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6 18:17:32

경기교통공사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004097> }}}
{{{#!wiki style="color: #000,#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4097><colcolor=#fff> 지방공기업 경기도판교테크노밸리조성사업 | 경기도고덕국제화계획지구
경기주택도시공사 | 경기관광공사 | 경기평택항만공사 | 경기교통공사
지방출연기관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 | 경기도수원월드컵경기장관리재단 | 경기도농수산진흥원 | 경기도여성가족재단 | 경기도청소년수련원 | 경기콘텐츠진흥원 | 경기테크노파크 | 경기대진테크노파크 | 경기복지재단 | 한국도자재단 |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 경기아트센터 | 경기연구원 | 경기신용보증재단 | 경기문화재단 | 경기도의료원 | 경기도일자리재단 |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 | 경기도사회서비스원 |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
지방출자기관 킨텍스 | 코리아경기도
}}}}}}}}} ||
<colcolor=#ffffff> 경기교통공사
京畿交通公社 | Gyeonggi Transport Corporation(GTRANS)
파일:경기교통공사 CI.svg
<colbgcolor=#004ea2> 국가 <colbgcolor=#fff,#1f2023>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설립일 2020년 12월 18일
설립목적 도민에게 안전하고 편리한 교통서비스 제공
경기교통공사 설립 및 운영 조례
업종명 여객자동차운송사업
전신 경기주택도시공사 교통본부
( 2019년 10월 10일~ 2020년 12월 17일)
대표자 민경선
주무부처 경기도
주요 주주 경기도: 100%
기업 분류 지방공기업
상장 여부 비상장기업
직원 수 118명2024년 6월 기준
자본금 185억 원2020년 기준
미션 대중교통 시설과 수단 확충, 효율적 운영
비전 기회의 경기, 편리하고 안전한 "스마트 교통서비스"의 선두주자
소재지 본사 경기도 양주시 옥정로6길 18 한길플라자 3층
관련 웹사이트
공식 홈페이지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1. 개요2. 연혁
2.1. 설립 과정
3. 조직

[clearfix]

1. 개요

경기도 대중교통 서비스의 공공성과 효율성을 높일 목적으로 2020년 12월 18일 출범한 경기도 산하 지방공기업.

2. 연혁

  • 2020년 2월: 지방공기업평가원 설립타당성 검토 / 경기교통공사 설립 타당성 종합의견 “사업 타당”
  • 2020년 4월: 경기교통공사 설립 주민공청회 개최
  • 2020년 5월: 행정안전부 설립심의 / 경기교통공사 비전 수립, 대상사업 유기적 검토 요청 등
  • 2020년 6월: 경기도 공기업 설립 심의위원회 ‘경기교통공사 설립(안)’ 통과
  • 2020년 7월: 경기교통공사 설립 및 운영 조례 제정 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 2020년 9월: 경기교통공사 입지 선정(양주시) / 균형발전을 위한 경기도 산하 공공기관 분산 배치
  • 2020년 12월: 경기교통공사 설립등기(12.7.) 및 주사무소 설치, 제1대 사장 정상균 취임, 1대 이사회 구성(의장: 이철휘)
  • 2021년 5월: 경기교통공사 출범식 개최
  • 2021년 6월: 경기교통공사- 인천교통공사 업무협약 체결, 경기교통공사-경기연구원 업무협약 체결
  • 2021년 9월: 용인시 버스 준공영제 업무 위·수탁 협약 체결 / 마을버스 48개 노선 및 일반형 시내버스 50개 노선 대상
  • 2021년 12월: 경기도 교통약자 광역이동지원센터 개소
  • 2022년 3월: 경기도 철도분야 전문성 강화사업 – 경기 철도 아카데미 개최(~2022년 12월, 연 12회)
  • 2022년 4월: MaaS 플랫폼 공동운영사 계약 체결(현대자동차)
  • 2022년 5월: 양주시 교통 창업지원센터 개소
  • 2022년 8월: 파주 운정·교하지구 똑버스(DRT) 10대 운행 개시
  • 2022년 12월: 제2대 사장 민경선 취임(12.5.), 행정안전부 주관 재해경감 우수기업 인증, 비즈니스연속성 경영시스템(ISO 22301) 인증, 여성가족부 주관 가족친화인증 획득
  • 2023년 1월: 인권경영헌장 선포
  • 2023년 2월: 경기도 통합교통플랫폼(MaaS) '똑타' 런칭, 경기도 수요응답형 ‘똑버스’ 런칭,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 도입
  • 2023년 3월: 안산 대부도 똑버스(DRT) 4대 운행 개시
  • 2023년 4월: 임직원 소통의 날 '공감토크' 개최
  • 2023년 5월: 평택 고덕 똑버스(DRT) 15대 운행 개시, 경기교통공사- 대구교통공사 업무협약 체결(모빌리티 협력체계 구축)
  • 2023년 6월: 경기교통공사 중장기 사업전략 및 발전계획 수립, 수원 광교1·2동 똑버스(DRT) 10대 운행 개시, 고양 식사동/고봉동 똑버스(DRT) 7대 운행 개시, 2023년 노사협의회 워크숍 개최, 경기교통공사- 한국항공대 업무협약 체결(모빌리티 허브 시범·실증 사업 추진)
  • 2023년 7월: 김포 고촌 똑버스(DRT) 10대 운행 개시, 화성 동탄신도시 똑버스(DRT) 15대 운행 개시, 화성 향남지구 똑버스(DRT) 5대 운행 개시, 2023년 경기교통공사 임직원 워크숍 개최
  • 2023년 8월: 하남 위례.감일동 똑버스(DRT) 6대 운행 개시
  • 2023년 9월: 2023년 경기도 적극행정 우수사례 경진대회 최우수상 수상, 경기교통공사–포천시 업무협약 체결(지역밀착형 모빌리티 사업 발굴)
  • 2023년 10월: 안성 똑버스(DRT) 8대 운행 개시
  • 2023년 11월: 2023년 적극행정 우수사례 경진대회 대통령상 수상, 앱 어워드 코리아 2023 대상 수상, 경기교통공사-양주시 업무협약 체결(지역밀착형 차세대 모빌리티 사업 발굴)
  • 2023년 12월: 이천 똑버스(DRT) 12대 운행 개시, 파주 농촌형 똑버스(DTR) 9대 운행개시
  • 2024년 1월: 경기교통공사 2대 이사회 구성(의장: 강재홍), 도주관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운행 시작(44개 노선, 543대 버스)
  • 2024년 2월: 배우 남지현 홍보대사 위촉, 경기교통공사-양주시, 정부 추진 드론 실증도시 구축 사업자 선정
  • 2024년 4월: 시군주관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운행 시작, 부천 똑버스(DRT) 5대 운행개시, 2024년 경기교통공사 임직원 워크숍 개최
  • 2024년 5월: AI상담원 운영 업무협약 체결(경기교통공사-경기도-(주) KT), 광주 똑버스(DRT) 9대 운행 개시
  • 2024년 6월: 임직원 소통의 날 '공감토크' 개최, 여주 똑버스(DRT) 7대 운행 개시

