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대학교 인문대학 관련 틀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학 정보
|
|||||
명칭 | 역사 | 상징 | 학사제도 | |||
총학생회 | 학내 언론 | 총장 | 사건 사고 | |||
산격캠퍼스 | 칠곡캠퍼스 | |||||
학부 | 대학원 | |||||
역사 | 학부 | 생활 | ||||
졸업생 / 기타
|
||||||
{{{#!wiki style="margin:-16px -11px" | 출신 인물 | 총동창회 | 미식축구부 |
관련기관
|
|||||||
{{{#!wiki style="margin:-16px -11px" | 중앙도서관 | 박물관 | 미술관 | 자연사박물관 | |||
연구소 | 사범대부설초등학교 | 사범대부설중학교 | 사범대부설고등학교 | ||||
경북대학교병원 | 칠곡경북대학교병원 | 경북대학교치과병원 |
}}}}}}}}} ||
경북대학교 인문대학 慶北大學校 人文大學 College of Humaniti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colbgcolor=#DA2127><colcolor=#fff> 설립 | 1951년 10월 |
인재상 |
인문 소양을 갖춘 창의 인재 국제적 안목과 역량을 갖춘 글로컬 인재 인류와 사회를 위해 봉사하는 실천형 인재 |
상징색 | 곤색 |
연혁 | 1951년 경북대학교 문리과대학 |
1981년 경북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 |
1982년 경북대학교 인문대학 | |
학장 | 제22대 김미정 학장 |
주소 | 대구광역시 북구 북구 대학로80 인문대학 |
[clearfix]
1. 개요
|
▲ 인문한국진흥관
|
|
▲ 대학원동
|
경북대학교의 인문대학
영문명칭은 College of Humaniti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이다.
1981년 3월 문리과대학이 인문사회과학대학과 자연과학대학으로 개편된 후, 바로 다음 해인 1982년 3월 인문사회과학대학이 인문대학과 사회과학대학으로 개편되면서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경북대학교의 17개 단과대학 중 하나이며, 경북대학교의 단과대학 나열 순서가 인문대학, 사회과학대학, 자연과학대학이 나열되고, 그 뒤부터는 단과대 명칭의 초성순(가나다순)이므로 제일 먼저 나오는 단과대학이라는 점에서 그 위상을 잘 보여준다. 인문대가 주로 사용, 관리하는 건물은 인문대학, 대학원동, 그리고 신축 건물인 인문한국진흥관을 사용하고 관리한다.
인문학 교육/연구기관으로서 언어, 문학, 역사, 철학, 사상, 문화 분야의 다양한 학과가 편제되어 있으며, 이른바 “문·사·철(文, 史, 哲)”계열 학과들이 있다. 전국의 다른 대학들에서는 보기 어려운 한문학과, 고고인류학과 또한 설치되어 있다.
