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9:06:00

창덕궁 경추문

경추문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
대보단
건무문 광지문 수문
청의정 태극정 농산정 옥청문
농포
소요암 옥류천
소요정 수문
취한정
수복방 신선원전 진설청
괘궁정 취규정
재실
능허정
의효전 사가정 청심정 천향각
몽답정 산단
백운사
천성동 태청문
청연각
존덕정
외삼문 폄우사 척뇌당
관람정
한려청 반도지
승재정
부군당
반빗간 태일문
통벽문 우신문 농수정
연경당 선향재
국출신직소 수인문 장양문
장락문
창덕궁 애련정 수궁
어수당 애련지
불로문
석거문 금마문 영춘문
운경거 의두합
희우정 천석정
서향각 주합루
어수문
사정기비각 부용지 영화당 춘당대 서총대
부용정
요금문 수문장청 서소 개유와 열고관
창송헌 수정전 가정당
수궁 습취헌 집상전
영모당
생물방 경복전 경훈각 징광루 함원전
소주방 청향각
숙경재 의풍각 융경헌 대조전 흥복헌
수랏간 관리합
만수전 태화당 재덕당 정묵당 요휘문 경극문 창경궁
경추문 수문장청 보경당 선평문 양심합 여춘문 병경문
함양문
서북 진설청 내재실
선원전
서남 진설청 동남 진설청
만수문 건중문 희정당 자선재 영안문
양지당 만안문 관광청 선정전 유덕당 건인문
책고 인정전 관물헌 석유실 어휘문
봉모당 억석루 연경문 만복문 향실 선정문 성정각 보춘정 양성재 중희당 칠분서 해당정 수방재 연영합 평원루 취명문
운한문 영의사 예문관 서방색 소주방 선화문 자시문 삼삼와 승화루 한정당 보화문
숭범문 선전관청 장방 영현문 전의사 취운정 협문
훈국초관인직소 이문원 검서청 약방 내삼청 광범문 대전장방 내반원 낙선재 석복헌
훈국초관인직소 홍문관 당후( 승정원) 문서고 궁방 사옹원 등촉방 대은원 수강재
훈국군파수직소 정청 육선루
악기고
승정원 상서성 연영문 협양문 무예청 장락문 주명문
남소
위장청
인정문 + 양사( 사간원) 공상청 사알방 누국
수문장청 금천교 진선문 숙장문 건양문 일영대
금호문 결속색
정색
내병조
(창덕궁관리소)
호위청 상서원 배설방 금위군번소 패장직소 별감방 전루 문기수번소 저승전 낙선당
무비사
의장고
전설사 빈청
(어차고)
진수당 장경각 계방
수문장청 돈화문 수문장청 교자고 상의원 치미각 시민당 군옥재 춘방 등룡문
원역처소 수문장청 전루 별감방 등촉방 배설방 훈국군번소 사주문
단봉문 종묘 북신문 +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122호 창덕궁
<colbgcolor=#bf1400> 창덕궁 경추문
昌德宮 景秋門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99 ( 와룡동 2-71번지)
건축시기 1655년 (창건)
파일:창덕궁 경추문.png
<colbgcolor=#bf1400> 경추문[1]
1. 개요2. 이름3. 역사4. 구조5. 여담

1. 개요

창덕궁의 궁문이다. 서쪽 궁장에 있으며 금호문 요금문 사이에 있다.

2. 이름

'경추(景秋)'의 뜻은 '상서로운(景) 가을(秋)'이다. 전통적으로 가을은 서쪽을 의미했다. 즉, 서쪽 문이란 뜻이다.

3. 역사

파일:동궐도 경추문.png
<colbgcolor=#bf1400> 〈동궐도〉 경추문
1655년( 효종 6년)에 왕대비 장렬왕후를 위해 창덕궁에 새로운 대비전 만수전을 지었다. 이에 만수전 근처에 새로운 문이 필요해서 지은 것이 경추문이다.

1687년( 숙종 13) 9월에 만수전이 화재로 불탔다. 대왕대비였던 장렬왕후는 예전에 살던 창경궁 통명전으로 거처를 옮겼고 이후 만수전을 복구하지 않았다. 만수전이 없어지면서 경추문을 쓸 일도 사라졌다. # 그래도 문 자체는 없어지지 않고 오늘까지 남아있다. 《한경지략》에 따르면 이후에는 비상시에 군사를 동원할 때에만 열었다고 한다.

4. 구조

  • 정면 1칸, 측면 2칸이다. 지붕은 맞배지붕이다. 용마루와 내림마루는 기와를 얹어 마감했다. 공포가 없는 민도리 양식이다.
  • 문짝은 나무 판으로 중앙 열에 달았다. 양 측면의 칸 마다 중인방을 끼우고 위, 아래 위위아래를 초록색 나무 으로 마감했다. 천장은 서까래와 구조들이 훤히 보이는 연등천장으로 했고, 위에는 홍살을 두었다. 단청은 긋기단청[2]으로 입혔다.
  • 현판은 걸려있지 않다. 언제 없어졌는지는 모른다.
  • 보통 궁궐 건축에서 을 만들 때에는 의 중간 부분과 이어 만드는 게 대부분이다. 하지만 경추문의 경우는 다르다. 북쪽 담은 문보다 궁 쪽으로 물려나있으나 남쪽 담은 바깥 기둥과 바로 붙어있다. 말그대로 중간이 없다.
  • 순조 때 그린 〈 동궐도〉를 보면 경추문 북편에 수문장청이 있었다. 그러나 수문장청은 현재 없고 문만 남아있다.

5. 여담

  • 1777년(정조 1년) 8월에 궁궐을 지키는 군사들이 경추문 북쪽 을 넘으려던 전홍문이란 사람을 붙잡았다. 알고보니 그는 한 달 전에 일어난 정조 암살 미수 사건의 범인 중 한 명으로, 다시 정조를 죽이려고 궁에 들어가려던 것이었다. 결국 역모의 주모자인 홍상범 등은 사형당했고 이들의 추대대상이었던 정조의 이복동생 은전군 역시 사약을 받고 죽었다. #

[1] 사진 출처 - 카카오맵. [2] 가칠단청 위에 만 그어 마무리한 단청이다. 가칠단청은 무늬없이 단색으로만 칠한 단청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2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26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