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315288><tablebgcolor=#315288> |
NC 다이노스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000000; margin:-6px -1px -11px" |
기본 정보 | 엔씨소프트 | NC 다이노스 | NC 다이노스 2군 | |||
역사 정보 | 역사 | 창단 과정 | 역대 시즌 | 역대 감독 | 역대 주장 | 역대 외국인 선수 | 역대 트레이드 | 1차 지명 | 사건·사고 | ||||
최종 우승 |
2020년 한국시리즈 | ||||
세부 정보 | 팀 컬러 | 선수단 | 등번호 | 유니폼 | 역대 기록 | 공식 SNS | 랠리 다이노스 ( 치어리더) | 응원가 | 마스코트 | ||||
라이벌리 | 낙동강 시리즈 | ||||
지역 연고 |
마산고등학교 |
마산용마고등학교 |
김해고등학교 물금고등학교 | 울산공업고등학교 | 창원공업고등학교 |
||||
경기장 |
1군
|
창원 NC 파크 | 마산 야구장 | |||
2군
|
마산 야구장 | 남해 스포츠파크 야구장 | 포항 야구장 | 고양 국가대표 야구훈련장 | ||||
팬덤 정보 | NC 다이노스 갤러리 | 나인하트 | 다톡 | 마산아재 | 타운홀 미팅 | ||||
기타 문서 | 낙동강 시리즈 | 나테이박 (나테의박) | 단디 4(김원임) | 배구장 트리오 | 엔나쌩 · 엔상바 클럽 | 흥행참패동맹 |
[clearfix]
1. 개요
NC 다이노스의 역대 기록을 설명하는 문서.2. 팀 성적
범례 | | 우승 | | 준우승 | | 포스트시즌 진출 | | 포스트시즌 진출 실패 |
NC 다이노스 역대 성적 | ||||||||
연도 | 정규 시즌 순위 | 포스트시즌 | 최종 순위 | 경기수 | 승 | 무 | 패 | 승률 |
2013 | 7위/9팀 | 진출 실패 | 7위 | 128 | 52 | 4 | 72 | 0.419 |
2014 | 3위/9팀 | 준PO에서 1-3으로 탈락 (VS LG) | 3위 | 128 | 70 | 1 | 57 | 0.551 |
2015 | 2위/10팀 | PO에서 2-3으로 탈락 (VS 두산) | 3위[1] | 144 | 84 | 3 | 57 | 0.596 |
2016 | 2위/10팀 | KS에서 0-4로 준우승 (VS 두산) | 준우승 | 144 | 83 | 3 | 58 | 0.589 |
2017 | 4위/10팀 | PO에서 1-3으로 탈락 (VS 두산) | 4위[2] | 144 | 79 | 3 | 62 | 0.560 |
2018 | 10위/10팀 | 진출 실패 | 10위 | 144 | 58 | 1 | 85 | 0.406 |
2019 | 5위/10팀 | WC에서 0-1로 탈락 (VS LG) | 5위 | 144 | 73 | 2 | 69 | 0.514 |
2020 | 1위/10팀 | KS에서 4-2로 우승 (VS 두산) | 우승 | 144 | 83 | 6 | 55 | 0.601 |
2021 | 7위/10팀 | 진출 실패 | 7위 | 144 | 67 | 9 | 68 | 0.496 |
2022 | 6위/10팀 | 진출 실패 | 6위 | 144 | 67 | 3 | 74 | 0.475 |
2023 | 4위/10팀 | PO에서 2-3으로 탈락 (VS KT) | 4위[3] | 144 | 75 | 2 | 67 | 0.528 |
2024 | 9위/10팀 | 진출 실패 | 9위 | 144 | 61 | 2 | 81 | 0.430 |
KBO 통산 12시즌 | 7회 진출 | V1 | 1696 | 852 | 39 | 805 | 0.514 |
- 창단 이후 떠오르는 신흥 강호 구단으로 좋은 통산 성적을 유지하고 있다. 21세기 승률에서 키움, kt를 넘는[4] 4위이다.[5]
- 불과 8년 만에 모든 포스트 시즌 단계에서 탈락한 경력이 있고, 모든 포스트 시즌 단계에서 승리한 경력도 있다.[6]
- 포스트 시즌에서 치른 총 12번의 시리즈 중 잠실을 사용하는 2팀 (LG, 두산)을 상대로만 무려 8회의 시리즈를 겨뤘다. 이 때문인지는 몰라도 포스트 시즌 최종 상대는 항상 LG 또는 두산이었다. 다만 2023년 PO에서 KT에게 2승 3패로 패배하며 징크스가 깨졌다.
