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03:41

T-26/실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T-26
Лёгкий танк Т-26
파생형 실전 운용국 미디어 모형

1. 개요

T-26의 실전 사례를 정리한 문서.

T-26은 스페인 내전에서 실전을 최초로 치렀으며, 2차 세계대전을 거쳐 냉전기인 국공내전까지 사용되며, "냉전 시기까지 주력으로 사용된 유일한 전간기 생산 전차"라는 타이틀을 보유하고 있다.

2. 전간기

2.1. 스페인 내전

파일:VIva_el_ejercito_centro_T-26B.jpg
스페인 내전 당시의 스페인 공화군 국제여단 소속 T-26B "중앙 정부군 만세" 24번차
스페인 내전 당시 공화군의 장비로 판매되거나, 파병된 소련군이 장비하여 참전하였다.

비록 산악지대에서 정해진 좁은 길로만 다녀야 했으며 훈련 상태가 좋지 못한 보병들이 엄호를 제대로 해주지 않은 탓에 같이 투입된 BT 전차와 함께 독일제 37mm 대전차포에 파괴되기도 하였으나, 상대방인 독일군은 1호 전차, 이탈리아군은 CV.33, CV.35같은 기관총만 탑재한 경전차나 탱켓 일색이었기 때문에[1] 전차 및 보병 간의 대결에서는 우위를 차지하였고, 국제여단 소속의 소련군 T-26 에이스도 많이 배출되었다.

특히 스페인 내전 당시 참가한 전차 중에는 가장 강력한 전차였고 45mm 전차포는 국민군, 독일군, 이탈리아군이 보유한 모든 기갑차량의 전면장갑을 관통할 수 있었다.

비록 전술적으로 상정한 조건이 아닌 스페인 특유의 산악지형, 스페인어, 러시아어 간의 통역 문제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브루네테 전투에서는 대량의 T-26이 투입되어 공화파의 승리, 혹은 마드리드 포위 약화라는 전략적 목표를 달성하는데 혁혁한 공을 세웠다.

상술한 산악지형의 제약이 덜하고 전차 운용이 용이한 카스티야 고지대 평원 중부전선에서 공화국이 2년 반이나 전선을 사수하는데 성공하고 프랑코군이 결국 쿠데타 당시 계획했던대로 마드리드를 향한 전격전이 아니라 빙빙 돌아 남북으로 안달루시아, 바스크-> 카탈루냐를 먼저 공략하는 장기전을 강요받은건 이 전차를 필두로 한 성공적인 기갑전의 역할이 컸다.

이를 상대한 프랑코의 국가군 또한 인민공화군의 T-26을 인상깊게 보아 기회가 되는 족족 노획하여 수리해 사용했으며, 내전 종료 후 프랑코 정권은 편입된 T-26B들을 총 5개의 연대로 편성해 배치시켰다.

내전 종전 이후에는 T-26과 상대하면서 얻은 교리를 바탕으로 나치 독일의 1호 전차와 함께 스페인 최초의 자국산 전차 개발 계획인 베르데하 전차 프로젝트의 기반이 되었다.

2.1.1. 세세냐 전투

파일:SeSena_T-26.jpg
세세냐 외곽의 스페인 공화군 제1국제여단 소속 T-26B
1936년 10월 29일에 벌어진 세세냐 전투에서 제1국제여단 소속의 T-26B 15량이 투입되었는데, 이는 제1차 세계 대전 후로 벌어진 최초의 대규모 전차전이었으며, 당시 L3/33 11대와 75mm 대포 10여문, 트럭 20량, 스페인 국민전선군 600명을 사살하는 전과를 세웠다.

그러나, 이 중 3량이 화염병에 의해 파괴되었으며, 이를 저지하려는 병력 8명이 전사하는 피해를 입었고, 세세냐를 점령하긴 했지만, 스페인 공화군 측에서 국제여단 소속 소련 전차병들을 제외하고 전차 운용을 할 수 있는 인원이 없었기에 결국 후퇴를 택하게 되었다.

이 전투의 승자는 국민전선 측이었지만, 피해가 너무나도 막심해 실상은 명목상의 승리에 가까웠기에 스페인 국민전선 측에서는 독일에게 더 많은 병력 및 기갑 지원 요청을 했고, 레기온 콘도르를 결성하기로 결정하게 되었다.

또한, 이 당시 "세묜 쿠즈미치 오사즈치"가 지휘하는 T-26B가 L3/33 10량을 격파한 뒤, 나머지 L3 1량을 들이받아 구덩이로 밀어넣어 격파하면서 세계 최초로 충각으로 적 전차를 격파했다는 기록을 세우게 되었다.

2.1.2. 브루네테 전투

파일:Brunete_T-26B_nationalist.jpg
브루네테 전투 당시 수리 중인 스페인 국민전선군 소속 T-26B
브루네테 전투 당시. 여태까지 열세에 있던 국민전선군 측에서 그 동안 전선에서 꾸준히 노획한 T-26B를 수리 후 투입하였다.