2. 연혁
<colbgcolor=#da2127><colcolor=#fff> 1951 |
문리과대학 국어국문학과, 영어영문학과, 사학과, 철학과 |
1980 |
문리과대학 국어국문학과, 영어영문학과, 불어불문학과, 독어독문학과, 중어중문학과, 사학과, 철학과, 고고인류학과 |
1981 |
인문사회과학대학[1] 국어국문학과, 영어영문학과, 불어불문학과, 독어독문학과, 중어중문학과, 사학과, 철학과, 고고인류학과 |
1982 |
인문대학[2] 국어국문학과, 영어영문학과, 불어불문학과, 독어독문학과, 중어중문학과, 사학과, 철학과, 고고인류학과 |
1989 |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영어영문학과, 일어일문학과, 불어불문학과, 독어독문학과, 중어중문학과, 노어노문학과, 한문학과, 사학과, 철학과, 고고인류학과 |
1996 |
인문대학 동양어문학부, 서양어문학부, 역사철학부 |
1998 |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영어영문학과, 일어일문학과, 불어불문학과, 독어독문학과, 중어중문학과, 노어노문학과, 한문학과, 사학과, 철학과, 고고인류학과 |
3. 학부
3.1. 국어국문학과
자세한 내용은 경북대학교/학부/인문대학/국어국문학과 문서 참고하십시오.3.2. 영어영문학과
자세한 내용은 경북대학교/학부/인문대학/영어영문학과 문서 참고하십시오.3.3. 불어불문학과
자세한 내용은 경북대학교/학부/인문대학/불어불문학과 문서 참고하십시오.3.4. 독어독문학과
자세한 내용은 경북대학교/학부/인문대학/독어독문학과 문서 참고하십시오.3.5. 중어중문학과
자세한 내용은 경북대학교/학부/인문대학/중어중문학과 문서 참고하십시오.3.6. 사학과
사학과 홈페이지
1951년 창립되었다. 대학원 특성화 사업인 2013년부터 BK21플러스 연구교육단에 선정되어 있다.[3] 오랜 역사만큼 역사 연구자들이 많이 배출된 사학과 가운데 하나이다.[4] 경북대학교가 위치한 대구 지역이
경상북도와
경상남도의 중간에 위치해있고,
경주시를 비롯해서
고령,
김해,
함안 등 옛 신라, 가야지역과도 가까운 편이기 때문에
신라사와
가야사를 연구하기 좋은 지리적 조건을 갖고 있다. 그리고 대구경북지역에 조선시대사, 한국근대사, 한국현대사와 관련된 인물 및 가문(家門), 자료들이 많은 편이어서 인문학적, 한국학, 영남학 자료를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많으며, 정부에서도 이러한 명목으로 지원을 많이 해주는 편이다. 최근에도 거점국립대라는 기반, BK21플러스 사업단 선정 등을 바탕으로 대학원이 활성화된 사학과 가운데 한 곳이다. 2021년 현재 총 11명의 교수진이 있으며 한국사 5명, 중국사 2명, 서양사 3명, 국제관계사 1명이 교수진으로 포진해있다. 아무래도 학생들이 관심이 많고 사회적 수요가 많은 한국사의 비중이 높은 편인데 이것은 다른 대학교의 사학과들도 마찬가지이다. 학부 과목도 한국사, 중국사, 서양사, 역사이론, 강독, 전공심화수업 등의 강좌들이 편제되는데, 시대사 강의가 어느 지역사에 편중되지 않고 모두 개설되기 때문에 한국사, 중국사, 서양사의 비중이 비슷한 편이다. 그리고 학부 심화과목으로 한국사특강 1,2와 동양사특강, 동양사연습, 서양사특강, 서양사연습 등의 과목이 개설되어 있는데, 해당 과목들은 교수님이 특정한 주제를 선택하여 심화하는 내용들로 강의가 진행된다. 학과 교수로 한국고대사 전공의 이영호 교수는 주로 신라 중대, 하대 정치사를 전공하였으며 한국고대사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경북대 사학과가 한국고대사, 그 중에서도 신라사가 강세를 보이는 것은 지리적인 특성이 반영되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물론 경북대 사학과 출신 연구자들 중에 신라사 연구자들만 있는게 아니라 고구려사, 발해사 연구자들도 있으며 비교적 신라사가 강세인 것이다. 