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13 16:36:46

류중일호/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중국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류중일호/2023년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야구/일정 및 결과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B조 1경기
(2023.10.01)
파일:WBSC 홍콩 특별행정구기.png 홍콩전 0:10
B조 4경기
(2023.10.02)
파일:WBSC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png 대만전 0:4
B조 6경기
(2023.10.03)
파일:WBSC 태국 국기.png 태국전 0:17
슈퍼 라운드 1경기
(2023.10.05)
파일:WBSC 일본 국기.png 일본전 0:2
슈퍼 라운드 3경기
(2023.10.06)
파일:WBSC 중국 국기.png 중국전 8:1
결승전
(2023.10.07)
파일:WBSC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png 대만전 2:0
}}}}}}}}} ||
역대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경기 보기 ▶

1. 개요2. 경기 전3. 라인업4. 경기 내용
4.1. 1~3회4.2. 4~6회4.3. 7~9회
5. 경기 결과6. 경기 평가7. 여담8. 관련 문서9.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2023년 10월 6일에 진행된 중국과의 경기이자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야구의 슈퍼 라운드 3경기로 류중일호의 5번째 경기이다.

2. 경기 전

전날 한국이 일본을 상대로 승리했고, 중국이 대만에게 패배하며 각각 1승 1패에 득실차 +2를 기록한 두 팀의 대결이다. 다른 경우의 수는 모두 사라졌고, 이 경기에서 승리하는 팀이 결승전, 패배하는 팀은 동메달 결정전으로 가게 된다. 두 팀 모두 반드시 이겨야 하는 경기이다.

객관적인 전력은 한국이 우위이지만 홈 어드벤티지와 중국이 일본전 승리에서 보여준 저력을 감안하면 쉽게 봐서는 안 된다. 실제로 중국은 지난 2008 베이징 올림픽에서 그 대회 금메달국이던 대한민국이 가장 고전했던 팀이었다. 당시 한국 대표팀과 유일하게 연장 승부치기까지 간 팀이 바로 중국이었다. 한국과 중국은 2023년 초 열린 WBC B조 경기에서도 맞붙었던 전적이 있다. 당시 선발투수는 원태인이었으며 1이닝 3피안타 2실점을 기록했다.[1] 위의 두 경기 모두 한국이 승리했지만, 중국이 본선 라운드에서 보여준 모습에 대해 야구 해설위원과 전문가들은 하나같이 입을 모아 '중국의 야구 분야 성장 속도가 매우 빠르다', '더이상 야구 변방국으로 봐서는 안 될 것이다' 라고 분석하였다.

선발투수는 금요일 경기에 맞춰 컨디션을 조절중이었던 곽빈이나 홍콩전 선발이었던 원태인이 유력하지만, 반드시 이겨야 하는 경기인 만큼 선발이 부진하다 싶으면 바로 불펜을 가동할 것으로 보인다. 혹은 곽빈은 결승전을 위해 남겨두고 원태인과 문동주를 1+1으로 기용할 가능성도 있다.

체력적인 면에선 우리가 낮 경기, 중국이 저녁 경기를 치렀으므로 대한민국이 우세하다.

만약 이 경기를 이기게 되면 다음날 저녁에 대만과 결승전을, 지면 낮에 일본과 동메달 결정전을 치르게 된다.

3. 라인업

슈퍼라운드 3경기 선발 라인업
대한민국 중국
타순 선수명 포지션 타순 선수명 포지션
1 김혜성 2B 1 량페이 CF
2 최지훈 CF 2 루윈 3B
3 윤동희 RF 3 리닝 C
4 노시환 3B 4 코우용캉 LF
5 문보경 1B 5 차오제 1B
6 강백호 DH 6 천지아지 DH
7 김주원 SS 7 장원타오 2B
8 김형준 C 8 양진 SS
9 김성윤 LF 9 두난 RF
P 원태인 SP P 왕 웨이이 SP

4. 경기 내용

파일: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로고.svg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야구 슈퍼 라운드 3경기
XIX Asian Games™ Hángzhōu 2022 - Baseball Men's Second Stage
Super Round Game 3

2023.10.06. 13:00 | 사오싱 야구 스포츠 문화 센터 1구장
파일:KBS 2TV 로고.svg 캐스터: 이호근 | 해설: 박용택, 박찬호
파일:MBC 로고.svg 캐스터: 한명재 | 해설: 정민철, 박재홍
파일:SBS 로고.svg 캐스터: 정우영 | 해설: 이순철, 이대호
파일:TV CHOSUN 로고.svg 캐스터: 임용수 | 해설: 김진욱, 양준혁
파일:SPOTV NOW 로고.svg 파일:SPOTV NOW 로고 화이트.svg 캐스터: 이승현 | 해설: 김형준
선발 1 2 3 4 5 6 7 8 9 R H E B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원태인 0 3 1 2 0 0 0 2 0 8 16 0 3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왕 웨이이 0 0 0 0 0 0 0 1 0 1 6 2 0
[[https://info.hangzhou2022.cn/en/results/baseball/results-baseball-men-sfnl-000300-.htm|{{{#FFF 매치 리포트}}}]]

