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문서: 동대문구/정치
서울특별시 제22대 국회의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종로 | 중·성동 갑 | 중·성동 을 | 용산 |
곽상언 | 전현희 | 박성준 | 권영세 | |
광진 갑 | 광진 을 | 동대문 갑 | 동대문 을 | |
이정헌 | 고민정 | 안규백 | 장경태 | |
중랑 갑 | 중랑 을 | 성북 갑 | 성북 을 | |
서영교 | 박홍근 | 김영배 | 김남근 | |
강북 갑 | 강북 을 | 도봉 갑 | 도봉 을 | |
천준호 | 한민수 | 김재섭 | 오기형 | |
노원 갑 | 노원 을 | 은평 갑 | 은평 을 | |
우원식 | 김성환 | 박주민 | 김우영 | |
서대문 갑 | 서대문 을 | 마포 갑 | 마포 을 | |
김동아 | 김영호 | 조정훈 | 정청래 | |
양천 갑 | 양천 을 | 구로 갑 | 구로 을 | |
황희 | 이용선 | 이인영 | 윤건영 | |
강서 갑 | 강서 을 | 강서 병 | 금천 | |
강선우 | 진성준 | 한정애 | 최기상 | |
영등포 갑 | 영등포 을 | 동작 갑 | 동작 을 | |
채현일 | 김민석 | 김병기 | 나경원 | |
관악 갑 | 관악 을 | 서초 갑 | 서초 을 | |
박민규 | 정태호 | 조은희 | 신동욱 | |
강남 갑 | 강남 을 | 강남 병 | 송파 갑 | |
서명옥 | 박수민 | 고동진 | 박정훈 | |
송파 을 | 송파 병 | 강동 갑 | 강동 을 | |
배현진 | 남인순 | 진선미 | 이해식 | |
◀
제21대
|
}}} }}}}}} |
대한민국의
국회
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580009><tablebgcolor=#580009> | }}} | ||||
|
||||||
<colbgcolor=#580009><colcolor=#fff> 선거인 수 | 154,549명 (2024) | |||||
상위 행정구역 | 서울특별시 | |||||
관할 구역 |
|
|||||
신설년도 | 1988년 | |||||
국회의원 |
|
장경태 |
[clearfix]
1. 개요
동대문구 중 답십리로 주변 생활권이다. 현재 이 선거구의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소속의 장경태 의원[1]이다.이 선거구는 민주당계 정당이 강세인 서울 강북 지역에서 몇 안되는 보수 정당의 텃밭으로 유명했었지만,[2] 전농답십리뉴타운 개발과 장안동 지역 재건축 이후 유입된 외지인들이 민주당 지지성향이 나타나면서 다른 강북 지역과 마찬가지로 민주당 성향이 강한 곳이 되었었다.[3] 22대 총선에서도 민주당 후보가 큰 표 차이로 당선되었다.
다만 현재는 전농답십리뉴타운 권역의 아파트 값이 올라가면서 이 지역의 보수 성향이 다시 강해졌고, 2022년에 치러진 20대 대선에서도 전농답십리뉴타운의 보수화가 반영되어, 중산층 위주의 아파트 단지들이 많이 조성된 전농동과 답십리동은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승리를 거뒀다.
여담으로 전국에서 가장 면적이 좁은 선거구(6.01㎢)이다.[4] 또한 중앙선, 태백선 철도를 이용하여 청량리역을 통해 서울에 상경하였을 때 가장 먼저 접하는 서울 선거구이다.
2. 역대 국회의원 목록
<rowcolor=#fff> 총선 | 당선인 | 당적 | 임기 |
제헌 | 이영준 |
[[한국민주당| 한국민주당 ]]
|
1948년 10월 30일 ~ 1950년 5월 30일 |
2대[a] | 장연송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950년 5월 31일 ~ 1950년 6월 25일 |
3대[a] | 민관식 | 1954년 5월 31일 ~ 1958년 5월 30일 | |
4대 | 이영준 |
|
1958년 5월 31일 ~ 1960년 7월 28일 |
5대 | 1960년 7월 29일 ~ 1961년 5월 16일 | ||
6대 |
[[민정당| |
1963년 12월 17일 ~ 1967년 6월 30일 | |
7대 | 장준하 |
[[신민당(1967년)| |
1967년 6월 31일 ~ 1971년 6월 30일 |
8대 | 유옥우 | 1971년 7월 1일 ~ 1972년 10월 17일 | |
9대[b] | 강상욱 |
[[민주공화당| |
1973년 3월 12일 ~ 1979년 3월 11일 |
송원영 |
[[신민당(1967년)| |
||
10대[b] | 송원영 |
[[신민당(1967년)| |
1979년 3월 12일 ~ 1980년 10월 27일 |
이인근 |
[[민주공화당| |
||
11대[b] | 권영우 |
|
1981년 4월 11일 ~ 1985년 4월 10일 |
심헌섭 |
[[민주한국당| |
||
12대[b] | 송원영 |
|
1985년 4월 11일 ~ 1988년 5월 29일 |
권영우 |
|
||
13대 | 김영구 |
|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
14대 |
[[민주자유당| |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 |
15대 |
[[신한국당| |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 |
16대 |
|
2000년 5월 30일 ~ 2001년 6월 8일 | |
홍준표 | 2001년 10월 26일 ~ 2004년 5월 29일 | ||
17대 |
|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 |
18대 |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 ||
19대 | 민병두 |
[[민주통합당| |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
20대 |
|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 |
21대 | 장경태 | 2020년 5월 30일 ~ 2024년 5월 29일 | |
22대 |
|
2024년 5월 30일 ~ |
3. 역대 선거 결과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동대문구 갑[11] 선거구에서는 대한독립촉성국민회[12] 이승만이 당선되었다. 이후 제2대 총선에서도 보수 성향의 무소속 후보 장연송이 당선되고, 제3대 총선에서도 보수 성향의 무소속 후보 민관식이 당선되었다.그러나 제4대 총선부터 이승만 대통령의 장기 집권으로 인해 야당 후보인 이영준이 당선되었으나 그도 한국민주당 출신으로 보수성향이 강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후 제6대 총선까지 이영준이 동대문구 을 지역구에서 3선을 한다.
