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30 21:55:54

남오세티야

남오세티아에서 넘어옴
남오세티야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조지아의 역사
<colcolor=#fff>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상고대 고대 기독교화 / 로마 vs 이란
A 유목 아시리아 제국 콜키스 키메르 <colbgcolor=#4aadd6> 그리스 식민도시 콜키스 폰투스 <colbgcolor=#9f0807> 로마 제국 동로마 제국 사산 왕조 동로마령
라지카
사산 왕조 동로마 제국
B 디아우에히 우라르투
O 유목 스키타이 아조 이베리아 아르메니아 제국 아르탁세스 왕조 파르나바즈 왕조 아르사케스 왕조 호스로 왕조 이베리아 총독령 하자르
T 호스로
아랍 vs 하자르 / 아라보바 이슬람 치하 바그라티온 왕조 중근세
A <colbgcolor=#4682b4> 압하지야 압하지야 왕국 조지아 왕국 조지아 제국 몽골 제국 일칸국 체르케스 삼트케 티무르 제국 압하제티
B 라지카 구아람 왕조 토후들 이메레티 조지아 왕국 메스케티
O 이베리아 트빌리시 토후국 바그라티온 이베리아 왕국 오세티아 아르가베티
T 트빌리시 토후들 사즈 왕조 카케티 트빌리시 셀주크 조지아 카르틀리
근현대
A 오스만 제국 <colbgcolor=#8b0000> 밍그렐리아 공국 러시아 제국 자캅카스 민주 연방 공화국 조지아 민주 공화국 조지아 - 아르메니아 전쟁 자캅카스 사회주의 연방 소비에트 공화국 소련
소비에트 그루지야
압하지야
B 구리아 공국 아자리야
O 사파비 아프샤르 이메레티 러시아 제국 러시아 제국 남오세티야
T 카르틀리-카헤티 카자르 조지아
※ T는 트빌리시를 중심으로 한 동부, A는 서북부의 압하지야, B는 서남부의 아자리야, O는 북중부의 오세티야 지역 }}}}}}}}}

파일:동유럽 아이콘.png 동유럽의 국가 및 지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몰도바 국기.svg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러시아[A] 몰도바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svg 파일:조지아 국기.svg 파일:압하지야 국기.svg 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트란스니스트리아 조지아[A] 압하지야[A] 남오세티야[A]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아르메니아[A] 아제르바이잔[A] 카자흐스탄[A] }}}
[A] 일부 지역만 동유럽에 속해 있는 국가 또는 넓은 의미로 동유럽으로도 분류되는 국가.
(주로 아시아에 분포, 캅카스 서아시아 중앙아시아 등 다른 지역으로 분류될 때도 있다.
[A] [A] [A] [A] [A] [A]
}}}}}}

파일:westernasia.png 서아시아의 국가와 지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그리스[1] 튀르키예[A] 압하지야[B] 남오세티야[B] 조지아[B]
키프로스[A] 북키프로스[A] 아크로티리 데켈리아 파일:영국 원형.png [A] 아르메니아[B] 아제르바이잔[B]
레바논 시리아 이라크 쿠웨이트 이란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요르단 사우디아라비아 바레인
이집트[11] 예멘 오만 아랍에미리트 카타르 }}}
[1] 도데카니사 제도만 서아시아로 분류된다. [A] 튀르키예와 키프로스 섬은 남유럽으로도 분류된다. [B] 캅카스 중앙아시아, 동유럽으로도 분류되며, 대부분 많은 서아시아 국가들과 차이점이 다른 지역으로도 분류된다. [B] [B] [A] [A] [A] [B] [B] [11] 시나이 반도만 서아시아로 분류된다.
}}}}}}