4.1. 1~3회

  • 1회초: 선두타자 김혜성이 1루 땅볼로 물러났으나 최지훈이 유격수 실책으로 출루하였다. 윤동희가 우익수 파울플라이 아웃으로 물러난 후 노시환이 볼넷으로 출루했지만 문보경의 잘 맞은 타구가 2루 땅볼로 물러나며 이닝이 종료되었다.
  • 1회말: 헛스윙 삼진, 투수 땅볼, 2루수 땅볼로 깔끔하게 이닝을 마무리지었다.
  • 2회초: 강백호가 우익수 앞 안타를 치며 출루하였고, 이후 김주원이 우측 담장을 넘기는 2점 홈런을 때려내며 선취점을 가져왔다.(2-0) 김형준이 좌익수 앞 안타를 만들어내자 중국 벤치는 왕 웨이이를 내리고 왕샹을 등판시켰다. 김성윤의 희생번트로 1사 2루가 되었고, 김혜성의 유격수 내야안타로 1사 1,3루가 되었다. 이후 최지훈의 우익수 희생플라이로 추가점을 만들어냈고(3-0), 윤동희는 2루수 뜬공으로 물러났다.
  • 2회말: 선두타자 코우용캉의 타구가 유격수 김주원의 호수비로 인해 아웃카운트로 연결되었고, 이후 차오제를 헛스윙 삼진으로 잡아냈다. 천지아지에게 중견수 안타를 허용했지만 장원타오를 2루수 땅볼로 잡아냈다.
  • 3회초: 노시환이 좌익수 앞 안타로 출루했으나 문보경이 3-6-3 병살타로 물러났다. 그러나 강백호가 우월 솔로포를 때려내며 한 점 더 달아났다.(4-0) 이후 김주원이 좌익수 앞 안타로 출루했으나 김형준이 삼진으로 물러나며 이닝이 종료되었다.
  • 3회말: 헛스윙 삼진, 2루수 뜬공, 헛스윙 삼진으로 깔끔한 삼자범퇴 이닝을 만들어냈다.

4.2. 4~6회

  • 4회초: 중국의 투수가 리닝지로 교체되었다. 김성윤이 우익수 앞 안타로 출루했으나 김혜성이 좌익수 뜬공으로 물러났다. 최지훈은 중견수 앞 안타로 출루하여 1사 1,2루 상황에서 윤동희가 중견수 방면 적시 2루타를 쳤다.(5-0) 이후 1사 2,3루 상황에서 노시환이 중견수 희생플라이를 치며 한 점을 추가했다.(6-0) 문보경은 유격수 땅볼로 물러나며 이닝이 종료됐다.
  • 4회말: 투수 땅볼과 루킹 삼진으로 2아웃을 금방 만들어냈지만 코우용캉과 차에조에게 중견수 방면 안타를 연속으로 허용하였다. 그러나 천지아지를 중견수 뜬공으로 유도하며 이닝을 마무리했다.
  • 5회초: 중국 마운드가 정차오쥔으로 교체되었다. 강백호가 안타, 김주원이 볼넷으로 만든 무사 1,2루 상황에서 폭투가 나와 무사 2,3루가 되었다. 그러나 김형준이 3루 땅볼, 김성윤은 삼진, 김혜성이 좌익수 플라이로 물러나며 이닝이 종료되었다.
  • 5회말: 3루수 노시환이 어려운 타구를 파울플라이 아웃으로 만들어 냈고, 이후 타자도 헛스윙 삼진과 중견수 플라이로 마무리 지었다.
  • 6회초: 중국 마운드가 정차오쥔에서 이젠으로 교체됐다. 선두타자 최지훈이 안타, 윤동희는 삼진, 노시환이 안타를 치며 1사 1,2루 상황을 만들었다. 그러나 문보경과 강백호가 각각 삼진과 1루수 땅볼로 물러나며 이닝이 종료되었다.
  • 6회말: 공 단 6개로 1루수 플라이, 좌익수 플라이, 투수 땅볼을 이끌어 내며 이닝을 종료시켰다.