제7대 총선에서는 장준하가, 제8대 총선에서는 유옥우가 당선되며 야권의 텃밭으로 키웠다. 그러나 중선거구제 이후 제9대 총선에서 동대문구 전역에서 민주공화당이 1위를 차지히고, 강상욱이 당선되었다.
제10대 총선에서도 유신체제에 대한 반감 등으로 인한 악재 속에서도 중선거구제 영향 덕분인지 민주공화당 이인근(청원학원 설립자)이 2위로 당선된다.
제11대 총선에서는 민주정의당 권영우(당시 KD 운송그룹 회장)가 1위로 당선되었고, 제12대 총선에서도 민주정의당 권영우가 재선에 성공한다.
소선거구제 실시 이후 동대문구 을 지역구에서 제13대 총선에서 전국구 재선 국회의원을 지낸 김영구가 출마해 당선되어 3선에 성공했다.
3당합당이 이뤄지고, 제14대 총선에서도 민주자유당 김영구가 출마해 4선에 성공한다. 제15대 총선에서도 신한국당 김영구가 5선에 성공했다.
대선, 지방선거를 보면 스윙 스테이트적 성향이 강하다. 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노태우가 김대중에게 근소 우위를 보였고, 제14대 대통령 선거와 제1회 지방선거, 제15대 대통령 선거, 제2회 지방선거, 제16대 대통령 선거 또한 민주당이 많은 득표수를 올렸다.
알려진 것과는 달리 한나라당의 텃밭은 아니고 한나라당에서 인물 경쟁력이 뛰어난 후보를 내보내서 지역을 사수 한 셈이다. 다만 14대 대선과 15대 대선에서 보수 후보 득표율을 합하면 보수 후보가 훨씬 과반수를 넘는 일이 있었다.
3.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동대문구 을 답십리2동, 답십리3동, 답십리4동, 답십리5동, 전농1동, 전농2동, 전농3동, 전농4동, 장안1동, 장안2동, 장안3동, 장안4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영구(金榮龜)[13] | 34,821 | 1위 |
|
30.37% | 당선 | |
2 | 송원영(宋元英) | 23,364 | 3위 |
[include(틀:통일민주당)] | 20.37% | 낙선 | |
3 | 고광진(高光振) | 32,017 | 2위 |
[include(틀:평화민주당)] | 27.92% | 낙선 | |
4 | 김태웅(金泰雄) | 15,352 | 4위 |
[include(틀:신민주공화당)] | 13.39% | 낙선 | |
5 | 진영효(陳榮孝) | 4,054 | 6위 |
|
3.53% | 낙선 | |
6 | 고달준(高達後) | 5,043 | 5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4.39%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65,466 |
투표율 70.01% |
투표 수 | 114,405 | ||
무효표 수 | 1,124 |
3.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동대문구 을 답십리2동, 답십리3동, 답십리4동, 답십리5동, 전농1동, 전농2동, 전농3동, 전농4동, 장안1동, 장안2동, 장안3동, 장안4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영구(金榮龜) | 49,700 | 1위 |
[[민주자유당| |
44.01% | 당선 | |
2 | 고광진(高光振) | 46,962 | 2위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41.58% | 낙선 | |
3 | 윤금중(尹琴重) | 13,069 | 3위 |
[include(틀:통일국민당)] | 11.57% | 낙선 | |
4 | 박상일(朴商日) | 3,188 | 4위 |
[include(틀:신정치개혁당)] | 2.82%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64,004 |
투표율 70.45% |
투표 수 | 115,540 | ||
무효표 수 | 2,621 |
3.3.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동대문구 을 답십리2동, 답십리3동, 답십리4동, 답십리5동, 전농1동, 전농2동, 전농3동, 전농4동, 장안1동, 장안2동, 장안3동, 장안4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영구(金榮龜) | 37,871 | 1위 |
[[신한국당| |
41.94% | 당선 | |
2 | 김창환(金昌煥) | 29,482 | 2위 |
[[새정치국민회의| |
32.65% | 낙선 | |
3 | 김성식(金成植) | 12,177 | 3위 |
|
13.48% | 낙선 | |
4 | 권승욱(權承郁) | 8,202 | 4위 |
[[자유민주연합| |
9.08% | 낙선 | |
5 | 박상일(朴商日) | 716 | 6위 |
|
0.79% | 낙선 | |