인도이란인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민족 | 인도이란인
<colbgcolor=#eef6ef,#323433> 이란계 민족 페르시아인( 파르시 | 라르인 | 타지크 | 아이마크인) | 파미르인( 와키인 | 사리콜리인 | 슈그니인) | 쿠르드족( 자자족 | 야지디족) | 페르시아계 유대인 | 발루치인 | 파슈툰인 | 오세트인 | 부하라 유대인 | 산악 유대인 | 타트인 | 탈리시인 | 하자라인 | 소그드인 † ( 야그노비인) | 루르인 | 길란인 | 마잔다란인 | 셈난인 | 스키타이인 † | 메디아인 † | 파르티아인
누리스탄인
인도아리아인 다르드인( 카슈미르인 | 파샤이인) | 신드인 | 펀자브인( 사라이키인) | 벵골인( 로힝야) | 싱할라인 | 칼라쉬인 | 자트인 | 네팔인 | 구자라트인 | 구자르인 | 몰디브인 | 마라티인 | 라자스탄인( 라지푸트) | 힌두스탄인( 무하지르) | 비하르인 | 아삼인 | 오디아인 | 콘칸인( 고안 가톨릭) | 집시 | 미탄니인 † | 오손
언어 | 인도이란어파 지역
독립국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 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 | 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남오세티야(미승인국)
자치 지역 및 다수 거주지 쿠르디스탄( 파일:로자바 상징기.svg 로자바 | 파일:쿠르드족 깃발.svg 이라크 쿠르디스탄 | 튀르키예령 쿠르디스탄 | 이란령 쿠르디스탄) | 파일:북오세티야 국기.svg 북오세티야-알라니야 공화국 | 파일:1599px-Flag_of_Balochistan.svg.png 발루치스탄( 파키스탄령 발루치스탄 | 시스탄오발루체스탄 | 아프가니스탄령 발루치스탄)
사회문화
언어 인도이란어파
사상 범이란주의 | 범아리아주의 | 파일:쿠르드족 깃발.svg 쿠르디스탄 독립운동 | 파일:발루치족 깃발.svg 발루치스탄 독립운동
신화 페르시아 신화 | 인도 신화 | 오세트 신화 }}}}}}}}}

미승인국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aecf0,#15181d> 일부 유엔 비회원국만 승인 <colbgcolor=#fff,#191919>
일부 유엔 회원국이 승인
일부 유엔 회원국이 승인하지 않은 유엔 참관국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일부 유엔 회원국에게 승인받지 않은 유엔 회원국이나 초소형국민체 나라를 자칭한 세력은 기재하지 않음. }}}}}}}}}
남오세티야 공화국-알라니야국
Республикӕ Хуссар Ирыстон / Паддзахад Аллонстон
Республика Южная Осетия / Государство Алания

Republic of South Ossetia – the State of Alania
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파일:남오세티야 국장.svg
국기 국장
국가 남오세티야 공화국-알라니야국의 국가
면적(영토) 3,900㎢
인구 56,520명
인구밀도 13.7명㎢
접경국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조지아|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수도 | 최대도시 츠힌발리
언어 오세트어, 러시아어
정치 이원집정부제
대통령
(국가원수)
알란 가글로예프 (Алан Гаглоев)[1]
총리
(정부수반)
콘스탄틴 주소예프(Константин Джуссоев)[2]
통화 러시아 루블
1인당 GDP 약 $2,000 (2017년 추정.)
여행정보 출국권고: 전 지역[3]
위치
파일:external/media-3.web.britannica.com/123976-050-81DB21F6.gif
1. 개요2. 남·북오세티야3. 역사4. 정치5. 행정구역6. 인구7. 외교
7.1. 조지아와의 관계7.2. 러시아와의 관계7.3. 압하지야와의 관계
8. 군사9. 경제10. 관광11. 국가12.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언어별 명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ccccc,#1f2023> 오세트어 Хуссар Ирыстон (Xussar Iryston)[4]
후사르 이르슈톤
러시아어 Ю́жная Осе́тия (Júžnaja Osétija)
유즈나야 오세티야
압하스어 Аахыҵ Уаԥстәыла (Aaxəc̣ Uapsṭ°əla)
아흐츠 와프스투을라
영어 South Ossetia
사우스 오세티어
튀르키예어 Güney Osetya
귀네이 오세티아
조지아어 სამხრეთი ოსეთი (samxreti oseti)
삼흐레티 오세티
페르시아어 اوستیای جنوبی (Osetiyâ-ye Janubi)
오세티여예 자누비
}}}}}}}}}
남오세티야는 조지아 국내의 미승인국이다. 수도는 츠힌발리(ცხინვალი) / 츠힌발(Цхинвал)이다.[5]

2008년 남오세티야 전쟁 이후 사실상 독립하였지만 극소수 국가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국가들과 수교하지 못했고 정식 국가로 인정받지도 못한 미승인국이다. 남오세티야를 공식 인정해 주는 곳은 UN 비회원 미승인국 서사하라, 압하지야, 트란스니스트리아 3개국, UN 회원국 중에서는 러시아, 니카라과, 베네수엘라, 나우루, 시리아[6] 5개국 뿐이다.[7] 한편, 투발루도 압하지야와 남오세티야를 승인했으나 이후 둘 다 승인을 취소하였다.

