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3 19:54:45

향문천 - 글을 울리는 샘/영상 목록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향문천 - 글을 울리는 샘
1. 개요2. 목록3. 영상 내용
3.1. 격변하는 근대3.2. 한반도와 고대 언어3.3. 조우와 언어 접촉3.4. 시청자 통신3.5. 쇼츠3.6. 붕붕누에3.7. 시리즈3.8. 서양 나들이3.9. 천언만어3.10. 시사언어3.11. 낭독3.12. 팩트체크3.13. 음악3.14. 문자와 문명

1. 개요

향문천 - 글을 울리는 샘의 영상 목록이다.

2. 목록

제목 바로가기 링크 업로드 날짜
풍작을 기원하는 노래 - 붕붕 누에 테마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19년 5월 19일
붕붕누에 채널에 어서오십시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19년 6월 29일
제주어 배우기】문자 - 자음과 모음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19년 7월 6일
【국가】한국 국가의 역사[1][2]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19년 7월 29일
제주어 배우기】수사와 수관형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19년 8월 8일
겨울왕국 「Let It Go」 25개 언어 자막 & 발음 [번역 있음]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19년 12월 30일
한반도인의 옛 이름은 어땠을까? - 인명의 역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0년 1월 1일
겨울왕국2 「Into the Unknown」 29개 언어 자막 & 발음 [번역 있음]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0년 1월 3일
중세국어 중앙 악센트로 「처용가」 낭독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0년 1월 6일
육진방언으로 말해보았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0년 1월 12일
진라이부시 - 협화어 음악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0년 1월 13일
중세국어 중앙 악센트로 「정읍사」 낭독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0년 1월 24일
닭도리탕 명칭 논란 - 통시언어학적 해석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0년 1월 25일
과거로 가도 말이 통할까? - 한국어의 변화[3]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0년 2월 7일
언어 별 발음의 난이도를 통계적으로 알아내는 법 @ 2020년 2월 25일
조선족은 한국어를 어떻게 말할까? - 중국 조선어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0년 3월 2일
만주어에서 유래한 지명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0년 3월 11일
【남도민요】(짧은) 물레타령 @ 2020년 3월 20일
중고음에서 현대음으로「通攝・江攝」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0년 3월 26일
【신찬사뇌집】「해달」「이슬」「그믐」【1 - 3수】 @ 2020년 4월 4일
3만 구독자 기념 Q&A @ 2020년 4월 21일
음운변화로 보는 한국어 어원 10개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0년 4월 27일
「おばぁ」(할머니) - 미야코어 음악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0년 5월 12일
아무도 이 문장을 해석할 수 없습니다 @ 2020년 5월 24일
This is a [pʰɛn].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0년 5월 31일
중세국어 낭독 - 『 훈민정음언해』『 석보상절』『 번역노걸대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0년 6월 7일
사투리에 관한 모든것, 방언학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0년 6월 14일
인도 드라비다인이 우리말을 쓴다고? - 한국어와 타밀어[4] @ 2020년 6월 28일
조금 사악해진 누에. @ 2020년 7월 4일
과거로 가도 말이 통할까? - 한중일 언어의 변화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0년 7월 12일
20세기 초 조선의 모습 (인공지능 채색)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0년 7월 19일
1890년대 프랑스 파리의 모습 (인공지능 채색)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0년 7월 20일
일본의 가타카나는 한국의 구결에서 왔다 @ 2020년 7월 26일
Ar Soudarded (병사들) - 브르타뉴어 민요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0년 8월 2일
몰라도 되는 역사언어학 TMI - 1편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0년 8월 9일
사흘은 왜 3일일까?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0년 8월 16일
이 세상 모든 발음을 정복하자! - IPA(국제음성기호) @ 2020년 8월 23일
켄툼 vs 사템 - 인도유럽어의 출생의 비밀 @ 2020년 8월 30일
한글이 소중한 진짜 이유는?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0년 9월 6일
도기 보나 - 단어 123개의 미니멀리즘 언어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0년 9월 13일
극도의 순혈 컨셉충 언어 - 앙글리시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0년 9월 27일
[한글날 기념] 한글과 훈민정음에 관한 7가지 오해!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0년 10월 9일
언어학 올림피아드 - 세계관 최강자들의 게임【※참가신청 접수중!】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0년 11월 1일
