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노면고르지못함 표지판[1] |
아스팔트 등으로 포장이 되지 않은 도로를 말한다. 수풀이나 바위 등을 치워서 길을 뚫은 다음 적당히 흙이나 자갈로 바닥을 다져놓은 정도에 불과하다. 통행량이 적은 농어촌 도로에서 주로 볼 수 있다. 다만 아스팔트를 구매하고 유지보수할 능력이 없는 개발도상국, 시베리아처럼 계절별 온도 변화가 극심한 곳, 건기와 우기가 나뉘어져 있어 우기가 되면 도로가 뻘밭이 되어버리는 저위도 지역 등에서는 많이 찾아볼 수 있다. 수도나 대도시를 제외하면 조금만 외곽으로 나가도 비포장인 지역이 많다. 가장 큰 원인은 역시 돈.
비포장도로를 오프로드라고 오해하는 경우가 많은데, 비포장도로 또한 약간 거친 "온로드"에 불과하며, 진짜 오프로드는 도로가 아닌 곳을 말하는 것이다.
표로 구분하면 아래와 같다.
온로드 | 오프로드 | |
포장도로 | 비포장도로 | 도로밖 |
2. 비포장도로의 성질 및 특징
대개 흙이나 지름 3cm 미만의 자갈로 이루어져있다. 흙으로 포장되어있으니 비가 좀 온다 싶으면 진흙탕이 되어버리기 일쑤. 이로 인해 물에 빠지거나 차가 헛도는 일이 더 잦다. 이런 날은 오프로드 전문 차량도 맥을 못추린다. 설령 맑은 날이나 비가 안 오는 날이라도 차 무게 때문에 바퀴가 묻혀서 헛도는 일이 잦고, 제동거리도 4배 가까이 늘어나버리게 된다. 이런 길은 좀 우회하더라도 가급적이면 피하는 것이 좋다.도로 표면이 고르지 못하기 때문에 속력을 내기가 힘들다. 비포장 구간에서 40km/h 이상 밟으면 차가 미칠듯이 흔들거리고 승객들의 멀미지수는 급상승한다. 사실 비포장도로에서는 기본적으로 덜컹거리기 때문에 아무리 느리게 가도 기본적으로는 멀미지수가 급상승한다. 이로 인해 천천히 갈 수 밖에 없어 속도가 굉장히 느리며 결과적으로 우회하는 것보다 오히려 더 느린 경우가 많다. 도로에 널려있는 자갈들이 튀기 때문에 앞차가 튕겨낸 돌에 앞유리가 깨지거나 차 표면에 흠집이 나는 비극도 일어난다. 계속되는 진동과 흔들림에 트렁크에 넣어둔 화물이 손상되는 일도 잦다. 또한 비포장도로는 가드레일이나 연석이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큰 화물차는 전고는 높지만 차량 크기 때문에 추락 위험이 높다. 또한 경차 같이 바닥전고가 낮은 경우 바닥이 다 긁힌다.
차량 속도도 느리고 사고 확률도 높기 때문에 물동량이 원활하지 못하다. 고속도로나 포장된 국도로 쌩쌩 달리는 지금은 믿기 어려운 일이지만 과거 국도가 포장화 되어 있지 않을 때 안동에서 대구까지 4시간도 넘게 걸리곤 했다. 지금 대구와 안동은 중앙고속도로를 따라가면 1시간 20분 ~ 1시간 30분 정도가 걸린다. 도로가 국가의 혈맥이란 말은 이런 비포장도로를 달려보면 새삼 실감할 수 있다.
비포장도로의 상태는 도로마다 다른데, 관리가 잘되고 수풀따윈 거의 없거나 아예 없는 비포장도로도 있는 반면[2], 중앙에 수풀이 수북이 쌓였으며 길과 수풀 구분이 어려울 정도로 방치된 비포장도로도 있다.
1960년대까진 비포장도로가 다수였으나[3] 1960년대를 기점으로 도로 포장사업이 활기를 띄기 시작했고,1970년대 들어서 3번 국도, 7번 국도 등 다수의 간선 국도를 포장했으며 1980년대에도 도로 포장 사업이 계속 이어져서 1980년대 후반에는 대다수 국도가 포장되었으며 이후 지방도 포장이 시작되었다. 이후 2020년 59번 국도의 친환경로23번길을 마지막으로 미개통/단절 구간[4], 최전방 민통선 내부의 국도를 제외한 모든 국도가 포장되었다.