대내외적인 공식명칭은 독립 당시 '남오세티야 공화국(Republic of South Ossetia)'이었고, 2015년경부터 대통령의 주도로 정식 명칭 개정 담론이 형성되었다. 이후 2017년 4월 6일 국민투표를 통해 정식 명칭을 '남오세티야 공화국-알라니야국(Republic of South Ossetia – the State of Alania)'으로 개정하였다. 남오세티야 헌법. 이는 같은 오세트인들이 사는 러시아령 북오세티야의 국호와 오세트인의 역사 속에 존재했던 국가인 알라니야에서 영감을 받은 것이다. 북오세티야의 국호 역시 '북오세티야-알라니야 공화국(Republic of North Ossetia–Alania)'이다.

국토 면적은 충청북도의 절반 정도인 3,900㎢이고 2015년 기준으로 인구는 약 50,000명 정도로 인구 70만명의 북오세티야의 14분의 1 수준에 불과하고 460만명 정도의 인구를 가진 소국 조지아에 비해 봐도 그야말로 약소국이라고 할 수 있지만, 압하지야와 함께 러시아군이 주둔하고 있기 때문에 조지아 중앙정부가 함부로 할 수 없어 어느 정도의 안전보장은 이뤄지고 있다.

2. 남·북오세티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남오세티야-북오세티야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Ossetia01.png
명칭이 굳이 남(南)오세티야인 이유는 러시아 연방령 북오세티야가 있기 때문이다. 오세트어로 남오세티야는 '후사르 이르슈톤(Хуссар Ирыстон)', 북오세티야는 '처가트 이르슈톤(Цӕгат Ирыстон)'이라 한다. 스탈린 정권기에 남·북오세티야는 같은 민족 거주지임에도 문자가 달랐다. 북쪽은 키릴 문자, 남쪽은 조지아 문자를 사용했고 1954년에 이르러서야 키릴 문자로 통일되었다.

파일:5917018_4.jpg
북오세티야도 정세가 그리 안정적인 편은 아니었다. 구소련 시절, 스탈린이 반러 성향이 짙은 체첸인·인구시인을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시키고 인구시인의 터전이었던 프리고로드니군(Пригородный район, Prigorodny District)을 러시아에 충성하던 오세트인들에게 멋대로 넘긴 것이다.[8] 흐루쇼프 시대에 인구시인이 귀환하여 이 지역의 반환을 요구하였지만 오세트인들은 이들의 요구를 묵살하였다. 그 결과가 1992년 발생한 인구시인-오세트인 분쟁이다. 러시아는 자신들에게 우호적이었던 오세트인을 지원해 주었고 애꿎은 이 지역 인구시인 민간인들만 피해를 봤다. 이후에도 이슬람 극단주의 계열 체첸인 반군에 의해 2004년 베슬란 학교 인질사건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3. 역사

북캅카스 지역의 알란족들은 13세기부터 몽골 제국과 그 계승국인 티무르 제국에 의해 많은 이가 학살당하면서 생존자들은 중부 코카서스 산맥으로 후퇴, 더 나아가 코카서스 산맥을 넘어 조지아 왕국으로의 이주를 계기로 오세트인들의 조지아 이주가 시작되었다. 시간이 흘러 17세기 카바르디아 군주들의 압력으로 또다시 북캅카스에서 카르틀리 왕국으로 오세트인들의 두번째 이주가 시작되었고, 카르틀리 국왕의 허락 아래 남캅카스 산악 지대로 이주한 오세트인 농민들은 조지아 봉건 영주들의 땅에 정착했다. 조지아 주재 러시아 대사에 따르면, 17세기 초부터 오늘날 남오세티야에 위치한 대(大)리아크비 강 상류 근처에 이미 소수의 오세트인들이 살고 있었다고 전해진다.