-
~
1군에 오른지 8년 동안에 가을야구에서 탈락한 게 겨우 3번이다. 또한 KBO 전체 포스트 시즌 진출률 1위~…였으나 2년 연속으로 포스트 시즌 진출에 실패하면서 삼성이 포스트 시즌 진출률 1위가 되었다.[7] - KBO 리그 역대 구단들 중 최저 승률이 4할이 넘는 유일한 구단이다.
- KBO 리그에서 꼴찌 횟수가 1회로 SSG와 함께 뒤에서 공동 2등이다.[8]
- 업셋은 총 2회[9], 피업셋은 총 2회[10]를 기록하였다.
그 외 사항은 KBO 리그/역대 팀 스탯 문서 참조.
2.1. 개막전 전적
NC 다이노스 역대 개막전 성적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NC 다이노스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및 팀 전적 |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
아담 | 이재학 | 찰리 | 해커 | 맨쉽 | 왕웨이중 | 버틀러 | |||||||||||||
롯데 (마산) |
KIA (광주) |
두산 (잠실) |
KIA (마산) |
롯데 (마산) |
LG (마산) |
삼성 (창원) |
|||||||||||||
4:0, 패 | 0:1, 패 | 4:9, 패 | 4:5, 승 | 5:6, 승 | 2:4, 승 | 0:7, 승 | |||||||||||||
임창민 | 임창민 | 원종현 |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루친스키 | 루친스키 | 루친스키 | 페디 | 하트 | |||||||||||||||
삼성 (대구) |
LG (창원) |
SSG (창원) |
삼성 (대구) |
두산 (창원) |
|||||||||||||||
4:0, 승 | 2:1, 패 | 4:0, 패 | 8:0, 승 | 3:4, 승 | |||||||||||||||
원종현 | |||||||||||||||||||
개막전 전적 : 12전 7승 5패 | |||||||||||||||||||
위에서부터 선발 투수, 상대 및 구장, 결과, 세이브 |
역대 개막전 구장별 전적 | ||||
홈 경기 : 5승 - 3패 | ||||
마산 [11] | 3승 - 1패 | 창원 [12] | 2승 - 2패 | |
원정 경기 : 2승 - 2패 | ||||
광주 | 0승 - 1패 | 잠실두산 | 0승 - 1패 | |
대구 | 2승 - 0패 |
NC 다이노스 역대 개막전 선발 라인업 | ||||||||||
<rowcolor=#ffffff> 연도 | 투수 | 포수 | 1루수 | 2루수 | 3루수 | 유격수 | 좌익수 | 중견수 | 우익수 | 지명타자 |
2013 | 아담 | 김태군 | 모창민 | 박민우 | 이현곤 | 노진혁 | 권희동 | 박상혁 | 김종호 | 이호준 |
2014 | 이재학 | 김태군 | 테임즈 | 박민우 | 모창민 | 손시헌 | 김종호 | 나성범 | 이종욱 | 이호준 |
2015 | 찰리 | 김태군 | 테임즈 | 박민우 | 모창민 | 손시헌 | 김종호 | 이종욱 | 나성범 | 이호준 |
2016 | 해커 | 김태군 | 테임즈 | 박민우 | 박석민 | 손시헌 | 김성욱 | 이종욱 | 나성범 | 이호준 |
2017 | 맨쉽 | 김태군 | 스크럭스 | 지석훈 | 박석민 | 손시헌 | 권희동 | 김성욱 | 나성범 | 모창민 |
2018 | 왕웨이중 | 신진호 | 스크럭스 | 박민우 | 노진혁 | 손시헌 | 권희동 | 이종욱 | 나성범 | 모창민 |
2019 | 버틀러 | 양의지 | 모창민 | 이상호 | 지석훈 | 노진혁 | 권희동 | 김성욱 | 베탄코트 | 박석민 |
2020 | 루친스키 | 양의지 | 모창민 | 박민우 | 박석민 | 노진혁 | 이명기 | 알테어 | 김성욱 | 나성범 |
2021 | 루친스키 | 양의지 | 강진성 | 박민우 | 박석민 | 김찬형 | 이명기 | 알테어 | 나성범 | 권희동 |
2022 | 루친스키 | 박대온 | 오영수 | 서호철 | 박준영 | 김한별 | 마티니 | 박건우 | 손아섭 | 전민수 |
2023 | 페디 | 박세혁 | 오영수 | 박민우 | 박석민 | 김주원 | 김성욱 | 마틴 | 박건우 | 손아섭 |
2024 | 하트 | 김형준 | 데이비슨 | 박민우 | 서호철 | 김주원 | 권희동 | 김성욱 | 박건우 | 손아섭 |
- 2013년부터 2020년까지 8년 동안 개막전 선발이 모두 다른 기록을 세우고 있었으나 2021 시즌 개막전 선발로 루친스키가 등판하며 기록이 종료되었다. 다만 루친스키는 NC 소속으로 유일하게 2회 이상 개막전 선발을 해 본 선수가 되었다.[13]
- 개막전 선발을 국내 투수가 한 것은 2014 시즌의 이재학이 유일하다.
