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08 22:25:58

헨리 A. 월리스

헨리 월리스에서 넘어옴

<colcolor=#0d163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ececec, #fff 20%, #fff 80%, #ececec)"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존 애덤스 토머스 제퍼슨 에런 버 조지 클린턴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엘브리지 게리 대니얼 D. 톰킨스 존 C. 칼훈 마틴 밴 뷰런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리처드 멘터 존슨 존 타일러 조지 M. 댈러스 밀러드 필모어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윌리엄 R. 킹 존 C. 브레킨리지 해니벌 햄린 앤드루 존슨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스카일러 콜팩스 헨리 윌슨 윌리엄 A. 휠러 체스터 A. 아서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토머스 A. 헨드릭스 리바이 P. 모턴 애들레이 E. 스티븐슨 개릿 A. 호바트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시어도어 루스벨트 찰스 W. 페어뱅크스 제임스 S. 셔먼 토머스 R. 마셜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캘빈 쿨리지 찰스 G. 도스 찰스 커티스 존 낸스 가너
제33대 제34대 제35대 제36대
헨리 A. 월리스 해리 S. 트루먼 앨번 W. 바클리 리처드 닉슨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린든 B. 존슨 휴버트 험프리 스피로 애그뉴 제럴드 포드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넬슨 록펠러 월터 먼데일 조지 H. W. 부시 댄 퀘일
제45대 제46대 제47대 제48대
앨 고어 딕 체니 조 바이든 마이크 펜스
제49대 제50대
카멀라 해리스 J. D. 밴스
}}}}}}}}}}}}

헨리 A. 월리스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rowcolor=#EFEFEF,#EEEEEE>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윌리엄 C. 레드필드 조슈아 W. 알렉산더 허버트 후버 윌리엄 F. 휘트닝
<rowcolor=#EFEFEF,#EEEEEE>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로버트 P. 레몬트 로이 D. 채플린 대니얼 C. 로퍼 해리 홉킨스
<rowcolor=#EFEFEF,#EEEEEE>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제시 H. 존스 헨리 A. 월리스 윌리엄 에버럴 해리먼 찰스 W. 소여
<rowcolor=#EFEFEF,#EEEEEE>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싱클레어 위크스 프레드릭 H. 소여 루터 H. 호저스 존 T. 코너
<rowcolor=#EFEFEF,#EEEEEE>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알렉산더 스로우브릿지 C. R. 스미스 모리스 스탠스 피터 조지 피터슨
<rowcolor=#EFEFEF,#EEEEEE>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프레드릭 B. 덴트 로저스 모턴 엘리엇 리처드슨 주아니타 M. 크렙스
<rowcolor=#EFEFEF,#EEEEEE>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필립 클루츠닉 말콤 볼드리지 주니어 윌리엄 베리티 주니어 로버트 모스배커
<rowcolor=#EFEFEF,#EEEEEE>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바바라 프랭클린 론 브라운 미키 캔터 윌리엄 M. 데일리
<rowcolor=#EFEFEF,#EEEEEE> 제33대 제34대 제35대 36대(직무대행)
노먼 미네타 도널드 에반스 카를로스 구티에레스 오토 J. 울프
<rowcolor=#EFEFEF,#EEEEEE> 제37대 제38대(직무대행) 제39대 제40대(직무대행)
게리 로크 레베카 블랭크 존 브라이슨 레베카 블랭크
<rowcolor=#EFEFEF,#EEEEEE> 제41대(직무대행) 제42대 제43대 제44대
캐머런 켈리 페니 프리츠커 윌버 로스 지나 레이먼도
}}} }}}}}}}}} ||


<colbgcolor=#ececec,#fff><colcolor=#0d1635>
미합중국 제33대 부통령
헨리 아거드 월리스
Henry Agard Wallace
파일:Henry_A._Wallace.jpg
출생 1888년 10월 7일
미국 아이오와주 오리엔트
사망 1965년 11월 18일 (향년 77세)
미국 코네티컷주 댄버리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정당

(1909-1924)

(1912)

(1924-1932)


