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3 11:17:18

도쿄메트로 난보쿠선

도쿄 지하철 7호선에서 넘어옴

도쿄 지하철
파일:도쿄도 교통국 아이콘.svg
파일:도쿄메트로 긴자선 로고.svg 파일:도쿄메트로 마루노우치선 로고.svg 파일:도쿄메트로 히비야선 로고.svg 파일:도에이 아사쿠사선 로고.svg 파일:도에이 미타선 로고.svg
긴자선 [[도쿄메트로 마루노우치선|
마루노우치선
]]
[[도쿄메트로 히비야선|
히비야선
]]
[[도에이 아사쿠사선|
아사쿠사선
]]
미타선
파일:도쿄메트로 도자이선 로고.svg 파일:도쿄메트로 치요다선 로고.svg 파일:도쿄메트로 유라쿠초선 로고.svg 파일:도에이 신주쿠선 로고.svg 파일:도에이 오에도선 로고.svg
[[도쿄메트로 도자이선|
도자이선
]]
[[도쿄메트로 치요다선|
치요다선
]]
[[도쿄메트로 유라쿠초선|
유라쿠초선
]]
[[도에이 신주쿠선|
신주쿠선
]]
[[도에이 오에도선|
오에도선
]]
파일:도쿄메트로 한조몬선 로고.svg 파일:도쿄메트로 난보쿠선 로고.svg 파일:도쿄메트로 후쿠토신선 로고.svg
[[도쿄메트로 한조몬선|
한조몬선
]]
[[도쿄메트로 난보쿠선|
난보쿠선
]]
[[도쿄메트로 후쿠토신선|
후쿠토신선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gcolor=#ffffff,#2d2f34> 파일:도쿄메트로 난보쿠선 로고.svg [ruby(南北線, ruby=なんぼくせん)]
난보쿠선
Namboku Line
}}}
파일:Tokyometro9122_Tamagawa.jpg
도쿄메트로 9000계 전동차
노선도
[ 펼치기 · 접기 ]
파일:Namboku_Line_Vroutemap.png
노선 정보
분류 지하철
기점 메구로역
종점 아카바네이와부치역
역 수 19
노선기호 N
노선번호 7호선
개업일 1991년 11월 29일
소유자 도쿄메트로
운영자
차량기지 오지 검차구, 우라와미소노 차량기지[1]
사용차량 도쿄메트로 9000계 전동차
도쿄도 교통국 6300형 전동차[구간]
도쿄도 교통국 6500형 전동차[구간]
도큐 3000계 전동차
도큐 3020계 전동차
도큐 5080계 전동차
사이타마 고속철도 2000계 전동차
소테츠 21000계 전동차
노선 제원
노선연장 21.3㎞
궤간 1067mm
선로구성 전구간 복선
사용전류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폐색방식 속도제어식
보안장비 도쿄메트로 신 CS- ATC, ATO
최고속도 80㎞/h
개통 연혁 1991. 11. 29. 코마고메 아카바네이와부치
1996. 3. 26. 요츠야 코마고메
1997. 9. 30. 타메이케산노 요츠야
2000. 9. 26. 메구로 타메이케산노[4]
파일:Namboku_Line_linemap.png
실측지도 상의 난보쿠선
상행 전구간 주행영상 (도큐 메구로선 직통)
발차 멜로디 모음

1. 개요2. 소개3. 역 목록4. 운행 차량

[clearfix]

1. 개요

도쿄메트로의 지하철 노선이다. 노선 명칭은 그대로 읽으면 남북선(南北線)으로, 도쿄 23구의 남쪽과 북쪽을 잇는다는 데서 유래하였다.

노선색은 옥색.

2. 소개

노선 번호는 7호선. 도에이 미타선(6호선)과는 공유 구간이 있는데, 이 역들은 도쿄메트로 소유이다. 사이타마 고속철도선과도 직결운행한다.