- 개막전 선발 라인업에 가장 많이 포함되었던 선수는 박민우[14]의 9회이며, 2등은 나성범[15]과 모창민[16]의 7회다.
- 포지션별 개막전 최다 출전 선수 및 횟수는 투수 루친스키(3회)[17], 포수 김태군(5회)[18], 1루수 모창민[19]과 테임즈(3회)[20], 2루수 박민우(9회)[21], 3루수 박석민(5회)[22], 유격수 손시헌(5회)[23], 좌익수 권희동(5회)[24], 중견수 이종욱(3회)[25], 우익수 나성범(5회)[26], 지명타자 이호준(4회)[27]이다.
2.2. 포스트 시즌 전적
역대 포스트 시즌 상대별 전적 | |||
상대 구단 | 세부 승패 | 시리즈 승패 | 총 전적 |
LG 트윈스 |
2014 준플레이오프 : 1승 3패 2016 플레이오프 : 3승 1패 2019 와일드카드 결정전 : 1패 |
PO 1승 준PO 1패 WC 1패 총 1승 2패 |
4승 5패 |
두산 베어스 |
2015 플레이오프 : 2승 3패 2016 한국시리즈 : 4패 2017 플레이오프 : 1승 3패 2020 한국시리즈 : 4승 2패 2023 와일드카드 결정전 : 1승 |
KS 1승 1패 PO 2패 WC 1승 총 2승 3패 |
8승 12패 |
SSG 랜더스 |
2017 와일드카드 결정전 : 1승 2023 준플레이오프 : 3승 |
준PO 1승 WC 1승 총 2승 |
4승 |
롯데 자이언츠 | 2017 준플레이오프 : 3승 2패 |
준PO 1승 총 1승 |
3승 2패 |
kt wiz | 2023 플레이오프 : 2승 3패 |
PO 1패 총 1패 |
2승 3패 |
통산 포스트 시즌 전적 | 6승 6패 | 21승 22패 |
역대 포스트 시즌 구장별 전적 | ||||
홈 경기 : 7승 - 11패 | ||||
마산 [28] | 5승 - 9패 | 창원 [29] | 2승 - 2패 | |
중립 경기 : 4승 - 2패 | ||||
고척 | 4승 - 2패 | |||
원정 경기 : 10승 - 9패 | ||||
잠실LG | 2승 - 3패 | 잠실두산 | 2승 - 4패 | |
사직 | 2승 - 1패 | 문학 | 2승 - 0패 | |
수원 | 2승 - 1패 |
3. 개인 성적
3.1. 최초 및 최다 기록
자세한 내용은 NC 다이노스/최초 및 최다 기록 문서 참고하십시오.창단 1호 기록 및 최초 수상 기록, 역대 개인 최다 기록 등이 갈무리되어 있다.