한국고대사가 문헌자료가 빈약하기 때문에 금석문, 목간, 죽간 자료의 중요성이 높은데, 경북대 사학과에 재직했던 이기동 교수와 주보돈 교수가 일찍부터 금석문, 목간 자료에 주목하여 많은 새로운 연구성과를 거두었고, 그 학풍이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고려 시대사를 전공하는 한기문 교수는 주로 고려 시대 불교사를 중심으로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고려시대 불교사, 불교사원 연구에 있어서는 독보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다. 조선 시대 사상사, 영남지역 유림(儒林)을 연구하는 정재훈 교수 역시도 조선전기와 후기를 아우르는 사상사 연구와 더불어 조선 국왕의 상징에 대해서 진행하고 있으며, 특히 대구, 경북, 영남지역의 양반과 유학 지식인들에 관해서 연구를 많이 하였다. 한국근대사를 연구하는 김경남 교수는 일제강점기 사회경제사, 도시사에 관해서 연구를 하였다. 특히 부산이 일제에 의해서 계획된 군사도시임을 밝혀냈고 전주, 이리 등의 도시사에 관해서도 연구하였다. 일제강점기를 연구할 경우에 일본어 능력이 요구되는데 일본 호세이대학 교수로 근무하기도 했고 일본어에 능통한 학자이다. 김경남 교수 역시도 국가기록원 학예연구관을 근무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대학원 기록학과에서 기록학 관련 강의를 한다. 한국현대사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역사를 연구하는 전현수 교수는 모스크바 국립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아서 북 소관계와 북조선사를 주로 연구하였다. 북조선사를 연구할 경우 러시아 문헌 독해능력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데 러시아에서 유학을 하여 국내에 러시아 자료를 많이 소개하고 번역도 많이 하였다. 38선 이북 지역을 소련군 사령부가 점령하고 있던 시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립과정에 관해서 새로운 연구들을 진행하였다. 전현수 교수는 경북대 사학과에 부임하기 이전에 국가기록원 학예연구관에 근무했기 때문에 구술사와 기록학에 관해서도 학부 및 대학원에서 강의하고 있다. 2019년 3월 부임한 황태진(Hwang, Whitney Taejin) 교수는 냉전사, 한미관계사를 연구했으며,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모두 미국에서 마쳤다. 중국고대사 전공의 윤재석 교수는 진대사(秦代史), 진한(秦漢) 시대사를 전공하였는데 목간, 죽간, 금석문 자료를 중심으로 고대 중국 사회사를 연구하여서 많은 연구업적을 남겼다. 그리고 중국학계에서도 초청을 받기도 하며 한국의 중국고대사학계에서는 김병준 서울대 동양사학과 교수, 김경호 성균관대 교수와 더불어 대한민국의 중국고대사학자 트로이카로 꼽힌다. 그의 강의는 유튜브에서도 볼 수 있다. 유튜브 강의 몽골제국사, 원대사(元代史)를 연구하는 최윤정 교수는 원대사회사, 여- 원 관계사를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기존의 여원관계사 연구자들에 비해 일국사적(一國史的) 관점에서 탈피했다는 평을 받는다. 서양중세사를 연구하는 김유경 교수는 독일대학의 제도화 과정, 독일어권의 사회사, 유럽의 역사교육 문제 등 서양중세사와 서양근현대사를 아우르는 연구를 하고 있다. 19~20세기 독일 역사학의 사회사 및 문화사, 17세기 유럽 정치사상사를 연구한 볼프강 E. J. 베버의 『Geschichte der europaischen Universitat』(유럽 대학의 역사)를 번역하기도 했다. 스페인 현대사 연구자인 황보영조 교수는 스페인 내전, 프랑코 정권에 관해서 연구하였다. 