가장 오래된 기록을 가진 언어는? - 언어별 최초문증 시기 비교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0년 11월 8일
고구려어는 한국계 언어? - 만주어와 일본어 속의 옛 한국어 차용어 @ 2020년 11월 22일
중국어가 만주어를 어떻게 바꾸었는가 - 현대 만주어의 음운 @ 2020년 12월 6일
향문천은 누구인가? - 10만 구독자 기념 Q&A 1부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0년 12월 20일
크리스마스, 2020년을 마치며 - 10만 구독자 기념 Q&A 2부 @ 2020년 12월 25일
중세국어에서 찾은 잊힌 순우리말? - 고유어란 무엇인가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0년 12월 27일
사라져 버린 순우리말 지명의 비밀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1년 1월 3일
과거로 가도 말이 통할까? - 영어의 변화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1년 1월 24일
한자 같지만 한자가 아니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1년 2월 7일
나는 왜 52.2%만 한국 인종인가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1년 2월 21일
한반도에서 일본계 언어가 쓰였다 「 반도일본어 가설 @ 2021년 2월 28일
근본 중의 근본! – 라틴어 고전 그리스어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1년 3월 14일
중세국어 낭독 – 『 월인천강지곡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1년 3월 28일
요오드는 왜 아이오딘이 되었는가? – 한국어 화학 원소명의 유래와 변화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1년 4월 25일
중국과 일본은 왜 아직도 한자를 사용할까? 「한자폐지론」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1년 5월 16일
창씨개명이 바꾼 것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1년 6월 20일
향문천 중세국어 낭독의 해결할 수 없는 오류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1년 8월 8일
1945년 8월 15일 정오, 당시 조선인은 무엇을 들었는가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1년 8월 15일
터키어 순화와 「 태양어 이론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1년 9월 12일
일본 궁중 음악 속에 숨겨진 고대 한국어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1년 10월 3일
향문천 3.0[회원]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3년 5월 4일
가장 쓰기 어려운 한글 조합은?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3년 5월 15일
원격수업을 뜻하는 한자 [시청자 통신 001]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3년 5월 28일
한국과 일본, 북한 발사체 관련 보도 비교[회원]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2023년 6월 1일
창작한자 대회 #1 - 킥보드 킥?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3년 6월 12일
신라는 왜 무슬림들의 이상향이 되었는가?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3년 6월 27일
국립중앙박물관의 거란어 거울을 해독했습니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3년 7월 12일
한국 군가에 숨겨진 일본의 문학전통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3년 8월 11일
한국이 시도한 한자 간체화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3년 9월 23일
지명 붕괴――전래지명 소멸의 길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3년 11월 9일
장안을 비춘 십자가: 대진경교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3년 12월 24일
2024년 1월 1일 NHK 긴급지진속보 번역 (지진 발생부터 대해일경보 발령까지) @ 2024년 1월 2일
거란족을 구해주세요… (슬픈 사연 있음…)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4년 2월 2일
한국어의 기원이 밝혀졌나? – 트랜스유라시아어족 가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4년 3월 3일
바다포도 섬의 언어로 노래하는 남자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4년 3월 14일
영어 철자를 정상화하려 한 사람들: 철자 개혁론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4년 3월 29일
이제 ‘맞는다’ 문법 지적하면 맞는 수가 있다? [시청자 통신 002][회원]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4년 4월 24일
고려말, 카자흐어, 러시아어를 구사하는 고려인 청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4년 9월 22일
스마트폰 세대일수록 한국어에 주목해야 한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4년 11월 22일

영상의 업로드 날짜를 보면 실질적으로 영상을 주기적으로 올리게 된 것은 2020년 6월 즈음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4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3. 영상 내용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 유튜버 향문천 - 글을 울리는 샘의 영상에 대한 설명 혹은 부가적인 점.
  • 유튜브 댓글 등을 옮겨 적을 때에는 문법이 틀린 것이 있더라도 그대로 기재한다.
  • 영상의 분류는 임의로 만든 것이 아니며 유튜버 스스로가 만든 재생목록에 기반하여 작성하였다.