하지만 전황은 지지부진하였으며, 결국 어느 쪽의 승리도 아닌 애매한 결과로 끝났다.

2.1.3. 사라고사 공세

파일:1937spainT26.jpg
벨치테 전투 당시의 스페인 공화군 제11국제여단 소속 T-26B "19번차"
사라고사 공세 당시 공화군 소속으로 다수가 투입되었으며, 이 중 벨치테 전투에서 국민전선군을 일방적으로 밀어내어 벨치테를 점령하는데에 큰 공을 세웠다.

2.1.4. 테루엘 전투

파일:Teruel_T-26_Viva_Madrid_no.60.webp
테루엘 전투 당시 유기된 스페인 공화군 국제여단 소속 T-26B "마드리드 만세" 60번차
테루엘 전투 당시 공화군 소속으로 투입되었으나, 결국 패퇴하게 되면서 전황은 국민전선군 측에 기울게 되었다.

2.1.5. 레반테 공세

파일:Lebante_T-26.jpg
레반테 공세 당시의 스페인 국민전선군 소속 T-26B
스페인 국민군이 발렌시아로 진격하기 위해 가한 레반테 공세 당시 이를 노획한 국민전선군 및 공화군 양측 소속으로 투입되었는데, 결국 공화군이 레반테 공세를 막아내며 국민전선군이 더 이상 진격하지 못하도록 발을 묶어두는 것에 성공했다.

2.1.6. 에브로 전투

파일:Ebro_T-26B.jpg
에브로 전투 당시의 스페인 국민전선군 소속 T-26B
에브로 전투 당시도 노획한 단차를 국민전선군이 운용하고, 국제여단 소속으로 공화군에서도 사용되었다. 결국 국민전선군이 에브로로 향하는 다리를 건너고 공화군이 후퇴하게 되면서 직전 노획된 T-26B들은 에브로를 국민전선군이 탈환하는데 공을 세웠다.

3. 대전기

역시 정말 많은 수량이 사용되었으며, 동부, 서부, 북부(핀란드, 노르웨이), 아시아 등 "전쟁 중 4개 이상의 전선에서 사용된 유일한 경전차"로 기록되어 있다.

3.1. 중일전쟁

파일:Goscyai9L2iPj97OXmLCaGiJ8-AthsVMS02kMPM8B1U.png
중일전쟁 당시의 국민혁명군 제200기계화사단 소속 T-26RT
중일전쟁 당시에 중-소 불가침조약이 체결되자 중화민국에 T-26RT 82대가 원조로 제공되어 전량 제200기계화사단 소속으로 편제되어, 국민혁명군의 중요 기갑전력으로 활약했다.[2]

T-26RT는 일본군이 배치한 거의 모든 전차를 상대로 대등 이상의 활약을 할 수 있었는데, 상하이 전투 당시 빅커스 Mk. E를 모두 망실한 국민당군 입장에선 더할 나위 없이 소중한 전차였으며, T-26의 베이스는 빅커스 Mk. E였기에 운용 매뉴얼도 거의 유사하여 인원들을 훈련시키는데 유리했던 면도 컸다.

3.1.1. 1939년 동계공세작전

파일:20160906023555!T-26_tanks_in_Hunan,_China.jpg
쿤룬관 전투 당시의 국민혁명군 산하 제200기갑사단 소속 T-26RT
중일전쟁 중, 1939년 동계공세작전 도중 벌어진 난닝 전투에서 도합 4량이 투입되었으나 일본군의 물량 차이로 인해 고전하다 후퇴하였다.

그러나 난닝 탈환전의 일환으로 심기일전하여 벌어진 쿤룬관 전투에서 국민혁명군 제200기갑사단의 T-26RT들이 제대로 대활약하였는데, 당시 4전구 소속 중국군 25개 사단과 함께 다수의 단차가 동원되어 난닝을 공격해 일본군 1만명을 사살하고 쿤룬관을 점령하는 쾌거를 이루었는데, 특히 이 전투에서 일본군의 나카무라 마사오 소장이 전사하는 등 일본군은 큰 피해를 입었다.

결국 1940년 11월 일본이 쿤룬관을 버리고 패주하며 대승을 이끌었다.

3.1.2. 대륙타통작전

파일:ichigo_T-261.jpg
대륙타통작전 당시 원난 성 쿤밍에서 격파된 일본 제국 육군 노획 T-26RT "512번차"
대륙타통작전 당시 국민혁명군 측에서 다수의 차량이 이용되었으며, 이 밖에도 원난 성 쿤밍의 공군 기지를 접수하던 일본군 측에서도 일부 T-26RT를 전차호처럼 만들어 공군 기지를 방호하고자 하였으나 결국 국민혁명군에 의해 전량 격파되거나, 다시 회수되었다.