4.3. 7~9회

  • 7회초: 김주원이 3루수 파울플라이, 김형준과 김성윤이 삼진으로 물러나며 경기 처음으로 삼자범퇴로 물러났다.
  • 7회말: 선발투수 원태인이 내려가고 정우영이 등판했다. 선두타자 코우용캉에게 안타를 허용했으나 후속 타자를 각각 투수 땅볼, 2루수 땅볼, 유격수 땅볼로 넘기며 이닝이 종료되었다.
  • 8회초: 김혜성이 중견수 뜬공으로 물러난 후 최지훈이 내야안타, 윤동희는 2루수 실책으로 출루하여 1사 1,2루가 만들어졌다. 노시환이 1루수 파울플라이로 물러났으나, 문보경이 우중간 2타점 2루타를 기록하며 추가점을 기록했다.(8-0) 강백호가 볼넷을 얻었지만 김주원이 삼진으로 물러나며 이닝이 종료됐다.
  • 8회말: 한국 마운드에 장현석이 등판했다. 첫 타자 양진에게 우익수 앞 안타를 내줬지만 후속타자를 2루 땅볼, 3루 땅볼로 2아웃까지 잡았다. 그러나 2사 2루 상황에서 루윈에게 좌익수 방면 3루타[2]를 허용하며 실점을 허용했다.(8-1) 이후 대타 왕슈아이를 삼진으로 돌려세우며 이닝을 종료시켰다.
  • 9회초: 김형준 타석에서 대타 박성한이 들어섰으나 중견수 뜬공으로 물러났다. 김성윤이 2루수 내야안타로 출루했으나 김혜성이 좌익수 뜬공, 최지훈이 1루수 뜬공으로 물러나며 이닝 종료.
  • 9회말: 투수에는 고우석, 포수에 김동헌, 유격수에 박성한이 들어왔다. 삼진, 유격수 땅볼, 유격수 뜬공으로 이닝을 깔끔하게 마무리하며 한국이 경기에서 승리했다.

5. 경기 결과

▲ 승리투수: 원태인
▲ 패전투수: 왕 웨이이
▲ 홈런: 김주원(2회 2점), 강백호(3회 1점)
▲ 결승타: 김주원(2회 무사 1루에서 우월 홈런)
대한민국 대표팀 투수 기록
투수 기록 이닝 투구수 피안타 피홈런 4사구 탈삼진 실점 자책점 ERA
원태인 6.0 68 3 0 0 6 0 0 0.00
정우영 1.0 15 1 0 0 0 0 0 0.00
장현석 1.0 17 2 0 0 1 1 1 9.00
고우석 1.0 15 0 0 0 1 0 0 0.00
중국 대표팀 투수 기록
투수 기록 이닝 투구수 피안타 피홈런 4사구 탈삼진 실점 자책점 ERA
왕 웨이이 1.0 33 3 1 1 0 2 2 18.00
왕샹 2.0 40 4 1 0 1 2 2 9.00
리닝지 1.0 30 3 0 0 0 2 2 18.00
정차오쥔 1.0 22 1 0 1 1 0 0 0.00
이젠 4.0 75 5 0 1 5 2 0 0.00
대한민국 대표팀 타자 기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김혜성 6타수 1안타 최지훈 5타수 3안타 1타점
윤동희 5타수 1안타 1타점 노시환 3타수 2안타 1타점
문보경 5타수 1안타 2타점 강백호 4타수 3안타(1홈런) 1타점
김주원 4타수 2안타(1홈런) 2타점 김형준 4타수 1안타
김성윤 4타수 2안타 박성한 1타수 무안타
}}} ||

6. 경기 평가

한국 야구, 중국 꺾고 결승 진출… 대만과 재대결

일본을 꺾는 저력을 보여주며 복병으로 평가되던 중국이었으나, 이번 대회 처음으로 선발 전원 안타를 완성했고 홈런도 2개를 쏘아올리는 등 타선이 폭발하며 예상보다 쉽게 승리하며 자력으로 결승전 진출을 확정지을 수 있었다.

무엇보다 강백호의 부활이 최고의 수확이다. 3회 쏘아올린 홈런은 강백호의 개인 첫 A대표팀 홈런이었으며, 3안타를 몰아치며 타율도 1할대에서 2할 중후반대까지 끌어올렸다. 이후 인터뷰를 통해 결승전에서의 선전도 다짐했다. # 또다른 홈런포의 주인공 김주원은 2안타 1볼넷 2타점을, 최지훈은 3안타 1타점의 좋은 모습을 보이며 물오른 타격감을 과시했다.

