시오.3.7. 삼성전기
자세한 내용은 삼성전기 문서 참고하십시오.3.8. 삼성SDI
자세한 내용은 삼성SDI 문서 참고하십시오.3.9. 삼성SDS
자세한 내용은 삼성SDS 문서 참고하십시오.4. 철수한 사업
4.1. 프린팅솔루션 사업부
8도트 프린터부터 프린터 사업에 뛰어든 나름 업계의 올드비. CE부문 산하 프린팅솔루션 사업부가 별도로 존재했으며 2000년대 중반에만 해도 이건희가 직접 신수종 사업으로 지목할 정도로 꽤 밀어줬었다. 매각 당시를 기준으로 매출 2~3조원, 국내외 인력 6,000여명(국내 2,000명) 정도의 외형을 지녔으나 수익은 만년 적자였다고. 특히 레이저 프린터 시장에서는 중저가 제품을 바탕으로 물량 기준 세계 1위였고 전체 프린터 시장에서도 5위까지 점유율을 끌어올렸었다.도트 매트릭스 프린터 시절에는 어느정도 입지를 구축하는가 싶다가 1990년대의 잉크젯 프린터 시대로 넘어오면서 잉크젯의 트라이어드 휴렛팩커드- 캐논 - 엡손의 그늘에 가려 버리는가 싶더니 레이저 프린터에 일찍부터 투자해 온 것이 2000년대 들어오면서 주효하면서 잉크젯은 휴렛팩커드 지만 레이저는 삼성이라는 양강 구도를 국내에 정착시키는데 성공한다. 세계적으로도 입지 구축에 성공한 편.
2000년대 후반의 컬러 레이저 프린터 붐에도 성공적으로 대응하면서 시장에 안착하는데 성공했다. 여기에 스마트화가 진행되면서 타이젠 OS를 달고 갤럭시나 다른 스마트폰으로 연동까지 한다. 지금은 삼성전자 CE 가전부문의 미래산업 IoT 스마트 홈 사업의 일부로 약진하고 있다.
그런데 2016년 9월, 프린터 사업을 휴렛팩커드에 매각을 추진하고 있다고 했다. 관련기사 아직 구체적인 인수합병(M&A) 금액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업계에서는 2조 원 대로 추정하고 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세계 시장에서 1등을 할 수 있는 사업에만 집중한다"는 경영철학을 바탕으로 비주력 사업은 매각하는 추세라 프린터 사업이 점차 사양산업으로 접어들고 있고, 프리미엄 시장 점유율 확대도 쉽지 않은 B2B 영역이라 삼성 전자 내부적으로 고민 끝에 매각을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2016년 9월 12일, 프린터 사업을 휴렛팩커드에 10억 5천만 달러에 매각하는 것에 합의했다. 이로써 프린터 사업도 정리되었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HP가 사라지고 삼성 브랜드로 판다. # 정확히 잉크젯 프린터만 HP 제품을 삼성 브랜드로 판매한다.
레이저는 기존대로 HP로고로 판매하기 때문에 한국에서 HP브랜드가 사라진다는 것은 잘못. 의외로 휴렛팩커드가 삼성전자에 인수되었는 식으로 잘못 알고있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다. 어쨌든 세계 PC 및 랩탑 점유율에서 1~2위를 왔다갔다하고 세계 프린터 사업에서도 엄청난 저력을 가진 대기업인 HP이지만, 한국 내수에서는 삼성을 앞세우는 쪽이 더 장사가 수월할 것이라 판단한 듯하다.
그런데, 2018년 7월 갑자기 삼성 잉크젯 플러스라는 무한잉크 프린터를 내놓았다. 이전까지 삼성 프린터에 무한잉크는 없었던 만큼 기대받고 있다.
최근에 판매되는 프린터 중 보급형 모델인 SL-J16xx계열 프린터의 제품설명에 정부민원서류 출력을 지원하지 않는다고 쓰여있으나 실제로는 이 모델들도 정부민원서류 출력이 가능하였으며. 민원24의 지원불가프린터목록에도 해당 모델은 없었으나 2019년 6월 확인결과 이들 모델도 지원불가 프린터 목록에 포함되었다.[49]
이번에도 SL-J166x얘기. 이 프린터를 USB 3.1 Gen1(=3.0)포트에 연결할 경우 스캔 기능이 먹통이 될 수 있다. 반드시 USB 2.0포트에 연결하도록 하자.