3.2. 소련-일본 국경분쟁

3.2.1. 하산 호 전투

파일:Battle_of_Lake_Khasan-Camouflaged_soviet_tanks.jpg
하산 호 전투에서의 위장한 소련 육군 소속 T-26B
하산 호 전투에서도 81대의 BT-5와 BT-7, 244대의 T-26, 10대의 KhT-26 화염방사전차, 3대의 ST-26 가교전차, 그리고 13대의 SU-5-2 자주포가 투입되었는데, 이는 건차자도 사건 당시 피해를 입은 소련군이 경각심을 느끼고 8월 6일 1개 군단과 1개 기계화여단, 연해주 항공대를 투입시켰기 때문이었다.

이때 T-26 에이스들도 여러 명 등장하였는데, 소비에트 연방 영웅 칭호를 선사받은 전차장 "뱌체슬라프 비노쿠로프"와 "세묜 라쇼킨"이 대표적인 인물들이다.

8월 6일, 그들은 일본군의 요새를 공격하여 철조망을 부숴버리고 벙커에 있던 일본군을 제압했으며, 기세를 탄 T-26 2대는 맹렬하게 적들을 향하여 진격하였지만, 곧바로 일본군에게 포위당했다.

그러나 그들은 침착하게 T-26의 높은 기동성을 능숙하게 활용하여 포격을 피해 많은 적의 장비와 인력을 파괴했고, 이윽고 보병 부대가 그들을 엄호하며 전투를 승리로 이끌었다.

이 밖에도 같은 칭호 수훈자인 제11전차여단의 "이반 바실리예비치 프로소로프"의 사례도 존재하는데, 그와 휘하 전차병들의 경우 돈좌된 T-26에서 무려 이틀간 적들과 맞서 싸웠으며, 이들은 포위당한 상태에서도 기관총과 주포로 일본군 중대를 절반이나 처치하였고, 소련군이 그들이 있는 위치를 점령해 간신히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하산 호 전투 당시에 T-26 전차들은 소비에트 연방 영웅 칭호 수훈자만 33명에 이를 정도로 매우 큰 공을 세웠다.

3.2.2. 할힌골 전투

파일:cf6acb9a1a2559bf8875d7bf213e6e41.jpg
할힌골 전투 당시의 소련 육군 소속 T-26B
1938년~1939년 초 할힌골 전투를 포함한 일본과의 국경분쟁에도 BT-5, BT-7과 함께 주력으로 활약했다.

당시 대숙청 여파로 극동지역 일선 부대의 기존 지휘관들 상당수가 숙청되고 그 자리를 신임 지휘관들이 막 이어받은 상황으로, 초기에 미리 구축된 적군 대전차 진지에 경전차들을 밀어넣는 뻘짓도 있었지만, 초원에서의 양호한 주행능력과 45mm 전차포의 파괴력으로 일본군의 주력 89식 중전차, 95식 경전차를 상대로 좋은 전과를 올렸다.

일본군의 89식 중전차 치로는 대전차전에 부적합한 90식 57mm 포를 장착했고, 95식 경전차 하고는 보다 관통력이 향상된 37mm 포를 장착해 장부스펙상 당대 경전차들의 장갑을 충분히 관통할 수 있었지만 포의 완성도와 신뢰성 문제 때문에 할힌골에서는 BT-7과 T-26을 격파하지 못하고 패배했다.[3]

이 밖에도 하고의 37mm 90식 전차포 5발이 관통되었어도 불이 나지 않았다고 하는데, 37mm 포의 포탄의 품질이 낮아서였다고 사료된다.

3.3. 폴란드 침공

파일:폴란드T-26.jpg
폴란드 침공 당시의 소련 육군 소속 T-26 전차 소대[4]
1939년 폴란드 침공 당시 소련군이 폴란드 동부를 침공하여 점령할 때도 BT 전차들과 더불어 소련군 기갑전력의 주축이었다.

이때 폴란드군의 주력이 서부에서 독일군의 진격을 저지하러 나가 동부 국경에는 소수의 폴란드 국경수비대(KOP) 및 긴급 편성된 예비대들만이 국경을 지키고 있었으므로 소련군은 큰 어려움 없이 폴란드 동부를 점령했다.

그렇지만 침공 과정에서 폴란드군과의 교전으로 도합 5량의 T-26B가 파괴되었고 그 외에 기계적 결함으로 전력에서 이탈한 T-26도 일부 존재했다.

3.4. 겨울전쟁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Winter_War.jpg
겨울전쟁 당시 격파된 소련 육군 소속 T-26B 전차 소대
핀란드와의 겨울전쟁 당시 구형 쌍포탑형과 신형 단포탑형을 포함하여 소련군 전차부대의 주력이 되었지만, 핀란드군의 철저한 매복전술과 소련군의 미약한 보병 정찰속에서 상당한 손실을 입었다.