6 | 김태웅(金泰雄) | 1,837 | 5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03%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47,094 |
투표율 62.23% |
투표 수 | 91,543 | ||
무효표 수 | 1,258 |
3.4.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동대문구 을 답십리1동, 답십리2동, 답십리3동, 답십리4동, 답십리5동, 전농1동, 전농2동, 전농3동, 전농4동, 장안1동, 장안2동, 장안3동, 장안4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영구(金榮龜) | 34,796 | 1위 |
|
45.06% | 당선 | |
2 | 허인회(許仁會) | 34,785 | 2위 |
[[새천년민주당| |
45.05% | 낙선 | |
3 | 권승욱(權承郁) | 3,512 | 3위 |
[[자유민주연합| |
4.54% | 낙선 | |
4 | 최종근(崔鍾根) | 2,608 | 4위 |
[[민주국민당(2000년)| |
3.37% | 낙선 | |
5 | 남병희(南秉熙) | 1,512 | 5위 |
|
1.95%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31,916 |
투표율 59.03% |
투표 수 | 77,872 | ||
무효표 수 | 659 |
||<-5><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bgcolor=#0000a8><tablebordercolor=#0000a8> 16대 총선 서울 동대문구 을 개표 결과 ||
<colbgcolor=#eeeeee,#353535> 정당 | 한나라당 | 새천년민주당 |
격차 (1위/2위) |
투표율 (선거인/표수) |
후보 | 김영구 | 허인회 | ||
득표수 (득표율) |
34,796 (45.06%) |
34,785 (45.05%) |
+11 (△0.01) |
77,872 (59.03%) |
답십리1동 | 42.86% | 48.49% | ▼5.63 | 57.53 |
답십리2동 | 45.73% | 46.69% | ▼0.97 | 59.59 |
답십리3동 | 44.90% | 46.13% | ▼1.22 | 60.91 |
답십리4동 | 44.45% | 45.10% | ▼0.65 | 60.52 |
답십리5동 | 44.04% | 45.69% | ▼1.65 | 57.18 |
전농1동 | 40.80% | 47.73% | ▼6.93 | 55.71 |
전농2동 | 49.34% | 39.30% | △10.04 | 56.02 |
전농3동 | 47.29% | 40.76% | △6.53 | 62.45 |
전농4동 | 43.32% | 45.73% | ▼2.41 | 58.34 |
장안1동 | 44.91% | 46.86% | ▼1.95 | 56.04 |
장안2동 | 44.18% | 47.22% | ▼3.04 | 57.46 |
장안3동 | 46.38% | 44.91% | △1.48 | 54.68 |
장안4동 | 48.58% | 42.56% | △6.02 | 60.40 |
후보 | 김영구 | 허인회 | 격차 | |
부재자투표 | 46.97% | 38.86% | △8.10 |
5선 의원인 한나라당 김영구와 386세대 주자 새천년민주당 허인회의 싸움에서 역대급 결과가 나왔다.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초접전지로 꼽힌 동네였다. 격차가 불과 11표였기 때문이다. 동별로 봐도 적은 곳은 격차가 37표(답십리2동)에 그쳤고, 제일 넉넉히 격차가 벌어진 곳도 481표(전농1동) 격차였다. 그리고 그 결과는 김영구 후보의 신승이었다.
3.5. 2001년 하반기 재보궐선거
동대문구 을 답십리1동, 답십리2동, 답십리3동, 답십리4동, 답십리5동, 전농1동, 전농2동, 전농3동, 전농4동, 장안1동, 장안2동, 장안3동, 장안4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홍준표(洪準杓) | 32,095 | 1위 |
|
50.56% | 당선 | |
2 | 허인회(許仁會) | 28,381 | 2위 |
[[새천년민주당| |
44.71% | 낙선 | |
3 | 장화식 | 1,850 | 3위 |
[[민주노동당| |
2.9% | 낙선 | |
4 | 김숙이 | 1,152 | 4위 |
|
1.8%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40,280 |
투표율 46.66% |
투표 수 | 63,999 | ||
무효표 수 | 521 |
물론 허인회 후보 측의 위장전입자도 있었는데, 9명으로 밝혀졌다. 양측의 위장전입자를 빼면 허인회 후보의 2표차 승리가 된다. 이러면 결과가 바뀌게 되니 인정할 수 없다는 것이었다. 이에 대법원이 허인회 후보의 손을 들어주어 선거 무효 판결을 내렸고, 재선거를 치르게 되었다.
