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 엔드 드래곤 관련 틀 | |||||||||||||||||||||||||||||||||||||||||||||||||||||||
|
사이버 엔드 드래곤 | ||
|
||
등장 시리즈 | <colbgcolor=#fff,#191919> GX | |
사용 캐릭터 | 마루후지 료 | |
첫 수록 | 사이버 혁명 | |
서포트 | 융합 | |
소속 테마군 | 사이버 드래곤 | |
재정 | OCG DB Q&A | |
난 패에 있는 사이버 드래곤 3장을 융합. 나와라, 사이버 유파 오의! 사이버 엔드 드래곤! 俺は手札のサイバードラゴン3枚を融合。出でよ、サイバー流の奥義!サイバー・エンド・ドラゴン! |
||
크크크.....나와라! 사이버 엔드 드래곤!! ククク……出でよ!サイバー・エンド・ドラゴン!![1] |
1. 개요
유희왕의 최상급 융합 몬스터 카드.2. 설명
2.1. 원작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서 마루후지 료의 최고 에이스 몬스터이자, 이름에 걸맞게 사이버 드래곤의 최종 형태이다. 사이버 드래곤의 진화형은 사이버 레이저 드래곤, 사이버 베리어 드래곤, 키메라테크 등 여러 가지가 있지만 정통 진화를 따지면 역시 이 카드가 종착지점일 것이다.료가 듀얼할 때마다 무슨 수를 쓰던 튀어나오는 명실상부한 료의 주력 결전병기 역할. 정말 갖가지 방법으로 튀어나왔다. 주된 콤보는 파워 본드를 이용한 공격력 2배 올리기.
51~52화에서는 융합 몬스터임에도 불구하고 듀얼 한 판에 5번이나 필드에 소환되면서 좀비스런 모습을 보였다.[2][3] 그리고 그 듀얼에서 유우키 쥬다이의 엘리멘틀 히어로 샤이닝 플레어 윙맨을 상대로 순간 최대 공격력 36900을 기록한다.[4] 이는 GX 시리즈 최고 공격력 기록. 이 기록은 GX 본편이 끝날 때까지는 물론 그 다음 시리즈인 5D's 에서조차 깨지지 않았지만[5] 유희왕 ZEXAL에서 No.39 유토피아 시리즈가 204000이라는 최고 기록을 경신해버려서 1위 자리를 내주었다.
2기에서는 상당히 박한 대우를 받았다. 에드 피닉스와의 듀얼에서 최종병기로 등장했으나 샤이닝 피닉스 가이에게 박살나 료에게 패배를 안겨주었고, 지하 듀얼에서도 료가 발악하여 소환하긴 했으나 매드 독 이누카이의 슬라임 홀에 의해 파괴되고 궁지에 몰릴대로 몰린 료의 키메라테크 오버 드래곤의 융합 소재로 쓰였다. 사메지마 교장과의 듀얼에서는 공격력이 상승한 사이버 오우거 2에 의해 파괴되어버렸다. 료가 사이버 다크를 얻은 이후에는 퓨전 가드를 발동할 때마다 엑스트라 덱에서 묘지로 가기도...[6]
그래도 3기에서는 2기에서의 부진을 만회할 정도의 활약을 보어주었는데 레인보우 드래곤을 얻기 위한 요한과의 듀얼에서 료의 비장의 몬스터로 등장했다. 이차원에서는 십중팔구 이 카드를 소환하여 패왕군의 듀얼리스트들을 압살해버리기도 했고, 카오스 소서러와의 듀얼에서는 공격력 3500의 좋은 몬스터를 쓰러트려 료의 승리에 기여하기도 했다. 암흑사도 요한과의 듀얼에서는 궁극보옥신 레인보우 다크 드래곤을 상대하기 위해 마지막에 꺼내들었고 파워 본드+ 사이버네틱 존 콤보로 공격력 16000을 찍으면서 카이저의 각오를 보여주었다.
GX 종료 후의 이야기를 다룬 극장판 극장판 유희왕 시공을 초월한 우정에서는 이 카드를 강탈한 패러독스에 의해 만들어진 그림자 Sin 사이버 엔드 드래곤이 주인공들의 앞을 가로막는다. 그런데 어째서인지 광선 공격이 화염탄으로 바뀌는 이상한 사태가 발생한다.
코믹스판 GX에서는 료가 이 카드 대신 사이버 엘타닌을 결전병기로 사용했지만, TV 뉴스에 료와 함께 나와 있는 장면이 있는 것을 보면 일단 갖고 있긴 한 모양이다.