핀란드군은 장애물을 설치해 현가장치를 망가뜨리거나, 눈속에서 돈좌된 전차들을 상대로 라티 L-39 20mm 대전차 소총을 사격해 벌집으로 만들거나, 상술했다시피 열기에 약한 소련제 경전차의 단점을 파고들어 몰로토프 칵테일을 던져 석유 스토브로 만들어버렸다.

그러나 이렇게 보병들이 전차를 격파하려면 엄청난 인명손실을 감당해야했기에, 기갑전력의 격차를 뼈저리게 느낀 핀란드군은 전력을 증강하기로 결심하고 격파했던 다수의 T-26들을 이송, 수리 및 자체개조를 통해 도합 126량 이상을 배치했으며, 이 차량들은 계속전쟁 시기 핀란드군 전차 전력의 주축으로 사용되었다.

3.4.1. 톨바얘르비-애글래얘르비 전투

파일:attachment/Talvisota_Tolvajarvi_1.png
톨바얘르비-애글래얘르비 전투 당시 격파된 소련 육군 소속 T-26A 전차 소대
톨바얘르비-애글래얘르비 전투 당시 소련 육군의 주력으로 사용되었으나 활약하지 못하고 다수가 격파당했다.

3.4.2. 콜라 전투

파일:800px-Soviet_T-26_tank_at_Kollaanjoki.jpg
콜라 전투 당시의 소련 육군 소속 T-26S
겨울전쟁의 주요 전투 중 하나인 콜라 전투에서도 소련군이 1개 전차여단을 파견했는데, 이때 당시 주요 전력으로 사용되었다.

3.4.3. 수오무살미 전투

파일:Finnish soldiers, some in snow camouflage, inspecting an abondoned Soviet T-26 tank after the Battle of Raate road during the Winter War..jpg
라테 도로 전투 중 유기된 소련 육군 소속 T-26B
수오무살미 전투, 그 중 라테 도로 전투에서 다수의 차량들이 소련군 소속으로 투입되었다.

그러나 연이은 폭설로 인해 전차 자체의 기동이 매우 어려웠기에 소련군은 T-26을 일부 한정된 도로에만 투입할 수 있었는데, 이 틈을 노린 핀란드군은 몰로토브 칵테일과 라티 대전차 소총으로 전차들을 파괴하며 격퇴했다.

혼비백산한 전차병들 중 몇몇은 전차를 버리고 도망치기도 하였으며, 핀란드군은 유기된 T-26들을 자국 내 공장에 가져가 피탄흔을 메꾸는 등의 수리를 거쳐 자국 전차 편제에 적용하였다.

3.5. 베사라비아-북부코비나 점령

파일:Soviet T-26 tank and BA-10 armored cars during the occupation of Bessarabia and Northern Bukovina. June 1940.jpg
베사라비아-북부코비나 점령 당시 루마니아 국경으로 이동 중인 소련 육군 소속 T-26B & BA-10
1940년 6월 28일 ~ 7월 3일에 걸쳐 벌어진 베사라비아-북부코비나 점령 사건 당시 소련군의 주 전력으로 사용되었다.

3.6. 제2차 세계 대전

파일:1942_T-26.jpg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의 소련 육군 소속 T-26B와 승무원들
T-26이 스페인 내전 이후 가장 많이 사용된 전장으로, 추축국, 연합국 가리지 않고 양 측에서 정말 많이 사용되었다.

3.6.1. 독소전쟁

3.6.1.1. 바르바로사 작전
파일:t-26_tank_model_1939_19.jpg
바르바로사 작전 당시 유기된 소련 육군 소속 T-26S를 살펴보는 독일 국방군
1941년 6월, 바르바로사 작전으로 독일이 불가침 조약을 파기하고 소련을 침공하자 소련군은 급하게 부랴부랴 전차 여단에 있는대로 T-26을 마구잡이로 배치했다.

그렇지만 T-26은 바르바로사 작전에서 매우 큰 시련을 겪게 되는데, 우선 주무장인 45mm 20-K 전차포에 쓰이는 탄의 경우, 철갑탄은 초창기의 3호 전차 4호 전차에게는 맞추기만 한다면 완전 격파가 가능하여 대전차전에서 나름 활약하였다만, 문제는 고폭탄이었는데 탄이 작다보니 작약도 적게 들어가 대보병전에서 동축기관총보다도 쓸모가 없다는 말까지 들었을 정도였다.

흔히 상술한 할힌골 전투에서 기원하여 기차역까지 가는데도 퍼져버렸다는 둥, 자력 주행이 불가능한 수준이었다는 둥의 말이 나오는데, 실제로 T-26의 신뢰성은 원본인 빅커스 Mk. E보다는 살짝 뒤쳐졌지만, 그래도 동시대 기준으로는 나쁘지 않은 수준이었다.[5]

그렇다면 대체 왜 바르바로사 작전을 필두로 한 독소전 초기에 기동 불능이나, 맥없이 격파되는 이러한 상황이 터졌냐하면, 다름이 아니라 스탈린의 최고 오판인 대숙청의 후유증으로 전차를 관리할 정비창 인원들도 싸그리 굴라그로 끌려가거나 혹은 처형당했기에 제대로 기본적인 수리조차 받지 않은[6] T-26들이 어떻게든 자력으로 기어가서 전투를 치렀기 때문이다.

