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3 23:00:17

사이먼 페인

프레디122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0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03a><tablebgcolor=#00203a> 파일:Rogue 로고 다크모드.svg Rogue
2025 시즌 로스터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colbgcolor=#00203a><colcolor=#01b9fc> 감독 [[사이먼 페인|사이먼 페인
fredy122
]]
코치 [[김강윤|김강윤
Trick
]]
분석 [[니코 자넷|니코 자넷S
Blueknight
]]
로스터
파일:TOP_icon_clg.png
TOP
파일:프랑스 국기.svg [[아담 마나네|아담 마나네
Adam
]]
파일:JGL_icon_clg.png
JG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근성(프로게이머)|김근성
Malrang
]]
파일:MID_icon_clg.png
MID
파일:스웨덴 국기.svg [[에밀 라르손|에밀 라르손
Larssen
]]
파일:ADC_icon_clg.png
BOT
파일:체코 국기.svg [[파트릭 이루|파트릭 이루
Patrik
]]
파일:SUP_icon_clg.png
SP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정훈(2000년 2월)|이정훈
Execute
]]
S : 후보 선수 겸임
LEC 참가팀 로스터 }}}}}}}}}
사이먼 페인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e4be><tablebgcolor=#00e4be> 파일:LEC.png LEC
감독
}}} ||
{{{#!wiki style="color: #000;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파일:G2 Esports 로고.svg 파일:Fnatic 로고.svg 파일:Movistar_KOI_logo.png 파일:Team BDS 아이콘.svg 파일:SK gaming 심볼.svg 파일:SK gaming 심볼 화이트.svg
딜런 팔코
Dylan Palco
파비안 로만
GrabbZ
토마스 캄펠로스
Melzhet
야니스 켈라
Striker
다비드 로드리게스
OWN3R
파일:GIANTX 로고 심플.svg 파일:GIANTX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파일:Team Vitality 로고 옐로우.svg 파일:Karmine Corp 로고 blue.svg 파일:Karmine Corp 로고 blue.svg 파일:Rogue 로고.svg 파일:Rogue 로고 다크모드.svg
안드레 길료투
Guilhoto
빅토르 마추카
Machuki
제임스 맥코맥
Mac
레하레하 라마나나
Reha
사이먼 페인
fredy122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e4be><tablebgcolor=#00e4be> 파일:LEC.png 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

역대 우승 스태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0> 시즌 대회 우승팀 스태프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Series EU
2013 스프링 파일:590px-Fnatic_full_lightmode.png 파일:Fnatic_old_logo_full_darkmode.png hxd
서머
2014 스프링 -
서머 파일:external/wiki.teamliquid.net/600px-Alliance2016.png Leviathan
2015 스프링 파일:590px-Fnatic_full_lightmode.png 파일:Fnatic_old_logo_full_darkmode.png Deilor
서머
2016 스프링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G2_logo.png?version=e9f291665a9d54c734eb89e4255cdf46.png YoungBuck · Duffman
서머
2017 스프링
서머
2018 스프링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Fnaticlogo.png Dylan Falco · YoungBuck
서머
League of Legends European Championship
2019 스프링 파일:G2 Esports 로고.svg 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GrabbZ · Duffman
서머
2020 스프링
서머
2021 스프링 파일:MAD_Lions_no_text.png Mac · Kaas · Pad
서머 Mac · Kaas · Pad · Vizicsacsi
2022 스프링 파일:G2 Esports 로고.svg 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Dylan Falco · Rodrigo
서머 파일:Rogue 로고.svg 파일:Rogue 로고 다크모드.svg fredy122 · SeeEl · Bernie · Blueknight
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
2023 윈터 파일:G2 Esports 로고.svg 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Dylan Falco · Rodrigo · Click
스프링 파일:MAD_Lions_square.png Mac · Pad · Acchu · Zeph · Orome
서머 파일:G2 Esports 로고.svg 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Dylan Falco · Rodrigo · Click
시즌 파이널
2024 윈터 Dylan Falco · Isma · Rodrigo · Duffman · Click
스프링
서머
시즌 파이널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e4be><tablebgcolor=#00e4be> 파일:LEC.png 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

