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earfix]
1. 주연
1.1. 최명길
1.2. 김상헌
김상헌: 조정이 가난하여 너희들의 추위를 덮어주지 못하니, 임금인
나의 부덕이다. 너희들이 이 외로운 산중에서.. 얇은 옷에 떨고 거친 밥에 주리며, 살이 얼어 터지고 발가락이 빠지는 추위에 알몸을 드러낸 채 성을 지키고 있으니, 나는 온 몸이 바늘로 찔리는 듯 아프다. 이제 적들은, 차마 옮기지 못할 말로 야만의 무도한 속내를 드러내니. 금수(禽獸)만도 못한 것들을 어찌 사람의 말로 꾸짖을 수 있겠느냐? 저들 마음 어둡기가 짐승 같아, 말 길이 막히고 화친의 길이 끊어졌으니. 오직 싸움이 있을 뿐이다. 군신상하(君臣上下)가 한 몸으로 성을 지키고 창의(倡義)를 몰아오는 근왕병과 함께 떨쳐 일어서면, 대의(大義)가 이미 우리와 함께 했으니 깊이 들어와 의지할 곳 없는 오랑캐를 국경 밖으로 몰아낼 수 있을 것이다. 고립된 성은 위태하기가 머리칼과 같고 군부의 위급함이 이 지경에 이르렀으니, 삼남의 군사들은 밤을 새워 달려오라! 너희 의로운 신민들은 달려오고 달려오라! -조정간난-
2. 조선
2.1. 인조
2.2. 서날쇠
<nopad> |
서날쇠 ( 고수 扮) |
2.3. 이시백
<nopad> |
이시백 ( 박희순 扮) |
2.4. 김류
실제 역사와 똑같이 본인의 안위를 위해서라면 못하는 게 없는 인물로,
도체찰사라는 매우 막중한 자리에 있으면서도 지금 군사들의 병장기 상태는 어떠한지도 몰랐으며 이시백이 "바람이 좋지 않고[2] 성 밖이 너무 고요하여 불길하다, 우선 척후를 보내 적진을 살핀 후 군사를 보내도 늦지 않다"며 설득을 해보았지만 이 영화 속의 김류는 오늘은 자신이 무당에게 직접 택일을 받은 필승의 길일이라며 수백 수천 명의 목숨을 무당의 말을 듣고 움직이는 등 능력도 없고 고집만 센 무능한 간신으로 그려진다.
영화상에서 임금인 인조조차 추위와 굶주림에 허덕이며 고생하는 백성과 군사들의 사정을 헤아리며 할 수 있는한 이들의 노고를 위로하고 어떻게든 고생을 덜어주려고 하나 김류는 그러한 것조차도 없다. 오히려 틀려먹은 조언[3]을 올려 인조마저도 군인들의 원성을 사게 만드는 그야말로 무능한
똥별의 면모를 보인다. 그와중에 쓸데없이 자존심은 강해서 가마니를 빼앗겨 추위에 떨어 화가 머리 끝까지 난 군인들이 죽일거면 죽여버라며 본인 실책을 좀 비꼬는 말을 했다고 입을 찢어버리라고 해서 대경실색한 최명길과 김상헌이 뜯어말린다. 결국 김류 본인을 조용히 응시하는 군인들의
증오에 찬 눈빛들을 보고 마지못해 포기하면서도 제대로 조언을 올린 수어사에게 이런 일이 있다면 수어사를 죽이겠다는 황당한 뒷끝까지 내보인다.
2.5. 초관 이두갑
<nopad> |
초관 이두갑 ( 진선규 扮) |
2.6. 칠복
2.7. 나루
<nopad> |
나루 ( 조아인 扮) |
2.8. 기타 등장인물
- 소현세자 (신기준 扮)
- 도원수 ( 도용구 扮) - 실제 역사에서 심기원 또한 도원수였다.
- 김류 비장 (성규찬 扮) - 김류의 부하장수이자 실존인물로, 본명은 유호. 김류의 의견을 무작정 따르고 자신의 의견이 없는 장수로 묘사된다.
- 관량사 ( 윤세웅 扮) - 남한산성의 식량을 담당하는 중하급 관리. 영화 초반 성내의 식량 사정[4]을 인조에게 보고한다. "아껴 배급하되 너무 아끼지는 말라"는 애매하기 그지없는 명령에 어느정도로 아끼란 말인지 되물었다가 "내가 너에게 그런 것 까지 알려주랴?"라고 핀잔을 받는다.
3. 청나라
3.1. 정명수
이보시오
영상, 나는 부모가 노비라 태어날 때부터 노비였소. 조선에서 노비는 사람이 아니오. 그러니 다시는 날 조선사람이라 부르지 마시오!