당선 무효가 아닌 선거 무효였으므로 김영구 후보의 재출마도 가능했고, 실제로 당시 언론도 김영구와 허인회의 리턴매치에 주목했다. 그러나 김영구 후보가 "선거를 또 치를 생각을 하니 너무 힘들어 못하겠다. 가족들의 반대도 아주 심했다"며 불출마를 선언했다.
김영구 후보의 빈자리에는 모래시계 검사로 유명한 한나라당 홍준표 의원이 등장했다. 원래 홍준표 의원은 15대 총선에서 송파구 갑에 당선됐다가 선거법 위반으로 수사를 받다가 자진사퇴했고, 재판 결과 유죄가 뜨며 피선거권을 박탈당한 상태였고, 그리고 이회창 총재는 재보궐선거를 통해 이 지역구에 당선됐다.
이후 김대중 대통령과 이회창 총재가 영수회담을 가졌고, 이후 사면을 통해 홍준표는 사면복권 되었고, 이회창 총재는 홍준표를 이곳에 전략공천했다.
홍준표 후보는 선거 무효 판결을 받은 전력과 지역구를 옮겨서 출마한 것으로 공격받았고, 허인회 후보는 김대중 대통령 재임 당시 김 대통령에게 큰절을 한 것 때문에 언론의 공격을 받았다. 언론은 그가 386 개혁 정치인이 아니라 아부꾼, 위선자라며 날을 세워 비판했다.
이로 인해 참신한 정치인으로써의 이미지에 타격을 받았다. 결과는 홍준표 후보가 5.9%p, 표차로는 3,706표차란 제법 큰 격차로 이겼고, 허인회 후보는 2연패를 하게 된다.
3.6.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동대문구 을 답십리1동, 답십리2동, 답십리3동, 답십리4동, 전농1동, 전농2동, 전농3동, 전농4동, 장안1동, 장안2동, 장안3동, 장안4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홍준표(洪準杓) | 37,058 | 1위 |
|
42.69% | 당선 | |
2 | 유덕열(柳德烈) | 9,981 | 3위 |
[[새천년민주당| |
11.49% | 낙선 | |
3 | 허인회(許仁會) | 35,950 | 2위 |
[[열린우리당| |
41.41% | 낙선 | |
4 | 곽민경(郭泯京) | 1,281 | 4위 |
[[자유민주연합| |
1.47% | 낙선 | |
5 | 정주용(鄭周溶) | 2,537 | 5위 |
[[민주노동당| |
2.92%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37,569 |
투표율 63.62% |
투표 수 | 87,523 | ||
무효표 수 | 716 |
현역 의원인 홍준표 후보가 앞서가다가, 탄핵 정국으로 인해 홍준표 후보의 지지율이 급락하고 허인회 후보의 지지율이 상승했다. 이에 홍준표 후보는 "지역 내 뉴타운 건설 등 굵직한 지역현안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명박 서울 시장과 개인적 연고가 깊은 내가 적임자"라고 호소했으며, 탄핵 여론조사가 실질적인 민심과는 차이가 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홍준표 후보는 '위조CD 폭로'로 인해 타격을 받았다. 노무현 대통령의 비자금 은닉 가능성을 제기하며 그 근거로 CD를 제시했는데, 여기서 제시한 양도성 예금증서가 위조된 것으로 밝혀진 것. 홍준표 측은 "의혹은 사실이다. 조만간 진실이 밝혀져 큰 반향을 일으킬 것"이라고 해명했지만, 위조 사실은 지지율에 타격을 받았다.
허인회 후보는 16대 총선에서 3표차로 패하고 재선거에서 또다시 졌다는 동정여론, 그리고 탄핵 역풍에 힘입어 지지율 1위로 올라섰다. 그러나 문제는 새천년민주당의 유덕열 전 구청장이 출마했다는 것이었다. 구청장이니 만큼 지역 조직을 갖추고 있어 표가 갈리는걸 막을 수 없었다.
출구조사에선 허인회 후보의 당선을 예측했으나, 정작 결과는 홍준표 후보의 승리였다. 허인회 후보는 1.28%, 표차로는 1,008표 차이로 3연패를 하게 된다.[14]
세부적으로 보면 답십리2,3,4동과 전농2,3,4동, 장안3,4동에선 홍준표 후보가 나머지 지역과 부재자투표에선 허인회 후보가 이겼다. 전농3동, 장안3동을 제외하면 모두 500표 미만 격차로 팽팽히 맞섰다.[15]
하지만 전농3동에서 홍준표 후보가 731표 격차로, 장안3동에서 516표 격차로 이겼고 이는 허인회 후보가 지는 패인이 되었다.
만약 새천년민주당 소속인 유덕열 전 동대문구청장과 단일화 했으면 허인회 후보가 당선될 확률이 높았기에 같은 민주당계 정당인 새천년민주당의 표 잠식이 제일 치명적이였던 것으로 보인다. 물론 원외정당이었던 민주노동당의 2%로 잠식한 것도 한몫했다.
결국 허인회는 이 선거로 충격을 받았는지,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동대문구청장 선거에 출마하려다가 불출마하고 그대로 정계를 은퇴한다.