또한, 장교들 역시 대다수가 숙청되어 그나마 있는 장교라고는 거의 다 신병인 수준이라 구식 전차 교리는 차치하서라도, 적들의 대전차 진지에 그냥 돌격시키는, 이를테면 반자이 돌격과 다를 바 없는 전술로 운용되었기 때문이었다.

결론적으로는 T-26의 낮은 신뢰성은 과장된 것으로 보는게 올바르며, 실제로는 대숙청의 여파로 인한 인적 자원 손실의 폐해라고 보는 편이 옳다.

T-26은 정말로 고군분투하였는데, 바르바로사 작전 중, T-34-76은 최전선에서만 배치되었으며, 초기에는 어느 정도 T-34가 잘 버텨줬지만 얼마 안가 독일군의 8,8cm 포에 속절없이 파괴되는 와중에 절망적인 손실을 어떻게든 버티기 위해 T-50, T-60같은 후속 경전차들과 악착같이 사선을 넘나들며 싸우게 되었다.

1941년 말에 이르러 전선이 어느 정도 안정화되며, T-34-76의 대량생산을 위해 1941년을 끝으로 생산이 중단되었으며, 이후는 기존 차량의 유지보수용 및 기존 부품 소모를 위해 소량만 생산되었다.
3.6.1.2. 우만 전투
파일:Battle_of_umani_T-26.webp
우만 전투 당시의 소련 육군 소속 T-26S
우만 전투 당시 다수가 투입되었으나 독일군에 의해 다수가 격파되고 패퇴하였다.

추가로, 이 시기 미하엘 비트만 3호 돌격포 A형을 타고 T-26 6대를 격파함으로써 비트만의 커리어를 열어준 전차로도 알려져 있다.
3.6.1.3. 스몰렌스크 전투
파일:1941T-26B.jpg
스몰렌스크 전투 당시의 소련 육군 산하 제105기갑사단 소속 T-26B
1941년 바르바로사 작전 중 벌어진 스몰렌스크 전투 당시 다수의 T-26들이 투입되었으나 대숙청의 후유증으로 인한 운용 미숙으로 인해 대패하고 말았다.
3.6.1.4. 브로디 전투
파일:0d576ba2d9ab4c918c6b640b5e23db1e.jpg
브로디 전투 당시 격파된 소련 육군 산하 제19기계화군단 소속 T-26B
바르바로사 작전 와중 벌어진 독소전쟁 최초의 대규모 전차전이었던 브로디 전투 당시 다수가 투입되었으며, 이 시기 독일군에게 큰 출혈을 강요하였지만 다수가 격파되었다.
3.6.1.5. 모스크바 공방전
파일:moskow_1942_T-26s.jpg
모스크바 공방전 당시의 소련 육군 소속 T-26 전차 소대[7]
모스크바 공방전 시기까지만 하더라도 T-34-76이 본격적으로 생산되기 이전이었기에 소련군의 주력 전차로 이용되었으며, 3호 전차 및 4호 전차와의 스펙 차이로 손실을 버텨가며 운용되었다.

이후 T-34-76이 전선에 등장하면서 최전선에서 물러났으며, 본래의 목적에 맞게 정찰 및 대보병 임무에 투입되었다.

이 시기 알렉산드르 오스킨이 T-26에 탑승하여 독일 전차 2대를 격파하는 활약을 하였으며, 그는 동년 10월에 피격당하여 큰 부상을 입었으나 이를 딛고 다시 T-34-76, T-34-85에 탑승하여 티거 2 3대 격파라는 전무후무한 기록을 세우게 되었다.
3.6.1.6. 레닌그라드 공방전
파일:1944_leningrad_T-26.jpg
레닌그라드 공방전 당시의 소련 육군 소속 T-26E "185번차"[8]
레닌그라드 공방전 시기에도 다수가 동원되어 활약하였다.

레닌그라드 방면으로 진입한 북부집단군은 중부집단군과 남부집단군에 비하여 진격 속도가 느림과 더불어, 신형 장비의 수령이 느렸는데, 그 이유는 러시아의 혹독한 라스푸티차와 날씨 탓에 보급 속도가 느렸기 때문이었다.

이에 T-26들도 타 전선에서의 전훈을 얻어, T-26의 부족한 장갑을 임시 방편으로 증강시켰기에 독일군과 어느정도 대등하게 싸울 수 있었다.

레닌그라드 공방전 당시 T-26의 활약으로는 바로 소련 육군 제86독립전차대대의 일화가 있다.

