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07 22:39:12

교향곡 제10번(베토벤)

[[루트비히 판 베토벤|
파일:lvb.png 파일:투명.png
루트비히 판 베토벤
Ludwig van Beethoven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관련 문서
루트비히 판 베토벤 생애 인간관계( 베토벤의 여인들 불멸의 연인) 이야깃거리 작품 세계
베토벤의 교향곡
초기
1번
중기
2번 3번 "영웅" 4번 5번 "운명" 6번 "전원"
7번 8번
후기
9번 "합창" 10번 (미완성)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
초기
1번 2번 3번 4번 5번
6번 7번 8번 "비창" 9번 10번
11번 12번 13번 14번 "월광" 15번 "전원"
중기
16번 17번 "템페스트" 18번 19번 20번
21번 "발트슈타인" 22번 23번 "열정" 24번 "테레제를 위하여" 25번
26번 "고별" 27번
후기
28번 29번 "함머클라비어" 30번 31번 32번
베토벤의 협주곡
초기
피아노 협주곡 1번 피아노 협주곡 2번
중기
피아노 협주곡 3번 피아노 협주곡 4번 피아노 협주곡 5번 "황제" 피아노 협주곡 6번 바이올린 협주곡
삼중 협주곡
후기
(해당 없음)
베토벤의 다른 작품
초기
아델라이데 바이올린 소나타 제5번 "봄" 바이올린 소나타 제7번 피아노 트리오 제4번
중기
피델리오 바이올린 소나타 제9번 "크로이처" 첼로 소나타 3번 엘리제를 위하여 에로이카 변주곡
후기
대푸가 디아벨리 변주곡 장엄 미사

}}}}}}}}} ||

1. 개요2. 구상3. 베토벤 사후4. 여담

1. 개요

루트비히 판 베토벤의 미완성 교향곡. 미완성이므로 작품번호는 없고 Biamonti 번호만 존재한다.

2. 구상

원래 베토벤은 두 개의 작품을 동시에 진행하는 버릇이 있었다. 교향곡 5번 6번이 동시에 작곡된 작품들이었고, 7번 8번도 마찬가지. 그리고 마지막 교향곡이 된 9번을 진행하는 동안에도 이 10번의 구상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본래의 구상에 따르면 9번은 순수 기악의 교향곡, 10번은 합창을 부가한 작품이 될 예정이었다. 영국의 필하모닉 협회가 교향곡을 청탁하기도 해서 둘 중 어느 하나를 넘겨주어야 했는데, 가장 진척 속도가 빨랐던 9번을 보내기로 하고 10번에 넣을 예정이었던 합창 악장도 9번의 마지막 악장에 들어가게 되었다.

이후에 베토벤은 현악 4중주의 작곡에 집중했기 때문에 10번은 내버려둔 듯하다. 하지만 베토벤의 성향으로 봐서 영국 런던의 필하모니 협회에서 받은 위촉도 있었기 때문에 10번을 완성시켜야겠다고 생각한 것은 분명하다.

당시 베토벤은 10번 외에도 괴테 파우스트 오페라로 만들 계획도 세우고 있었고, 장엄미사의 후속 종교음악인 레퀴엠 바흐의 이름(B-A-C-H)[1][2]을 주요 모티브로 한 서곡도 구상하고 있었다. 이 중에 B-A-C-H 서곡은 실제로 작업에 들어갔고 2분 정도 길이의 스케치도 존재한다. (Bia. 832) 하지만 결국 간경화의 악화로 인해 이들 작품을 완성시키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다.

3. 베토벤 사후

베토벤의 10번 교향곡에 대한 소문은 사후에도 계속 퍼지고 있었다. 베토벤의 비서를 자처한 안톤 쉰들러나 후기 현악 4중주를 초연한 슈판치히 4중주단의 비올라 주자 칼 홀츠가 10번 교향곡의 존재에 대한 소문의 근원지였다. 홀츠는 베토벤이 10번 교향곡을 피아노로 치는 것을 들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홀츠의 회고는 다음과 같았다.
E플랫 장조의 부드러운 도입부가 있은 후 c단조의 힘찬 알레그로가 뒤따랐다. 그러나 이 1악장은 완전하게 형태를 갖추고 있는 것은 아니었다. 그리고 거기에는 다음 악장들로 이어질 만한 뚜렷한 징후가 엿보이지 않았다.

이후로 10번 교향곡이 완전한 악보의 형태로 어딘가에 짱박혀 있을 것이란 소문부터 있지도 않은 곡을 가지고 퍼뜨려진 헛소문일 뿐이라는 회의적인 시각까지 다양한 의견이 설왕설래했다. 그러다가 20세기 후반 들어 영국의 음악학자 배리 쿠퍼가 베토벤의 편지, 그리고 쉰들러나 홀츠의 언급을 보고 베토벤의 이전 작곡 성향을 참조해볼 때 어딘가에 10번 교향곡의 스케치가 있을 것이라는 추측을 한 뒤, 그 스케치를 찾기 시작했다.

그렇게 쿠퍼는 약 50여개의 10번 교향곡의 스케치이거나 혹은 관련이 있을 법한 스케치를 찾아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250여 마디의 소재를 조바꿈이나 반복 진행 등을 통해 늘리고 베토벤의 관현악법을 참조해 1악장을 복원했다고 주장했다. 이 복원 악보는 1988년 10월 18일에 런던에서 발터 벨러가 지휘한 로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연주로 초연되었고, 그보다 한 달 전 쯤인 9월 8일에는 윈 모리스가 지휘한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연주로 첫 녹음이 만들어졌다.

