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1 06:17:55

메서슈미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메서슈미트 로고.svg 파일:NSU_1960_Logo.png 파일:DKWlogo.png 파일:wandererlogo2.png 파일:HORCHLOGO.png 파일:굼페르트로고.png 파일:보르그바르트 로고2.png
메서슈미트 NSU 데카베 반더러 호르히 굼페르트 보르그바르트 }}}}}}}}}

<colcolor=#000><colbgcolor=#fff> 메서슈미트
Messerschmitt AG
파일:메서슈미트 로고.svg
창설일 1938년
해체일 1968년
직원 수
업종 항공우주산업
위치 독일 아우크스부르크

1. 개요2. 역사3. 개발 기체4. 개발 차량

[clearfix]

1. 개요

독일의 항공기 회사이다. 메서슈미트라는 사명은 회사의 창립자이자 항공 공학자인 빌헬름 에밀 메서슈미트 박사의 이름을 딴 것이다.[1]

2. 역사

빌헬름 에밀 메서슈미트는 1927년에 바이에른 항공기 제작회사(Bayerische Flugzeugwerke AG)라는 항공 회사에 수석 설계자 겸 기술자로 입사해서 독자적인 팀을 꾸린다. 이후 그가 독립하면서 설립한 회사가 바로 메서슈미트 AG다.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기 전까지는 하인켈이나 융커스 사처럼 Bf 108 타이푼 같은 스포츠용 경비행기를 만들었다. 독일이 베르사유 조약을 파기하고 전시 체제로 돌입하면서 전투기 대부분을 생산, Bf 109 Bf 110 등 독일의 주력 전투기는 메서슈미트에서 만든 게 많다. 전쟁 중반부터는 제트 엔진을 사용한 전투기 개발로 방향을 돌려 세계 최초로 실전에 투입된 제트 전투기인 Me 262를 생산한다.

형식번호 앞의 Bf는 메서슈미트의 전신이 된 바이에른 항공기 제작회사(Bayerische Flugzeugwerke AG)를 의미하는 것이다. Bf163 이후로 전부 Me로 개칭된다. 따라서 Me109라고 표기하는 경우도 가끔 있다.

독일이 패전한 이후, 다른 많은 항공회사들처럼 메서슈미트 역시 항공기 제조를 금지당했다.[2] 그래서 메서슈미트 사는 회사를 유지하기 위해 재건축 붐에 편승한 조립식 주택 재료나 재봉틀을 만들었고, 일명 버블카라고 불리는 2인승 소형 자동차 KR175 KR200도 생산했다. 이 자동차의 개발에는 메서슈미트 사의 항공 엔지니어들이 참여했다. 냉전이 본격화된 이후에는 F-104를 면허생산하는 등 본업을 되찾았다.

1968년 7월 볼코프 사를 합병했고, 1969년 블롬 운트 포스(Blohm und Voss) 사의 항공 개발부인 함부르크 플루크초이크바우와 합병하여 메서슈미트-볼코프-블롬 사가 되었다. 이 시기 발터 기관을 응용한 로켓 열차나 ICE 1의 무동력차 생산에도 참여했다. 1989년에는 다임러 그룹의 자회사인 다임러 크라이슬러 에어로스페이스(DASA)에 인수되었다. 이후 다임러가 EADS에 DASA를 매각함에 따라 현재는 EADS가 개명한 에어버스 그룹에 속해있다.

비록 현재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기업이지만, 종전 직후에 해체된 하인켈, 포케불프 등 다른 독일의 항공기 회사들에 비해 냉전 막바지까지 존속하여 장수한 편에 속한다.

3. 개발 기체

4. 개발 차량


[1] 메서는 칼이고 슈미트는 대장장이니 이름부터 무기 장인이다. [2] 전후 메서슈미트 박사 본인은 스페인, 이집트 등지에서 제트 전투기 개발을 이어가려고 했으나, 기술력과 자금 부족 등 여러 문제가 겹쳐서 실패했다. [3] 80% 정도 완성된 상태에서 미군에 노획되어 Bell X-5 제작에 활용되고, F-86 세이버의 후퇴익 설계에도 영향을 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