(일부 고급형 보드의 경우 키보드/마우스용을 제외한 모든 후면 USB포트가 3.1 Gen1인 경우가 있다. 이럴 경우 전면 USB포트에 연결하거나 USB 2.0 브라켓을 따로 설치해야 한다.)
여담으로 삼성전자 홈페이지에서는 삼성 프린터 드라이버의 다운로드 수가 지금도 꽤 되는 걸 보면 여전히 인기가 매우 높다.
4.2. 디지털이미징사업부
IM부문 산하 '디지털이미징사업부'가 따로 존재했었다.과거에는 소위 브랜드빨로 팔리며 가끔 나오는 고급형들은 '광학의 삼성'[50]이라 놀림 받았으나 이건희의 한마디 이후로 상당히 품질이 상승했다. 한때는 미러리스 부문에서는 일제 카메라보다 낫다는 평까지 들었다.
그런데 2015년 말 카메라 사업부를 축소하기 시작했다. 이때부터 NX시리즈의 개발중단 루머가 떠돌았으나 2016년 1월에 신제품을 발표한다는 기사가 떴다. # 12월 2일 니콘에 NX마운트를 팔았다는 루머가 떴지만 단순 루머였던 듯.
이후 2016년 7월 부근에 전국 디지털 프라자에서 카메라와 렌즈들을 저가에 재고 처리해버리면서 NX시스템의 부활을 꿈꾸던 유저들의 뒤통수를 제대로 후려갈겨버렸다.
2017년 4월 삼성전자는 디지털카메라 시장에서 철수했다. # ##
카메라 철수 당시 예측되었던 그대로 삼성은 그동안 쌓아왔던 카메라 센서와 이미지 프로세싱 노하우를 스마트폰 카메라에 대거 적용하기 시작했고, 갤럭시 S6 이후로 iPhone 시리즈를 제치고 크게 좋아지기 시작해서 갤럭시 S7에 들어서는 매번 동세대 안드로이드 원탑을 놓치지 않는 수준에 이르렀다. 하지만 구글이 기계학습 기술로 순식간에 삼성을 능가하는 이미지 프로세싱 기술을 적용한 구글 픽셀 시리즈로 맹추격을 시작해서 앞선 하드웨어 기술을 내세워서 유지해왔던 원탑의 지위가 다시 흔들리는 중.
어느정도 노하우가 쌓였는지 새로운 전문장비도 제작한다. 프로젝트 비욘드 문서 참조.
4.3. 게임기
1980년대 후반 ~ 1990년대 중반까지 세가의 가정용 게임기를 정식발매했었다.- 세가 마스터 시스템: 정발명 겜보이 → 겜보이2 혹은 알라딘보이
- 메가드라이브: 정발명 슈퍼 겜보이 → 슈퍼 알라딘보이
- 메가 CD: 정발명 CD 알라딘보이
- 세가 새턴: 정발명 삼성 새턴, 라이선스 생산
- 게임기어: 정발명 핸디 겜보이 혹은 핸디 알라딘보이
- 피코: 따로 정발명을 짓지 않고 피코 그대로 발매
- 엑스티바: 세가가 만든 건 아니고 미국 회사에서 만든 것을 발매했다. DVD 플레이어 겸 게임기였지만 판매는 부진했다.
4.3.1. HMD (VR)
2013년부터 삼성은 VR, HMD에 적극 진출하고 있는데 해당 분야에서 영상 감상과 함께 주력 컨텐츠로 꼽히는 것이 게임인 만큼 간접적으로나마 다시 발을 담궜다고도 볼 수 있겠다.4.4. 게임 유통
게임 소프트웨어를 한글화해서 발매하기도 했다. 당시로서는 드문 시도였다.- 알렉스 키드 인 미라클 월드[51]
- 알렉스 키드 천공마성
- 스토리 오브 도어
- 라이트 크루세이더
- 신창세기 라그나센티
- 판타시 스타[52]
- 리븐(게임) - 매뉴얼 한국어화 [53]
- 화랑의 검[54]
- 발더스 게이트
- 파이널 판타지 7
- 플레인스케이프 토먼트
자체 개발 게임 우주 거북선과 시티 히어로즈(발매취소)도 있었는데 각각 타수진과 베어너클의 표절작이었다(...)