의외로 티스푼 공사의 반열에 올릴 만하다고 봐야 되는게, 계획은 무려 1960년대 말부터 나왔는데, 모종의 사유로 인해 1980년대가 되어서야 공사를 겨우 시작했다. 1990년대에 뒤늦게 지어졌음에도 노선 번호가 7호선인 것은 이것 때문.[5]

이 노선을 지을 당시, 뭔가 새로운 시도를 많이 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7호선 비전'이라는 컨셉트를 잡고, 편리성 향상과 쾌속성 향상, 1인 승무 실시, 일본 지하철 최초 스크린도어 설치[6], 건설비와 운영비 절감 등을 목표로 내걸었다고 한다. 덕분에 개통 초반에 난보쿠선을 촬영한 영상들은 30년이 다 되가거나 30년도 더 전에 촬영된 영상임에도 불구하고 마치 최근의 풍경을 저화질 카메라로 찍은 듯한 분위기[7]를 느낄 수 있다.[개통초반영상]

개통 당시에는 코마고메~ 아카바네이와부치의 6역이었다.

급행열차가 있긴 한데, 미타선과 마찬가지로 메구로선 내에서만 급행운전을 하며 난보쿠선 내에서는 얄짤없이 각역정차.

일본에서 드물게 반밀폐형 스크린도어를 채택한 노선이다. 메구로역을 제외하고 전부 반밀폐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주택가가 많은 사이타마와 연결되어 수도권 교통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지만 사실 관광객에게는 존재감이 없는 노선이다... 야마노테선 북쪽 변두리(대략 이케부쿠로역~ 닛포리역 사이 구간) 이북은 관광 불모지인데다 난보쿠선 주변에 관광지 자체가 별로 없기 때문이다.[9] 롯폰기 정도를 들 수 있지만 히비야선, 치요다선, 오에도선 등의 대체 노선이 있어 묻히는 감이 있다. 도쿄메트로에서 운영하는 다른 노선은 시부야역, 신주쿠역, 우에노역, 긴자역 등 굵직한 역들과 접속하는 반면 이쪽은 메구로역 코마고메역인데 아무래도 이 역들마저 존재감에서 밀린다. 아니, 애초에 도쿄메트로, 도영 지하철 13개 노선 중에 수송인원 꼴찌를 달리고 있다.

하지만 대학생들에게는 이야기가 달라진다. 이 노선은 도쿄대학을 비롯하여 게이오기주쿠대학, 조치대학, 호세이대학, 메이지가쿠인대학, 토요대학 등 많은 대학 캠퍼스를 지나간다.

역사 디자인에 규칙성이 있는데, 역 내 설비(스크린도어, 에스컬레이터, 의자 등)의 색상이 역마다 전부 통일되어있다. 난보쿠선 내에는 총 6개 색상이 있어서, 아카바네이와부치역부터 차례로 초록-파랑-보라-빨강-주황-노랑 순으로 로테이션이 되어있다. 도쿄메트로 관할 역이 시로카네다이역까지 총 18개이기 때문에, 같은 색상을 가진 역이 3개씩 있는 셈. 노선 종점인 메구로역 도큐 전철의 관할 역이기 때문에 도큐 사양으로 역이 디자인되어있다.

여담으로 메구로역 2역 전역인 시로카네타카나와역행 열차들이 정말 많다. 이는 메구로역 - 시로카네타카나와역 구간이 지하철 미타선과 공용 구간이고, 공용 구간도 복선으로 지어져있기 때문에 용량이 골때리는 관계로 모든 열차가 이 곳으로 진입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미타선과 난보쿠선이 번갈아가면서 이 구간으로 진입하는데, 특이한 점은 한 대씩 번갈아가면서 가는 게 아니라 3:3 배차, 즉 미타선 열차가 세 번 연달아 들어가고 그 다음엔 난보쿠선 열차가 세 번 들어가는 방식이다. 그래서 세 번째 신요코하마행 열차를 놓치면 그 다음에는 시로카네타카나와 종착 열차가 두 번 연속으로 들어오게 되어있다. 시로카네타카나와 종착 열차를 타고 시로카네타카나와역으로 오면 바로 맞은 편에서 미타선에서 오는 메구로선 직통 열차가 들어오게 되어 있으므로, 급하다면 시로카네타카나와 종착 열차를 탄 후 시로카네타카나와에서 제자리 환승하면 된다.

