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1 10:43:08

호시노 겐/타이업 및 악곡 참여





[ 실물 음반 ]
||<-4><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fff><rowbgcolor=#083354> 정규 앨범 / 박스 세트 ||
1집 2집 3집 4집
STRANGER
(2013)
5집 싱글 박스 6집
미정
(202X)
싱글 (EP)
정규 2집 수록 정규 3집 일부 수록
フィルム
2012.02.08
夢の外へ
2012.07.04
知らない
2012.11.28
정규 4집 일부 수록
ギャグ
2013.05.08
SUN
2015.05.27
정규 5집 일부 수록

2016.10.05
Family Song
2017.08.16
[ 디지털 음반 ]
||<-4><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373a3c,#ddd><rowbgcolor=#083354> EP ||
Same Thing
2019.10.14
LIGHTHOUSE
2023.09.08
싱글
アイデア
2018.08.25
折り合い
2020.06.19
創造
2021.02.17
不思議
2021.04.27
CUBE
2021.10.18
喜劇
2022.04.08
生命体
2023.08.14
[ 주요 출연작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4><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373a3c,#ddd><rowbgcolor=#083354> {{{-1 {{{#fff '''冠番組 (이름을 건 방송)'''}}}}}} ||
||<-2><rowbgcolor=#206FAC><rowcolor=#ffffff> {{{#!wiki style="font-size: .85em"
'''라디오'''}}} || {{{#!wiki style="font-size: .85em"
'''예능''' }}} || {{{#!wiki style="font-size: .85em"
'''교양'''}}} ||
||<width=25%> {{{-1 호시노 겐의 레디컬 아워 (2013)}}} ||<width=25%> {{{-1 [[호시노 겐의 올 나이트 닛폰|호시노 겐의 올 나잇 닛폰]] (2016 ~)}}} ||<width=25%> {{{-1 [[오겐상과 함께]] (비정기 / 2024)}}} ||<width=25%> {{{-1 [[호시노 겐의 음악 공론]] (2022)}}} ||
||<-4><bgcolor=#000000> '''[[넷플릭스|{{{#e50914 넷플릭스}}}]] {{{#ffffff 호시노 겐 컬렉션}}}''' ||
||<-2><rowbgcolor=#000000><rowcolor=#e50914> {{{#!wiki style="font-size: .85em"
'''예능'''}}} ||<-2> {{{#!wiki style="font-size: .85em"
'''콘서트''' }}} ||
||<-2><|2> [[라이트하우스(예능)|라이트하우스]][br](2023) ||<-2> {{{-1 [[호시노 겐/콘텐츠#s-2.1|DOME TOUR 'POP VIRUS' in TOKYO DOME]]}}} ||
||<-2> {{{-1 [[호시노 겐/콘텐츠#s-2.2|Gen Hoshino Concert Recollections 2015 - 2023]]}}} ||
||<-4><rowbgcolor=#083354> {{{-1 {{{#fff '''그 외 주요 출연작'''}}}}}} ||
||<width=25%><colbgcolor=#083354> {{{#!wiki style="font-size: .85em"
{{{#fff '''주요 무대'''}}} }}} ||<width=525><-3>{{{-1 大人の新感線 『ラストフラワーズ(라스트 플라워즈)』(2014)}}} ||
||<width=25%> {{{#!wiki style="font-size: .85em"
{{{#fff '''주요 영화 / 애니'''}}} }}} ||<width=525><-3>{{{-1 [[지옥이 뭐가 나빠]](2013) '''·''' [[묻지마 사랑]](2013) '''·''' [[밤은 짧아 걸어 아가씨야(애니메이션)|밤은 짧아 걸어 아가씨야]](2017) '''·''' [[미래의 미라이]](2018) '''·''' [[죄의 목소리|罪の声]] (죄의 목소리, 2020)}}} ||
||<width=25%> {{{#!wiki style="font-size: .85em"
{{{#fff '''주요 드라마'''}}}}}} ||<width=525><-3>{{{-1 [[코우노도리(드라마)|코우노도리]](2015 / 2017) '''·''' [[사나다마루(드라마)|사나다마루]](2016) '''·''' [[도망치는 건 부끄럽지만 도움이 된다(드라마)|도망치는 건 부끄럽지만 도움이 된다]](2016 / 2021) '''·''' [[플라쥬]](2017) '''·''' [[이다텐 ~도쿄 올림픽 이야기~]](2019) '''·''' [[MIU404]](2020)}}} ||
||<width=25%> {{{#!wiki style="font-size: .85em"
{{{#fff '''주요 예능'''}}}}}} ||<width=525><-3>{{{-1 LIFE! 〜인생에 바치는 콩트〜 (2012 ~ 2017)}}} ||
[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4><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373a3c,#ddd><rowbgcolor=#083354> {{{-1 {{{#fff '''관련 문서'''}}}}}} ||
||<width=175><colbgcolor=#083354> {{{#!wiki style="font-size: .85em"
{{{#fff '''활동'''}}} }}} ||<width=525><-3>[[호시노 겐/디스코그래피|솔로 디스코그래피]] ([[호시노 겐/노래방 수록 목록|한국 노래방 수록곡]] / [[호시노 겐/타이업 및 악곡 참여|타이업 및 악곡 참여]])
----
[[호시노 겐/공연 및 행사|공연 및 행사]] '''·''' [[호시노 겐/콘텐츠|콘텐츠]]
----
[[호시노 겐/수상 경력 및 기록|수상 경력 및 음반 주요 기록]] ||
||<width=25%> {{{#!wiki style="font-size: .85em"
{{{#fff '''팬클럽 관련'''}}}}}} ||<width=525><-3>[[YELLOW MAGAZINE+]] ||
||<width=25%> {{{#!wiki style="font-size: .85em"
{{{#fff '''부캐'''}}}}}} ||<width=525><-3>[[니세 아키라]], [[오겐상]] ||
||<width=25%> {{{#!wiki style="font-size: .85em"
{{{#fff '''이전 소속 그룹'''}}}}}} ||<width=525><-3>[[SAKEROCK]], [[야마다 이치로(그룹)|야마다 이치로]] ||
||<width=25%> {{{#!wiki style="font-size: .85em"
{{{#fff '''그 외'''}}}}}} ||<width=525><-3>[[호시노 겐/음악적 특징 및 가치관|음악적 특징 및 가치관]] '''·''' [[호시노 겐/창작 활동의 세계관|세계관 및 사상]] '''·''' [[호시노 겐/음악 변천사|음악 변천 과정]] '''·''' [[호시노 겐/사건 사고|사건사고]] '''·''' [[호시노 겐/여담|여담]] ||