국내에서는 드물게 스페인사와 라틴아메리카의 역사를 연구하고 있는 학자이다. 2018년 부임한 윤영휘 교수는 서양근대사( 영국사) 전공자로 그 가운데에서도 18세기 대서양 노예무역, 대서양사, 근대 영국의 정치사·종교사, 반노예제 운동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2018년 2월 부로 정년퇴임해서 현재는 명예교수로 있는 주보돈 교수가 재직했던 곳이기도 하다. 주보돈 교수는 한국고대사, 그 중에서도 특히 신라사와 가야사 연구의 국내 제일의 권위자로 유명하다. 한국고대사학회의 창립 멤버이자 그 회장을 역임하였고 고구려사의 노태돈 서울대 국사학과 명예교수, 백제사의 노중국 계명대 사학과 명예교수가 있다면, 신라사에는 주보돈 교수가 있다고 할 정도로 한국고대사학계의 태두로 꼽힌다. 아울러 한국고대사 전공으로 문경현 명예교수, 고려시대사 전공의 최정환 명예교수, 조선시대사 전공의 권연웅 명예교수, 미국사 전공의 김종길 명예교수 등이 재직했다. 2013년 8월 정년퇴임한 이개석 교수는 몽골제국사, 원대사 전공자로 고려- 원(몽) 관계사, 몽골제국-원나라의 지배체제, 그리고 중국현대사로 넘어와서 문화대혁명에 관해서 연구를 수행했다. |
3.7. 철학과
자세한 내용은 경북대학교/학부/인문대학/철학과 문서 참고하십시오.3.8. 고고인류학과
자세한 내용은 경북대학교/학부/인문대학/고고인류학과 문서 참고하십시오.3.9. 일어일문학과
자세한 내용은 경북대학교/학부/인문대학/일어일문학과 문서 참고하십시오.3.10. 한문학과
자세한 내용은 경북대학교/학부/인문대학/한문학과 문서 참고하십시오.3.11. 노어노문학과
자세한 내용은 경북대학교/학부/인문대학/노어노문학과 문서 참고하십시오.4. 인문대학 주요 동문
4.1. 학부 동문
- 강현국 (국문학): 대구교육대학교 제12대 총장
- 권태오 (사학 78학번)[A]: 제21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처장, 제24대 수도군단장(중장)
- 권혁구 (불문학): 신세계그룹 전략실 사장
- 김나연 (국문학): 2012년 미스코리아 미
- 김덕기 (영문학 78학번): 현 KBS N 감사, 전 KBS대구방송총국장
- 김선옥 (사학): 국민건강보험공단 부산지역본부장
- 김선희 (독문학): 제13대 국가정보원 제3차장
- 김성홍 (국문학): 전 감사원 국방감사단장, NH농협증권 상근감사위원
- 김시규 (사학): 현 SLL 고문
- 김엽 (사학 52학번): 학교법인 대원교육재단 이사장, 세명대학교 제1·2대 총장, 제3대 안동대학 학장, 전 경북대학교 사학과 교수
- 김원우 (영문학): 소설가, 전 계명대학교 문예창작과 교수
- 김윤기 (사학): 대구보건대학교 이사장
- 김윤환 (영문학): 제10·11·13·14·15대 국회의원, 제13대 대통령비서실장, 제7·11·19대 정무제1장관, 민주자유당 대표, 신한국당 대표
- 김정환 (사학): TBC 편성제작본부장
- 김창수 (불문학): CBS 부산방송 본부장
- 김희곤 (사학):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 관장, 안동대학교 사학과 명예교수,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장,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장
- 다이앤 리 (독문학): 소설가, 제15회 세계문학상 수상자
- 문성묵 (사학 78학번)[A]: 한국국가전략연구원 통일전략센터장, 전 국방부 군비통제차장(준장)
- 박경조 (국문학): 영남일보 논설실장, 편집국장
- 박노우 (영문학): 중소기업진흥공단 경기지역본부장
- 박소윤 (불문학): 2000 미스코리아 한국일보
- 박일곤 (독문학): 현 수협은행 부행장
- 박찬현 (중문학): 중부지방해양경찰청장 직무대리( 치안감)
- 박천수 (고고인류학): 경북대학교 고고인류학과 교수, 가야고고학 및 고대한일관계사 연구의 권위자
- 박희봉 (국문학): 세계일보 수석논설위원
- 배상식 (철학): 제17대 대구교육대학교 총장