제86독립전차대대는 1941년 12월 20일에서 26일 사이에 콜피노에서 크라스니보르와 토스노를 방어하기 위한 작전에 투입되었는데, 이 시기 T-26을 운용했던 기록이 남아있다.

6일간의 작전 동안 대대 산하 소대장이었던 "M.I 야코블레프" 중위가 지휘하는 T-26은 벙커 2개와, 대전차포 3문, 기관총 진지 4개,박격포 3문을 격파하였으며, 추가로 크라스니보르에서 단신으로 200명의 독일군을 사살하는 전과를 올렸다.

야코블레프 중위가 지휘하던 단차는 9발이나 피탄되는 와중에도 분전하였으며, 이 전과로 야코블레프 중위는 소비에트 연방 영웅 훈장을 수여받았다.

덧붙여서, 독소전쟁 중 T-26이 제일 오랫동안 사용된 전투이기도 한데, 1944년까지 제1전차여단과 제220전차여단 소속으로 각각 32량씩 편제되어 사용되었다.
3.6.1.7. 세바스토폴 공방전
파일:Sevastopol_T-26.jpg
세바스토폴 공방전 당시의 소련 육군 소속 T-26A & T-26B
세바스토폴 공방전 당시에도 소련 육군 소속으로 다수의 T-26들이 동원되었다.
3.6.1.8. 크림 전선
파일:T_26M33_1.jpg
크림 전선 당시의 소련 육군 산하 제1근위전차여단 소속 T-26B "11번차"[9]
크림 전선 당시 제1근위전차여단 소속으로 다수의 T-26이 참전하였다.
3.6.1.9. 스탈린그라드 전투
파일:1942_stalingrad_T-26.jpg
스탈린그라드 전투 당시의 소련 육군 소속 T-26B와 전차병들[10]
스탈린그라드 전투 시기 주력 전차는 T-34-76로 변경되었지만, 적지 않은 수량이 정찰 및 보병보조임무를 맡아 사용되었다.
3.6.1.10. 코르순-체르카시 포위전
파일:RIAN_archive_606710_Tank_assault_force_in_Korsun-Shevchenkovski_region.jpg
코르순-체르카시 포위전 당시의 소련 육군 돌격전차대대 소속 T-26B
코르순-체르카시 포위전은 독소전쟁 중 T-26이 마지막으로 사용된 전투이며, 이 시기 돌격전차대대 소속으로 소량이 투입된 기록이 남아있다.

전선에 투입된 T-26은 대전차전이 아니라, 본래의 목적에 맞게 순찰 및 보병부대 지원으로 사용되었다.
3.6.1.11. 테후마르디 전투
파일:Battle_of_tehumardi_German_T-26.jpg
테후마르디 전투 당시 격파된 독일 육군 제563대전차자주포대대 산하 3중대 소속 7,5 cm Pak 97/38(f) auf 740(r)
발트 해 공세 중 에스토니아 사레마 섬에서 벌어진 테후마르디 전투 당시 독일 국방군 측에서 7,5 cm Pak 97/38(f) auf 740(r)를 투입시켰으나 소련군을 막아내지 못하고 후퇴했으며, 결국 소련이 사레마 섬을 점령하게 되었다.
3.6.1.12. 바그라티온 작전
파일:1944_German_T-26.jpg
바그라티온 작전 당시 비텝스크의 독일 육군 소속 Pz.Kpfw T-26B 739(r) & Pz.Kpfw T-26C 740(r)
바그라티온 작전 중 벨로루시 작전에서 독일 국방군이 노획한 차량들을 동원하였으나 전황을 바꾸지 못하고 패퇴하였다.
3.6.1.13. 동프로이센 공세
파일:Ostpreusen_T-26.jpg
동프로이센 공세 중 격파당한 독일 국방군 소속 Pz.Kpfw T-26A 737(r)
동프로이센 공세 당시 독일군이 발악의 일환으로 T-26 소수를 투입하였으나 별다른 활약을 하지 못하고 격파당했다.

3.6.2. 페르시아 침공

파일:Operation-COUNTENANCE-The-Soviet-6th-Armoured-Division-enters-Tabriz-August-1941.png
페르시아 침공 당시 이란 타르비츠 시에 진입한 소련 육군 산하 제6전차여단 소속 T-26S
1941년 8월 자캅카스 전선군의 제43군, 47군, 53군소속 T-26 800여대가 페르시아 침공에 참전하였다.

이때, 이란군에는 100여대의 FT-6 TNH로 이루어진 기갑사단 두 개가 있었지만 소련군은 이를 T-26을 앞세운 공세로 완전히 격퇴했으며, 결국 이란은 연합국에게 점령당했다.