3.2. 역대 타이틀 홀더
3.2.1. 투수
NC 다이노스 역대 다승왕 | |||
연도 | 이름 | 기록 | NC 소속 시즌 |
2015 | 에릭 해커 | 19 | 2013~2017 |
2023 | 에릭 페디 | 20 | 2023 |
NC 다이노스 역대 평균자책점왕 | |||
연도 | 이름 | 기록 | NC 소속 시즌 |
2013 | 찰리 쉬렉 | 2.48 | 2013~2015 |
2023 | 에릭 페디 | 2.00 | 2023 |
NC 다이노스 역대 탈삼진왕 | |||
연도 | 이름 | 기록 | NC 소속 시즌 |
2023 | 에릭 페디 | 209 | 2023 |
2024 | 카일 하트 | 182 | 2024~ |
NC 다이노스 역대 승률왕 | |||
연도 | 이름 | 기록 | NC 소속 시즌 |
2015 | 에릭 해커 | 0.792 | 2013~2017 |
- 총 6종류의 타이틀 중 홀드왕, 세이브왕을 제외한 4종류의 타이틀 홀더를 보유하고 있다. 과거 14-17 시즌 동안 4년 연속 포스트 시즌을 진출하며 단디 4로 대표되는 강력한 불펜을 자랑했던 것 치고는 의외로 불펜 타이틀 홀더[30]가 전무한데, 해당 기간에 홀드 2위[31] 1회와 세이브 2위[32] 2회만 기록하며 아깝게 수상에 실패하였다.
- 2023년 에릭 페디가 트리플 크라운[33]을 달성하며 두산 베어스와 KIA 타이거즈, 한화 이글스에 이어 KBO 네 번째로 투수 트리플 크라운 달성자를 보유하게 되었다.[34]
- 타자 타이틀 홀더와 다르게 전원 외국인 선수로만 구성되어 있다.
3.2.2. 타자
NC 다이노스 역대 타율왕 | ||||
연도 | 이름 | 포지션 | 기록 | NC 소속 시즌 |
2015 | 에릭 테임즈 | 1루수 | 0.381 | 2014~2016 |
2019 | 양의지 | 포수 | 0.354 | 2019~2022 |
2023 | 손아섭 | 지명타자 | 0.339 | 2022~현재 |
NC 다이노스 역대 출루율왕 | ||||
연도 | 이름 | 포지션 | 기록 | NC 소속 시즌 |
2015 | 에릭 테임즈 | 1루수 | 0.497 | 2014~2016 |
2019 | 양의지 | 포수 | 0.438 | 2019~2022 |
2020 | 박석민 | 3루수 | 0.436 | 2016~2023 |
NC 다이노스 역대 장타율왕 | ||||
연도 | 이름 | 포지션 | 기록 | NC 소속 시즌 |
2015 | 에릭 테임즈 | 1루수 | 0.790 | 2014~2016 |
2016 | 0.679 | |||
2019 | 양의지 | 포수 | 0.574 | 2019~2022 |
2021 | 지명타자 | 0.581 |
NC 다이노스 역대 최다안타왕 | ||||
연도 | 이름 | 포지션 | 기록 | NC 소속 시즌 |
2023 | 손아섭 | 지명타자 | 187 | 2022~현재 |
NC 다이노스 역대 홈런왕 | ||||
연도 | 이름 | 포지션 | 기록 | NC 소속 시즌 |
2016 | 에릭 테임즈 | 1루수 | 40 | 2014~2016 |
2024 | 맷 데이비슨 | 1루수 | 46 | 2024~ |
NC 다이노스 역대 타점왕 | ||||
연도 | 이름 | 포지션 | 기록 | NC 소속 시즌 |
2021 | 양의지 | 지명타자 | 111 | 2019~2022 |
NC 다이노스 역대 득점왕 | ||||
연도 | 이름 | 포지션 | 기록 | NC 소속 시즌 |
2015 | 에릭 테임즈 | 1루수 | 130 | 2014~2016 |
NC 다이노스 역대 도루왕 | ||||
연도 | 이름 | 포지션 | 기록 | NC 소속 시즌 |
2013 | 김종호 | 외야수[35] | 50 | 2013~2017 |
- 역대 1위는 붉은색 볼드 처리
- 2022년까지 총 8종류의 타이틀 중 최다안타왕을 제외한 모든 타이틀 홀더가 존재했고, 대부분의 타이틀이 테임즈와 양의지에 치중된 탓에 이 둘을 제외한 타이틀 홀더는 2013 시즌 김종호의 도루왕과 2020 시즌 박석민의 출루율왕이 전부였지만 2023년 손아섭이 타율왕과 최다안타왕을 석권하며 모든 타이틀 홀더를 보유하게 되었다.