3.1. 격변하는 근대

2023년 8월 9일에 추가한 재생목록이다.

한국 군가에 숨겨진 일본의 문학전통

3.2. 한반도와 고대 언어

2023년 7월 12일에 추가한 재생목록이다.

국립중앙박물관의 거란어 거울을 해독했습니다

3.3. 조우와 언어 접촉

2023. 6. 24.

신라는 왜 무슬림들의 이상향이 되었는가?

3.4. 시청자 통신

2023년 5월에 추가한 재생목록이다.

원격수업을 뜻하는 한자 [시청자 통신 001]
2023년 1월~5월 언어학 관련 소식, 일본제신한자 소개

한국과 일본, 북한 발사체 관련 보도 비교

향문천 최초공개 트레일러 (테스트 카드형) – 개정
회원전용영상

3.5. 쇼츠

Youtube Shorts

가장 쓰기 어려운 한글 조합은?

창작한자 대회 #1 - 킥보드 킥?

3.6. 붕붕누에

아이러니하게도 언어의 장벽이 없는 음악을 담은 비디오가 이 채널의 정체성을 말하는 첫 영상이다
영상에 달린 댓글
향문천의 첫 게시물이다. 음악에 대한 평가는 기괴스럽고 음산하다는 평이 절반, 신비해서 좋다는 평이 절반이다.[8]

위의 첫 동영상의 음악이 깔린 채로 누에의 모습이 나오다가 갑자기 노을이 나오고 (...) 마지막으로는 가문 문장까지 나오는 끔찍한 혼종이다. 특히 마지막에 빨간 어색한 글씨의 자막으로 '붕붕누에' 글자가 나오면서 혼란을 일으키는 건 덤.

참고로 영상 후반에 나오는 가문 문장은 일본 아사노 가문의 문장인 '매의 날개 문장'이다. 출처

오너캐인 누에의 사악함과 그 이면의 불쌍함을 알리는 영상. (...)
영상 뒤의 내용을 확인하면 마이크를 새로 구입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끝날 때는 또다시 첫 동영상의 노래가 배경으로 깔렸다.

3.7. 시리즈

과거로 가도 말이 통할까? – 한국어의 변화

언어 별 발음의 난이도를 통계적으로 알아내는 법

만주어에서 유래한 지명
시각자료

중고음에서 현대음으로「
중고한어]( 추정음)에서 현대한어(중국어) 한자음으로 중국한자음이 변하는 과정, 시각자료

【신찬사뇌집】「해달」「이슬」「그믐」【1 - 3수】

음운변화로 보는 한국어 어원 10개

아무도 이 문장을 해석할 수 없습니다

과거로 가도 말이 통할까? – 한중일 언어의 변화

20세기 초 조선의 모습 (인공지능 채색)
언어학과 무관한 영상 1

1890년대 프랑스 파리의 모습 (인공지능 채색)
언어학과 무관한 영상 2

몰라도 되는 역사언어학 TMI – 1편

이 세상 모든 발음을 정복하자! – IPA(국제음성기호)