여담으로 이 선거구의 결과가 처음부터 끝까지 용산구의 결과랑 완전히 똑같다. 17대 총선에 용산구에 열린우리당 후보로 출마한 김진애 후보는 탄핵 역풍에 힘입어 여론조사에서 크게 앞서나가고 있었고 출구조사까지 경합 없이 당선이 예측되었으나, 개표가 시작부터 끝까지 진영 후보한테 1위를 내주고 6.42% 차이로 패한다. 용산구에도 전 용산구청장 성장현이 새천년민주당 당적으로 출마했고.
원외 정당이었던 민주노동당도 후보를 냈는데, 이들이 합쳐서 무려 13% 가량의 표를 잠식한데다 자민련 후보가 1% 미만의 득표를 하면서 한나라당 진영 의원의 표가 거의 갈리지 않았다.[16]
다만 선거 후 김진애와 허인회의 운명은 달랐는데, 김진애는 다음 선거에 비례대표로 출마해서 당선되었기 때문이다.
3.7.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동대문구 을 답십리1동, 답십리2동, 답십리3동, 답십리4동, 전농1동, 전농2동, 전농3동, 전농4동, 장안1동, 장안2동, 장안3동, 장안4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민병두(閔丙梪) | 27,187 | 2위 |
[[통합민주당(2008년)| |
41.07% | 낙선 | |
2 | 홍준표(洪準杓) | 37,618 | 1위 |
|
56.83% | 당선 | |
6 | 박용만(朴容萬) | 1,388 | 3위 |
[[평화통일가정당| |
2.09%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45,896 |
투표율 42.90% |
투표 수 | 62,594 | ||
무효표 수 | 757 |
당시 홍 의원은 당대표 경선에도 출마했으나 친이계의 전폭적 지원을 받은 안상수에게 462표 차로 패했다. "식사 했어요?" 사태로 반발을 사기도 했지만, 반값 아파트 법안 발의, 이중국적 보유자 병역 회피를 금지한 국적법[17], 재외동포법 재정 등으로 화제가 되기도 했었다.
통합민주당에서는 문화일보 워싱턴특파원, 정치부장 출신인 비례대표 민병두 의원이 출마했다. 두 후보는 이미 BBK 사건의 공격수, 수비수로 대결한 바 있었다. 민병두 후보는 2007년 대선 전략기획위원장을 맡아 이명박 후보의 BBK 의혹에 파상공세를 퍼부었고, 홍준표 후보는 한나라당 클린정치위원장으로 방패 역할을 했다.
아무래도 통합민주당에게 불리한 상황인데, 현역의 경쟁력도 괜찮았기에 민병두 입장에선 불리한 조건이었고, 결과도 역시 15.76% 격차로 여유롭게 홍준표가 낙승하였다.
3.8.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동대문구 을 답십리1동, 답십리2동, 전농1동, 전농2동, 장안1동, 장안2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홍준표(洪準杓) | 36,182 | 2위 |
[[새누리당| |
44.54% | 낙선 | |
2 | 민병두(閔丙梪) | 42,960 | 1위 |
[[민주통합당| |
52.88% | 당선 | |
6 | 정병걸(丁炳傑) | 852 | 4위 |
|
1.04% | 낙선 | |
7 | 김재전(金在典) | 1,238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52%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40,616 |
투표율 58.10% |
투표 수 | 81,700 | ||
무효표 수 | 468 |
동대문구 을 출구조사 결과 |
|||
<colbgcolor=#eee,#353535> 후보 | 홍준표 | 민병두 | 격차 |
전체 | 42.6% | 55.6% | 13.0%p |
홍준표 후보는 '동대문이 만든 큰 인물'이라는 플래카드를 통해 인물론을 강조했으며, 민병두 후보는 '이명박·홍준표 동시 심판'이라는 플래카드를 내걸었다.
또한 홍준표 후보는 ‘홍그리버드’ 광고영상까지 찍으며 당선에 크게 힘을 기울였다. 이번에 승리하면 다음 대선에 도전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가 있었다.
그러나 결과는 민병두 후보가 8.34%p 차이로 승리함으로써[18], 4년 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의 복수를 하는데 성공하였다.
후일담으로 홍준표가 패배할 수 밖에 없는 이유가 하나 더 있었는데 당시 새누리당 지도부에서 홍준표를 도와주면 공천을 안주겠다고 예비후보자들에게 엄포를 놓았다고 한다. 알다시피 당시엔 친박이 비박을 공천학살하던 시기였으니...
또한 홍준표는 여기에서 패배하고 은퇴를 선언[19]했으나 번복하고 김두관이 사퇴하고 치른 2012년 하반기 재보궐선거와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승리를 거두어서 경상남도지사가 됐다.
그 이후로, 지사직을 사퇴하여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인한 19대 대선에서 자유한국당 후보로 출마하였지만 낙선한 뒤, 21대 총선에서 대구 수성구 을에 당선되어 10년 만에 원내 복귀를 누렸다.