(1936-1947,1964-1965)
(1947-1950)
서명 파일:헨리 A. 월리스 서명.svg
재임기간 제11대 농무장관
1933년 3월 4일 ~ 1940년 9월 4일
제33대 부통령
1941년 1월 20일 ~ 1945년 1월 20일
제10대 상무장관
1945년 3월 2일 ~ 1946년 9월 20일
학력 아이오와 주립대학교
종교 성공회
부모 아버지 헨리 C. 월리스
배우자 일로 브라운 월리스

1. 개요2. 정치 활동3. 평가4. 소속 정당5. 선거 이력6. 대중매체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미국의 정치인으로 제33대 부통령이다.

2. 정치 활동

당대 미국에서 진보주의 정치인으로 유명했지만 정치활동은 공화당에서 시작했다. 그러나 공화당원이라고 해도 진보적인 스탠스에 있었고 특히 농업 관련 입법에서 맥너리-호겐 농장구호법(McNary–Haugen Farm Relief Bill)에 거부권을 행사한 캘빈 쿨리지 대통령을 비판했다. 이미 1924년 대선에서 로버트 M. 라폴레트를 따라 진보당에 입당한 상황이었고, 1928년 대선에서 이 이유 때문에 앨 스미스를 지지했으며, 1932년 대선에서도 마찬가지로 프랭클린 D. 루스벨트를 지지하고, 여러 진보적인 정책 입안에 참여했다.

프랭클린 D. 루스벨트가 대통령일 때, 농무장관, 부통령, 상무장관 등을 지냈다. 부통령으로서 갖은 논란에 시달리는 것과 달리 농무장관 시절에는 미국 농업을 그야말로 되살려내는 업적을 세운다. 1940년 루즈벨트의 부통령 존 가너가 은퇴하자 후임자로서 부통령에 당선된 그는 맨하탄 계획에 깊게 관여했고, 또 민주당 내에서 대단히 진보적이었으며 소련에도 가장 우호적인 정치인이었다. 당시 민주당의 텃밭인 남부의 흑인 민권 문제에도 관심이 많아 보수파의 반발을 샀다.

그러나 점차 루스벨트와 불화를 보였고 무엇보다 민주당 지도부 인사들로부터 "나이가 지긋해진 루스벨트가 계속 당선된다 해도 임기 중 건강에 문제가 생기거나 세상을 뜬다면 대통령직을 승계하게 될 텐데, 그러면 너무 급진적이고 친소련적인 진보 성향으로 선회하지 않겠느냐"는 우려와 비판을 받은 끝에 1944년 대통령 선거에서 부통령 후보로 재지명되지 못했다. 대신 해리 S. 트루먼이 부통령 후보로 지명되어 루스벨트의 네 번째 당선을 함께하게 되었는데, 유일무이한 4선 대기록을 세운 루스벨트가 네 번째 임기 시작 3개월여 만에 세상을 뜨면서 "부통령 후보로 재지명되어 다시 당선됐다면 정말 대통령이 되었겠구나" 하는 안팎의 반응이 나오기도 했다. 이후 직을 승계받아 대통령이 된 해리 트루먼을 상대하여 1948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고 트루먼 독트린을 비판하는 등, 해리 S. 트루먼과도 대립하였다.

주위에서 위험하다고 우려하고 경고할 정도로 소련에 친화적인 인물이었고 그 때문에 결과적으로 부통령 재선에 실패해 코 앞에서 대통령직 승계를 놓쳤고 이때문에 민주당을 떠나게 된다. 하지만 한국전쟁이 터지자 당시 파병 결사 반대를 외치던 진보당의 당론을 거스르고 미군 파병을 적극 지지하면서, 결국 당에서 제명된다. 정계에서 은퇴한 뒤 민간인으로 돌아가 사업을 벌였는데, 그게 또 성공해서 떼돈을 벌어 말년에 큰 행운을 맞기도 했다. 1965년 사망했다.

