經 지날/글 경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糸, 7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3획
|
||||
중학교
|
|||||||
経
|
|||||||
일본어 음독
|
ケイ, キョウ, キン
|
||||||
일본어 훈독
|
へ-る, おさ-める, た-つ, たて, たていと
|
||||||
经
|
|||||||
표준 중국어
|
jīng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經은 '지날/글 경'이라는 한자로, '지나다', '글', '세로'를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지나다, 글 |
음 | 경 | |
중국어 | 표준어 | jīng |
광동어 | ging1 | |
객가어 | kîn | |
민동어 | gĭng | |
민남어 | keⁿ/kiⁿ/keng | |
오어 | jin (T1) | |
일본어 | 음독 | ケイ, キョウ, キン |
훈독 | へ-る, おさ-める, た-つ, たて, たていと | |
베트남어 | kinh |
유니코드에는 U+7D93에 배당되어 있고[1], 창힐수입법으로는 女火一女一(VFMVM)로, 주음부호로는 ㄐㄧㄥ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糸(실 사)와 소리를 나타내는 巠(물줄기 경)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변이 실사변인 것에서 부터 알 수 있듯이, 원래는 실과 관련된 한자로 천을 짤때 세로로 있는 날실을 나타내던 한자였다. 반대로 씨실을 나타내던 한자는 緯. 현대에도 원래의 의미가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닌데, 원래의 의미로 사용되는 단어로 경도(經度), 경위(經緯) 등이 있다.
현재는 '겪다', '경험하다'의 뜻으로 주로 쓰인다. 그 외에도 '경영(經營)', '경리(經理)', '경제(經濟)'와 같이 무언가를 운영하는 것이나, '성경(聖經)', '역경(易經)'과 같은 경전, '경상수지(經常收支)', '월경(月經)'과 같은 주기적이고 일정한 것이라는 의미의 형태소로도 쓰인다.
經은 강희자전 925페이지에 수록되어 있다.
3. 용례
3.1. 단어
- 경과(經 過)
- 경구(經 口)
- 경난꾼(經 難꾼)
- 경도(經 度)
- 경로(經 路)
- 경영(經 營)
- 경전(經 典)
- 경제(經 濟)
- 경험(經 驗)
- 불경( 佛經)
- 성경( 聖經)
- 신경( 神經)
- 외경( 外經)
- 월경( 月經)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 고죠 쓰네코( 五 条 經 子) - 레이겐 천황의 후궁 중 한 명.
- 구조 요시츠네( 九 条 良経)
- 김수경( 金 守經)
- 김재경( 金 栽經)
- 김찬경( 金 贊經)
- 김창경( 金 昌經)
- 김항경( 金 恒經)
- 리징시( 李经 羲)
- 아마고 츠네히사( 尼 子 経 久)
- 이경식( 李經 植)
- 이성경( 李 聖經)
- 장징궈( 蔣經 國)
- 장효경( 張 效經)
- 주시경( 周 時經)
- 후루야 쓰네히라( 古 谷 経 衡)
- 후지와라노 요리츠네( 藤 原 賴經)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5. 상대자
- 緯(씨 위)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羥(양이름 간/경)
- 硜(돌소리 갱)
- 𩰹(가로막을 경)
- 輕(가벼울 경)
- 桱(나무이름 경)
- 烴(따뜻할 경)
- 誙(똑똑할 경)
- 𧯬(목 경)[2]
- 𩷏(방어 경)
- 㹵(사냥할 경/영)
- 牼(소정강이뼈 경)
- 𠲮(울 경)
- 䪫(음악이름 경)
- 脛/ 踁/ 𩩋(정강이 경)
- 挳(종칠 경)
- 殌(죽을 경)
- 俓(지름길 경)
- 徑(지름길/길 경)
- 𠗊(찰 경)
- 涇(통할 경)
- 弳(호도 경)
- 䀴(똑바로볼 영, 어두울 경)
- 𨠸(술깰 영)
- 䞓(붉을 정)
- 鋞(냄비 형)
- 𡷨(산골짜기 형/경)
- 娙(여관 형/영, 날씬할 경)
- 𩈡(완고한모양 형)
- 蛵(잠자리 형)
- 陘(지레목 형)
- 𢙼(한할 형)
- 𦈵(항아리 형)
- 𪏅(경)
- 𣇁
- 𩣪
- 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