갖은자에 대한 내용은 柒 문서 참고하십시오.
숫자 한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零/ 〇( 영) | 一( 일) | 二( 이) | 三( 삼) | 四( 사) |
零 | 壹 | 貳 | 參 | 肆 | |
五( 오) | 六( 육) | 七( 칠) | 八( 팔) | 九( 구) | |
伍 | 陸 | 柒 | 捌 | 玖 | |
十( 십) | 廿( 이십) | 卅( 삼십) | 卌( 사십) | 百( 백) | |
拾 | 念 | - | - | 佰 | |
皕1( 이백) | 千( 천) | 萬( 만) | 億( 억) | 兆( 조) | |
- | 仟 | - | - | - | |
京( 경) | 垓( 해) | 秭( 자) | 穰( 양) | 溝( 구) | |
- | - | - | - | - | |
澗( 간) | 正( 정) | 載( 재) | 極( 극) | ||
- | - | - | - | ||
※회색 칸 안의 한자는
갖은자이다. 1 다만 이백 벽의 경우 후저우의 건축물인 '비쑹루(皕宋樓, 벽송루)'를 제외하고는 용례가 일절 없다. |
七 일곱 칠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一, 1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2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シチ
|
||||||
일본어 훈독
|
なな, なな-つ, (なの)
|
||||||
-
|
|||||||
표준 중국어
|
qī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七의 획순 |
[clearfix]
1. 개요
七 (일곱 칠)숫자 7과 그 서수를 나타내는 한자이다.
2. 특징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일곱 |
음 | 칠 | |
중국어 | 표준어 | qī |
광동어 | cat1 | |
객가어 | chhit | |
민북어 | chĭ | |
민동어 | chék | |
민남어 | chhit | |
오어 | qiq (T4) | |
일본어 | 음독 | シチ |
훈독 | なな, なな-つ, (なの) | |
베트남어 | thất |
유니코드에는 U+4E03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JU(十山)로, 주음부호로는 ㄑㄧ로 입력한다.
이체자로 [1]와 갖은자인 柒가 있다. 柒는 원래 '옻 칠'자이나 七이 부수요소로 있고 발음이 비슷한 점으로 인해 갖은자로 쓰이게 되었다. 칠곡군처럼 漆자가 柒 대신 쓰이기도 한다.
七이 변의 형태로 사용되는 한자도 소수지만 있다. 대표적으로 끊을 절( 切) 등이 그것이다. 본래 '찌르다, 끊다'는 뜻의 한자는 十이었는데, 세로 획으로 쓰다가 가로 획이 추가된 '열 십'과 혼동되자, 세로 획이 굽어 七로 된 뒤 숫자 7로 가차되었다. 원래 뜻은 칼 도(刀)를 붙여 '끊을 절( 切)'이라는 한자가 나오게 되었다. 그런데 七이라는 글자 자체가 본래 중국에서 할복의 의미로 쓰인 十에서 내장이 흘러나온 모습이 기원이 된 거라는 이야기가 존재하는 걸로 보아, 이쪽에서 따온 걸지도 모른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七은 일본인의 인명에 특히 많이 쓰이는데, 七의 일본어 훈독(나나)이 여성스러운 느낌을 주기 때문에 주로 여성에게 쓰이는 편이다.- 김형칠( 金 亨七)
- 나나세 아오이(七 瀬 葵)
- 나나우미 나나(七 海 なな)
- 나나미 치아키(七 海 千 秋)
- 나오키 시치닌미사키( 直 木 七 人 岬)
- 니시노 나나세( 西 野 七 瀬)
- 니주나나멘 센주무카데( 二 十七 面 千 手 百 足)
- 미즈노 나나미( 水 野 七 海)
- 박칠용( 朴七 用)
- 사에구사 이바라(七 種 茨)
- 사토 나나미( 佐 藤 七 海)
- 시오노 나나미( 塩 野 七 生)
- 안칠현( 安七 炫)
- 야마시타 나나미( 山 下 七 海)
- 야스리 시치카( 鑢 七 花)
- 치치(七七)
- 응칠( 應七): 안중근의 초명
- 순칠( 舜七): 이준 열사의 자
- 홍순칠( 洪 淳七) - 독도의용수비대 대장
3.4. 지명
- 시치노헤(七 戸)
- 시치리가하마(七 里ガ 浜)
- 시치조(七 条)
- 칠곡군(七 谷 郡): 현재는 漆谷郡이라고 쓰나, 본래 七谷郡이라고 썼다. 그래서 대구 칠곡에 있는 쇼핑몰 이름이 '세븐밸리'이다.
- 칠보산(七 寶 山)
- 칠성동(七 星 洞)
- 칠암동(七 巖 洞)
3.5. 창작물
- 칠경질서(七 經 疾 書)
- 칠략(七 略)
- 七転び八起き/臥薪嘗胆/魔法使いサリー
- 靜享七樂
- 淫らに喘ぐ七人の夜這いする孕女( 음란하게 허덕이는 일곱 요바이잉녀)
- 칠엽 적조의 비밀주
3.6. 기타
4. 모양이 비슷한 한자
-
亡 (망할 망)
七은 세로획이 가로획을 관통하지만, 亡은 세로획이 점과 ㄴ자형으로 나뉘어 있다. -
乜 (사팔뜨기 먀)
가로획에 갈고리가 있다. -
匕 (비수 비)
七은 두 획이 서로를 관통하지만, 匕는 관통하지 않고 첫 획이 삐침( 丿)이라서 七보다 더 비스듬하다. -
𠤎 (될 화,
化의 고자.)
七은 첫 획이 약간 비스듬한 가로획( 一)이지만, 𠤎는 첫 획이 삐침( 丿)이라서 많이 비스듬하다.
5. 여담
七을 세 개 합치면 㐂(기쁠 칠)이 된다.
[1]
고자(古字)이다. 유니코드 문자: 𠀁 (U+20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