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19 00:29:52

노현 전투

임진왜란 정유재란 전투 목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임진왜란 (일본군 대규모 상륙), 일본군 진격 시기
1592년 <colcolor=#f0ad73,white>
음력
4월
부산진 전투[日] · 다대포진성 전투[日] · 동래성 전투[日] · 김해성 전투[日] · 경상도 방어선 · 상주 전투[日] · 충주 탄금대 전투[日]
5월
한강 전투[日] · 기강 전투[朝] · 제1차 경상좌병영 탈환 전투[朝] · 옥포 해전[朝] · 합포 해전/적진포 해전[朝] · 해유령 전투[朝] · 임진강 전투[日] · 정암진 전투[朝] · 사천 해전[朝]
6월
당포 해전[朝] · 제1차 당항포 해전[朝] · 용인 전투[日] · 무계 전투[日] · 율포 해전[朝] · 금화 전투[日] · 제1차 평양성 전투[日]
7월
웅치 전투[日] · 안덕원 전투[朝] · 전주성 전투[朝] · 이치 전투[朝] · 한산도 대첩[朝] · 제1차 금산 전투[日] · 안골포 해전[朝] · 우척현 전투[朝] · 제2차 평양성 전투[日] · 삭녕 전투[日] · 해정창 전투[日] · 영천성 전투[朝] · 지례 전투[朝]
8월
제3차 평양성 전투[日] · 청주 전투[朝] · 제1차 경주 전투[日] · 제2차 금산 전투[日] · 영원산성 전투[日] · 장림포 해전[朝]
9월
부산포 해전[朝] · 연안성 전투[朝] · 제2차 경주 전투[朝] · 북관대첩[朝] · 노현 전투[日] · 창원성 전투[日]
10월
제1차 진주성 전투[朝]
12월
길주성 전투[朝] · 독성산성 전투[朝]
조명연합군 진격 시기
1593년
1월
제4차 평양성 전투[朝明] · 수원 전투[朝] · 성주성 전투[朝] · 벽제관 전투[日]
2월
웅포 해전[朝] · 죽주 전투/상주 전투[朝] · 행주대첩[朝] · 노원평 전투[朝]
전선 고착화 및 국지전 시기, 정유재란 (일본군 대규모 재상륙)
1593년
6월
제2차 진주성 전투[日]
1594년
3월
제2차 당항포 해전[朝]
7월
거제도 진공작전[朝]
1597년
2월
부산 진공작전[朝]
3월
기문포 해전[朝]
6월
가덕도 해전[朝]
7월
칠천량 해전[日]
일본군 진격 시기
1597년
8월
고령 전투[朝] · 남원 전투[日] · 황석산성 전투[日] · 어란포 해전[朝]
9월
벽파진 해전[朝] · 직산 전투[明] · 명량 해전[朝] · 제1차 석주관 전투[日]
사로병진책, 조명연합군 진격 시기
1597년
11월
제2차 석주관 전투[日]
12월
제2차 경상좌병영 탈환 전투[朝明] · 제1차 울산성 전투[日]
1598년
7월
절이도 해전[朝明]
9월
사천성 전투[日] · 제2차 울산성 전투[朝明] · 왜교성 전투[日]
11월
노량 해전[朝明] · 남해왜성 소탕전[朝明]
각주: [朝]: 조선군의 승리 / [日]: 일본군의 승리 / [明]: 명나라군의 승리
}}}}}}}}} ||
노현 전투
露峴 戰鬪
<colbgcolor=#C00D45,#01454F><colcolor=#f0ad73,white> 시기 1592년 (선조 25년) 9월
장소

경상남도 창원시 노현
교전국 <rowcolor=black> 일본
(공세)
조선
(수세)
주요 인물
지휘관

파일:고니시 가몬.svg 고니시 유키나가
파일:가토 가몬.svg 가토 기요마사
파일:쿠로다 가몬.svg 구로다 나가마사
지휘관

파일:조선 어기.svg 유숭인
병력 일본군: 20,000명 조선군: 2,000명
피해 피해 규모 불명 피해 규모 불명
결과 일본의 승리
영향 창원성 전투 발발
1. 개요2. 배경3. 전개4. 결과

[clearfix]

1. 개요

조선 중기 경상남도 창원 노현에서 일본군과 벌인 전투.

2. 배경

부산과 김해를 무너뜨린 일본군들이 서진하는 데 있어 우선적으로 공격과 점령의 대상이 된 곳이 창원이었고, 창원에 진입하는 길목 중의 하나가 노현이었으므로 이곳에서 교전이 발생했다.

3. 전개

창원성을 수비하고 있던 경상우병사 유숭인(柳崇仁)은 일본군이 김해성을 함락하고 창원으로 진격해 온다는 보고를 접하고 출동하여 노현 일대에서 일본군을 방어하고자 하였으며, 적장인 구로다 나가마사가 지휘하는 제3군 병력은 서쪽으로 진격하면서 진주 등지를 공략하기 위하여 창원 지역을 내습하려 했다.

부산을 떠난 일본군은 김해성을 함락한 후 2만여 명의 병력을 이끌고 1592년(선조 25) 9월 24일 서쪽으로 진격하기 시작하였다. 이때 경상우병사 유숭인은 2,000여 명을 거느리고 창원성에 있다가 이러한 보고를 접하고 출동하여 노현 일대에 포진하였다. 24일 오후부터 적의 척후병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곧이어 선봉대가 보였는데 산야 모두 인마로 뒤덮인 듯하고 먼지가 자욱한 가운데 때때로 함성이 요란스럽고 위협하는 총포 소리가 소란하였다. 유숭인은 진중에 명령하여 함부로 활을 쏘지 못하게 하고 인기척을 죽이고 기다리게 하였다. 일본군은 아군에게 계략이 있는지 의심하여 급히 공격하거나 포위하여 오지 않았다. 오후 4시경부터는 각 진에서 연막을 치고 신중하게 공격을 준비하는 듯했다.

이 때 적병 몇 명이 진 앞에 나타나 내부를 살피려고 말을 탄 채로 기웃거리자 가까이 올 때까지 기다려 부장의 명령으로 화살을 집중 사격하여 격퇴시켰다. 그리고 이날 밤을 새웠는데 적진에는 진을 밝히는 불이 20리 앞들에 밝았고 인마의 고함소리가 요란하였다. 다음날인 25일 오전 10시경부터는 총포를 쏘면서 포위작전으로 진격해 왔다. 아군과 적의 병력차가 많았으므로 진지를 고수할 도리가 없음을 판단하고 퇴각하여 창원성 안으로 들어와 수비하였다.

4. 결과

노현 전투는 경상우병사 유숭인이 거느린 2,000여 명과 일본군 2만여 명의 병력이 대치하고 교전한 전투이다. 중과부적으로 일본군의 기세를 꺾지 못하고 퇴각한 싸움으로 인해 창원 지역은 엄청난 피해를 입었다. 일본군은 창원과 함안에 주둔하면서 온갖 만행을 자행하고 진주성을 포위하여 공격하고자 하였다. 전쟁이 발발한 지 2년 뒤, 울산의 서생포와 동래·부산·양산·김해·웅천·창원 등 해안선에 일본군이 집중해 있었다. 일본군과 전투하다가 함안과 진주 사이에서 전사한 조선 군사가 수만 명에 달하였고, 일본군은 경상 좌도와 우도에 걸쳐 세력을 수백 리에 뻗쳐 약탈을 자행하는 지경에 이르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