국산 게임 유통을 맡은 게임도 있었는데, 90년대 생이라면 이름만 대면 아는 작품이 여럿 있을 것이다.
4.5. 서버사업팀
거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지만 2000년대 중반까지 x86 서버 사업을 적극 전개했었다. 별도의 '서버사업팀'을 두고 있었고[55] 국내 시장 점유율 10%를 달성했다고 한다. 기사 그러나 2000년 중후반 들어 수익성이 악화되며 전면철수하였다. 기사4.6.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로지(TSST)
도시바와 합작하여 2004년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로지(Toshiba Samsung Storage Technology, 약칭 TSST)를 세웠다. 양사의 합작사지만 1대 주주는 도시바 지분 51%이며 삼성전자 지분 49%으로 ODD인 CD-ROM 제조 사업을 하고 있다.다만 국내에서는 LG전자- 히타치 합작사[56]의 강력한 위세에 눌리고 HLDS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고장률과 낮은 인식률 문제 등으로 만년 콩라인으로 까이는 신세를 면치 못하다가 이후 나름 입지를 구축하는데 성공하여 2006년 세계시장 점유율 24.1%로 2위를 달성하고 2009년에는 TSST와 HLDS 두 회사가 세계시장 점유율을 60% 넘게 차지했다. 그러나 블루레이 이후로 ODD 기술 자체가 사양 화 되면서 승리의 의미는 이미 퇴색된 상황이었다. 결국 2014년 삼성전자는 TSST의 지분 49%를 ODD용 부품 제조업체인 옵티스에게 매각하여 ODD 사업에서 손을 떼었다.
2016년에는 ODD의 A/S를 TSST로 완전히 이관했다. 문제는 이후 TSST도 망한 상태라 A/S 받을 방법이 없다.
4.7. HDD 사업부
삼성전자의 하드디스크는 저렴하기 한데 별로라는 인식도 있었고 성능은 비슷한데 가격은 더 비싸다는 상반된 인식도 있었고, 타 제품들에 비해 오류가 많이 난다는 인식도 있었으며 소음이 심하다는 인식도 있었다. 심지어는 삼성의 PC에 삼성하드가 안 들어간다는 걸로 삼성하드를 까는 경우도 있었다.[57][58] 문제는 그러한 인식들은 사실상 현존하는 모든 업체의 하드디스크에서도 한번씩 언급된 내용들로 어지간히 치명적인 이슈들이유야 어쨌든, DRAM 시장과는 달리 삼성이 하드디스크 시장에서 주도권을 가진 적은 사실상 없었고 결국 삼성은 2011년 4월 하드디스크 디비전을 시게이트에 매각하게 되었다. 이로써 삼성전자는 시게이트의 2대 주주가 되었고[59], 이제 웨스턴 디지털, 시게이트와 도시바 밖에 안 남은 상황.
매각한 이유는 일단 돈 안 되는 HDD 부분을 매각하고 SSD에 주력하기 위해서 사업을 갈아 엎는 첫 단계라고 볼 수도 있겠는데, 결국 2000년대 이후로 인수합병 등으로 규모의 경제를 실현한 시게이트나 웨스턴디지털과는 달리 점유율에서 시종일관 밀리면서 하드디스크 단가하락을 견디지 못하여 결국 사업을 접은 게 아닌가 추정되는 상황.[60] 삼성은 시게이트에 낸드 플래시 메모리를 제공하고 시게이트는 삼성의 PC 등에 하드디스크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하드디스크를 사용하다가 고장이 났을 때, 집 근처의 삼성서비스센터로 달려가 손쉽게 리퍼제품으로 교환받을 수 있다는 점은 장점이었다고 한다. 왜냐하면 타 업체 제품들은 용산AS센터에 가서 교환해야 했으니까. 다만 1990년대에는 의외로 AS가 쉽다는 점이 크게 작용해서 용산 조립 업체에서도 비교적 선호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1]
우스개소리로 “전세계 IT기업의 절반은 삼성과 경쟁하고, 나머지 절반은 삼성으로부터 부품을 공급받는다.” 는 말이 이 사실을 잘 표현하고 있다. 심지어 삼성의 최대 경쟁자인
Apple조차 삼성의 부품을 공급받는 관계이다.