언어학 올림피아드 – 세계관 최강자들의 게임【※참가신청 접수중!】

가장 오래된 기록을 가진 언어는? – 언어별 최초문증 시기 비교

고구려어는 한국계 언어? –  만주어와 일본어 속의 옛 한국어 차용어

중국어 만주어를 어떻게 바꾸었는가 – 현대 만주어의 음운

중세국어에서 찾은 잊힌 순우리말? – 고유어란 무엇인가

사라져 버린 순우리말 지명의 비밀
한국 지명 변천을 설명 한 뒤 고유어 지명으로 복원함을 반대하는 의견 제시

과거로 가도 말이 통할까? – 영어의 변화
영어 음운 변천

한자 같지만 한자가 아니다
한자에서 파생된 문자를 소개

[8K] Colorless green ideas sleep furiously

요오드는 왜 아이오딘이 되었는가? – 한국어 화학 원소명의 유래와 변화
원소명 유래 및 변천

중국과 일본은 왜 아직도 한자를 사용할까? 「한자폐지론」

일본 궁중 음악 속에 숨겨진 고대 한국어

3.8. 서양 나들이

사투리에 관한 모든것, 방언학
브르타뉴어 기준으로 설명

켄툼 vs 사템 – 인도유럽어의 출생의 비밀

근본 중의 근본! – 라틴어 고전 그리스어

튀르키예어 순화와 「태양어 이론」

3.9. 천언만어

전세계 여러 언어를 소개하는 천언만어.

제주어 배우기】문자 – 자음과 모음

제주어 배우기】수사와 수관형사

조선족은 한국어를 어떻게 말할까? – 중국 조선어

도기 보나 – 단어 123개의 미니멀리즘 언어

극도의 순혈 컨셉충 언어 – 앙글리시

근본 중의 근본! – 라틴어 고전 그리스어

3.10. 시사언어

언어학적 관점에서 사회적 사건에 접근하는 시사언어.

This is a [pʰɛn].

사흘은 왜 3일일까?

창씨개명이 바꾼 것들

1945년 8월 15일 정오, 당시 조선인은 무엇을 들었는가
쇼와 덴노의 항복 선언( 옥음방송) 재생

3.11. 낭독


처용가 조선 초기 악학궤범에 한글로 기록된 중세 국어 버전으로 낭독한 영상. 전문은 다음과 같다.
東京 ᄇᆞᆯᄀᆞᆫ ᄃᆞ래
새도록 노니다가
드러 내 자리ᄅᆞᆯ 보니
가ᄅᆞ리 네히로셔라
아으 둘흔 내 해어니와
둘흔 뉘 해어니오
원문에는 방점이 존재하지 않아 향문천이 직접 15세기의 중앙방언 악센트에 맞추어 읊었으며, 영상 내에도 방점이 찍혀 나온다.
육진방언은 동북방언에 속하며, 함경북도 일부 지역, 연해주, 중앙아시아(육진방언 기반의 고려말)에서 발화됩니다.
자료가 부족한 탓에 악센트는 중세국어 중앙방언의 것을 정규대응시켰으므로, 실제와는 다른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중세국어와의 악센트 대응은 다음과 같습니다:
중세 H - 육진 H
중세 R - 육진 H
중세 L - 육진 L
중세 LH - 육진 R (축약된 경우)

〈참고자료〉
곽충구 「육진방언의 음운변화 - 20세기초로부터 1세기 동안의 변화」
한진건 「륙진방언연구」
동영상 설명란
육진 방언을 자료가 있는 것은 그대로, 없는 것(성좃값)은 중세국어 중앙방언과 대응시켰다. 대응은 위의 설명란 참조. 댓글창에서 이 방언을 듣는 게 어려운지 제주어를 듣는 게 어려운지 각자가 의견을 표하고 있다.

악학궤범에 기록된 정읍사를 낭독한 영상. 전문은 다음과 같다.
ᄃᆞᆯ하 노피곰 도ᄃᆞ샤
머리곰 비취오시라
져재 녀러신고요
즌ᄃᆡᄅᆞᆯ 드ᄃᆡ욜셰라
어느ᅌᅵ다 노코시라
내 가논 ᄃᆡ 졈그ᄅᆞᆯ셰라
처용가 낭독과 마찬가지로 원문에는 방점 표기가 존재하지 않아 직접 15세기의 중앙방언 악센트에 맞추어 읊었다.