비포장도로는 교통노면표시를 시공하기 까다롭고 하룻밤새 흙먼지와 함께 날아가버리기 때문에 표지판만 설치하여 사용한다. 예를 들어 경찰청 매뉴얼에 따르면 바닥에 횡단보도 표시를 할 수 없을 때에는 횡단보도 표지판을 설치하고 보조표시로 그 폭을 안내해주라고 되어있다. 그러나 비포장도로는 설비 투자가 더디고 예산도 적어서 표지판 설치도 생략하는 경우가 상당하다. 주로 보이는 표지판은 '위험', '낙석주의', '추락주의', '야생동물조심', '오르막길', '내리막길' 등 시종일관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주의표시 뿐이다.[5]
3. 대한민국의 비포장도로 및 구간 목록
일러두기 | |
[가설] | 콘크리트 간이포장이 된 경우 |
[권외] | 휴대전화 통화가 불가능한 구간이 존재하는 경우 |
[금지] | 차량통행이 금지된 구간일 경우 |
3.1. 지방도, 국가지원지방도
※ 2023년 03월 기준.- 30번 지방도 : 건티재 (밀양시 소태길)[가설], (청도군 옥산길)[10]
- 69번 지방도 : 하옥계곡 (포항시 죽장로), 대리 (영덕군 대동로), 서항목재 (영덕군 지영로)[가설], 삼계리 (영덕군 온정로), 조금리 (울진군 온정로)
- 96번 지방도 : 줄바위고개 (공주시 줄바위길, 청양군 가파로)[가설]
- 306번 지방도 : 낭갱이고개 (안성시 국사봉로, 남풍길)[금지]
- 342번 지방도 : 모라치 (양평군 모라치길), 한치 (양평군 모라치길)345번 지방도 공용구간
- 345번 지방도 : 모라치 (양평군 모라치길), 한치 (양평군 모라치길)342번 지방도 공용구간
- 379번 지방도 : 새목고개 (동두천시 탑신로)[가설]
- 387번 지방도 : 산정리 (포천시 산정호수로), 산안고개 (철원군 궁예로)
- 403번 지방도 : 큰고개 (화천군 용화산로)[금지][16], 성북령 (화천군 모현동로)[금지]
- 408번 지방도 : 흥정계곡 (평창군 흥정계곡길), 구목령 (홍천군 피리골길)
- 410번 지방도 : 기문골 (정선군 자개길)[권외]
- 418번 지방도 : 면옥치 (양양군 서림임도)
- 424번 지방도 : 벽파령 (정선군 가리왕산로, 평창군 가평로)[권외][금지][21]
- 531번 지방도 : 진의실재 (충주시 충주호수로)
- 714번 지방도 : 싸리재골 (김제시 선암로, 청도6길)[가설]
- 726번 지방도 : 신광미재(신광치) (진안군 데미샘1길), 오계재 (장수군 비룡로)
- 740번 지방도 : 경천저수지 (완주군 화산로)
- 742번 지방도 : 가마골, 석사랑골 (임실군 도인로)
- 820번 지방도 : 탐진천 (영암군 내산로, 장흥군 보림사로)
- 843번 지방도 : 큰덕골재 (장흥군 차돌고개로, 화순군 초방길)
- 903번 지방도 : 바람재 (김천시 주례3길)[23]
- 917번 지방도 : 밤나무골 (영양군 낙동정맥로), 십이령 (울진군 십이령로)[권외]
- 923번 지방도 : 말구리재 (문경시 운달로)
- 1002번 지방도 : 밤터재 (사천시 경충로)
- 1014번 지방도 : 길마재 (하동군 궁항길)[가설], 상불재 (하동군 쌍계사길)[금지]
- 1018번 지방도 : 다포리 (거제시 거제남서로)
- 1023번 지방도 : 벽소령 (하동군 벽소령길, 함양군 마천삼정로)[금지]
- 1029번 지방도 : 오곡재 (창원시, 함안군 의산삼일로)
- 1037번 지방도 : 매봉산 (의령군 가례로, 운계로2길)
- 1040번 지방도 : 작은골 (진주시, 의령군 산방길)[가설]
- 1047번 지방도 : 회남재 (하동군 회남재숲길)[금지]
- 1077번 지방도 : 늘밭고개 (양산시 늘밭로)[가설], 오치고개[31] (밀양시 상동로[가설], 산내용전1길)
- 1080번 지방도 : 창녕읍 옥천리 ~ 무안면 마곡리 (창녕군, 밀양시 사명대사생가로)
3.2. 임도 및 전술도로 등
- 가린내임도 : 옥천군 안터2길[가설]
-
고성터널[34] : 정선군 동강로[가설]