한편 투수진에서는 선발투수 원태인이 6이닝 3피안타 무사사구 6K 무실점의 위력투를 선보였다. 이번 호투로 지난 WBC 중국전에서의 아쉬운 모습을 완전히 만회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

류중일 대표팀 감독 또한 "결승까지 어렵게 왔기 때문에 대만에 꼭 승리해서 금메달을 따겠다"고 각오를 다졌다. #

7. 여담

8. 관련 문서

9.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올림픽
2000
파일:WBSC 미국 국기.png vs USA 2:3
2000
파일:WBSC 일본 국기.png vs JPN 3:1
2008
파일:WBSC 캐나다 국기.png vs CAN 1:0
2008
파일:WBSC 일본 국기.png vs JPN 6:2
2008
파일:WBSC 쿠바 국기.png vs CUB 3:2
2020
파일:WBSC 이스라엘 국기.png vs ISR 6:5
2020
파일:WBSC 미국 국기.png vs USA 2:4
2020
파일:WBSC 도미니카 공화국 국기.png vs DOM 4:3
2020
파일:WBSC 이스라엘 국기.png vs ISR 11:1
2020
파일:WBSC 일본 국기.png vs JPN 2:5
2020
파일:WBSC 미국 국기.png vs USA 2:7
2020
파일:WBSC 도미니카 공화국 국기.png vs DOM 6:10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2006
파일:WBSC 일본 국기.png vs JPN 3:2
2006
파일:WBSC 미국 국기.png vs USA 7:3
2006
파일:WBSC 일본 국기.png vs JPN 2:1
2009
파일:WBSC 일본 국기.png vs JPN 2:14
2009
파일:WBSC 베네수엘라 국기.png vs VEN 10:2
2009
파일:WBSC 일본 국기.png vs JPN 3:5
2017
파일:WBSC 이스라엘 국기.png vs ISR 1:2
2023
파일:WBSC 호주 국기.png vs AUS 7:8
2023
파일:WBSC 일본 국기.png vs JPN 4:13
2023
파일:WBSC 체코 국기.png vs CZE 7:3
2023
파일:WBSC 중국 국기.png vs CHN 22:2
WBSC 프리미어 12
2015
파일:WBSC 일본 국기.png vs JPN 4:3
2019
파일:WBSC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png vs TPE 0:7
2024
파일:WBSC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png vs TPE 3:6
2024
파일:WBSC 쿠바 국기.png vs CUB 8:4
2024
파일:WBSC 일본 국기.png vs JPN 3:6
2024
파일:WBSC 도미니카 공화국 국기.png vs DOM 9:6
2024
파일:WBSC 호주 국기.png vs AUS 5:2
아시안 게임
2014
파일:WBSC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png vs TPE 6:3
2018
파일:WBSC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png vs TPE 1:2
2023
파일:WBSC 홍콩 특별행정구기.png vs HKG 10:0
2023
파일:WBSC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png vs TPE 0:4
2023
파일:WBSC 태국 국기.png vs THA 17:0
2023
파일:WBSC 일본 국기.png vs JPN 2:0
2023
파일:WBSC 중국 국기.png vs CHN 8:1
2023
파일:WBSC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png vs TPE 2:0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2017
파일:WBSC 일본 국기.png vs JPN 7:8
2017
파일:WBSC 일본 국기.png vs JPN 0:7
2023
파일:WBSC 호주 국기.png vs AUS 3:2
2023
파일:WBSC 일본 국기.png vs JPN 1:2
2023
파일:WBSC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png vs TPE 6:1
2023
파일:WBSC 일본 국기.png vs JPN 3:4
기타 대회 · 평가전
2003
파일:WBSC 일본 국기.png vs JPN 0:2
2008
파일:WBSC 네덜란드 국기.png vs NED 10:2
2008
파일:WBSC 쿠바 국기.png vs CUB 2:6
2008
파일:WBSC 쿠바 국기.png vs CUB 15:3
2015
파일:WBSC 쿠바 국기.png vs CUB 6:1
2015
파일:WBSC 쿠바 국기.png vs CUB 1:3
2017
파일:WBSC 쿠바 국기.png vs CUB 6:1
2017
파일:WBSC 쿠바 국기.png vs CUB 8:7
2017
파일:WBSC 호주 국기.png vs AUS 8:3
2019
파일:WBSC 푸에르토리코기.png vs PUR 4:0
2019
파일:WBSC 푸에르토리코기.png vs PUR 5:0
2024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파일:샌디에이고 파드리스 로고.svg
]] vs SD 0:1
2024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파일: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화이트 로고.svg
]] vs LAD 2:5
2024
파일:WBSC 쿠바 국기.png vs CUB 2:0
2024
파일:WBSC 쿠바 국기.png vs CUB 13:3
}}}}}}}}} ||


[1] 물론 이 당시 원태인은 불펜 3경기 80구를 소화한 터라 이미 제 컨디션이 아니었음을 감안해야 한다. 이강철 당시 대표팀 감독의 혹사 논란이 있었을 정도.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 [2] 좌익수 김성윤이 슬라이딩 캐치를 시도했으나 실패하며 공이 뒤로 빠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