한편 홍준표는 허니문 기간이었던 8회 지선에서 대구광역시장으로 자리에 올라 민선 최초로 복수 광역자치단체장이라는 타이틀을 갖게 되었다.
3.9.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동대문구 을 답십리1동, 답십리2동, 전농1동, 전농2동, 장안1동, 장안2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박준선(朴俊宣) | 32,765 | 2위 |
[[새누리당| |
38.15% | 낙선 | |
2 | 민병두(閔丙梪) | 49,942 | 1위 |
|
58.16% | 당선 | |
5 | 윤미연(尹美娟) | 3,161 | 3위 |
[[민중연합당| |
3.68%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48,013 |
투표율 59.0% |
투표 수 | 87,306 | ||
무효표 수 | 1,438 |
동대문구 을 출구조사 결과 |
|||
<colbgcolor=#eee,#353535> 후보 | 박준선 | 민병두 | 격차 |
전체 | 39.8% | 56.6% | 16.8%p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 |
이와 관련해 민병두 의원은 "3당의 성공은 어렵다"며, "수도권에서는 야권 연대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민병두 의원은 당으로부터 단수공천을 받아 3선에 도전한다.
새누리당에서는 김형진 전 당협위원장과 용인시 기흥구에서 올라온 박준선 前 의원이 경선을 치러 박준선 후보가 공천을 받았다.
국민의당 위성동 전 카이스트 교수는 단수추천으로 이 지역에 공천되었으나, 총선 최종후보로는 등록하지 않았다.
지역구 관리를 잘했는지 결과는 민병두 의원이 박준선 후보를 20%차로 누르고 크게 이겼다.
3.10.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동대문구 을 답십리1동, 답십리2동, 전농1동, 전농2동, 장안1동, 장안2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장경태(張耿態) | 55,230 | 1위 |
|
54.54% | 당선 | |
2 | 이혜훈(李惠薰) | 44,360 | 2위 |
[[미래통합당| |
43.81% | 낙선 | |
7 | 김종민(金鍾민) | 1,198 | 3위 |
[[민중당(2017년)| |
1.18% | 낙선 | |
8 | 박경희(朴慶姬) | 464 | 4위 |
[[국가혁명배당금당| |
0.45% | 낙선 | |
|
|
사퇴[20] |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
계 | 선거인 수 | 156,971 |
투표율 66.55% |
투표 수 | 104,468 | ||
무효표 수 | 3,216 |
||<-5><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bgcolor=#004ea2><tablebordercolor=#004ea2> 21대 총선 서울 동대문구 을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 더불어민주당 | 미래통합당 |
격차 (1위/2위) |
투표율 (선거인/표수) |
후보 | 장경태 | 이혜훈 | ||
득표수 (득표율) |
55,230 (54.54%) |
44,360 (43.81%) |
+10,870 (△10.73) |
104,468 (66.55%) |
답십리1동[A] | 53.38% | 45.06% | △8.32 | 66.51 |
답십리2동 | 53.11% | 45.27% | △7.84 | 65.16 |
전농1동[B] | 52.71% | 45.26% | △7.45 | 62.01 |
전농2동[C] | 52.55% | 46.01% | △6.54 | 69.49 |
장안1동 | 55.36% | 43.21% | △12.15 | 61.88 |
장안2동 | 54.13% | 44.43% | △9.70 | 64.24 |
후보 | 장경태 | 이혜훈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49.71% | 46.29% | △3.42 | |
관외사전투표 | 63.44% | 34.35% | △29.09 | |
국외부재자투표 | 66.22% | 32.43% | △33.79 |
동대문구 을 출구조사 결과 |
|||
<colbgcolor=#eee,#353535> 후보 | 장경태 | 이혜훈 | 격차 |
전체 | 53.1% | 45.2% | 7.9%p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 |
그리고 민경두 의원이 3월 5일 컷오프되면서 '청년 우선 공천지역'으로 지정되었고 3월 8일자로 장경태와 김현지가 경선을 치르기로 결정했다. 두 청년 후보가 치른 경선 결과 장경태가 공천을 받았다.
그리고 민영삼[26]도 이 지역에 도전장을 던졌는데 결국 이혜훈과 민영삼, 강명구 3명이 경선을 치르기로 했다. 2020년 3월 16일에 이혜훈 의원이 동대문구 을 경선에 승리해서 공천을 확정지었다.
이후 이혜훈 의원은 경제·도시 전문가임을 자처하며, 자신이 서초구 갑에서 성공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교통문제, 지역개발, 재개발·재건축 등을 해결하겠다고 했다.
민중당에선 김종민 청년전태일 대표가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한편 컷오프 당한 반발로 민병두 의원은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해 무소속으로 출마하면서 3파전이 되어버렸다. 이 때문인지 이해찬 대표가 공천 탈락 후 무소속으로 출마한 이들에 대해 영구 제명 방침을 밝혔다.
하지만 민병두 의원은 "부모가 집 나간 자식 호적에서 파버리겠다곤 하지만 성공해서 다시 집으로 돌아오면 잔치를 열어서 반겨주듯이 당의 입장도 바뀔 것"이라고 반응했다.