남·북오세티야 분열의 원인을 제공을 한 것은 소련이다. 소련이 건국되면서 북오세티야는 1921년에 성립된 고르스카야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를 거쳐 1924년 러시아 SFSR에 속한 북오세티야 자치주로,( 1936년에 자치공화국으로 승격됨.) 남오세티야는 조지아 쪽에 남오세티야 자치주로 합병되었기 때문이다. 결과는 소련 해체 직후 발생한 1991~1992년 남오세티야 전쟁이다.[9] 애초에 거대한 캅카스 산맥을 경계로 한 지역에 살았기 때문에 둘로 나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남오세티야의 오세트인들도 러시아 제국 볼셰비키가 캅카스 일대를 점령해 나갈 때 '향도' 노릇한, 캅카스 민족들에게는 러시아 제국과 공산당의 앞잡이로 비추어졌을 것이다.[10] 이 공으로 블라디미르 레닌이 오세트인들을 위한 북오세티야 자치주를 세워줬다. 조지아인 입장에서는 민족 구분선을 러시아 연방령인 북오세티야에만 그으면 되는데, 그루지야 SSR의 영토에 남오세티야 자치주까지 설치한 게 갈등의 발단이 된 것이다.

조지아인 오세트인은 오랜 기간의 통혼으로 상당히 동화되었으나, 소련이 붕괴된 후 조지아인과 오세트인 양측에서 민족주의가 고조되면서 분쟁이 시작되었다. 조지아의 초대 대통령인 즈비아드 감사후르디아는 남오세티야의 자치권을 폐지하면서 "그들은 여기서 나라(남오세티야)를 세울 권리가 없다. 그들의 고향은 북오세티야일 뿐, 여기서는 뜨내기일 뿐이다."라고 말했다. 문제는 이런 짓을 하는 바람에 남오세티야를 분노하게 만들어 반란이 일어나고 만다. 1990년대 초반 소련 해체 이후 발생한 남오세티야 전쟁(조지아-오세티야 분쟁)으로 인해 조지아 본토 영내에서 10만명의 오세트인 피난민이 발생했고, 2만 3천명의 조지아인이 남오세티야에서 도피하였다. 이러한 갈등이 원인이 되어서 지금 조지아와 불구대천의 원수가 된 것이다. 러시아 입장에서는 캅카스 내에서는 흔치 않게 대다수가 정교회 신도인 친러파 민족이라 아예 러시아 시민권을 주고 옹호하는 것.

2008년 남오세티야 전쟁의 발단은 조지아가 이 곳에 군사행동을 개시함으로써 일어났다. 이후에 조지아로부터 독립을 선언한 상태라지만 조지아는 당연히 인정하고 있지 않다. 압하지야 아자리야는 조지아 중앙정부에 의한 자치공화국이 별도로 존재하고 있지만 남오세티야는 그렇지도 못한 상태이다.

2015년부터 러시아와 통합할 예정을 보이고 있다. 관련 기사. 거기에다 나우루측은 남오세티야와 무비자협정을 체결했다. 관련 기사. 2017년 4월 9일에 국민투표를 거쳐 공식명칭을 '남오세티야 공화국-알라니야국'으로 변경하였다. 이는 북오세티야와 명칭을 일치시키려는 의도이다. 한편 츠힌발리에선 블라디미르 푸틴의 이름을 딴 거리가 생겨났다. 관련 기사(러시아어)

2022년 3월 31일 남오세티야 당국은 러시아에 편입하겠다는 의사를 공식적으로 표명했다. # 이에 대해 러시아는 법적 장애물이 없다고 밝히며 사실상 국민투표가 통과되는 대로 합병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이에 대해 조지아 정부는 용납할 수 없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 한편 비슷한 처지에 있는 압하지야는 남오세티야의 러시아 편입 열망은 지지하지만 자신들은 러시아 편입 의사가 없다고 선을 그었다. # 러시아 속의 북오세티야 공화국과 남북 통일하는 것이 목적인 남오세티야와는 달리 압하지야는 러시아에 그러한 연결고리가 딱히 없다 보니 러시아에 편입할 유인이 약하다.