3. 평가

내치에 관해서는 예외 없이 호평이 자자하나 외교와 관련해 평가가 많이 깎인다. 하지만 미국에서는 월리스가 대통령이 되었다면 냉전 없이 평화로운 소련과 미국의 관계가 펼쳐졌을 것이라는 평가도 있다.[1]

4. 소속 정당

소속 기간 비고


1909 - 1912 입당
정계 입문

1912 입당[2]


1912 - 1924 복당

1924 - 1936 입당


1936 - 1947 입당
1947 - 1950 창당
정계 은퇴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50 - 1964 탈당


1964 - 1965 복당
사망

소속 정당은 많았지만 일관된 진보주의 정책을 지지했다.

5. 선거 이력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필요시 선거인단) 당선 여부 비고
1940 미국 부통령 선거[3] 미합중국

27,313,945 (54.74%, 449명) 당선 (1위) 초선
1948 미국 대통령 선거 1,157,328 (2.37%, 0명) 낙선 (4위)

6. 대중매체

임기 중 병사한 FDR의 이전 부통령이었다는 점 때문에 2차 대전기를 다루는 대체역사물에서 트루먼을 대신해 미국 대통령이 되는 것으로 자주 등장한다. 대체로 소련에 우호적이며, 이 때문에 미국 내에서는 빨갱이라는 욕을 얻어먹는 포지션. 어느 진영이 주인공이냐에 따라서 사람 좋고 개념있는 지도자로 나오기도 하고 정치 감각이라고는 없는 답답한 인간으로도 나온다.

한국 대체역사 웹소설 검은머리 미군 대원수에서 등장, 원 역사에서의 4선과 달리 3선 대통령 임기 중 사망한 프랭클린 D. 루스벨트의 지위를 승계하여 미국 대통령이 되었다. 처참한 정치적 감각, 화려했던 전임자와 자신을 비교하며 느끼는 자괴감 등으로 똥볼을 차며 독자들의 혈압을 올렸지만, 유진 킴과 장성들의 반발로 자신감을 잃고 재선에도 실패하자 오히려 마음의 짐을 내려놓고 고향으로 떠난다.

나, 스탈린이 되었다?!에서도 루즈벨트 사후 대통령직을 승계하는데 여기서는 소련과 스탈린이 선역인 관계로 말이 잘 통하는 양심적인 대통령으로 등장한다. 주인공과 죽이 잘 맞아서 소아마비 백신 개발에 협력하고, 인도네시아 독립전쟁에서 독립군 진영을 지지하는가 하면 공작정치에 반대하는 모습도 보인다. 맥아더와 매카시에게 패배해 재선은 실패하나 퇴임 후 개도국 집짓기 봉사활동에 참여한다.

내 독일에 나치는 필요없다에서는 다른 작품들처럼 FDR의 사망으로 승계하지 않고 선거로 대통령이 되었다. 삼선에 실패한 FDR 이후 공화당의 웬델 윌키, 샤를 맥너리의 뒤를 이어 민주당 대선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된다. 독일, 소련 등과 함께 국제연합(UN)을 창설했고 전후 수습을 잘 마쳤다고 언급된다.

히틀러가 되었다에서는 FDR의 사망으로 대통령직을 승계받아 내부의 혼란을 수습하면서도 독일과의 전쟁을 멈추려고 하지 않다가 결국 영국이 패전하고 나서야 독일과 평화협정을 맺는다. 이후 2차 독소전쟁이 터지자 소련을 지원할 생각을 하지만 모든 측근들이 결사반대하여 시도도 하지 못하고 소련이 망하는 꼴을 지켜봐야 했다. 그 뒤 다가올 냉전에 대비해 독일처럼 핵무기 개발을 밀어붙이는 한편, 일본을 무너트리기 위해 고민하다 결국 그렇게 싫어하던 독일에 도움을 요청한다. 전쟁이 끝나고 1944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지만 낙선하여 백악관을 떠난다.