공격명은 ' 이터널 에볼루션 버스트(Eternal Evolution Burst)'
2.2.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일반판 | 아카데미아 듀얼 디스크 스페셜 동봉판[7]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효과=,
한글판명칭=사이버 엔드 드래곤,
일어판명칭=サイバー・エンド・ドラゴン,
영어판명칭=Cyber End Dragon,
속성=빛, 레벨=10, 공격력=4000, 수비력=2800, 종족=기계족,
소재="사이버 드래곤" + "사이버 드래곤" + "사이버 드래곤",
효과외1=이 카드의 융합 소환은 상기의 카드로밖에 실행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수비 표시 몬스터를 공격했을 경우\, 그 수비력을 공격력이 넘은 만큼만 상대에게 전투 데미지를 준다.)]
부스터 팩 사이버 혁명의 커버 카드. 커버 몬스터 중 최초의 레벨 10인 동시에 최초로 공격력 4000대를 기록한 몬스터였다.[8]
성능을 보면 공격력 4000이라는 오벨리스크의 거신병에 필적하는 엄청난 공격력에 관통 효과까지 지닌 강력한 어태커로 확실히 최종 진화형의 포스를 풍겨주긴 하지만, 사실 엄밀히 따져 보면 별로 좋은 성능은 못 된다. 4000의 관통 어태커가 약한 건 아니지만 이 카드의 소환 난이도와 소모하는 카드의 수, 그리고 자체 내성 등을 따졌을 때에 현 환경은 물론 출시 당시에도 하위 형태인 사이버 트윈 드래곤이 더 효율성이 높다고 평가받았다.
발매 초기에는 오히려 사이버 융합 덱보다 이 카드의 변칙 소환만을 노리는 덱들에서 자주 볼 수 있었는데, 과거 데블 프랑켄이나 메탈 리플렉트 슬라임+ 돌연변이 콤보 등으로 갑툭튀해서는 거대화, 리미터 해제 먹이고 원턴킬을 때리는 패턴이 자주 보이기도 했지만 데블 프랑켄과 돌연변이가 금지된 이후로는 불가능해졌다.
예전엔 프로토 사이버 드래곤의 특수 소환에 지옥의 폭주소환을 걸면 필드에 사이버 드래곤 4장이 늘어서게 되니 이 카드의 소환을 생각할 경우 그쪽을 많이들 노렸다. 문제는 저 특수 소환 수단이 범용 소생계 말고는 별로 없었다는 것. 샤이닝 엔젤의 리쿠르트 효과에 대해서는 데미지 스텝이라 지폭소를 발동할 수 없다.
지금은 하급 사이버 드래곤들에 기계 복제술을 사용하면 바로 3장의 소재를 필드에 모을 수 있다. 현실적으로는 가장 빠른 방법이다. 그 외엔 사이버 다크 키메라를 사용하여 묘지의 소재도 써먹는 방법이 있다.
정규 소환하려면 카드를 최소 4장이나 소모하고 나와야 하는데다가 설상가상으로 융합 소재 대체 몬스터조차 사용이 불가능하다. 각종 지원 카드의 등장으로 융합 소재를 모으는 것까지는 비교적 편해졌지만, 이 카드가 소환 가능한 상황에서 꺼낼 수 있는 더 우수한 융합 몬스터도 늘어났다.
H-C 엑스칼리버 등 훨씬 손쉽게 이 카드와 동급 이상의 공격력을 뽑아낼 수 있는 카드들이 많이 나왔기에 높은 공격력도 그리 대단한 장점은 아니게 되었다. 기본으로 관통 효과도 있지만 듀얼의 속도가 빨라지고 몬스터가 금방금방 정리되는 현 환경에서는 수비 표시 몬스터를 만나보기도 전에 제거되어 발휘해볼 기회가 없는 경우도 있다.
물론 사이버 드래곤 덱에서 저런 몬스터들을 소환하긴 힘드니 저런 것들과 비교해서 기죽을 필요는 없지만, 가장 큰 문제는 사이버 드래곤 덱 내에서도 보통 이 카드보다 사이버 트윈 드래곤, 키메라테크 램페이지 드래곤이 더 우선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이 카드를 뽑을 수 있는 상황이라면 반드시 트윈/램페이지 드래곤도 뽑을 수 있는 상황인데, 오히려 트윈 드래곤이 이 카드보다 더 대단한 일을 해낼 수 있는 경우가 많다. 더블어택 효과로 1번에 여러 마리의 상대 몬스터를 쓰러뜨릴 수 있으며 공격이 통하는 경우 보통 이 카드보다 더 높은 총 전투 데미지를 기대할 수 있다.