한국어의 변화를 시대로 나눠 각기 다른 문학자료를 낭독했다. 20세기 초, 즉 일제강점기에 녹음된 한국어는 현재와 거의 다르지 않다. 이후 언어가 과거로 갈수록 점점 난해해지며 마지막으로 8세기 신라어의 추정 발음을 들려줄 때는 거의 넋을 놓고 보게 된다. 위의 정읍사 녹음이 이 영상 안에 들어가 있다. 고대국어 낭독 부분에는 일본인 유튜버 minerva scientia 제망매가 낭독 영상을 사용했다.[9]
※이 영상에 쓰인 녹음은 어디까지나 재구된 음성입니다. 따라서 실제 이렇게 발화되었다고 확신할 수 없습니다. 흥미 위주로만 시청해주세요!

사용된 재구:
근대 한국어 - 전반적 합의.
근세 일본어 - 전반적 합의.
노국음 관화 - 노국음.
청대 월어 - 『分韻撮要』 기반 전반적 합의.
중세 한국어 - 諸학설의 선택적 취합.
중세 일본어 - 院政期 기준 악센트, 불명확한 악센트는 임의 적용; 전반적 합의.
고관화 - 『中原音韻』 기준 21성모설 채택; 성조 재구는 藤光曉(1984)를 따름.
고대 한국어 - 響文泉 임시 재구.
상대 일본어 - 자음은 전반적 합의; 모음 재구는 Miyake (2003)를 따름; 악센트는 임의 적용.
중고 중국어 - 편의상 潘悟雲(1943) 재구를 따름; 자동 변환기를 사용한 탓에 다음자 문제가 발생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상고 중국어 - Baxter-Sagart (2014) 재구를 따름; 미지의 자음 C는 낭독하지 않음.
본인이 영상에 단 댓글
장비: 꾸꾸럭 뀌라꿔꿔
유비: 꿀룩 꽈라락 꼴록꼴록
관우: 꾸끼 꽈꽈꽈 꼬꼬꼬 꼬욱
영상에 달린 댓글[10]
이번에는 한국어 외에 중국어와 일본어, 홍콩 광동어 변화를 문헌자료가 있거나 구하기 쉬워질 시대까지 시대로 나눠 각기 다른 자료를 낭독했다. 상고 중국어까지 올라가 끝나게 되는데, 댓글창은 삼국지 등장인물들이 이런 발음으로 대화를 했을 리 없다며 부정 중. (...) 《도연초(徒然草)》 낭독에서 한 줄을 빼 먹은 오류를 지적하는 댓글도 있다.
정말 오랜만입니다. 이번 영상은 「과거로 가도 말이 통할까」 시리즈의 새로운 에피소드로, 영어의 변화를 다루고 있습니다. 이 영상을 시청하실 때는 꼭>자막기능을 활성화해주시기 바랍니다.

※주의사항※
1) 본 영상에 포함된 옛 영어의 음성은 학술적 방법에 의해 재구된 것으로, 학자나 발화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또한, 어디까지나 재구된 음성이므로 실제 영어의 발음과는 다소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역사언어학적 방법론에 입각하여 구해진 재구는 체계적인 이론과 분석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이를 단순한 추측이라고 생각하시면 곤란합니다.
2) 해당 영상에서는 당시의 영어를 기록한 문헌자료를 바탕으로 하므로 방언이나 발화집단과 같은 공시적인 요소를 감안하지 않았습니다.
3) 본 영상에서 나타나는 음운표기의 경우는 영어의 통시음운론적 연구를 진행한 논문 따위에서의 서술을 바탕으로 재구성한 것이오나, 저의 실수 혹은 영어학에 대한 부족한 이해도로 인하여 미처 잡아내지 못하고 놓친 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 점은 너그러이 이해해주시고 미흡한 부분을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더불어 근대영어의 음소 /r/을 실수로 음성차원에서의 구분으로 음절초에서 치경 탄음, 음절말에서 치경 접근음으로 전사하였는데요, 이는 오류입니다. 음운 표기와 음성 표기를 합하다가 범한 실수입니다. 그리고 근대영어 시기에는 어떤 위치에서라도 치경 접근음으로 읽는 것이 더 바람직해보이므로 발화 상에서도 아쉬운 실수가 있었습니다.
4) 저는 영어 원어민 화자가 아니므로 현대영어 발화에 있어서 부자연스러운 면이 있을 수 있습니다.
동영상 설명란
영어는 과거와 현재 상관없이 어차피 못 알아듣는 거 아니냐는 자조적인 댓글도 있다.
이전 중세국어 낭독 영상들과 마찬가지로, 낭독에 사용된 발음은 추정음에 불과하며, 당시에 존재했을 수 있는 변이음을 반영하지 못합니다. 다만 개인적인 발화 습관으로 /əj/를 [ㅔ]로 발음해버린 구절도 있긴 합니다. 당시에 존재했던 변이음을 반영해서 낭독한다면 실제로는 현대 국어의 발음과 조금 더 비슷해질지도 모릅니다.