국내 최장 단선터널 (연장 596m, 폭 3.5m). 동강변에 위치한 강원도 정선군 신동읍 신동리 덕천취수장에서 취수한 원수를 신동읍내에 공급하기 위해 매설한 도수관을 관리하기 위한 목적의 터널로 지역 주민들의 편의를 위해 개방하고 있다. 터널 내부는 콘크리트 가설포장이나 관리가 되지 않아 2021년 현재는 사실상 비포장 상태동 승합차량까지는 일상적으로 통행이 가능하며, 소형버스는 숙련된 운전자에 한해 통행이 가능하다.[36] - 곰배령 : 인제군 곰배골길, 인제군 설피밭길
- 관대두무로 : 인제군 관대두무로 (구. 44번 국도)
- 추곡고개 : 화천군 간동면 - 춘천시 북산면 (구. 46번 국도)
- 느랏재 : 춘천시 동면 감정리 - 평촌리 (구. 56번 국도)
- 가락재 : 춘천시 동면 - 홍천군 화촌면 (구. 56번 국도)
- 두로령 : 평창군 오대산로, 홍천군 명개로 (구. 446번 지방도)[금지]
- 두만이재 : 금산군 두만길
- 말티고개(옥천) : 옥천군 말티고개길[가설]
- 먹티고개 : 금산군 수목로, 산내로273번길[가설]
- 백골산임도 : 대전광역시 백골산길
- 별재 : 옥천군 별재로[40]
- 봉우재 : 상주시 천택로[가설]
- 문의재 : 삼척시 도계읍 - 노곡면 (구. 427번 지방도)
- 조침령 : 인제군 기린면 - 양양군 서면 (구. 418번 지방도)
- 광치령 : 인제군 인제읍 - 양구군 국토정중앙면 (구. 31번 국도)
- 밤재 : 남원시 웅치윗길, 구례군 용산로 (구. 19번 국도)
- 비행기재 : 정선군 비행고개길[가설] (구. 42번 국도)
- 문재 : 평창군, 횡성군 칡사리길 (구. 42번 국도)
- 산덕임도 : 남원시 부운길[가설]
- 고치령 : 영주시 영단로[44]
- 상불바위골 : 상주시 동관2길[가설]
- 집넘들 : 상주시 수정1길
- 서운리-지동리 임도 : 충주시 동량면 서운리~지동리[가설]
- 금강송-근남 임도 : 울진군 금강송면 왕피리~근남면 구산리
- 신안골임도 : 금산군 제원면 장선길
- 대안골임도 : 성주군 초전면 봉정길
- 아래몰길 : 하동군 아래몰길
- 효자길 : 진주시 미천면 효자길
- 안간길 : 진주시 미천면 안간길
- 박달리-내일리 임도 : 경주시 내남면 박달리~산내면 내일리
- 남사봉 : 경주시 경주하늘마루앞 - 인내산지
-
오대임도 : 옥천군 오대1길
충청북도 옥천군 옥천읍 오대리[47]라는 마을의 진입로이다. 2015년에야 비포장 단선임도가 개설되었으나 13.5km를 가야 포장도로가 나오는 탓에 마을 공용 공기부양정을 이용하기도 한다. 7월 여름 기준 임도가 전혀 관리되어 있지 않아 경사면의 흙과 돌덩이들이 떠내려와 통행이 매우 위험하고 수풀 또한 관리가 안되어 차 지붕 위까지 자라 아예 통행이 안된다. 그래도 가고싶다면 수풀에 파묻힌 희미한 길 자국을 아주 조심히 운행해야한다 그리고 임도3구간 즉 오대임도 마을쪽 종점 표지판이 써있는 곳에 반드시 정차하자. 그 경고판을 지나는 순간 급경사가 시작되어 전문 오프로드 차량 아니면 절대 못 올라온다. 경사가 너무 심해 차량이 헛돈다. 4륜을 켜도 헛돌 정도니 어중간한 2륜차는 끔찍.... 고립되기 싫으면 종점 안내판 쪽에 정차하고 도보로 진입하자 꼭 - 웅치고개 : 완주군 곰티로, 진안군 곰티로 (구. 26번 국도)
- 일월재 : 봉화군 남회룡로, 일월산길[가설] (구. 31번 국도)
- 삼동재 : 봉화군 상금정길 (구. 998번 지방도), 봉화군 와흥길, 영월군 덕구로(구. 998번 지방도)[가설][50][권외][52]
- 상점령 : 김해시 대청계곡길[가설], 창원시 상점령 ~ 성산한빛교회[금지]
- 황호임도 : 대전광역시 찬샘마을길
- 모녀재 : 도기1길, 도기1안길[55] (구. 534번 지방도)
- 여수임도 : 여수길[56]
4. 비포장도로 구간을 운행하는 노선버스
- 영덕 224번(영덕 ~ 대동) : 원구리부터 대리까지 들어가는 곳마다 수시로 비포장도로가 발견된다. 현재 이 도로는 포장작업이 진행중이며, 얼마 안가 비포장도로 타는 버스에서 제외될 듯 하다.