Best Coach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역대 LCS EU Best Coach
2019 Spring 2019 Summer 2020 Spring 2020 Summer 2021 Spring
Guilhoto
안드레 길료투

OG
GrabbZ
파비안 로만

G2
Mac
제임스 맥코맥

MAD
Mac
제임스 맥코맥

MAD
fredy122
사이먼 페인

Blueknight
니코 자넷
外 1명
RGE
2021 Summer 2022 Spring 2022 Summer 2023 2024
fredy122
사이먼 페인

Blueknight
니코 자넷
外 1명
RGE
fredy122
사이먼 페인

Blueknight
니코 자넷
外 1명
RGE
Mac
제임스 맥코맥

Reignover
김의진
外 2명
MAD
Dylan Falco
딜런 팔코

Rodrigo
호드리구 올리베이라

G2
2021 시즌부터는 팀 코치진들에게 통합 시상한다.
2023년부터 시상 방식이 시즌 연 1회로 바뀌었다.
}}}}}}}}} ||

<colbgcolor=#00203a><colcolor=#01b9fc> 前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파일:KOI_fredy122_2023_Split_3.png
'''Rogue [[감독#s-2|
]]
fredy122'''
사이먼 페인 (Simon Payne)
출생 10월 3일
포지션 [1]
국적
[[영국|]][[틀:국기|]][[틀:국기|]]
소속
[ 펼치기 · 접기 ]
Eclypsia
(2012.04.20 ~ 2012.10.03)
against All authority
(2012.12.22 ~ 2013.06.02)
SUPA HOT KREW
(2013.10.01 ~ 2013.11.02)
SK Gaming
(2013.11.02 ~ 2015.11.03)

Team ROCCAT
(2016.01.05 ~ 2016.11.21)
Team ROCCAT 코치
(2016.12.24 ~ 2017.11.21)
Team ROCCAT 감독
(2017.11.21 ~ 2018.11.19)
Rogue 감독[2]
(2018.11.27 ~ 2026.11.16예정)
1. 개요2. 선수 경력
2.1. 주요 경력
3. 지도자 경력
3.1. 주요 경력
4. 여담

[clearfix]

1. 개요

영국의 前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現 LEC Rogue 감독. 선수 시절 포지션은 탑 라이너.

2. 선수 경력

2013 LCS EU spring 때 aAa팀으로 나온 적이 있었다. 본격적으로 이름을 알리기 시작한건 2014 LCS EU Spring때 SKG에서 Kev1n의 후임으로 들어온 후였다.

이 선수를 상징하는 챔프이자 플레이 스타일에 딱 들어맞는 챔프는 레넥톤이다. 2014 LCS EU spring 때 레넥톤을 자그마치나 11판을 플레이했다. 당시 LCS가 전체 판수가 28판인 걸 생각하면 노잼톤이었던 걸 감안해도 많은 숫자였다. 2014 LCS EU Summer에서도 레넥톤이 대세에서 내려간 후에도 8판씩이나 썼다. 2015 LCS에서도 결과는 안 좋았지만 후니를 찍어누르려고 레넥톤을 가져가 CS를 이기기도 했고, 솔랭에서도 레넥톤을 꿋꿋하게 연습한다. 오죽하면 시즌 5 롤드컵 당시 전지훈련을 간 마린과 이지훈이 레넥톤을 어마어마하게 돌렸는데[3], 현지 선수들 중에 이들보다 레넥톤을 많이 픽한 유일한 플레이어가 프레디였다. 사실 셋 다 승률 5할이 안 나오는 게 핵심 대체적으로 레넥톤 장인답게 시즌 4 시절의 썸데이와 매우 유사한 플레이어로, 챔프폭 넓고 라인전을 매우 잘하고[4] 텔포 타이밍이 꽤 날카로운데 딱 거기까지다. 스플릿하다 잘 짤리고 한타 기여도도 기복이 심하고 전반적인 플레이의 유연성이 떨어져서 시즌 5 시점의 썸데이와는 비교하기 어려울 정도로 캐리력이 떨어진다.