1. 개요2. 타이업 목록
2.1. 드라마2.2. 영화2.3. 애니메이션2.4. 방송 프로그램2.5. CM
3. 악곡 제공4. 타아티스트 악곡 참여

[clearfix]

1. 개요

음악의 역할이랄까, 예를 들면, ' 주제가가 뭘까?'라고 묻는다면 프로모션을 위해서는 사실은 아니고. 그때까지 있었던 모든 것을 그 악곡을 들으면 생각이 나서, 자기 안에서 정착시키고, 그 작품을 자기 안에 도입하는 작용이 분명히 있거든요.

그래서 영화의 엔딩 크레딧이 무엇인가? 라고 하면 물론 스태프분들을 보여주는 것도 있지만, 엔딩 크레딧에 왜 주제가가 있을까?라고 묻는다면 그 악곡만 들어도 그 영화나 작품의 여러 장면을 떠올릴 수 있다고... 그러니까 악곡이 있기 때문에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그 작품이) 이전보다 더 자리 잡겠죠. 그래서 그게 전체적으로 작품이 되겠구나라는 생각이 들고, 그건 넷플릭스가 가진 미디어 특성에 매우 맞을 거라는 생각이 들어서요.
넷플릭스 프로그램 라이트하우스에서 음악 제작 결정을 직접 한 이유에 대한 호시노 겐의 대답
호시노 겐 타이업 목록 및 미디어 작품들에 제공한 악곡들, 그리고 다른 아티스트의 악곡 참여 목록을 서술한 문서.

솔로 명의만 포함했으며, 그 작품에 배우 또는 출연진으로도 출연한 경우는 연도 옆에 ★ 표시를 했다.

2. 타이업 목록

2.1. 드라마

2.2. 영화

(애니메이션 영화일 경우에는 애니메이션 문단에 서술.)

2.3. 애니메이션

  • 도라에몽 (2019.10.05 ~ ) - 오프닝 곡
    ドラえもん(도라에몽)

    한국판 도라에몽의 오프닝은 아직 바뀌지 않았고 여전히 '꿈을 이루어줘 도라에몽' 이다. 그렇다보니 일본에서는 도라에몽을 보는 세대를 나누는 곡 중 하나가 되었으나 한국에서 이 곡의 인지도는 꽤나 적다.

2.4. 방송 프로그램

  • おじゃる丸 スペシャル 銀河がマロを呼んでいる 〜ふたりのねがい星〜 (2012, NHK) 엔딩
    ある車掌(어느 차장)」

2.5. CM

3. 악곡 제공

{{{#!wiki style="margin-bottom: -1.5%"
  • WATER BOYS( 후지 테레비, 2003)★
    「夏を休んでる場合じゃねぇ(여름을 쉬는 경우도 아닌데)」
    「記号の世界(기호의 세계)」
    「モテたくてシンクロナイズド(인기 끌고 싶어서 싱크로나이즈드)」 작사ㆍ작곡
  • 未来講師めぐる(미래강사 메구루) ( 테레비 아사히, 2008)
    「ぉ前達ァヵデミナール(너희들의 아카데미날)」 작곡
  • 11人もいる!(11명이나 있어!) ( 테레비 아사히, 2011)★
    「家族なんです(가족이에요)」 작곡

{{{#!wiki style="margin-bottom: -1.5%"
  • みいつけた!(NHK E)
    「なんかいっすー」
    「すわるぞう」
    「おっす!イスのおうえんだん」
    「グローイング アップップ」작곡[3]
  • ニャンちゅうワールド放送局(NHK E) - 프로그램 오리지널 송「めがねのうた」 작곡
  • 피에트로 「피에트로 드레싱」 CM송

4. 타아티스트 악곡 참여

(기존 악곡을 리믹스 또는 커버하여 나온 악곡의 경우는 제외)


[1] 원래는 바나나맨 히무라 유우키에게 선물한 생일축하곡이었고, 이후 시타라 오사무가 진행하는 생활 정보 프로그램 논스톱!의 테마송이 되었다. [2] 여담이지만 오프닝 곡은 SAKEROCK MUDA이다. [3] 작사는 쿠도 칸쿠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61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614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