정말 단순하게 비교해봐도 사이버 트윈의 총 공격력은 2800×2=5600으로 이 카드의 4000을 훨씬 능가하며 수비 표시 몬스터가 있는 경우라도 수비력이 1200보다 낮지 않은 이상 여전히 사이버 트윈의 전투 데미지가 더 높다. 여기에 아직 융합을 하지 않은 사이버 드래곤 1장이 더 있을 수 있다는 점까지 생각하면 보통 이 카드를 뽑을 수 있는 상황이 와도 사이버 트윈을 선택하게 된다. 비슷하게 공격력 2400 이상의 키메라테크 오버 드래곤도 뽑을 수 있는데 이쪽 역시 이 카드의 차례를 빼앗아가기 쉽다. 마함파괴에 묘지덤핑, 3단 공격이 가능한 키메라테크 램페이지 드래곤이 나온 이후로는 아예 사이버 트윈의 차례마저도 오지 않는 편.
그래도 전투 내성을 지닌 수비 표시 몬스터가 나왔거나, 고타점 몬스터가 나왔을 때, 정말 단 한번의 공격으로 끝내야 할 때는 트윈 드래곤보다는 이 카드가 진가를 발휘할 수 있다. 이래저래 단점들이 많고 우선적으로 소환을 노리며 주력으로 쓰기에는 힘든 무거운 몬스터지만, 애정이 있다면 채용해서 아예 못 쓸 카드는 아니다.
사이버 다크 엔드 드래곤의 융합소재이기 때문에 사이버 다크 엔드 드래곤이 엑스트라덱에 융합강병을 사용해서 엑스트라 덱에서 간편하게 소환이 가능하다.1
상술한대로 현재 환경에서는 주력으로 쓰이지는 않지만 덱에 보험용으로 하나 넣어두는 편인데, 다름아닌 사이버 드래곤 노바 때문이다. 노바에서 겹쳐 나오는 사이버 드래곤 인피니티까지 가기 전에 상대방이 어떻게든 견제로 엑시즈 자체를 틀어막기 위해 소재를 날려버리거나, 정 여의치 않은 상황에서 노바를 날려버리는데 이때 노바가 묘지로 날아갈 경우 노바의 유언 효과로 덱에서 튀어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상대 플레이어들이 섣불리 노바를 치우지 못하게 억제하는 상징적 역할로도 충분하다고 볼 수 있는 셈.
이후 표리일체가 발매됨에 따라 키메라테크 메가프리트 드래곤으로 상대 엑몬존의 몬스터를 먹고 이 카드로 바꿔치기 할 수 있게되어 채용가치가 더욱 상승했다.
일단 융합 소환 시의 소재에만 제약이 달려 있고, 정규 소환을 하고 나면 소환 제약이 전혀 없어서, 소생 시킬 수 있다.
연관 카드인 Sin 사이버 엔드 드래곤은 매우 간편한 소환 조건으로 높은 파워를 낼 수 있어 높은 평가를 받으며 필드 마법을 쓰는 덱에서 잘 쓰였었다. 그리고 원본인 이 카드도 Sin 사이버 엔드의 소환 소재용으로 쓰이기 위해 이런저런 덱의 엑스트라 덱에 채용되기도 했다. 또한 사이버 다크 엔드 드래곤의 소환을 위해 사이버 다크니스 드래곤에게 장착시킬 용도로 채용하여 덤핑시키기도 한다.