그러나 이러한 무리한 친러정책에 국민들이 반발하면서 비빌로프 대통령이 재선에 실패하였고 새롭게 당선된 가글로이트 알란 대통령 당선인은 비블트 행정부 시기에 악화된 조지아와의 관계개선에 나설 것임을 천명하였다. #

그럼에도 2022년 7월 17일에 러시아 편입 여부 투표를 가진다고 발표했다. 아직까지는 대통령이 비빌로프라서 막는 것이 불가능하고, 어차피 낙선했기에 비빌로프 대통령 입장에서는 아쉬운 것이 없으니 그대로 실행한 것으로 보인다. # 하지만, 러시아와 협의때까지 투표를 취소했다. #

4. 정치

동유럽 정치
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몰도바 국기.svg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남오세티야ii, iii 러시아i 몰도바 벨라루스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파일:압하지야 국기.svg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아르메니아iii 아제르바이잔iii 압하지야ii, iii 우크라이나
파일:조지아 국기.svg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svg
조지아iii 카자흐스탄 트란스니스트리아ii
i: 우랄 산맥 서쪽 지역은 동유럽에 속한다고 본다.
ii: 미승인국
iii: 기준에 따라 서아시아로 분류 될 때도 있다.

서아시아 정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파일:레바논 국기.svg 파일:바레인 국기.svg
그리스 i 남오세티야 ii, iii 레바논 바레인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북키프로스 ii, iii 사우디아라비아 시리아 아랍에미리트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파일:압하지야 국기.svg 파일:예멘 국기.svg
아르메니아 iii 아제르바이잔 iii 압하지야 ii, iii 예멘
파일:오만 국기.svg 파일:요르단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오만 요르단 이라크 이란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이집트 국기.svg 파일:조지아 국기.svg 파일:카타르 국기.svg
이스라엘 이집트iv 조지아 iii 카타르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쿠웨이트 키프로스iii 튀르키예iii 팔레스타인
i: 도데카니사 제도만 서아시아에 속함.
ii: 미승인국
iii: 기준에 따라 유럽으로 분류 될 때도 있다.
iv: 시나이 반도만 서아시아에 속함.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4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transparent 80%, #fff 70%, #fff 80%, #ff0000 80%, #ff0000 90%, #ffdf00 90%, #ffdf00);"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남오세티야 국장.svg 남오세티야 의회
원내 구성
}}}
{{{#!wiki style="margin:0 -10px -5px"
{{{#black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여당
[[느하스|파일:느하스 로고.svg
느하스
10석
]]
야당
[[통합 오세티야|파일:통합 오세티야 로고.png
통합 오세티야
7석
]]
[[인민당(남오세티야)|파일:남오세티야 인민당 로고.png
인민당
5석
]]
파일:남오세티야 공산당 로고.png
공산당

3석
무소속
9석
재적
34석
결원
0석
}}}}}}}}}

대통령제 공화국으로 임기는 5년(재선가능)이다. 총리가 있으며, 국회는 34석으로 지역구·비례대표 각 17석씩으로 구성된다. 2019년 6월 총선거로 현 여당인 느하스는 4석을 가지고 있어 14석을 가지고 있는 통합 오세티야, 5석을 가진 인민당에 이은 원내 3당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5. 행정구역

행정구역은 2개 시와 4개 군으로 이루어져 있다. 조지아의 행정구역상에서 남오세티야의 영역은 라차-레치후미크베모스바네티주, 이메레티주, 시다카르틀리주, 므츠헤타-므티아네티주에 걸쳐서 나뉘어 있다.
파일:Xussar Iryston.png
행정구역 오세트어 조지아어 면적 인구( 2020년)
츠힌발리 Цхинвал 츠힌발 ცხინვალი 17.46㎢ 32,906명
크바이사 Къуайса 콰이사 კვაისა
785명
츠힌발리 군 Цхинвалы район 츠힌발 군 ცხინვალის რაიონი 695㎢ 8,424명
자바 군 Дзауы район 자우 군 ჯავის რაიონი 1,448㎢ 6,021명
즈나우리 군 Знауыры район 즈나우르 군 ზნაურის რაიონი[11] 404㎢ 4,604명
레닌고리 군 Ленингоры район 레닌고르 군 ლენინგორის რაიონი[12] 1,011㎢ 3,665명

6. 인구

소련 붕괴 직후 민족분규로 인구가 줄었다. 2022년 통계에 의하면 남오세티야의 인구는 56,520명으로 소련 붕괴 당시(1989년 98,527명)의 절반 정도로 줄어들었다. 이 가운데 절반 이상이 수도인 츠힌발리에 거주한다. 2015년 기준 민족별로는 오세트인이 89.9%, 조지아인이 7.4%, 러시아인이 1.1%를 차지했는데, 1989년 인구의 29%에 달하던 조지아인들이 2008년의 전쟁으로 대부분 도피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7. 외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북오세티야 국기.svg
북오세티야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압하지야 국기.svg
압하지야
}}}}}}}}} ||