전임 탑솔러들이 워낙에 기라성같은 모습을 보여줬기에[5] 좋은 모습을 보여주는 프레디로 바뀌면서 SKGaming의 성적이 2013년에 비해 엄청나게 올랐다. 2014 LCS Summer 시즌에는 탑 아트록스를 자주 보여주고 있다. 트레이스? 준결승에서도 팀은 패했지만 상대 탑 윅드가 스웨인으로 싸는 등 부진할 동안 아트록스로 맹활약해서 결국 얼라이언스에게 밴당했다.

그렇게 유럽의 3번시드로 월즈에 나갔지만 정작 팀을 쌍끌이하고있던 스벤스케런이 당시 롤드컵이 열리고있던 대만 유저 앞에서 슈퍼계정 닉네임을 타이페이칭총으로 바꾸는 인종차별을 하면서(...) 3경기 출장정지를 먹었고[6] 미드라이너였던 제시즈는 까보니 월즈 레벨이 아니었고[7] 바텀 캔디판다와 엔레이티드도 별로였고. 그런 상황에서 팀의 실질적 에이스로 활약하고 있다.

심지어 이 시즌4 전까지 그동안 IPL5를 제외하고 유럽의 탑솔러들의 보여준 퍼포먼스는 그말싫수준이었기에 팀이 한국내에서 인기가 없어서 그렇지 숨겨진 유럽 최강 탑솔이 아니었냐는 평가.[8] 사실 팀동료인 엔레가 서모닝 인사이트에서 유체탑으로 뽑았긴 했었다... 어쨌든 팀 내에선 시즌 4 롤드컵의 가장 큰 수혜를 받은 선수.[9] TSM을 상대로도 홀로 고통받았고, 아시아 솔랭전사인 로얄의 Cola를 상대로도 라인전에서 전반적으로 우세(!)를 보였다. 결국 TPA와의 조별예선 2차전에서도 탑 알리스타를 픽해서 상대 탑 Archie를 완전히 박살내고 한타에서 적진을 휘저으며 팀을 하드캐리했다. 소아즈 가끔은 아시아 팀을 상대로 괜찮은 모습을 보인 적이 있지만, 워낙 기복이 심했고 대체로 브루저 라인전이 약했기 때문에, 프레디와 비교하기는 어렵다고 볼 수 있다.

그나마 마지막 경기에서 스웨인으로 불안불안한 포지셔닝으로 많이 죽었으나 팀은 유종의 미를 거두면서 TSM에게 승리를 거뒀다.물론 당시 에이스들의 상징인 3밴을 당한 영향도 있었다.[10]

롤드컵에서 윅드, 소아즈와 차원이 다른 기량을 보여주었기에 유럽 내부의 평가도 굉장히 좋아졌고, 2015 LCS 스프링에서도 좋은 모습을 이어가고 있다. 위에서 엔레이티드가 말하길 '그는 망하면 상대 탑솔과 CS를 똑같이 먹는다(...)'고 했는데 유럽에서 그의 위상을 보면 허언이 아니다. 한국에서 수입되어 솔랭 1위를 차지했던 후니와의 대결이 기대된다.

그리고 후니와의 대결에서 레넥톤이라는 다소 범용성이 떨어지는 픽[11]을 해서 라인전을 강하게 가려고 했는데 결과가 좋지 못했다. CS를 앞서는 데 성공했지만 레인오버에 의해 전 라인이 갱킹을 당하고 이후 후니의 럼블이 한타마다 엄청난 존재감을 발휘하여 패배.