2015년 3월 이전에는 메구로선과 도에이 미타선, 난보쿠선과 사이타마 고속철도선[10]이 같은 발차 멜로디를 사용했었으나, 2015년 3월에 난보쿠선 전 역과 도에이 미타선 2개 역의 발차 멜로디가 바뀌었다. 도에이 미타선의 나머지 역과 메구로선, 사이타마 고속철도선의 발차 멜로디와 난보쿠선의 차상 멜로디는 유지되었다가 2022년 9월부터 무카이야 미노루가 작곡한 새로운 멜로디로 바뀌었다.[11] 역 안내방송은 개통 초기(영단 시대)의 것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었다. 변경 사항도 당시 성우를 섭외해 녹음했었다가 2020년에 신형 행선안내기 설치와 함께 성우를 변경하였다.

도쿄메트로 소속 노선 중에서 승강장 때문에 더이상 증결이 불가능한 긴자선, 마루노우치선, 히비야선을 제외한 노선 중 유일하게 10량 편성이 아닌 노선이다.

마침내 개통 28년 만에 8량 증결 계획이 발표되었다. 2022년부터 8량 편성 운행을 시작할 계획인데, 사가미 철도와 직결운행을 대비한 것으로 보인다.[12] 증결과 동시에 역 설비들을 8량 편성에 대응하도록 개량할 계획이다. 도쿄메트로 플랜 2021 스크린도어의 경우 8량으로 미리 설치되어 있는 역들도 있었고, 문 고정 틀만 미리 설치되어 있는 역들에 추가로 유리 문만 달아 해결했다. 다만 승강장 인테리어의 경우 초기 개통 구간은 딱 6량 편성까지만 시공된 역들이 많아, 추가로 승강장 인테리어 공사까지 시행하여 완공했다. #1 #2

2020년 3월, 역에 설치되어 있는 행선안내게시기와 개통 당시때부터 사용하던 방송을 개정하였다.

드디어 시로카네타카나와역에서 시나가와역으로 난보쿠선의 연장이 발표되었다. 도카이도 신칸센 노조미 열차의 정차역이자 도쿄 하네다 국제공항의 국제선 노선 기능의 부활로 떠오른 케이큐 전철의 기점, 그리고 향후 개통될 츄오 신칸센의 기점으로 시나가와역이 도쿄 남부의 터미널역으로 급부상하는 중이지만, 정작 여기로 들어오는 도쿄 지하철 노선이 그동안 없었다는 점을 보완하기 위해 도쿄도에서 구상하고 있는 계획이다. 이 형태가 난보쿠선의 연장으로 실현되는지, 미타선의 연장으로 실현되는지 의문이었는데, 결국 난보쿠선의 연장으로 결정되었다. 도쿄메트로는 도쿄메트로 후쿠토신선 개통 이후 건설부를 해산했기 때문에 도에이 미타선이 들어올 확률이 높다는 예상이 있었기에 의외의 결과이다. 개통 시기는 2030년대 전반으로 목표로 하고 있다. 보도자료, 영문 기사 2022년 3월 28일에는 제 1종 철도사업자 면허를 받았고, # 2023년 12월 18일에는 공사입찰공고가 개시되며 상세 정보가 추가로 공개되었다. # 자료에 따르면 난보쿠선 시나가와역은 섬식 승강장으로 건설될 예정이다.

2024년 11월 5일 유라쿠초선 토요스 - 스미요시 지선 연장과 함께 시나가와 지선이 착공하였다. 이미 역 남서쪽에 지어져 있는 유치선을 이용해 시로카네타카나와역에서 중간정차역 없이 바로 연결할 예정이다.