- 타자 공식 트리플 크라운은 없지만[36] 타-출-장 동시 1위는 총 2회 있었다.[37]
3.2.3. 시즌 MVP / 골든글러브 / 신인상 / 수비상
NC 다이노스 역대 시즌 MVP | ||||
연도 | 이름 | 포지션 | 비고 | NC 소속 시즌 |
2015 | 에릭 테임즈 | 1루수 |
4관왕[38] 40-40 클럽 |
2014~2016 |
2023 | 에릭 페디 | 투수 |
3관왕[39] 20승 투수 |
2023 |
NC 다이노스 역대 골든글러브 | ||||
연도 | 이름 | 포지션 | 비고 | NC 소속 시즌 |
2014 | 나성범 | 외야수[40] | [41] | 2012~2021 |
2015 | 에릭 해커 | 투수 | 2관왕[42] | 2013~2017 |
에릭 테임즈 | 1루수 |
4관왕[43] 40-40 클럽 |
2014~2016 | |
박석민 | 3루수 | [44] | 2016~2023 | |
나성범 | 외야수[45] | 2012~2021 | ||
2016 | 에릭 테임즈 | 1루수 | 2관왕[46] | 2014~2016 |
2019 | 양의지 | 포수 | 3관왕[47] | 2019~2022 |
박민우 | 2루수 | 2012~현재 | ||
2020 | 양의지 | 포수 | [48] | 2019~2022 |
박민우 | 2루수 | 2012~현재 | ||
2021 | 양의지 | 지명타자 | 2관왕[49] | 2019~2022 |
2023 | 에릭 페디 | 투수 |
3관왕[50] 20승 투수 |
2023 |
박건우 | 외야수[51] | [52] | 2022~현재 | |
손아섭 | 지명타자 | 2관왕[53] | 2022~현재 | |
2024 | 카일 하트 | 투수 | 1관왕[54] | 2024~ |
NC 다이노스 역대 신인상 | ||||
연도 | 이름 | 포지션 | 비고 | NC 소속 시즌 |
2013 | 이재학 | 투수 | [55] | 2012~현재 |
2014 | 박민우 | 2루수 | 2012~현재 |
NC 다이노스 역대 수비상 | ||||
연도 | 이름 | 포지션 | 비고 | NC 소속 시즌 |
2023 | 에릭 페디 | 투수 |
3관왕[56][57] 20승 투수 |
2023 |
2024 | 카일 하트 | 투수 | 1관왕[58] | 2024~ |
- 1군 진입 3년 만인 2015 시즌에 에릭 테임즈가 리그를 폭격하며 시즌 MVP 수상에 성공하였고, 그로부터 8년이 지난 2023 시즌에 에릭 페디가 투수로서 리그를 폭격하며 다시 한 번 MVP 수상에 성공하였다. 공교롭게도 두 선수 모두 이름이 에릭이며, 문자 그대로 KBO 역사에 남을만한 대기록을 달성했으나[59] 해당 시즌 우승에는 실패하였다.[60]
- 총 8개의 포지션[61]에서 유격수를 제외한 모든 포지션에서 골든글러브를 배출하였다.[62][63]
- 타 팀에 비해 신인왕을 빨리 배출하였는데 1군 진입 1년차와 2년차에 연속으로 신인왕을 배출하였다. 포지션도 투수-타자로 양측 모두를 충족하였다.
- 2023년에 신설된 수비상 역시 당해년도에 에릭 페디가 수상하며 제정 후 1년차에 바로 수상하는 데 성공했다.
[1]
페넌트레이스를 2위로 끝냈지만 3위 두산이 플레이오프에서 NC를 누르고 한국시리즈에 진출하면서 시즌 최종 순위는 3위로 밀려났다.
[2]
준플레이오프에서 3위
롯데 자이언츠를 꺾고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두산 베어스에게 패배하면서 최종 순위는 그대로 4위.
[3]
준플레이오프에서 3위
SSG 랜더스를 꺾고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kt wiz에게 패배하면서 최종 순위는 그대로 4위.
[4]
이 두 팀은 창단 초기 심히 헤맸던 모습을 보여주었고, 본격적으로 달리기 시작한 것이 창단 몇 년 뒤부터였다. 반면 NC는
에릭 해커,
에릭 테임즈같은 외국인 선수들과
나
테
이
박이 등장하는 등 빠른 속도로 강팀이 되었다.
[5]
이 위의 팀들은
두산, SSG, 삼성이다.
[6]
2022년까지 KBO에서 유일한 기록이었으나 2023년
와일드카드 결정전에서
두산이 패배하며 2호 달성팀이 됨에따라 유일한 기록은 아니게 되었다. 아이러니한 것은 이 때 와일드카드전에서 두산을 패배시킨 팀이 바로 NC라는 점.