The New Order: Last Days of Europe에서는 루즈벨트 재선 실패후 보수화 되어가는 민주당에 실망하여 1940년대선에 진보당을 이끌고 대선에 나가지만 오히려 민주당의 분열을 불러와 토마스 듀이의 재선에 한몫한다. 전쟁 후 연합국의 패배로 혼란스러운 미국 정치판에서 전쟁 영웅이라는 명성을 이용하여 딕시크랫을 이끌고 우익 정당인 국민당을 창당한 조지 S 패튼과 자신의 정당을 통합하여 국민진보동맹이라는 정당을 만든다.

카이저라이히: 대전의 유산에서 미국의 사회 민주주의 대통령 중 하나로 등장한다.

7. 둘러보기

미국 사회주의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연관 개념 노동절 · 매카시즘 · 민권 운동 · 반제국주의 · 블랙 파워 · 신좌파( 블랙 파워 · 히피) · 좌익대중주의 · 진보주의 · 헤이마켓 사건
분파 공상적 사회주의( 오언주의 · 푸리에주의) · 마르크스주의( 권리장전 사회주의 · 드레온주의 · 트로츠키주의) · 미국 좌파 · 민주사회주의 · 밀레니얼 사회주의 · 사회민주주의 · 생태사회주의 · 아나키즘( 개인주의적 아나키즘 · 녹색 아나키즘 · 아나코 생디칼리슴 · 아나코 코뮤니즘 · 포스트 레프트 아나키) · 좌파 자유지상주의( 자유지상주의적 사회주의)
정당 미국 공산당 · 미국 녹색당 · 미국 민주사회주의자들 · 미국 사회당 · 미국 사회주의노동당 · 버몬트 진보당 · 미합중국 사회당 · 사회민주주의자, 미국 · 그린 마운틴 평화정의당 · 청년국제당 · 미국 혁명공산당 흑표당
인물 A. 필립 랜돌프 · W. E. B. 듀보이스 · 노먼 토머스 · 놈 촘스키 · 다니엘 드 레온 · 일한 오마르 · 라시다 탈리브 · 로버트 오언 · 마틴 루터 킹 · 말콤 엑스 · 베이어드 러스틴 · 버니 샌더스 · 알렉산드리아 오카시오코르테스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 빌 헤이우드 · 윌리엄 Z. 포스터 · 유진 V. 데브스 · 조사이아 워런 · 하워드 진 · 헬렌 켈러· 해리 헤이우드
미국 정치 관련 문서 ( 사회주의 · 현대자유주의( ←1934년 이전) · 자유지상주의 · 보수주의( 대안 우파))
파일:빨간색 깃발.svg 사회주의/분파
}}}}}}}}}