7.1. 조지아와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조지아-남오세티야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여러 차례 분쟁도 있었지만 특히 2008년 8월에 일어난 남오세티야 전쟁으로 인해 절대 좋게 여기지 않으며, 당연히 나라로 인정해주지도 않는다.
조지아에선 남오세티야 영토를 '츠힌발리 구역'(ცხინვალის რეგიონი, Tskhinvali Region) 또는 역사적 명칭인 '사마차블로'(სამაჩაბლო, Samachablo)'로 부른다. 명목상으로 자치공화국의 지위를 부여한 압하지야와 달리 남오세티야 영토에는 단독 행정구역을 부여하지 않고 있으나, 남오세티야 영토에 대한 행정력을 가지는 실체로서 '남오세티야 임시 행정부'(სამხრეთ ოსეთის დროებითი ადმინისტრაცია)를 두고 있다. 이 부서는 남오세티야 독립에 반대하는 오세트인 및 조지아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7.2. 러시아와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러시아-남오세티야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남오세티야-북오세티야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러시아는 반대로 이곳에 친러도 많고, 지리적 요충지로서의 중요성도 있다고 여겨 독립국가로 승인했다.

러시아는 츠힌발리, 남오세티야는 모스크바에 대사관을 두고 있다.

2022년 3월 31일, 남오세티야 당국은 러시아에 편입하겠다는 의사를 공식적으로 표명했다. # 이에 대해 러시아는 법적 장애물이 없다고 밝히며 사실상 국민투표가 통과되는 대로 합병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7.3. 압하지야와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압하지야-남오세티야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군사

남오세티야군은 총 병력 2,500명으로 예비군까지 포함해도 병력 16,000명의 작은 군대이다. 사실 나라의 규모를 생각해보면 예비군 16,000명도 부담스러워 보이기는 한다. 인구가 70,000명인데 현역 2500명에 예비군이 16,000명 수준이면 거의 북한급의 나라이다. 비슷한 인구인 세인트키츠 네비스가 고작 군병력이 70명인 걸 고려해보면 확실히 과무장이다.

2015년 들어 러시아와의 동맹통합조약이 검토되고 있다. 2월 10일 이전에 체결될 예정이며, 조약에는 통합군부대를 창설하며, 남오세티야군의 현대화, 남오세티야군 작전지휘권의 독립성 유지 등을 명시하고 있다. 효력은 향후 25년간으로 10년마다 연장된다. 관련 글

2017년에 러시아에서 남오세티야군을 자국의 군대로 편입하는 방안을 추진하였다. 관련 기사 이후 2018년에 남오세티야와 연합군을 결성하기로 결정했다. 관련 기사

9. 경제

서아시아 경제
[[키프로스/경제|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북키프로스#경제|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
[[튀르키예/경제|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아르메니아/경제|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이란/경제|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아제르바이잔/경제|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조지아/경제|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압하지야/경제|
파일:압하지야 국기.svg

압하지야]]
[[남오세티야#경제|
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남오세티야]]
[[이스라엘/경제|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팔레스타인#경제|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레바논/경제|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요르단/경제|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이라크/경제|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시리아/경제|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사우디아라비아/경제|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바레인/경제|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예멘#경제|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아랍에미리트/경제|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오만/경제|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쿠웨이트/경제|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카타르/경제|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경제적으로 낙후된 국가다. 2002년 1인당 GDP는 $250[13]였으며 2017년 1인당 GDP 추정치는 $2,000.

자체 발전소가 없어 전기는 러시아에서 끌어다 쓴다. 유전이 있지만 개발은 지지부진한 상태이다.

10. 관광

캅카스 산맥 지대에 자리잡아 천혜의 관광자원을 가지고 있다. 무비자 입국이 가능하다고 하나 러시아 국적 외의 입국 희망자는 최소 근무일 기준 3일전 "입국 허가"를 위한 커버레터를 보내 허가를 받아야 한다. 대중교통으로는 러시아 연방 북오세티야 공화국 블라디캅카스와 남오세티야 츠힌발리를 잇는 노선의 버스가 있다.