[7]
2023년 기준 팀별 포스트 시즌 진출률은 1위 삼성(30/43, 69.8%), 2위 두산(26/43, 60.5%), 3위 NC(7/12, 58.3%), 4위 SSG(14/25, 56.0%), 5위 KIA(23/43, 53.5%), 6위 키움(9/17, 52.9%), 7위 kt(5/10, 50.0%), 8위 LG(18/43, 41.9%), 9위 현대(10/26, 38.5%)[64], 10위 한화(13/39, 33.3%), 11위 롯데(12/43, 27.9%), 12위 쌍방울(2/9, 22.2%) 순서다.
[8]
1등은 삼성(0회), 공동 3등은 LG, KIA(2회)이다.
[9]
2017년 준PO vs 롯데, 2023년 준PO vs SSG
[10]
2014년 준PO vs LG, 2015년 PO vs 두산
[11]
2013~2018
[12]
2019~
[13]
총 3회
[14]
2013~2016, 2018, 2020~2021, 2023~2024
[15]
2014~2018, 2020~2021
[16]
2013~2015, 2017~2020
[17]
2020~2022
[18]
2013~2017
[19]
2013, 2019~2020
[20]
2014~2016
[21]
2013~2016, 2018, 2020~2021, 2023
[22]
2016~2017, 2020~2021, 2023
[23]
2014~2018
[24]
2013, 2017~2019, 2024
[25]
2015~2016, 2018
[26]
2015~2018, 2021
[27]
2013~2016
[28]
2013~2018
[29]
2019~
[30]
홀드왕과 세이브왕
[31]
17 원종현
[32]
15 임창민, 17 임창민
[33]
역대 7호, 외국인 1호
[34]
다만 현행 트리플 크라운으로 계산 시 KIA, 한화에 이은 세 번째다.
[35]
LF
[36]
타율, 홈런, 타점
[37]
15 테임즈, 19 양의지
[38]
타율왕, 출루율왕, 장타율왕, 득점왕
[39]
다승왕, 평균자책점왕, 탈삼진왕
[40]
CF
[41]
창단 후 첫 골든글러브
[42]
다승왕, 승률왕
[43]
타율왕, 출루율왕, 장타율왕, 득점왕
[44]
삼성 시절 달성한 성적이나 NC 이적 후 골든글러브 수상
[45]
RF
[46]
장타율왕, 홈런왕
[47]
타율왕, 출루율왕, 장타율왕
[48]
역대 최다 득표율 99.2% (유효투표수 342표 중 340표 득표)
[49]
장타율왕, 타점왕
[50]
다승왕, 평균자책점왕, 탈삼진왕
[51]
RF
[52]
데뷔 14년만에 커리어 첫 골든글러브
[53]
타율왕, 최다안타왕
[54]
탈삼진왕
[55]
창단 후 첫 신인상
[56]
다승왕, 평균자책점왕, 탈삼진왕
[57]
창단 후 첫 수비상
[58]
탈삼진왕
[59]
테임즈는 아시아 최초이자 유일한
40-40 클럽과 더불어 역대 KBO 최고 장타율, 단일시즌 최다 WAR 2위에 올랐으며 에릭 페디는 37년만의 20승-200탈삼진에 외국인 선수 최초
트리플 크라운 등을 달성하였다.
[60]
2015 시즌 정규리그 2위, 포스트시즌 두산에게 패배하여 최종 3위. 2023 시즌 정규리그 4위, 포스트시즌 KT에게 패배하여 최종 4위.
[61]
투수, 포수, 1루수, 2루수, 3루수, 유격수, 외야수, 지명타자
[62]
외야수를 포지션별로 나눌 경우 14 나성범이 중견수, 15 나성범이 우익수로 수상하였기에 좌익수-유격수를 제외한 전 포지션에서 골든글러브를 수상한 것이 된다.
[63]
다만 이 중
박석민이 수상한 3루수 골든글러브의 경우 삼성 시절 달성한 성적이나 FA 이적으로 인해 NC 소속으로 받은 것이기에 깐깐하게 따지면 3루수 골든글러브도 공석이라고 볼 수 있다. 다만 이렇게 계산하더라도 2022년 양의지가 포수로 골든글러브 수상 후
두산 베어스로 이적했기 때문에 전체 갯수에는 변동이 없다.
[64]
당연히 삼청태 시절 포함한 수치이며,현대시절만 놓고 보면(9/12, 75%)라는 말도 안되는 수치를 기록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