그러다 결국 4월 9일 장경태 후보를 지지한다며 후보 사퇴를 선언해, 장경태 후보와 이혜훈 후보의 양자대결로 구도가 바뀌었다.[27] 이에 대해 이혜훈 후보는 "현역 3선 의원인 민 후보를 주저앉히지 않고는 이혜훈을 이길 수 없다는 민주당의 불안과 초조가 드러난 것"이라고 반응했다.
선거 결과 더불어민주당 장경태 후보가 이혜훈 후보를 10.73%p 차이로 여유있게 이겼다. 아마도 민병두 의원과의 단일화 효과를 톡톡히 본 듯하다. 투표용지 인쇄 후의 꽤 늦은 단일화에도 불구하고 무효표 수는 3,216표[28]밖에 되지 않는데, 타 지역구의 무효표 수와 비교하면 민병두를 찍은 무효표는 약 2천 표 내외로 추산할 수 있다.
다만 단일화 이외에도 한가지 이유가 더 있는데 여기는 홍준표 이래로 10년 가까이 보수 계열이 힘을 못쓰던 지역이었다. 겉으로 보기에는 보수 계열의 안방 챔피언인 것처럼 보였으나 실제로는 보수 계열 정당에서 네임드가 지나치게 압도적인 후보만 내다보니 계속 당선되던 곳이었다.
이게 어떤거냐 하면 여기 지역구 국회의원으로 출마한 인물 중 홍준표는 대선 후보였던 인물이다.[29] 그런 곳인데도 불구하고 미래통합당은 뛰어난 인재만 배치하면 당선될거라는 생각을 했는데 이것은 오판이었다. 그렇게 미래통합당이 서초구 갑에서 거의 제왕 대우를 받던 이혜훈을 이쪽에다가 긴급 투입했지만 서초구와 동대문구는 성향이 다른 동네'였다.
서초구는 서울 내에서도 최상위권 부촌이지만 동대문구는 서울내에서는 중위권 정도이다. 물론 동대문구도 광역자치단체중 가장 집값이 비싼 서울특별시에 속해있어서 전국적으로 보면 비싼 편이지만 서초구와 비교하면 꽤 차이가 있다. 그랬기에 네임드 선거에는 처음 나온 장경태 후보가 4선째 도전하는 쎈 상대인 이혜훈 후보를 그다지 어렵지 않게 이길 수 있었던 것이다.
전체적으로 동별로 편차가 크지 않았는데, 이혜훈 후보는 상대적으로 전농동과 답십리동의 전농답십리뉴타운에서 선전했다. 과거 전농답십리뉴타운에 젊은층이 입주하면서 지역구의 진보화를 이끈 것과는 대조되는데, 아파트값이 많이 올라가면서 뉴타운이 과거보다 보수화된 것으로 보인다.
3.11.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동대문구 을 답십리1동, 답십리2동, 전농1동, 전농2동, 장안1동, 장안2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장경태(張耿態) | 58,286 | 1위 |
|
54.62% | 당선 | |
2 | 김경진(金京鎭) | 48,408 | 2위 |
|
45.38%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54,549 |
투표율 70.01% |
투표 수 | 108,208 | ||
무효표 수 | 1,514 |
||<-5><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152484><tablebgcolor=#fff,#191919><bgcolor=#152484> 22대 총선 서울 동대문구 을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격차 (1위/2위) |
투표율 (선거인/표수) |
후보 | 장경태 | 김경진 | ||
득표수 (득표율) |
58,286 (54.62%) |
48,408 (45.38%) |
+9,878 (△9.25) |
108,208 (70.01%) |
답십리1동[A] | 53.64% | 46.35% | △7.29 | 69.20 |
답십리2동 | 52.78% | 47.21% | △5.57 | 67.83 |
전농1동[B] | 50.83% | 49.16% | △1.67 | 65.11 |
전농2동[C] | 53.33% | 46.66% | △6.67 | 72.36 |
장안1동 | 55.19% | 44.80% | △10.39 | 65.88 |
장안2동 | 54.43% | 45.56% | △8.87 | 66.26 |
후보 | 장경태 | 김경진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57.14% | 42.85% | △14.29 | |
관외사전투표 | 62.93% | 37.06% | △25.87 | |
국외부재자투표 | 73.25% | 26.74% | △46.51 |
동대문구 을 출구조사 결과 |
|||
<colbgcolor=#eee,#353535> 후보 | 장경태 | 김경진 | 격차 |
전체 | 57.4% | 42.6% | 14.8%p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파일:장경태 22대 총선.jpg | }}}}}}}}} |
국민의힘에서는 각종 방송 출연 및 당 혁신위원 활동으로 인지도가 있는 김경진 전 의원[33]이 동대문구 을 당협위원장으로 선임되었고 2024년 2월 14일 단수 공천을 받았다.