3. 역 목록

도쿄메트로 난보쿠선
번호 역명 km 환승노선 위치
도큐 전철 파일:TK-MG.svg 메구로선 파일:TK-SH.svg 도큐 신요코하마선 경유
사가미 철도 파일:Sotetsu-SO.svg 소테츠 신요코하마선 소테츠 본선 에비나역까지 직통
N-01 메구로
(目黒)
0.0 ¶도큐 전철 파일:TK-MG.svg 메구로선 (MG01) (직통운행)
도영 지하철 파일:도에이 미타선 로고.svg 미타선 (I-01)(공용)
JR 동일본 파일:JR 야마노테선 로고.svg 야마노테선 (JY22)
시나가와구
N-02 시로카네다이
(白金台)
1.3 ¶도영 지하철 파일:도에이 미타선 로고.svg 미타선 (I-02)(공용) 미나토구
N-03 시로카네타카나와
(白金高輪)
2.3 ¶도영 지하철 파일:도에이 미타선 로고.svg 미타선 (I-03)[13]일부열차 시종착
N-04 아자부쥬반
(麻布十番)
3.6 ¶도영 지하철 파일:도에이 오에도선 로고.svg 오에도선 (E-22)
N-05 롯폰기잇초메
(六本木一丁目)
4.8
N-06 타메이케산노
(溜池山王)
5.7 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긴자선 로고.svg 긴자선 (G-06)
콧카이기지도마에역 : 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마루노우치선 로고.svg 마루노우치선 (M-14), 파일:도쿄메트로 치요다선 로고.svg 치요다선 (C-07)
치요다구
N-07 나가타쵸
(永田町)
6.6 ¶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유라쿠초선 로고.svg 유라쿠초선 (Y-16), 파일:도쿄메트로 한조몬선 로고.svg 한조몬선 (Z-04)
아카사카미츠케역 : 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긴자선 로고.svg 긴자선 (G-05), 파일:도쿄메트로 마루노우치선 로고.svg 마루노우치선 (M-13)
N-08 요츠야
(四ツ谷)
7.9 ¶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마루노우치선 로고.svg 마루노우치선 (M-12)
¶JR 히가시니혼 파일:JRE-JC.svg 츄오 쾌속선 (JC04), 파일:JRE-JB.svg 츄오-소부 완행선 (JB14)
신주쿠구
N-09 이치가야
(市ケ谷)
8.9 ¶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유라쿠초선 로고.svg 유라쿠초선 (Y-14)
¶도영 지하철 파일:도에이 신주쿠선 로고.svg 신주쿠선 (S-04)
¶JR 히가시니혼 파일:JRE-JB.svg 츄오-소부 완행선 (JB15)
N-10 이다바시
(飯田橋)
10.0 ¶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도자이선 로고.svg 도자이선 (T-06), 파일:도쿄메트로 유라쿠초선 로고.svg 유라쿠초선 (Y-13)
¶도영 지하철 파일:도에이 오에도선 로고.svg 오에도선 (E-06)
¶JR 히가시니혼 파일:JRE-JB.svg 츄오-소부 완행선 (JB16)
N-11 코라쿠엔
(後楽園)
11.4 ¶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마루노우치선 로고.svg 마루노우치선 (M-22)
카스가역 : 도영 지하철 파일:도에이 미타선 로고.svg 미타선 (I-12), 파일:도에이 오에도선 로고.svg 오에도선 (E-07)
분쿄구
N-12 토다이마에
(東大前)
12.7
N-13 혼코마고메
(本駒込)
13.6
N-14 코마고메
(駒込)
15.0 ¶JR 히가시니혼 파일:JR 야마노테선 로고.svg 야마노테선 (JY10) 도시마구
N-15 니시가하라
(西ケ原)
16.4 키타구
N-16 오지
(王子)
17.4 ¶JR 히가시니혼 파일:JRE-JK.svg 케이힌토호쿠선 (JK36)
오지에키마에역 : 파일:도덴 아라카와선 로고.svg 도덴 아라카와선 (SA16)
N-17 오지카미야
(王子神谷)
18.6
N-18 시모
(志茂)
20.2
N-19 아카바네이와부치
(赤羽岩淵)
21.3 사이타마 고속철도 파일:SaitRailway.svg 사이타마 고속철도선 (SR19) (직통운행)
사이타마 고속철도 파일:SaitRailway.svg 사이타마 고속철도선 우라와미소노까지 직통