낭독에 사용된 억양을 미심쩍어 하시는 분이 많이 계십니다. 그러나 이건 제 마음대로 읽는 것이 아니라, 원본에 적혀 있는 방점 기술에 의거하여 읽은 것입니다. 평성은 짧고 낮은 저조, 거성은 높고 짧은 고조, 상성은 길게 올라가는 상승조입니다. 그리고 이 영상에는 방점 표기를 조금 특이하게 해보았는데요, 각 한글조합 위에 점이 없으면 평성, 일반적인 점이 있으면 거성, 가운데가 빈 고리점이 있으면 상성입니다. 한글의 예일식 로마자 표기법에서도 악센트 부호를 활용하여 나타내었습니다.
본인이 영상에 단 댓글

1447년경 지어진 찬불가, 월인천강지곡을 낭독했다.

3.12. 팩트체크

언어에 관한 오해를 바로잡는 팩트체크.

닭도리탕 명칭 논란 – 통시언어학적 해석

3만 구독자 기념 Q&A
재생목록 주제와 무관한 문답영상

인도 드라비다인이 우리말을 쓴다고? – 한국어와 타밀어

일본의 가타카나는 한국의 구결에서 왔다
편가명(가타카나) 기원 자토구결이 일본에 전래되어 형성되었다는 설

한글이 소중한 진짜 이유는?

[한글날 기념] 한글과 훈민정음에 관한 7가지 오해!

향문천은 누구인가? – 10만 구독자 기념 Q&A 1부
재생목록 주제와 무관한 문답영상

크리스마스, 2020년을 마치며 – 10만 구독자 기념 Q&A 2부
재생목록 주제와 무관한 문답영상

나는 왜 52.2%만 한국 인종인가
재생목록 주제와 무관한 하플로 그룹 관련

향문천 중세국어 낭독의 해결할 수 없는 오류

3.13. 음악



영상의 한국어 자막이 국한혼용문으로 적혀서 조선족이 아니냐는 논란이 일었다. 향문천은 이에 대해서 자신은 조선족이 아니라고 해명했다.
히구치 시즈오(樋口静男)의 노래.
이 음악의 가사는 만주국에서 사용된 중국 북방어 일본어 피진어인 협화어로 적혔습니다.
동영상 설명란
협화어 음악. 센스 있게도 동영상의 자막은 한국인이 흉내낸 중국어처럼 쓰여져 있다. 이는 초월번역으로 볼 수도 있는데, 애초에 협화어가 피진이기 때문이다. 자세한 내용은 협화어 문서 참조 바람.