조선 출신의 청나라 역관. 화의를 청하러 청나라 진영을 오가는 조선 사신들과 청나라 장수 사이의 통역을 담당하고 있다.
사신으로 찾아온 김류와 최명길에게 홍이포를 가르키며 이 대포 몇 방이면 조선 임금이 숨어있는 작은 성벽도 쉽게 무너뜨릴 수 있다하자, 김류가 조선에서 태어난 사람이 어찌 말을 그렇게 하냐며 항의한다. 이에 자신은 노비로 태어났고, 조선에서 노비는 사람 취급도 받지 못하였는데 어떻게 자신이 조선 '사람'이겠냐며 분노를 참으며 차갑게 대꾸한다.[5] 자신의 조국이자 고향인 조선에 대해 개인적으로 극도로 혐오하기 때문에 자신을 조선인이라고 부르지 말라고 할 정도로, 조선의 신분제도의 문제점을 함축한 인물이다.
사신으로 찾아온 김류와 최명길에게 홍이포를 가르키며 이 대포 몇 방이면 조선 임금이 숨어있는 작은 성벽도 쉽게 무너뜨릴 수 있다하자, 김류가 조선에서 태어난 사람이 어찌 말을 그렇게 하냐며 항의한다. 이에 자신은 노비로 태어났고, 조선에서 노비는 사람 취급도 받지 못하였는데 어떻게 자신이 조선 '사람'이겠냐며 분노를 참으며 차갑게 대꾸한다.[5] 자신의 조국이자 고향인 조선에 대해 개인적으로 극도로 혐오하기 때문에 자신을 조선인이라고 부르지 말라고 할 정도로, 조선의 신분제도의 문제점을 함축한 인물이다.
실제 역사에서
한윤 또한 이 캐릭터의 모티브가 된 인물로 추정된다.
3.2. 칸
3.3. 용골대
용골대, 타타라 잉굴다이는
박씨전을 포함해서 다른 매체에서는 무능하고 포악한 이미지로만 그려지곤 하는데, 사실은 척화론이 득세한 조선에 사신으로 왔다가 목숨을 위협받는 일이 있었음에도 청나라에서 거의 유일하게 조선에 대해 예를 갖추어 대한 훌륭한 인품을 가진 인물이었다. 영화에서는 실제 면모와는 달리 예의를 갖추지 않고 조선에 대해 매우 강경한 태도만 보이는 인물로 설정되었다.[6]
군사 지휘관으로서의 모습만 보여주는 영화와는 다르게 실제 인물로서의 용골대는 외교관, 행정 관료, 정책 감독관, 자문관으로서 모두 뛰어난 능력을 보인 여러모로 입지전적인 인물이었다. 호란 이전에도 용골대는 청나라의 경제 상황 타개를 위해 조선에 여러번 파견되어 무역 시장 개방에 대한 교섭에 직접 나섰으며 이때마다 조선 조정에 깊은 인상을 남겼다. 유능하면서도 청렴하고 강직한 성품이
홍타이지의 큰 신임을 얻어 그에게 참수당할 죄를 한 번 사면해주는 특권을 부여할 정도였다. 물론 용골대는 해당 특권을 행사할 일이 전혀 없었으며 마지막까지 청나라를 위해 일하다 조용히 여생을 마쳤다.
[1]
황동혁 감독의
넷플릭스 오리지널 한국 드라마에
재출연했다.
[2]
바람이 강하게 불면 조총 장전이 힘들 뿐더러 정예 포수라 할지라도 맞추기 어렵다. 군사 훈련도 제대로 받지 못하고 끌려온 백성들은 더더욱 어렵다.
[3]
군마를 보존해야 한다면서 추위에 떠는 군인들에게 덮으라고 줬던 짚가마니들을 거두게 한 것이 대표적. 결국 가마니를 도로 거둬들여 말먹이로 먹였음에도 말들은 집단으로 죽어나가 삶아 먹어야 했다.
[4]
군사들만 놓고 보았을 때 아껴 배급하면 한 달, 더 많이 아끼면 두 달까지는 어떻게든 버틸 수 있는 상황.
[5]
작중의 정명수는 조선에서는 사람 취급도 못받는 천한 신분이었으나, 청나라에 와서는 역관으로써 조선의 영의정을 '동등한 위치'에서 대할 수 있는 신분까지 올랐다.
[6]
작중 김류와 김상헌이 식량과 예물 등을 갖추고 청나라 진영에 사신으로 찾아왔을 때, 작중에서는 용골대가 이를 거절하고 조선 팔도가 이미 청나라의 것인데 춥고 배고픈 너희들이나 잘 챙기라고 대꾸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이 일화는 실제 역사에서 용골대가 아니라
마부대가 내뱉은 말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