3.6.3. 서부전선

3.6.3.1. 오버로드 작전
파일:t-26_232.jpg
오버로드 작전 당시 프랑스에서 격파된 독일 국방군 소속 Pz.Kpfw. T-26B 738(r)과 Pz.Kpfw. T-26C 738(r)[11]
노르망디 상륙 작전 이후 1944년과 1945년에 걸쳐 프랑스 전역에서 독일 국방군이 사용했으며, 이 중 몇몇 차량은 미군에게 격파당하거나 혹은 역으로 노획되기도 했다.

이 시기 투입된 독일 국방군의 T-26은 상술하였듯이 바르바로사 작전 당시 남부집단군과 중부집단군이 노획하여 프랑스 및 본토에 주둔하는 후방 부대에 예비물자로 편성하기 위하여 보낸 것들이었다.

3.6.4. 태평양 전쟁

3.6.4.1. 동남아시아 전역
파일:T-26_ww2_burma.png
동남아시아 전역 당시의 국민혁명군 제48기갑사단 소속 T-26RT[12]
국민혁명군 제200기갑사단, 제48기갑사단에 편제된 T-26RT들은 일본군을 상대로 89식 중전차 치하를 상대로 상당한 우위를 점하였으며, 일본군을 막기 위해 원난에서부터 남하한 후 영국군과 미군과 함께 버마 전선에 참전하여 M4A4, 스튜어트 전차들과 함께 전투를 치렀다.

3.6.5. 소련-일본 전쟁

3.6.5.1. 만주 전략 공세 작전
파일:manchuriaT-26S.jpg
만주 전략 공세 작전 당시의 소련 극동 육군 소속 T-26S
1945년 8월 5일, 소련 극동군은 1,461대의 T-26을 보유하고 있었고, 이 중 1,272대가 운용 가능한 상태였다.

소련 극동군은 독소전쟁 기간 동안 전투를 치르는 대신에, 극동에서 일본군의 움직임을 감시하고 있었으며, 이 때문에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아 도태장비였던 BT-5, BT-7 전차들도 같이 일선에서 운용하고 있었다.

독소전쟁이 종결된 이후인 1945년 여름, 소련군은 T-26으로 무장한 극동군의 전투력을 향상하기 위하여 670대의 T-34-85를 배치했으며, 나머지 두개의 전차 대대는 이전과 같이 T-26과 BT-7 경전차를 사용했다.

제1극동군 소속 11개의 전차여단에는 각각 80량에서 85량의 전차가 장비되었는데, 이 중 절반은 T-26 또는 BT-7로 무장하고 있었으며, 트란스바이칼 전선의 2개의 전차사단과 5개의 전차여단에도 일부 T-26이 있었다.

T-26은 가솔린 엔진 특유의 고RPM 특성 상, 디젤 엔진을 사용한 M4A2나 T-34-85와 다르게 빠르게 시동을 걸 수 있었으며, 무엇보다 가벼운 중량으로 늪지대나 거친 지역에서 오히려 이들보다 더 나은 기동성을 보여주었다.

전쟁 후기 기준 속도가 느리고 장갑이 얇았지만, 45mm 포는 일본군의 전차를 격파하는데 충분한 위력을 지녔으며, 이후 만주 작전이 소련의 승리로 끝나는데에 힘을 보탰다.
3.6.5.2. 남사할린 침공
파일:South_sakhalin_1945_T-26.jpg
남사할린 침공 당시 행진 중인 소련 극동군 소속 T-26 전차 소대
제2차 세계 대전 중, T-26이 마지막으로 사용되었던 곳은 바로 사할린이었다.

만주 전략 공세 작전과 동시기에 이루어진 남사할린 침공 작전에도 다수가 동원되어 사할린을 점령하는데 공을 세웠다.

종전 후, 1946년에 하얼빈에서 열린 전승 기념 열병식에도 등장하였으며, 소련군과 15년 동안 동고동락한 이 전차는 이렇게 영광스럽게 퇴역하였다.

3.7. 계속전쟁

파일:finland_captured_T-26B-1.jpg
계속전쟁 당시의 핀란드 방위군 소속 T-26B[13]
겨울전쟁에 이은 계속전쟁에서도 핀란드군의 주력 전차로 사용되었으며, 비단 핀란드군 뿐 아니라 이미 T-34-85, IS-2 등의 최신예 전차가 등장했음에도 핀란드의 안 좋은 도로사정 탓에 소련군에서도 현역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때문에 일로만치 전투와 같이 소련군과 핀란드군 모두 동일한 T-26으로 무장한 상태에서 전투를 벌이는 상황이 자주 발생했다.

계속전쟁에서의 핀란드군은 T-26을 이용해 원 주인이었던 소련군을 기습공격하여 큰 피해를 입히거나 높은 기동성을 바탕으로 눈속에서 튀어나와 혼비백산시키는 등의 전술을 통하여 대활약을 하였다.

3.7.1. 탈리-이한탈라 전투

파일:Tali-ihantala_T-26_1.jpg
탈리-이한탈라 전투 당시의 핀란드 방위군 소속 노획 T-26B
탈리-이한탈라 전투 당시 핀란드군과 소련군 양측의 주력 차량으로 사용되었다.