2.2.1. 수록 팩 일람
다른 일러스트(1)로 표기된 것이 섀도우 버전 일러스트 카드다.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사이버 혁명 | CRV-KR035 |
울트라 레어 얼티미트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듀얼리스트 팩 -헬카이저편- | DP04-KR012 | 레어 | 한국 | |
듀얼 디스크 동봉 | DSK2-KR002 | 시크릿 레어 | 한국 |
다른 일러스트(1) 절판 |
하이 그레이드 팩 Volume 4 | HGP4-KR036 | 울트라 레어 | 한국 | |
CYBERNETIC REVOLUTION | CRV-JP036 |
울트라 레어 얼티미트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수록 절판 |
MASTER COLLECTION Volume 2 | MC2-JP001 | 시크릿 레어 | 일본 | 절판 |
듀얼리스트 팩 -헬카이저편- | DP04-JP012 | 레어 | 일본 | |
아카데미 듀얼 디스크 스페셜 세트 동봉 | ADDS-JP002 | 울트라 레어 | 일본 |
다른 일러스트(1) 절판 |
EXPERT EDITION Volume 4 | EE04-JP036 | 울트라 레어 | 일본 | |
몬스터 피규어 콜렉션 Volume 2 동봉 | MFC2-JP003 | 노멀 | 일본 | 듀얼 터미널 대응 |
Cybernetic Revolution | CRV-EN036 |
슈퍼 레어 얼티미트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
Duelist Pack: Zane Truesdale | DP04-EN012 | 레어 | 미국 | |
Dark Revelation Volume 4 | DR04-EN036 | 울트라 레어 | 미국 | |
Strike of Neos: Special Edition | STON-ENSE1 | 슈퍼 레어 | 미국 |
다른 일러스트(1) 절판 |
Legendary Collection 2: The Duel Academy Years |
LCGX-EN181 | 시크릿 레어 | 미국 | |
Legendary Collection 2: The Duel Academy Years |
LCGX-EN182 | 시크릿 레어 | 미국 | 다른 일러스트(1) |
Ra-Yellow Mega Pack | RYMP-EN060 | 레어 | 미국 | 다른 일러스트(1) |
Duelist League 17 참가상품 | DL17-EN010 | 레어 | 미국 |
2.2.2. Q&A
Q:융합 소환 이외의 방법으로,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습니까?A:예. 가능합니다.(05/05/26)
2.3. 유희왕 러시 듀얼
자세한 내용은 사이버 엔드 드래곤(유희왕 러시 듀얼) 문서 참고하십시오.3. 기타
생긴 것만 딱 봐도 알 수 있듯이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의 오마주. 이 카드의 사용자인 마루후지 료가 그야말로 카이바 세토를 (그것도 좋은 점만) 따온 캐릭터임을 잘 드러내주는 예.이 카드의 수비력인 2800은 사이버 트윈 드래곤의 공격력을 그대로 이어받은 것이다. 사이버 트윈 드래곤이 사이버 드래곤의 2100 공격력을 수비력으로 갖고 있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에서는 몬스터들이 듀얼리스트로 나오기 시작한 익스퍼트 2006때부터 거의 단골 캐릭터처럼 등장하여 사이버 드래곤 덱을 굴려온다. 3개의 머리가 각각 다른 자아를 가지고 행동하고 있다고 하나 역시 사람의 말은 하지 못하는 듯. 2009까지 빠지지 않고 CPU 듀얼리스트로 계속 등장해왔으나 유희왕 5D's 리버스 오브 아르카디아에서는 사이버 엘타닌과 사이버 드래곤에게 자리를 넘겨주고 등장하지 않았다. 그리고 유희왕 5D's 오버 더 넥서스에서는 아예 사이버류 몬스터의 계보가 완전히 끊겨버렸다. 그나마 소환시 전용 3D 연출이 나오는 건 계속 유지되고 있다.
애니에서 공격력 36900을 넘긴 카드로 유명하지만, 현실에선 그 이상의 안드로메다를 보여줄수있다. 공격력이 512000까지 올라가는 동영상(니코동 아이디 필요). 24분쯤 부터 나온다. 사실 작정하고 짜고 치면 최종 공격력이 1조 2천억을 찍는데, 영상을 보면 알 수 있듯 실제 듀얼로 써먹을 상황은 못 된다.
한글판 카드 중엔 이름이 명계의 마왕 하데스로 인쇄된 오류 카드가 존재한다.
엘리멘틀 히어로와 함께 GX를 상징하는 카드라 높은 인기를 자랑하지만, 정작 제작진 사이에선 경멸의 대상이었다고 한다. 이유는 가뜩이나 선이 많아서 그리기도 어려운데, 기계 특유의 금속 질감까지 살려야 해서 평균적인 작업량이 장난 아니었기 때문이었다고 한다. 그래서 당시 하청을 맡던 한국 제작진 사이에서는 그 새끼라는 멸칭이 붙었을 정도였다고 한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는 출시 당시에는 Live 2D 연출이 없었다가 2022년 5월 6일 업데이트로 연출이 추가되었다. 사이버 드래곤 내에서 연출이 존재하는 3개의 카드 중 하나로, 이 중에서는 두번째로 연출이 추가되었다. 나머지는 사이버 드래곤 인피니티와 사이버 다크 엔드 드래곤. 사이버 드래곤 주축 덱에서는 엔드보다 키메라테크 램페이지 드래곤이나 사이버 트윈 드래곤이 더 자주 쓰이는 것을 감안하면 확실히 사이버 드래곤의 얼굴마담 포지션을 톡톡히 하고 있다. 유튜브 광고에서도 사이버 엔드 드래곤의 Live 2D 연출을 내세우기도 했다.