- 정선 26번대 : 고성터널 구간. 승객들의 편의를 위해 고성터널을 통과하는데 해당 구간은 비포장 구간이다.
5. 둘러보기
[1]
과속방지턱이 연속으로 있다는 의미로 착각하는 운전자들이 제법 있다. 정작 이 표지판이 필요한 비포장도로에 설치된 곳은 얼마 없다(...)
[2]
특히 버스 등 통행이 꾸준하게 발생하는 곳
[3]
1945년 기준으로는 간선도로도 포장률이 14%에 불과하였으며, 1953년 기준으로 전체 도로 포장률은 6% 내외에 불과했다.
[4]
대표적으로
58번 국도 부북-상동
[5]
과거 도로표지판 중에는 '고인물튐'이라는 표지판도 있었지만 2012년 도로표지판 개정 과정에서 삭제되었다. [가설] [권외] [금지] [가설] [10] 사실 정식으로 지정된 구간은 아니다. [가설] [가설] [금지] [가설] [금지] [16] 포장도로 쪽은 통행가능 [금지] [권외] [권외] [금지] [21] 사실 벽파령 구간은 임도와 오솔길이 있고 일단은 명목상으로는 개방 상태이긴 하지만 오솔길이 있다는 시점 부터 사실상 차량통행금지다. [가설] [23] 가설 [권외] [가설] [금지] [금지] [가설] [금지] [가설] [31] 정확히는 약간 벗어나 있다. [가설] [가설] [34] 정확한 주소는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신동읍 예미리 산29-1' [가설] [36] 2020년 11월 인근 숙박업소의 레스타 차량이 끼어 고립되는 등의 사고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금지] [가설] [가설] [40] 상주시 구간인 상주시 별재로는 포장 완료 [가설] [가설] [가설] [44] 정확히는 정상 부분만 해당한다. [가설] [가설] [47] 대청댐 건설 이전부터 고립된 마을이었기에 수몰 이주지원 대상에도 제외되어서 2021년 현재도 비교적 많은 18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가설] [가설] [50] 가설은 덕구로 및 와흥길만 해당. [권외] [52] 권외는 상금정길만 해당. [가설] [금지] [55] 완전 미친 도로. 구 534번 지방도 였다. 2017년 7월 7일 부터 일반 임도로 격하. 이 구간을 주행한 용자가 있다. # [56] 끊긴 58번 국도가 이 길을 통해서 연계되나 59번 국도와 달리 서류 상으로도 국도 구간이 아니다.
과거 도로표지판 중에는 '고인물튐'이라는 표지판도 있었지만 2012년 도로표지판 개정 과정에서 삭제되었다. [가설] [권외] [금지] [가설] [10] 사실 정식으로 지정된 구간은 아니다. [가설] [가설] [금지] [가설] [금지] [16] 포장도로 쪽은 통행가능 [금지] [권외] [권외] [금지] [21] 사실 벽파령 구간은 임도와 오솔길이 있고 일단은 명목상으로는 개방 상태이긴 하지만 오솔길이 있다는 시점 부터 사실상 차량통행금지다. [가설] [23] 가설 [권외] [가설] [금지] [금지] [가설] [금지] [가설] [31] 정확히는 약간 벗어나 있다. [가설] [가설] [34] 정확한 주소는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신동읍 예미리 산29-1' [가설] [36] 2020년 11월 인근 숙박업소의 레스타 차량이 끼어 고립되는 등의 사고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금지] [가설] [가설] [40] 상주시 구간인 상주시 별재로는 포장 완료 [가설] [가설] [가설] [44] 정확히는 정상 부분만 해당한다. [가설] [가설] [47] 대청댐 건설 이전부터 고립된 마을이었기에 수몰 이주지원 대상에도 제외되어서 2021년 현재도 비교적 많은 18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가설] [가설] [50] 가설은 덕구로 및 와흥길만 해당. [권외] [52] 권외는 상금정길만 해당. [가설] [금지] [55] 완전 미친 도로. 구 534번 지방도 였다. 2017년 7월 7일 부터 일반 임도로 격하. 이 구간을 주행한 용자가 있다. # [56] 끊긴 58번 국도가 이 길을 통해서 연계되나 59번 국도와 달리 서류 상으로도 국도 구간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