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31 11:59:10

한일 드림 플레이어즈 게임

<colbgcolor=#001840><colcolor=#fff> JAPAN KOREA Dream Players Game
한일 드림 플레이어즈 게임
파일:한일_드림_플레이어즈게임.jpg
개최일 2024년 7월 22일 18시 30분
경기장 에스콘 필드 홋카이도
파트너 파이터스 스포츠 & 엔터테인먼트
협력 한국야구위원회, 일본야구기구
중계 미정
BS 아사히, 스포츠 라이브 +

1. 개요2. 경기 정보 및 유니폼3. 엔트리
3.1. 대한민국3.2. 일본
4. 경기 내용5. 여담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KBO 리그 일본프로야구의 레전드 선수들이 참가하는 이벤트 경기. 대한민국은 김인식 감독이, 일본은 하라 다쓰노리 감독이 팀을 이끈다.
올해는 일본 프로야구가 탄생한 지 90주년[1]을 맞이하는 특별한 해입니다. 이 특별한 해에 양국의 프로야구의 역사를 구축해 온 선인들에게 경의와 감사를 담아, 또 야구를 통한 국제 우호 친선에 공헌하고 싶다는 소원으로부터 이 특별한 경기를 기획했습니다. 여러분의 방문을 진심으로 기다리고 있습니다.
공식 홈페이지의 대회 소개 문구 #

2. 경기 정보 및 유니폼

  • 7이닝제로 진행된다.
  • 한국이 3루측 더그아웃, 일본이 1루측 더그아웃을 사용한다.
  • 선수 교체 및 동일 선수의 재출장이 가능하다.
파일:유니폼.png
일본 대표팀 유니폼(좌)과 한국 대표팀 유니폼(우)

3. 엔트리

3.1. 대한민국

<colbgcolor=#1C99DB><colcolor=#FFF> 감독 1명 ## 김인식
코치 #명 ## 안경현, ## 양상문, ## 장종훈
투수 #명 ## 구대성, ## 서재응, ## 윤석민, ## 이혜천, ## 조웅천[@1][3]
포수 #명 ## 박경완, ## 조인성[@2]
내야수 #명 ## 장성호, ## 박종호, ## 손시헌, ## 박석민
외야수 #명 ## 이종범, ## 양준혁, ## 박한이, ## 이대형[@2]

3.2. 일본

<colbgcolor=#042442><colcolor=#FFF> 감독 1명 83 하라 다쓰노리
코치 #명 71 야마다 히사시, 73 오가타 코이치[6]
투수 #명 19 우에하라 고지, 20 이와쿠마 히사시, 22 후지카와 큐지, 28 코마츠 사토시, 14 노미 아츠시, 11 시미즈 나오유키, 21 모리후쿠 마사히코, 47 이와타 미노루, 50 셋츠 타다시, 61 마하라 타카히로
포수 #명 27 다니시게 모토노부, 2 조지마 겐지, 22 사토자키 토모야
내야수 #명 2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1 토리타니 다카시, 10 미야모토 신야, 5 마츠다 노부히로, 3 마츠나카 노부히코, 7 카타오카 야스유키, 7 니시오카 츠요시
외야수 #명 41 이나바 아츠노리, 17 후쿠도메 코스케, 24 우치카와 세이이치, 9 이토이 요시오, 6 타무라 히토시

4. 경기 내용


5. 여담

2024년 5월 27일[7]기준 일본측의 모든 멤버가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출전 경험이 있는 인물들로 구성됐다.
2006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출전 경험이 있는 멤버
투수 후지카와 큐지, 우에하라 코지, 시미즈 나오유키, 마하라 타카히로
포수 타니시게 모토노부, 사토자키 토모야
내야수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마츠나카 노부히코, 미야모토 신야, 니시오카 츠요시
외야수 후쿠도메 코스케, 타무라 히토시
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출전 경험이 있는 멤버
감독/코치 하라 타츠노리(감독), 야마다 히사시(코치), 오가타 코이치(코치)
투수 후지카와 큐지, 코마츠 사토시, 이와타 미노루, 마하라 타카히로
포수 조지마 켄지
내야수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카타오카 야스유키
외야수 우치카와 세이이치, 이나바 아츠노리, 후쿠도메 코스케
201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출전 경험이 있는 멤버
감독/코치 오가타 코이치(코치)
투수 모리후쿠 마사히코, 노미 아츠시, 셋츠 타다시
내야수 토리타니 타카시, 마츠다 노부히로
외야수 이나바 아츠노리, 이토이 요시오, 우치카와 세이이치
2017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출전 경험이 있는 멤버
감독/코치 이나바 아츠노리(코치)
내야수 마츠다 노부히로
외야수 우치카와 세이이치
이는 일본측에서 이 정도 급은 되어야 한다라는 것으로 선발한 것이다. 안경현이 일본측에게 들은 바에 따르면, 한국측에서도 WBC, 올림픽 급에서 선발을 해달라는 요청을 받았다고 하는데 이 때문에 한국팀은 로스터 선발에 엄청난 고생을 하고 있다. 해당급에 맞는 선수들은 현역 1군 감독 혹은 코치[8]거나, 최강야구에 참가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9]. 이 때문에 빽 투 더 그라운드 참여 인원들이 비중이 자연스럽게 많아질 수 밖에 없고, 그러고도 선수가 부족해서인지 결국 일본측과의 긴 협의를 거쳐서 국대 참여기록이 부족한 이들을 선발하게 된다. 이 대표적 사례로 언급된 것이 바로 이대형. 그래서 많은 이들이 빽투그 종영 당시 양준혁의 발언과 연계해 이것이 빽투그 시즌 2 아니냐는 드립을 치기도 한다.

6. 관련 문서



[1] 일본프로야구의 창설 연도는 1936년이나, '도쿄 교진군'(東京巨人軍, 현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전신)이 창설된 1934년을 기준으로 삼은 듯하다. 자세한 내용은 일본프로야구/역사 문서 참고. [@1] 안경현이 운영하는 모두의 예체능 유튜브 채널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참가사실이 공개되었다. [3] 조웅천의 경우는 조인성의 계약 영상에서 배터리로 활약을 해야한다는 내용의 발언이 있었다. [@2] 안경현이 운영하는 모두의 예체능 유튜브 채널을 통해서 계약 영상이 공개되었다. [@2] [6] 히로시마 토요 카프 감독 출신의 오가타 코이치(緒方孝市)와는 다른 인물(緒方耕一)이다. [7] 일본 출전 멤버 3차 발표일 [8] 경기일자가 월요일이기 때문에 1군 경기는 없지만, 바로 다음날이 경기일이라 귀국하자마자 곧바로 경기에 참여해야 하기 때문에 소속 구단들의 전폭적인 협조가 없다면 차출이 어렵다. [9] 경기 일자가 최강야구의 촬영시기와 겹치는 탓에 차출이 어렵다. 이 때문에 출전이 확정된 선수 중에는 최강야구 참석자는 아무도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