4. 운행 차량

  • 자사 차량

  • 여담이지만 도쿄 지하철 13개 노선 중 개통 당시 도입된 자사 차량들이 모두 현역인 유일한 노선이다.
  • 도쿄도 교통국
    • 도쿄도 교통국 6300형 전동차 - 도쿄도 교통국 6500형 전동차와 함께 이쪽은 정식으로 운행한다기보다는 도큐 메구로선 직통운행을 위하여 난보쿠선을 살짝 거쳐가는 그런 이미지의 차량. 그래도 난보쿠선 내에서 3개 역사에 정차한다.
    • 도쿄도 교통국 6500형 전동차 - 도쿄도 교통국 6300형 전동차 1~2차분 차량의 대차분 차량으로 2022년 5월 14일부터 운행을 시작하였다.

[1] 사이타마 고속철도선 내 위치. [구간] 메구로역~ 시로카네타카나와역 구간 [구간] [4] 도큐 메구로선과 직통 운행 개시 [5] 1925년에 계획되었던 1~5호선을 제외하고(1~5호선의 노선 번호 부여기준은 야마노테선 시나가와역정작 시나가와역에는 아직도 지하철이 없다에서 시계방향으로 순환하며 만나는 순서대로 지어졌다.) 도쿄 지하철의 노선번호는 계획이 처음 나온 시기에 따라 부여되었다. 1960년대 말에 미타선과 난보쿠선은 동시에 계획이 최종적으로 확정되어 6호선과 7호선, 몇 달 차이로 늦게 계획이 성립된 유라쿠초선과 치요다선이 8호선과 9호선, 1970년대 초에 계획이 성립된 신주쿠선과 한조몬선, 오에도선이 10호선과 11호선, 12호선, 1970년대 중반에 계획이 확정된 후쿠토신선이 13호선이 되었다. [6] 개통 당시 설치한 것으로, 당시에는 구동장치가 공유압 방식이었으나 2010년대 중~후반에 구동장치만 전기식으로 바꾸고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다. 2024년 기준으로 무려 33년 동안 사용한 것으로, 사용한지 15년 정도 넘어 교체가 진행되고 있는 서울 지하철의 스크린도어와 비교된다. 참고로 광주 도시철도에도 비슷한 기종이 있다. 참고로 아시아를 넘어 전세계 최초의 현대식 유리창 스크린도어는 도쿄메트로 난보쿠선이 개통되기 4년 전인 1987년 싱가포르 MRT지하역에 설치되었다. [7] 참고로 버블경제는 1991년 붕괴되었다. [개통초반영상] 1991년 11월 29일 개통 당시의 영상 1993년 8월 19일 영상 1996~1997년 구간개통 영상 [9] 그나마 조금이라도 알려진 관광지로는 구 후루카와 정원, 리쿠기엔 정도. [10] 우라와미소노역 제외. 우라와미소노역은 지역 프로축구팀의 응원가를 사용함. [11] 미타선과 사이타마 고속철도선은 역에서, 메구로선은 차량 스피커에서 송출한다. [12] 사가미 철도에는 6량 편성이 없고, 8량, 10량 편성만 있다. [13] 오테마치, 스가모, 니시타카시마다이라 방면 환승필요 [14] 20000계는 10량 편성이기 때문에 승강장 규격과 맞지 않아 8량 편성인 21000계가 들어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