3.7.2. 일로만치 전투

파일:Knock_outed_T-26B_Soviet_571.jpg
일로만치 전투에서 격파된 소련 육군 소속 T-26RT "57번차"
일로만치 전투 당시 양측의 주력 차량으로 사용되었으며, 이 전투에서 소련군이 공세종말점에 몰림으로써 핀란드는 소련과 정전협정을 맺을 수 있었다.

3.8. 라플란드 전쟁

파일:1945t-26.jpg
로바니에미 전투 당시의 핀란드 방위군 소속 T-26B[14]
계속전쟁 종전 후, 적국으로 돌아선 독일군을 몰아내기 위하여 라플란드 전쟁 중 로바니에미 전투에 투입되었다.

이 때 핀란드군의 주력 전차는 이미 장부상 성능이 훨씬 좋은 "스투르미"[15] "라비스틴"[16]이었으나, 로바니에미 지역은 이 두 차량이 다닐 수 없는 지형과 좁은 길로 이루어져 있어 투입 할 수 없었기에 핀란드 군부 측에서는 한랭에서 무리없이 기동하고, 좁은 길도 잘 다닐 수 있는 T-26에 주목하여 해당 전투에 투입시켜 독일군을 몰아내는데에 혁혁한 공을 세웠다.

4. 냉전

4.1. 국공내전

파일:Chinese_Civil_War_T-26_No.568.jpg
국공내전 당시의 국민혁명군 제200사단 소속 T-26RT "568번차"
중일전쟁 시기 소련으로부터 지원받은 차량들을 국공내전 시기에도 국민혁명군의 주력 전차 중 하나로 사용되었으며, 몇몇 차량이 홍군에게 노획되어 사용되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T-26이 대량으로 사용된 전쟁이었으며, 이후에는 훈련용, 전차호, 예비장비 급으로 재편성되며 기갑사의 한 획을 그은 이 전차는 전쟁사에서 퇴장하였다.

4.1.1. 화이하이 전역

파일:f2cbldh5k0861.png
화이하이 전역 직후 상하이에서 철수 중인 국민혁명군 제200사단 소속 T-26RT & M3A3 스튜어트
국공내전 중 화이하이 전역에서 상하이에 주둔 중이었던 제200사단 측에서 실전 투입하였으나 실책 및 악수가 겹쳐 홍군이 승리하였다. 결국 전황이 완벽하게 홍군 측으로 기울자 1949년 12월 7일, 상하이에서 철수를 결정했으며 이 시기 국민혁명군과 함께 다수의 차량이 하이난 섬으로 이동했다.


[1] 브레다 20/65 기관포를 장착한 CV-35와 1호 전차가 있긴 하였으나 극소량이었다. [2] 기존의 T-26B에는 무전기가 없기 때문에 무전기가 있는 지휘전차 사양인 T-26RT가 공여된 것으로 보인다. [3] 바르야틴스키의 2006년 저서에 따르면, T-26의 경우 할힌골에서 일본군 전차의 집중사격을 맞고도 격파되지 않고 작전을 속행한 사례가 존재한다. 그나마 소련군 전차를 상대로 전과를 기록한 장비는 기갑부대가 아니라 보병연대의 94식 대전차포였지만 부족한 수량으로 전세를 바꿀 수 없었고, 소련 기갑부대의 포위망에 갇힌 일본군 제23사단은 그대로 궤멸당했다. [4] 선두 차량은 T-26B 초기형이며, 뒤를 따라오는 차량은 T-26S이다. [5] 애초에 신뢰성이 정말 낮았더라면 소련군이 1930년대부터 운용할 이유가 전혀 없었을 것이, 속도도 훨씬 빠르고 기술적으로는 우수한 BT 전차 시리즈가 동시대에 존재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소련군은 이로 대체하기는 커녕, 오히려 BT 전차의 생산은 줄이고 T-26 시리즈의 생산을 증폭시켰다. [6] 심지어 매우 기본적인 기동 점검조차 하지 않았다는 말도 존재한다. 그만큼 대숙청 직후의 소련의 인적 자원 손실은 엄청났으며, 그 결과는 매우 참담했다. [7] 1941년 12월에 촬영된 사진이다. [8] 1944년에 촬영된 사진이다. [9] 1942년 4월에 촬영된 사진이다. [10] 1942년에 촬영된 사진이다. [11] 1944년~1945년 사이에 촬영된 사진으로 추정된다. [12] 1942년 촬영된 사진이다. [13] 1944년 6월에서 7월 경에 촬영된 사진으로, 신형 위장 도색을 도포하였다. [14] 전투 당시 "킴 뵈르크" 소위가 촬영한 사진이다. [15] 3호 돌격포 G형의 핀란드군 제식명 [16] 4호 전차 J형의 핀란드군 별칭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31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310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