[2]
오래전에 사양산업화되어 생산중단, 본 문서에 들어있지 않은 분야이거나, 대기업이 맡기에는 부적절하여 분사한 부문까지 보면 그 범위는 더 커진다.
FDD, 플로피 디스켓이나 비디오 테이프 등의 자기기록매체, PC용 키보드 등.
[3]
단, 자사 TV에 쓰이는
LCD 패널의 경우 사업 철수와 가격 경쟁력으로 인하여 CSOT, BOE 등의 중국 기업에게 조달 받아 사용하고 있다.
[4]
다만 이로 인해 오랫동안 만성적으로 쌓여온 대일 무역적자에 상당수 기여하기도 했다.
[5]
TV,
모니터,
오디오 등.
[6]
VD 외 가전.
[7]
스마트폰, 태블릿, 웨어러블, 노트북 등.
[8]
RF 칩, 통신장비 등.
[9]
DRAM과
NAND.
[10]
2018년 기준 100억 달러 매출을 돌파했다고 한다.
# 2023년 트렌드포스 매출 추정치는 139억 8,900만 달러다.
[11]
CMOS, 모바일AP, DDI,
MCU 등.
[12]
콕핏,
텔레매틱스,
스피커 등.
[13]
명암비 면에서
OLED가 유리하다는 의미이다.
[14]
빅스비,
스마트싱스 기능을 빼고 스마트TV로서 본연의 기능에 충실한 보급형 라인업인 '시리즈 7', 빅스비, 스마트싱스 기능을 탑재하고 화질을 강화한 메인스트림 라인업인 '시리즈 8', 그리고 QD-LCD 패널과 로컬 디밍 기술를 탑재한 프래그쉽/하이엔드 라인업인 "시리즈 Q6, Q7, Q8, Q9" 등.
[15]
물론, Q9, Q8 라인업은 좋은 평가를 받았다.
[16]
현재 삼성전자는 UHD 얼라이언스의 표준 기술인 'HDR10+'만을 밀고 있다. 참고로 'HDR10+'은 6xxx 시리즈을 제외한 거의 모든 삼성 TV 제품군에 기본 탑재되어 있다.
[17]
다만 7시리즈는 돌비 비전 미지원.
[18]
DTS의 경우 DTS 지원하는 AV리시버 사용하면 됨. 플레이어들을 리시버의 입력단자(보통 4개까지 연결가능)에 모두 연결하고 리시버을 TV의 HDMI-ARC 입력단자에 연결하면 된다. 이 경우에는 리시버에 연결된 장치들에 한해서 DTS 기능이 제대로 작동된다. 다만 돌비 비전은 천만원을 육박하는 OLED에서만 제대로 돌아간다.
[19]
삼성에서는 DynaFlat이라고 했다.
[20]
뱅앤울룹슨 a8이랑 비슷하게 생겼지만 적어도 한국 내에선 경쟁품이라는 소리를 들을 정도로 잘 만든 편. ep-1의 출고가가 그 당시 99,900원이였지만.. a8과는 또 다른 음색을 보였다. 이 이어폰의 음질부분을 담당했던 사람은 이후 유코텍이라는 회사를 설립하여 ES-103이라는 더블돔 진동판을 저가형에 탑재한 이어폰을 만들어내 씨코 등의 커뮤니티에서 큰 이슈를 만들어냈고, 지금도 이 회사는 유비코라는 브랜드로 이어폰을 계속해서 생산하고 있다.
[21]
이 루트를 잘 탄 유선 이어폰은 SHE D30으로, 사이렌 BA제품인 주제에 최저가가 만원 후반대다.