4. 관련 카드
나름대로 고타점과 관통 효과가 있는 카드지만, 의외로 관련 카드에는 관통 효과와 관련된 카드가 1장도 없다.4.1. 융합 소재 몬스터
4.1.1. 사이버 드래곤
4.2. 기타 관련 카드
4.2.1. Sin 사이버 엔드 드래곤
사이버 엔드 드래곤이 Sin으로 변화한 형태.4.2.2. 사이버 이터니티 드래곤
4.2.3. 이터널 에볼루션 버스트
사이버 엔드 드래곤의 필살기 카드.4.2.4. 사이버 다크 엔드 드래곤
이 카드와 사이버 다크 드래곤을 융합 소재로 하는 융합 몬스터.
[1]
듀얼링크스 헬카이저 대사.
[2]
정규 융합 1번,
미래융합-퓨처 퓨전으로 1번, 파워 본드로 2번, 시간융합-타임 퓨전 1번으로, 총 5번 융합 소환된다. 이중 2번은 융합 해제했고 2번은 파괴당했으며, 마지막에는 비긴다. 료는 사이버 엔드 드래곤 카드를 2장 이상 무조건 가지고 있다는 증거.
푸른 눈의 백룡처럼 전세계에서 4장만 존재한다는 설정은 없어서 오류도 아니다.
[3]
그리고 52화에서 쥬다이의 콤보에 의해 사이버 엔드 드래곤이 파괴되고 료의 대사가 일품. "하지만 내가 분명히 말했지! 사이버 엔드 드래곤은 불사신이라고!" 그리고 최후의 턴에 료가 다시 마지막으로 최후의 사이버 엔드 드래곤을 불러내는 것을 보고 쥬다이는 이렇게 간단히 사이버 엔드 드래곤을 자유자재로 조종하는 료의 솜씨에 멋있다고 감탄하였다.
[4]
52화의 최종 턴에서 파워 본드+사이버네틱 퓨전 서포트 콤보에 의해 소환되어
파워 본드의 효과로 공격력 2배인 8000이 되었고, 추가로 속공 마법
리미터 해제를 발동하여 다시 그 배인 16000까지 상승한다. 쥬다이 역시 이에 대응해
결투융합-배틀 퓨전을 발동, 샤이닝 플레어 윙맨은 공격력 4900인 상태에서 사이버 엔드 드래곤의 공격력 16000만큼 상승, 공격력 20900이 된다. 그렇지만 료 역시 똑같이 배틀 퓨전을 발동, 사이버 엔드 드래곤의 공격력은 16000+20900으로 36900까지 상승한다.
[5]
DM시절에 아예
무
한
대 공격력이 나온적은 있지만 그건 실제 공격력이라고 보기 힘든 하나의 연출에 가깝고 그때 룰이 잘 정립되지 않았으므로 제외.
[6]
퓨전 가드는 작중에서 총 3번 사용했는데, 코스트로 항상 사이버 엔드 드래곤이 묘지로 보내졌다. 퓨전 가드의 코스트는 원래 엑스트라 덱의 융합 몬스터 1장을 무작위로 묘지로 보내는 것이지만, 사이버 트윈 드래곤이나 키메라테크 등의 다른 융합 몬스터도 많은데 지정이라도 해놓은 듯 무조건 엔드 드래곤이 묘지행이다. 특히
F·G·D가 묘지에 가지 않아 일일이
윤회독단을 써야 했다.
[7]
원작의
사이버 섀도우 가드너 카드로 복제한 일러스트.
[8]
이전 최고 기록은 OCG에서는
혼돈의 지배자의
카오스 솔저 -개벽-과
카오스 엠페러 드래곤 -종언-,
듀얼리스트의 투혼의
호루스의 흑염룡,
잃어버린 천년의
앤틱 기어 골렘의 3000이었으며 TCG와 KCG에서는
강철의 습격자의
블랙 데몬즈 드래곤의 3200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