하지만 전반적으로 좋은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여전히 EU 탑클래스로 인정받는 상황이다. 유독 솔랭 때문인지 윅드가 프레디를 인정하기 싫어하는 것만 빼면(...)[12] 가장 균형 잡힌 면모를 보여주며, 그 꾸준함과 경험까지 평가가 높을 수밖에 없다. 다만 부족한 시야 장악 때문인지 스플릿 도중에 끊기는 모습이 최근 들어 잡히기 시작했다는 점이 흠. 그리고 플레이오프에서도 이 점을 집중력으로 공략한 UoL에 무너지고 말았다. 현재는 유체탑에 더 근접했다고 평가받는 오도암네나 극강의 라인전을 가진 카보차드, 한국에서 수입된 재기발랄한 탑솔러 후니 등으로 인해 독보적인 유체탑으로 평가받기 어려운 상황이 되어버렸다. 운영의 팀이 운0의 팀으로 변하다니 CJ 블레이즈인가 그리고 3, 4위전에서도 오도암네에 밀리는 모습을 보여 팀을 4위로 몰았다.

서머 시즌에는 약해진 봇라인 때문에 스벤스케런의 커버가 힘들어지고 상대 정글러는 탑에 캠프를 차리면서 1주차에 시즌 4의 마린이 떠오를 정도로 CD를 발매했다(...) 2주차에는 Origen을 상대로 팀이 킬스코어 37:8로 털리는 와중 본인도 0/11/5라는 기록적 스코어를 찍으며 패망(...) 이후 3주 1일차에 클래스를 보여주며 약간 선전했지만 그 경기조차 패했다. 현재 ROCCAT의 스티브와 함께 탑솔 최다데스 경쟁을 하고 있다.

그래도 4주차에 스티브가 피즈로 싸는 사이 나르로 하드캐리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서머 시즌에는 약점이 부각되고 강점은 빛을 잃어 시즌 4나 시즌 5 스프링의 강력함에 미치지 못했다는 평가가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딜링 되는 챔프를 잡았을 때의 캐리력이나 갱을 당하지 않는 조심성이 다소 아쉽기는 하지만[13], 라인전이 대단히 강하고 텔포 활용과 한타에서 1인분 하는 능력은 탁월한 플레이어다. 서머 시즌 메타와 다소 안 맞았다고는 하지만 왜 유럽이나 북미 1부리그에서 적극적 어프로치가 없는지는 의문.

그리고 로캣이 프레디를 영입했음을 발표했다. 꽤 오래 전부터 이미 거취가 정해져 있었을지도. 이후 시즌 4나 시즌 5 초반만큼 압도적이지는 않지만 자크, 탑그브 등 넓고 독특한 픽을 사용하고 강한 라인전을 바탕으로 활약하며 평균 1인분은 해주고 있다. 그러나 시즌 중반에는 CD 발매와 한타에서의 이해할 수 없는 포지셔닝 문제 때문에 탑그브와 탑퀸은 픽하지 말라는 이야기가 대세가 되었다. 아무래도 프레디의 약점인 갱에 취약하다는 점이 극대화되는 데다, 한타에서 정말로 지속 딜러에 대한 마인드가 없다는 평가다. 얘들은 반 누커인데도(...)