[22]
삼성 파운드리의 매출 절대 다수가 자사 LSI 사업부와 퀄컴의 수주로부터 나온다. 그 외 구글과 기타 인겅지능 칩 제조사들을 고객으로 두고 있다.
[23]
예를 들어
삼성 Z1이라든지
삼성 기어 S2. 애초에 '갤럭시'라는 브랜드 자체가 안드로이드를 탑재한 모바일 기기를 위한 브랜드명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안드로이드-갤럭시와 같은 연관 관계를 가진 네이밍이 되었다. 이는 타이젠 이전 삼성이 개발하던 자체 OS인
바다의 탑재 기기 네이밍이 'Wave'인 것으로 알 수 있다.
[24]
사진의 출처의 사람은
이 곳이다. 링크에서 볼 수 있는데, 무려 486 컴퓨터인 SPC 5800에
SSD를 다는 획기적인 실험을 시도했다.
[25]
울트라북은 아직 등장하기 전이다.
[26]
2016년 출시된 노트북9 metal(NT900X5L-K58)
[27]
그렇다고 아예 AMD CPU를 쓰지 않은 것은 아니다. 2010년대 초중반까지 AMD 노트북을 소수 출시했었고,
라이젠 5 2500U를 탑재한 제품도 만든 적이 있다.
[28]
삼성 PC로 개편 전 삼성 시리즈 라인업에 편성되어 있었다.
[29]
스마트폰 시장처럼 상위 10개 기업까지 늘리면 TOP 10 안에는 들어간다.
[30]
참고로 당시 학생들은 MSX 호환 기종을 가장 좋아했다. 롬 카트리지만 끼우면 게임머신으로 탈바꿈하기 때문.
[31]
IBM PC AT가 메이커PC의 주력일 때 용산에서는 같은 사양의 PC를 절반값에 살 수 있거나 386을 같은 값에 주고 살 수 있었다.
[32]
파워의 경우 삼성에 들어가는 OEM 파워들은 용량은 작지만 효율이 좋은 편이다.
[33]
동시기
LG전자는
HP에 ODM을 하고 있었고,
IBM의 ThinkPad를 OEM 생산하고 있었다. 근데 지금 하는거 보면 그때 뭐한건가 싶다.
[34]
그래픽 카드를 대개 GTS/X x50 또는 그 동급 라인업으로 탑재하던 기존 삼성 데스크탑 제품군과 달리 무려 GTX 1070이 탑재되었다.
Dell의 에일리언웨어 오로라 데스크탑과 비슷한 라인이라 보면 된다. 그러나 CPU가 한 세대 뒤쳐진 스카이레이크 모델이라는 게 흠이다.
[35]
동 스펙 대비 델 인스피론, MSI, 레노버 등에 비해 몇십만원씩 차이나는 심각하게 떨어진 가성비를 자랑하고 있다.
[36]
터치스크린과
S펜을 지원한다!
[37]
DX 사업부와 자산 규모가 비슷한데, DS를 통해 창출하는 부가 가치가 훨씬 높다. 이렇다보니 삼성은 DX를 통해 창출한 현금 흐름 대부분을 DS에 쏟아 붙고 있는 것이다.
[38]
그나마 위안거리인 점이라면, 삼성전자는 하이닉스보다 자본 동원력이 뛰어나고 중국으로 향하는 수출 비중이 비교적 적은 편이다.
[39]
출처
[40]
embedded Package On Package
[41]
1998년 이후 처음
[42]
#,
#,
# 등과 같이 컴퓨터 관련 커뮤니티에서 삼성 DDR5로 검색해보면 험악한 분위기를 쉽게 알 수 있다. 유튜브에서도 '삼성 DDR5'까지만 입력하면 바로 '불량'이라는 검색어가 붙는다.
[43]
물론, 규격상 스펙만 충족한다면 그 제품을 불량이라 칭할 순 없다. 하지만 과거의 삼성 RAM은 물량 걱정 없이 합리적인 가격에 구매할 수 있으며, 오버클럭 여유가 꽤 높은 제품으로 정평이 나있었기 때문에, 스펙만 딱 충족하는 모습에 호평을 보내기 어려운 것은 사실이다.