2.1. 설립 과정

이재명 경기도지사의 교통분야 핵심 공약으로 교통 전문 지방공기업 설립이 있었고, 2019년 본격적으로 설립을 추진하기 시작했다. 설립 취지는 도시, 도농복합 등 지역별 특성이 매우 다양한 경기도 내 31개 시·군의 대중교통 체계를 통합·광역적으로 관리하는 교통전담 기구를 만들겠다는 것이었다.

경기도의 연구용역 결과 법인의 형태는 지방공사 형태가 가장 적합하다는 결론이 나왔다. 다른 대안인 지방공단은 사업유형이 위탁대행으로 한정되고, 손익금 자체 처리가 되지 않아 민간합작투자가 불가능 하는 등 제약이 많다는 이유에서다. 설립 타당성에 있어서는 버스 운송 수입 및 버스 재정지원금, 광역교통시설 건설, 대행사업 수익 등을 통해 재무적 타당성을 갖출 것으로 분석되었고, 교통 공공성 확보 등을 통해 경기도민 편익 증가에 기여할 것이라는 평가가 나왔다.

2019년 10월 10일, 경기도시공사 산하에 경기교통공사 설립 준비조직인 경기교통본부가 출범하였다.

2020년 4월 주민 공청회를 거쳐 경기교통공사의 구체적인 윤곽이 드러났다. 구체적인 사업분야로 경기도의 버스·철도 등 교통수단 통합관리, 노선 입찰제 방식의 버스 준공영제 운영과 관리, 환승주차장 등 광역교통시설 확충, 신교통수단(수요맞춤형 버스) 운영 등이 제시되었다. 장기적으로는 도내 철도 운영 및 4차 산업시대 글로벌 신교통사업 등으로 사업분야를 넓혀나가기로 하였다.

오랜만에 설립되는 경기도의 지방공기업인 만큼 많은 도내 도시가 경기교통공사를 유치하려고 하였는데, 경기북부 소외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가산점에 힘입어 양주시가 본사를 유치했다.

2020년 7월 경기교통공사 설립 및 운영 조례가 경기도의회를 통과하여 설립근거를 확보했다.

2020년 12월 18일 경기교통공사가 설립되었고, 21년 5월에 출범식을 개최했다.

본사 인근에 옥정중앙역이 들어설 예정이다.

3. 조직


[1] 서울시 재정으로 지어진 3호선 지축역, 7호선 장암, 철산, 광명사거리역, 8호선 남위례역~ 모란역 구간은 제외. [2] 이 중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상동~까치울 구간은 한시적으로 인천교통공사와 계약하여 2022년 1월 1일부터 인천교통공사가 역무와 시설관리를 맡고 있다. 다만 서울교통공사와 운영권 문제로 소송이 걸려있어서 다시 서울교통공사가 맡게 될 수도 있다. [3] 서울시는 방화차량사업소와 방화동 건설폐기물처리장(럭키환경건설·서울NET)의 김포 이전을 전제로 김포한강선을 구상하고 있어 혐오시설을 받아줘야 하는 김포 지역의 여론을 의식할 수 밖에 없다. 즉, 어른의 사정으로 김포한강선에만 호의적이라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