미국 현대자유주의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1934년 이전 미국의 자유주의
주요 이념 사회자유주의 · 진보주의
연관 이념 기독교 민주주의* · 미국 좌파( 민주사회주의) · 사회민주주의 · 온건주의( 제3의 길) · 좌익대중주의 · 좌파 자유지상주의
연관 개념 경제적 진보주의 · 국제주의 · 뉴 내셔널리즘 · 뉴딜 정책( 뉴딜 자유주의) · 뉴 프리덤 · 리무진 자유주의자 · 문화적 자유주의 · 민권 운동( 미국 흑인 민권 운동) · 복지국가 · 사회 정의( 표현의 자유 · 총기규제 · 의료 권리 확대) · 소수자 권리( 성소수자 권리 · 여성 인권 · 장애인 권리) · 스퀘어 딜 · 신민주당 · 성해방 · 자유주의적 매파 · 정의민주당 · 중앙 집권 · 페어딜 정책 · 평등주의
정당 미국 민주사회주의자들** · 미국연대당* · 민주당 · 진보당( 1912년 · 1924년 · 1948년)
인물 정치인 낸시 펠로시 · 린든 B. 존슨 · 마틴 루터 킹 · 버니 샌더스 · 버락 오바마 · 빌 클린턴 · 시어도어 루스벨트 · 엘리자베스 워런 · 에디스 에보트 · 우드로 윌슨 · 웬델 윌키 · 윌리엄 J. 브라이언 · 제시 잭슨 · 조 바이든 · 조지 맥거번 · 존 F. 케네디 · 척 슈머 · 카멀라 해리스 · 테드 케네디 · 피트 부티지지 · 피오렐로 라과디아 · 프랭클린 D. 루스벨트 · 하워드 딘 · 해리 S. 트루먼 · 헨리 A. 월리스 · 휴버트 험프리 · 힐러리 클린턴
학자 · 법조인 로버트 라이시 · 루스 베이더 긴즈버그 · 마사 누스바움 · 소니아 소토마요르 · 얼 워런 · 존 롤스 · 폴 크루그먼
활동가 W. E. B. 듀보이스 · 마이클 무어 · 마틴 루터 킹 · 배티 프리댄
언론 CNN · 뉴욕 타임스 · 더 뉴요커 · 워싱턴 포스트 ·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 MSNBC · 뉴 리퍼블릭 · 더 내이션 · 롤링 스톤 · 허프포스트
미국 정치 관련 문서 ( 사회주의 · 현대자유주의( ←1934년 이전) · 자유지상주의 · 보수주의( 대안 우파))
* 중도좌파적 경제관(경제적 진보주의) 한정. 중도우파인 사회적 의제(온건 사회보수주의)는 현대자유주의에 포함되지 않지만 고전적 자유주의에 기반한 미국의 보수주의와도 구별된다.
파일:노란색 깃발.svg 자유주의/분파
}}}}}}}}}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0044C9; border-right: 10px solid #0044C9; text-align: center; margin: -6px -11px; padding: 7px; min-height: 34px"
{{{#!wiki style="margin: 0 -16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직위 명단
부통령 <colbgcolor=#fff,#1f2024> 존 낸스 가너 헨리 A. 월리스 해리 S. 트루먼
국무장관 코델 헐 에드워드 스테티니우스 주니어
재무장관 윌리엄 H. 우딘 헨리 모겐소 주니어
전쟁장관 조지 던 해리 하인스 우드링 헨리 L. 스팀슨
법무장관 호머 스틸 커밍스 프랭크 머피 로버트 H. 잭슨 프랜시스 비들
체신장관 제임스 팔리 프랭크 C. 워커
해군장관 클로드 A. 스완슨 찰스 에디슨 프랭크 녹스 제임스 포레스탈
내무장관 해럴드 L. 이커스
농무장관 헨리 A. 월리스 클로드 R. 위커드
상무장관 다니엘 C. 로퍼 해리 홉킨스 제시 H. 존스 헨리 A. 월리스
노동장관 프랜시스 퍼킨스 }}}
}}}}}}}}}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0044C9; border-right: 10px solid #0044C9; text-align: center; margin: -6px -11px; padding: 7px; min-height: 34px"
{{{#!wiki style="margin: 0 -16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직위 명단
부통령 <colbgcolor=#fff,#1f2024> 앨번 W. 바클리
국무장관 에드워드 스테티니우스 주니어 제임스 F. 번스 조지 C. 마셜 딘 애치슨
재무장관 헨리 모겐소 주니어 프레드 M. 빈슨 존 웨슬리 스나이더
국방장관 제임스 포레스탈 루이스 A. 존슨 조지 C. 마셜 로버트 A. 로벳
법무장관 프랜시스 비들 톰 C. 클라크 J. 하워드 맥그래스 제임스 P. 맥그레너리
체신장관 프랭크 C. 워커 로버트 E. 해네건 제시 M. 도널드슨
내무장관 해럴드 L. 아이크스 줄리어스 알버트 크루그 오스카 L. 채프먼
농무장관 클로드 R. 위커드 클린턴 앤더슨 찰스 F. 브래넌
상무장관 헨리 A. 월리스 W. 에이버럴 해리먼 찰스 W. 소여
노동장관 프랜시스 퍼킨스 루이스 B. 슈웰렌바흐 모리스 J. 토빈 }}}
}}}}}}}}}

[1] 월리스가 소련과의 관계개선을 희망했어도 반공주의 열풍이 분 1946년 중간선거의 결과 때문에 마음대로 됐을 가능성은 적다. [2] 1912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시어도어 루스벨트 지지 [3] 대통령 후보는 프랭클린 D. 루스벨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