개혁신당에서는 허은아 후보가 국민의힘 비례대표 의원일때부터 이 지역구에 출마하고자 당협위원장에 도전하여 김경진 당협위원장과 겨뤘고 떨어진 후에도 2023년 지역 주민과 인사를 나누며 예비후보로 뛰었다. 그러나 2024년 영등포구에서 승부수를 띄우려는 개혁신당 지도부의 의중에 따라 전략적으로 더불어민주당 출신 후보들만 출마한 영등포구 갑에 출마하게 되었다.
후보 확정 후 첫 양자대결 여론조사에서는 장경태 후보가 근소하게 오차 범위 안에서 앞서는 것으로 나왔다. 정당 지지율도 1%p 차이로 상당한 박빙 양상을 띄고 있었다. # 하지만 선거 결과, 장경태 후보가 김경진 후보에게 9%p 앞서면서 재선에 성공했다. 다만 사실상의 야권 단일화와 당 내에서 최고위원까지 했음에도 21대 총선보다 격차가 약간 줄었는데, 보수 역시 사실상 단일화를 했고, 서울의 보수화, 노령화 경향등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1]
그가 학부를 졸업한
서울시립대학교가 바로 이 선거구에 속해있다. 시립대 출신 해당 지역구 국회의원을 배출한 건 최초의 사례.
[2]
민주정의당 출신
김영구가 소선거구제 개편 이래 내리 4선을 했고 이후
홍준표 현 대구광역시장도 내리 3선을 했을 정도이다. 무엇보다 홍준표를 일개 지역구 국회의원이 아닌 전국적인 스타 정치인으로 키워준 곳이 동대문구 을이다.
[3]
아이러니하게도 전농답십리뉴타운과 장안동 재건축은 이 지역에서 3선을 지낸
홍준표 전 자유한국당 대표의 작품이다. 비슷한 사례로
서청원 전 한나라당 대표의 지역구로서 예산 폭탄을 맞아오며 수도권의 대표적인 신도시로 떠올랐으나 해당 신도시 주민들이
민주당 후보를 당선시켜버린
화성시 갑이 있다.
[4]
반대로 가장 면적이 넓은 선거구는
홍천군·횡성군·영월군·평창군이다. 두 선거구의 면적 차이는 무려 900배.
[a]
동대문구 (단일 선거구)
[a]
동대문구 (단일 선거구)
[b]
동대문구 (중선거구제)
[b]
동대문구 (중선거구제)
[b]
동대문구 (중선거구제)
[b]
동대문구 (중선거구제)
[11]
지금의
성북구 돈암동, 성북동,
종로구 창신동, 숭인동이다. 지금은 모두 동대문구 관할이 아니다.
[12]
나중에
자유당으로 개칭한다.
[13]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에는 '김영균'으로 잘못 기입되어 있다. 하기야 龜가 거북 구/거북 귀/터질 균 세 독음을 갖고 있으니 그럴 만도 하다.
[14]
만약
새천년민주당
유덕열 후보와
민주노동당 정주용 후보 중 하나라도 안 나왔다면
한나라당
홍준표 후보가 낙선하고
열린우리당
허인회 후보가 당선되었다고 봐야 한다.
[15]
특히 답십리2동은 단 6표 차이로 홍준표가 이겼다.
[16]
하지만 새천년민주당은 탄핵을 주도적으로 역할을 했기 때문에 사실상 단일화라는 의미가 적절치 않다.
[17]
이 국적법 개정안 발의가 홍준표를 일약 스타 정치인으로 키워주었고 보수진영의 유력 대권주자로까지 성장하는 밑거름이 되었다.
[18]
이것이 1988년 소선거구제 실시 이후 이 지역구 첫 민주당 후보 당선이었다.
[19]
홍준표 본인은 서울에서의 국회의원을 마감한다는 취지로 트위터에 글을 올렸다고 하였다.
[20]
더불어민주당 장경태 후보 지지.
[A]
전농답십리뉴타운으로 조성된 동네.
[B]
청량리역과
전농답십리뉴타운으로 조성된 동네.
[C]
서울시립대학교가 있는 동네.
[24]
내과 의사 출신으로
윤일규 의원실에서 비서관을 지냈다.
[25]
그렇다고 해서 이혜훈 의원이 동대문구와 인연이 없는 것은 아니다. 이혜훈 의원의 이전 직장이었던
KDI가 이곳에 있었다.
# 다만 KDI는 청량리동에 있었는데, 이곳은
동대문구 갑에 속한다.
[26]
지난 2018년 지방선거에서 민주평화당 전남지사 선거에 출마한 후보다.
[27]
하지만 이미 투표지가 인쇄된 뒤 뒤늦게 사퇴를 선택해 투표지에는 사퇴 표기가 되지 않고 투표장 내에 안내문만 붙게 된다.
[28]
비슷한 시기에 제명, 등록무효된
김대호가 있었던
관악구 갑은 무효표가 12,601표나 발생했다.
[29]
그것도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보수 정당에 대한 민심 이반이 심각하던 시기에 2위를 하였다.
[A]
[B]
[C]
[33]
직전 지역구는
광주광역시
북구 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