숙박시설은 츠힌발리 버스 터미널 바로 앞의 호텔 Alan이 있으며 전화예약(러시아어, 오세트어)만으로 예약할수 있다.

출입국 지점은 총 4곳이 있는데 조지아와의 경계에 있는 '모사브루니(მოსაბრუნი) / 라즈더헌(Раздӕхӕн)', '페레비(პერევი) / 페레우(Пъереу)', '카르즈마니(ქარზმანი) / 카르즈만(Карзман)', '시나구리(სინაგური) / 시나구르(Синагур)'는 허가증이 있는 조지아인, 오세트인만이 왕래할수 있다. 이외의 경우 러시아 연방과 남오세티야를 잇는 로키 터널(Рокский туннель, Roki Tunnel)을 통해 입국이 가능하다.

굳이 입국하지 않더라도 조지아의 접경지역인 에르그네티(ერგნეთი, Ergneti)에서 남오세티야의 수도 츠힌발리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실제로 외국인들도 남오세티야를 보려고 방문한다고 한다.

남오세티야 인근 조지아 주민에 따르면 종종 조지아인을 납치해 인질로 삼아 돈을 요구한다고 한다.

11. 국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남오세티야 공화국-알라니야국의 국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둘러보기

파일:동유럽 아이콘.png 동유럽의 국가 및 지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몰도바 국기.svg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러시아[A] 몰도바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svg 파일:조지아 국기.svg 파일:압하지야 국기.svg 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트란스니스트리아 조지아[A] 압하지야[A] 남오세티야[A]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아르메니아[A] 아제르바이잔[A] 카자흐스탄[A] }}}
[A] 일부 지역만 동유럽에 속해 있는 국가 또는 넓은 의미로 동유럽으로도 분류되는 국가.
(주로 아시아에 분포, 캅카스 서아시아 중앙아시아 등 다른 지역으로 분류될 때도 있다.
[A] [A] [A] [A] [A] [A]
}}}}}}

파일:westernasia.png 서아시아의 국가와 지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그리스[1] 튀르키예[A] 압하지야[B] 남오세티야[B] 조지아[B]
키프로스[A] 북키프로스[A] 아크로티리 데켈리아 파일:영국 원형.png [A] 아르메니아[B] 아제르바이잔[B]
레바논 시리아 이라크 쿠웨이트 이란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요르단 사우디아라비아 바레인
이집트[11] 예멘 오만 아랍에미리트 카타르 }}}
[1] 도데카니사 제도만 서아시아로 분류된다. [A] 튀르키예와 키프로스 섬은 남유럽으로도 분류된다. [B] 캅카스 중앙아시아, 동유럽으로도 분류되며, 대부분 많은 서아시아 국가들과 차이점이 다른 지역으로도 분류된다. [B] [B] [A] [A] [A] [B] [B] [11] 시나이 반도만 서아시아로 분류된다.
}}}}}}



[1] 오세트어 표기는 가글로이트 알란(Гаглойты Алан). [2] 오세트어 표기는 주소이트 콘스탄틴(Джусойты Константин). [3] #(조지아 정보, 이유는 미승인국 문서 참고) [4] [ˈχusːar iɾɨˈʃton\] [5] 후자는 러시아어· 오세트어 표현이며 또 다른 오세트어 표현으로는 '치레바(Чъреба)'라고도 한다. [6] 2018년에 시리아가 압하지야와 남오세티야를 인정했다. 관련 기사. [7] 영어판 위키백과의 관련 문서. 다섯 나라 모두 코소보를 승인하지 않은 곳들이다. 나우루는 한동안 코소보도 승인했으나 나중에 취소했다. [8] 오세트인은 대다수가 정교회 신자이며 러시아의 캅카스 정복 당시 종교적으로 같은 러시아를 적극적으로 도왔다. [9] 2008년 발생한 남오세티야 전쟁과 달리 내전에 가깝게 전개되었다. [10] 러시아 제국과는 정교회로, 볼셰비키와는 독립을 선포한 조지아 민주공화국의 민족주의 제압에 대해 일치했기 때문이다. [11] 조지아어로는 코르니시(ყორნისი)라고 부른다. [12] 조지아어로는 아할고리(ახალგორი)라고 부른다. [13] 당시 조지아는 $777, 러시아는 $2,377였고 구소련 국가들 중 가장 소득이 낮은 타지키스탄은 $186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