[44]
특히, SK-hynix의 DDR5 SDRAM의 품질이 뛰어나 동일한 스펙의 삼성 제품보다 더 비쌈에도 불구하고, 판매량이 더 많은 상황이다. 또한, SK-hynix 스스로도 품질 관리에 자신이 있었는지 자체적으로 오버헤드룸 여유가 큰 제품(일명 A다이, 1a 공정 기반)을 선별해 더 비싼 가격으로 출하하고 있다. 이와 함께, 그동안 국내에선 듣보잡으로 여겨졌던 에센코어, 패트리어트 등의 브랜드가 파격적인 조건(패트리어트는 SK-hynix의 칩을 납품받아 완제품 SDRAM을 제조하는데, A다이 중에서도 다시 오버헤드룸 여유가 극단적으로 큰 칩만 선별하고 오버클럭 락을 걸지 않은 제품을 국내에 삼성전자 SDRAM과 동일한 가격격이라는 정말 파격적인 정책을 취하고 있다.)과 가격에 국내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45]
ARM 명령어셋만 차용하며 Cortex와는 별개가 된다.
[46]
엑시노스의 아쉬운 퀄리티는 2020년대 들어서 위기를 맞고 있는 무선사업부의 주원인 중 하나라는 평가를 받는다.
[47]
한편 삼성도 액정에 쓰이는 강화유리를 애플로부터 대량으로 구매하는 고객사이다. 동종업계 라이절이지만, 서로에게 필요한 부품을 팔면서 상부상조하고 있다.
[48]
이런데도 중국 업체들이 살아남은 것은 중국 정부의 강력한 보조금 정책이 있기 때문이다.
[49]
그런 경우에는 HP의 K550의 드라이버를 설치한 후에 연동시키면 된다.
[50]
렌즈질만 좋은 걸 쓰지 실성능은 심히 뷁스러움을 놀리던 말. 근데 가끔은 렌즈도 별로여서..
[51]
국내 최초의 한글화 게임이다!
[52]
정발명이 '환타지 스타'이다...
[53]
미스트(게임)은 우영소프트에서 본편 한국어화 발매
[54]
원제는 검성전(剣聖伝). 번역과 동시에
사무라이가 나오고 일본이 배경으로 등장하는 게임을
화랑이 나오고 한국을 배경으로 한 게임으로 로컬라이징하였다.
[55]
지금은 사라진 컴퓨터시스템 사업부 산하 조직으로 추정. 컴퓨터시스템 사업부는 프린터 사업부와 합쳐져 IT솔루션사업부가 되었다가, 다시 프린터 사업을 뱉어내고(이후 HP에 매각) 무선사업부 내에 PC사업팀으로 격하되었다.
[56]
Hitachi LG Data Storage.(약칭 HLDS/혹은 부팅시 나오는 HL-DT-ST로도 나온다) 역시 양사의 합작사지만 1대 주주는 히타치 지분 51%이며
LG전자 지분 49%.
[57]
삼성하드가 삼성PC에 안 들어가는 게 아니라 일부 제품에만 들어가는 게 와전된 것으로 밝혀졌다. 명시적 스펙이 비슷할 경우 가격과 납기에 따라 채택이 결정되는 부품수급의 사정상 당연한 현상.
[58]
하지만 삼성테크윈의 DVR에는 진짜로 삼성하드가 안 들어간다. 같은 그룹이라고 해도 회사가 다르니 그럴 수 있다고 할 수도 있지만 DVR 분야에서는 제조사 및 기종 불문하고 삼성하드는 기피하며, 심지어 CCTV 업계에서는 호환성 문제 때문에 삼성하드가 타사 제품보다 가격이 더 싸더라도 어지간해서는 들여놓지 않는다. 처음부터 인식이 안되면 그나마 다행인데, 잘 쓰다가 갑자기 인식이 안되는 경우가 대다수라 문제가 없는 줄 알고 설치했다 막상 필요할 때 꺼내보려면
냉무...
[59]
기업들이 인수 미각을 할때 자금이 없으면 보통 주식으로 거래를 한다.
[60]
그리고 북미권 업체들이 아시아 쪽 업체들과 가격경쟁으로 승부하여 승리를 거머쥔 비교적 드문 사례로 남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