대작곡가의 미완성 교향곡을 일부나마 복원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쿠퍼의 완성판은 그 직후 세계 각지에서 연주되었다. 베토벤 팬이 엄청나게 많은 일본에서는 공개 초연이 진행된 바로 그 달에 쿠퍼가 요미우리 일본 교향악단을 지휘해 일본 초연이 행해졌고, 1991년 4월 4일에는 한국에서도 원경수가 지휘한 서울 아카데미 심포니 오케스트라가 첫 공연을 기록했다.

쿠퍼의 복원판에 따르면 일반적인 베토벤의 교향곡과는 달리 상당히 독특한 형태로 시작된다. 1악장은 목관악기의 안단테로 시작해서 중간부에 c단조의 격렬한 알레그로를 둔 뒤 다양하게 변주되는 안단테의 반복인 A-B-A' 3부 형식의 큰 틀로 짜여져 있다. 전후반부의 주요 동기는 월광 소나타의 2악장과 흡사하다. 쿠퍼는 이러한 전개 방식에 대해 베토벤이 회고적인 태도를 보인 것이라고 주장했다.

다만 쿠퍼의 이 작업에 대해서는 강한 찬반 논란이 있었다. 우선 그가 찾아냈다는 악보의 단편이 정말 10번 교향곡의 단편이었는지에 대한 논란이 있었고, 그것이 10번이 맞다고는 해도 홀츠가 회고한 것처럼 베토벤이 병마로 더 이상 진척시키지 못한 지극히 단편적인 자료만 가지고 지나치게 작위적으로 만들어낸 악보라는 비판도 이어졌다.

쿠퍼가 복원한 곡의 스타일은 베토벤의 후기 작품보다는 중기 작품을 연상케 하며, 악상 전개 방식도 9번 교향곡이나 여타 후기 작품에 비하면 지나치게 클리셰적이고 베토벤이 혐오한 비더마이어[3] 스타일에 가깝다.

쿠퍼가 '베토벤의 회고적인 태도'라고 주장한 것도 의문이 남는데, 베토벤 자신이 회고적인 의미로 작곡했다는 현악 4중주 16번도 규모가 이전 4중주들보다 간소해지고 좀 더 심플한 느낌을 줄 뿐이고, 오히려 베토벤이 만년에 집착 수준으로 중시한 대위법 전개나 기존의 변주곡 형식에 얽매이지 않는 환상곡풍 변주 스타일이 들어가 있는 등, 결코 쿠퍼가 보여준 것처럼 무비판적으로 과거 회귀하는 모습은 보여주지 않았다. 이 때문에 초연 지휘자인 벨러와 첫 녹음을 만든 지휘자인 모리스 정도를 제외하면 이 곡에 손댄 지휘자는 손에 꼽을 정도로 극히 적다.

후속악장을 복원하려는 몇몇 노력이 있었지만 다른 악장의 아이디어로 추정되는 몇몇 단편들과 16-20마디의 2악장 스케치로 다른 악장을 이어가기엔 무리가 있어 아직까지 뚜렷한 성과는 없고 앞으로도 주목할만한 복원이 나오긴 힘들 것이다.

어떤 음악학자들은 베토벤이 10번 교향곡에서 기독교 세계관과 고대 그리스 세계관의 융합을 추구하려 했을 것이라고 보기도 한다. 이는 괴테의 영향이기도 하고, 베토벤이 10번 교향곡 외에 파우스트의 오페라화를 구상한 데서도 드러난다. 사실 9번 교향곡에서도 이미 그런 경향이 드러나기도 한다.

대작으로 유명한 교향곡 9번에 이은 곡인데다 베토벤 최후의 교향곡이란 점 때문에 만약 완성되었다면 어느 정도의 수준이었을지에 대해서 일반 대중들 사이에서도 떡밥거리로 남아 있다.

스페인의 작가 조셉 젤리네크[4]가 이를 소재로 한 <10번 교향곡>이라는 추리소설을 쓰기도 했다. 단, 히스토리언과 비슷하게 역사적 소재와 픽션을 절묘하게 버무리는 시도를 했지만 베토벤에게 스페인 핏줄이 흐른다는 식의 터무니없는 내용이 들어가는데다, 결정적으로 히스토리언과 마찬가지로 결말이 허무해서 평은 박하다.

4. 여담

  • 그가 세상을 떠나며 베토벤의 10번 교향곡이 미완성 작품이 된 이후 작곡가들은 9번 교향곡을 넘기지 못한다는 9번 교향곡의 저주라는 징크스가 존재한다. 유명한 징크스라 두려운 나머지 저주를 피하기 위해 아예 교향곡 번호를 붙히지 않은 작곡가들도 있다.[5]

[1] 독일어 음계명으로는 내림나(B플랫)-가(A)-다(C)-나(H). 이 음계는 바흐 자신의 마지막 대작이자 미완성작인 '푸가의 기법'에서 가장 끄트머리에 나오기도 한다. [2] 베토벤 작품은 아니지만 이 B-A-C-H를 모티브로 리스트을 쓴 적이 있다. [3] Biedermeier. 고틀리브 비더마이어라는 가상 인물로 나타낸 19세기 초반의 지리멸렬한 양판소양산형 작품을 비꼬는 단어다. 이후 카펠마이스터무지크(Kapellmeistermusik)라는 단어로 대체되었다. [4] 스페인 작가임에도 영어식 필명을 쓰고 있다. [5] '환상교향곡'처럼, 번호 대신 특정한 제목을 붙이는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