- 백두현 (국문학):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명예교수
- 백영철 (철학): 세계일보 대기자, 논설위원
- 서동훈 (철학): 경북일보 논설실장
- 서원섭 (국문학): 제10대 경북대학교 총장
- 서중현 (철학): 제21·22대 대구광역시 서구청장
- 신동승 (독문학): 한국펀드평가 대표이사
- 여종균 (독문학): 농협생명 부사장
- 오상수 (국문학): 전 만도 대표이사
- 왕종근 (국문학): MC, 아나운서
- 왕현철 (불문학): 전 KBS미디어 감사, 전 KBS재팬 사장, 전 KBS강릉방송국장
- 윤두현 (영문학 80학번): 제21대 국회의원, 전 대통령비서실 홍보수석비서관, YTN플러스 대표이사 사장, 한국케이블TV협회장
- 윤성용 (사학 85학번): 국립중앙박물관장
- 윤재석 (사학): 경북대학교 사학과 교수, 중국고대사 연구의 권위자
- 이경훈 (고고인류학 / 84학번) : 초대 국가유산청 차장
- 이상규 (국문학):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명예교수, 전 국립국어원장
- 이상목 (고고인류학 87학번): 현 울산박물관장
- 이성주 (사학): 경북대학교 고고인류학과 교수
- 이승근 (불문학): 계명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 이응진 (철학): 전 이화여자대학교 융합콘텐츠학과 교수, 전 KBS TV제작본부 본부장
- 이정명 (국문학 83학번): 소설가( 바람의 화원, 뿌리깊은 나무 저술), 전 경향신문 기자
- 이재만 (중문학): 한국조폐공사 부사장 겸 기획이사
- 임오진 (불문학): 현 KBS 해설위원, 전 KBS포항방송총국장
- 전숙경 (중문학): KBS 성우
- 정동우 (국문학): 건국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장, 전 중앙일보 편집부국장
- 정인성 (고고인류학):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 정정숙 (일문학): 육군부사관학교장 육군 소장
- 조승완 (철학 78학번): KNN 방송본부장, 부산영어방송 본부장
- 조현선 (독문학 01학번): 채널A 기자
- 주보돈 (사학): 경북대학교 사학과 명예교수, 신라사 및 가야사 연구의 권위자
- 최미화 (영문학): 경상북도 여성정책개발원장, 전 매일신문 논설실장
- 허만영 (독문학 78학번): 경남 창원시 제1부시장, 정부대전청사관리소장
- 황우섭 (영문학 77학번): KBS 이사
- 황학수 (고고인류학): 변호사(제40회 사법시험 합격), 전 교촌에프앤비 대표이사
4.2. 대학원 동문
인문대학에 소속되지 않은 학과를 졸업하고 인문대학에 소속된 석박사 과정에 진학한 경북대생과 타 학부 출신 졸업생을 기재한다.- 강판권 (사학과 박사): 계명대학교 사학과 교수
- 김기협 (사학과 석사): 전 계명대학교 사학과 교수
- 배은숙 (사학과 박사): 계명대학교 타불라라사 칼리지 교수
- 안재호 (고고인류학과 석사): 동국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명예교수
- 이세희 (사학과 박사): 부산대학교 역사교육과 명예교수
- 이준구 (사학과 박사): 제6대 대구한의대학교 총장
- 장세용 (사학과 석사): 민선 7기 경상북도 구미시장, 전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HK교수
- 홍진근 (고고인류학과 석사): 전 국립대구박물관 관장
[1]
문리과대학을 인문사회과학대학과 자연과학대학으로 분리
[2]
인문사회과학대학을 인문대학과 사회과학대학으로 분리
[3]
참고로 이 사업단에 선정된 사학계열 학과는 전국에 서울대 국사학과, 성균관대 사학과와 더불어 경북대 사학과 세 곳뿐이다.
[4]
2015년 3월 집계 결과 전국대학 역사학과들 가운데 현직 교수를 기준으로 교수를 많이 배출한 대학으로 6위를 기록하였다.
출처
[A]
육군3사관학교
위탁교육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