노래방처럼 어느 위치를 부르고 있는지와 배경음악만 나온 영상이다. 직접 부를 줄 알아서 당황했다는 댓글도 있다.
미야코어 음악을 만드는 싱어송라이터 시모지 이사무(下地イサム) 씨의 곡입니다.
미야코어는 류큐어족에 속하는 일본의 언어입니다. 미야코어는 일본류큐조어의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특징을 지니고 있지만, 현재는 화자가 매우 줄어들어 사멸위기에 처해 있습니다.
동영상 설명란
미야코 제도 음악. 4분 16초 경에 가사 '今日も嬉しそうに微笑んでいる (오늘도 기쁜 듯이 미소짓고 계시네)' 부분이 누락되었으나, 현재는 수정되었다.
푸를레텐의 고향 뷔브리(Bubry) 지역의 남쪽에 위치한 로리앙(Lorient) 지역의 민요입니다.
동영상 설명란
브르타뉴어 민요. 1분 2초 경과 1분 23초 경의 가사가 동영상의 자막과 다르다. 1분 2초 때에는 “Oe ur soudard Ar Fur a oa”가 맞고, 23초 경에는 ”Ne gredan ket erbet e varvin ervat.”이 맞다고 국역한 사람이 직접 댓글을 달았다.

3.14. 문자와 문명

중국의 간화자, 일본의 신자체처럼, 한국에서도 공식적인 한자 약자를 제정하려고 한 사실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대한민국의 20세기 어문정책은 국한문혼용과 한글전용의 첨예한 대립 속에서 다양한 담론과 시도를 낳았습니다. 이 과정에서 한 번은 지금은 통폐합된 舊 문교부에 의해 진행된 1967년의 두 차례에 걸친 약자 제정, 한 번은 한국어문교육연구회(통칭 한국어문회, 어문연)에 의한 민간 주도의 신문용 약자 제정은, 결과적으로 실패했지만 현대 한국어사의 대단히 흥미로운 일부입니다. 이 영상은 잘 알려지지 않은 대한민국의 약자 제정사를 역사적인 신문 기사를 중심으로 소개합니다.
동영상 설명란


[1] 여기서의 국가는 나라를 의미하는 국가(國家)가 아닌 나라를 대표하는 노래 국가(國歌)를 의미한다. [2] 해당 영상 내용에 한 가지 오류가 있는데, 1945~1946년의 소비에트 민정청 시기를 나타낸 소련 국가가 1977년 버전으로 수록되었다. 시기적 배경 상 1944년 버전이 수록됨이 옳다. 참고로 1944년 버전과 1977년 버전은 후렴구 일부 소절의 가사가 다르다. [3] 조회수 400만 회가 넘은 영상으로, 향문천의 인지도가 본격적으로 상승하는 계기가 되었다. [4] 다행히도 해당 동영상의 내용은 타밀어와 한국어 사이의 관계는 정확한 증거가 없는 낭설일 뿐이라는 것이다. 실제로 타밀어는 한국어와 연관이 없다. 자세한 내용은 타밀어와 한국어의 유사성 문서 참조. 2024년경 비공개되었는데, 타밀어-한국어 동계설 신봉자들에 의해 난장판이 되어버린 댓글창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회원] 회원 전용 동영상으로 전환됨. [회원] [회원] [8] 음악 유튜버인 Hammubara Ankhana의 오케스트라 편곡 버전이 있다. # [9] 다만 해당 유튜버의 경우 발음이 다소 부정확하다는 평이 많아, 이후 게시된 한중일 언어의 변화 영상에서는 향문천이 직접 고대 한국어 낭독을 담당했다. [10] 사실 유머성 댓글이지만, 실제로 고대 중국인들은 저런 식으로 대화를 했을 것이라는 게 충격적으로 다가올 수 있다. 다만 해당 재구음은 서주 시기의 문헌을 기반으로 한 것이라, 무려 천 년 가까이 되는 세월이 흐른 삼국시대의 중국어는 중고한어에 보다 가까웠을 가능성이 높다. 어떤 방면으로든 고대의 언어 발음은 현대 화자들이 듣기에 무조건적으로 이상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저런 식이 아니더라도 실제 발음을 들으면 무조건 충격적일 거라는 셈. 댓글창에서는 삼국지 등장인물 이외에도 공자까지 나오는 중인데, 이쪽은 서주시대와 훨씬 가까운 시기에 살았던 인물이라 드립이 어느 정도 적절하다고 볼 수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