그런데 이 팀 자체가 프레디가 말파이트, 마오카이, 자크 등 자신이 잘하는 탱킹 비중이 높은 챔프를 픽했을 경우, 정글러 에어왝스가 캐리형 딜러 정글러를 픽했을 때는 벳시를 보좌할 선수가 없어서 초반에 무너지고, 에어왝스가 딜챔프를 안 가면 원딜이 노딜이라 스노우볼을 잘 굴려놔도 팀 전체에 딜이 부족해서 한타를 지기 때문에 프레디가 탱커를 가도 팀은 진다. 그냥 원딜이 문제잖아 어쨌든 프레디는 퀸과 그브 외에도 라이즈 피오라 같은 캐리형 챔프가 영 맞지 않아서 유체탑 라인에서는 확실히 밀려난 상태다. 비슷하게 라인전만 잘하고 텔포 메타에서 반짝한 안티캐리형 탑솔러였으나, 이제는 크게 성장해서 제대로 캐리를 하는 썸데이와는 대조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근데 대조가 아니라 요즘 썸데이 하는 짓이 딱 프레디인데?

시즌 6 서머에 서브로 내려갔다가 시즌후 팀을 나갔다.

2.1. 주요 경력

준우승 경력
Riot League Championship Series Europe Spring 2014 준우승
Lemondogs SK Gaming Fnatic

3. 지도자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사이먼 페인/지도자 경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 주요 경력

우승 경력
League of Legends European Championship Summer 2022 우승
G2 Esports Rogue 미정
준우승 경력
League of Legends European Championship Spring 2021 준우승
Fnatic Rogue Fnatic
League of Legends European Championship Spring 2022 준우승
Fnatic Rogue G2 Esports
수상 경력
League of Legends European Championship Spring 2021 Best Coaching Team
League of Legends European Championship Summer 2021 Best Coaching Team
League of Legends European Championship Spring 2022 Best Coaching Team
제임스 맥코맥[14]
( MAD Lions)
Rogue MAD Lions

4. 여담

  • 커리어가 오래된 선수고 나름 감독코치 경험도 길지만 생년월일에 대해서 전혀 알려져 있지 않다. 그나마 생일이 알려진 것도 로그 감독이 되고 난 뒤.
  • 말이 없기로 유명하다. 말수도 적은데 사람 만나는 걸 그리 좋아하지 않아서 인터뷰도 거의 하지 않는다. 플옵 같은 큰 무대 열렸을 때나 목소리 한 번 들을 수 있을 정도.라센이 티모 밴 박을 때는 말 잘하던데

[1] 원딜 → 탑 [2] 팀명 변경: Rogue → KOI, 2022년 12월 17일 → Rogue, 2023년 11월 23일 [3] 마린이야 썸데이조차 레넥톤 승률이 안 나오는 시즌 5 대회에서도 변함없이 잘하는 레넥톤의 왕이고, 이지훈은 솔랭에서 탑으로 가면 레넥톤을 은근히 선호한다. [4] 유럽에서 카보차드와 함께 투탑, 혹은 서머 시즌에는 후니와 함께 3탑 정도로 볼 수 있다. 대신 후니, 소아즈. 오도암네와 다르게 라인전 그 이후가 시망 [5] Kev1n,오셀롯,영벅 그나마 윅드는 이후에 포텐이 터지긴했지만 SKG에서의 퍼포먼스는 별로였다. 무서운 사실은 오셀롯을 제외하고 다들 다른팀에서 탑으로 한자리씩 했었다. [6] 스벤이 출장정지를 먹으면서 대타로 당시 SK 2군팀 정글러였던 길리어스가 뛰었다. [7] 2014 월즈에 참가한 16팀의 미드라이너중 GD10 XPD10 전부 압도적인 꼴등이었다. [8] 국제대회만 나오면 라인전에서 망하는 소아즈와, 라인전은 잘하는데 그 뒤로 존재감이 인섹이 되는(...) 윅드의 장점만을 합쳤다는 평가. 게다가 텔포는 저 둘 다 더럽게 타이밍 못 잡는다. [9] 실력 면에서 증명이 된 스벤스케렌은 인종차별 문제로 이미지가 안 좋아졌으며, 최악의 폼을 보여줬던 캔디판다, 제시즈는 말할 필요도 없으며 엔레는 원래 평이 나쁘지는 않았던 선수다보니 가장 큰 수혜를 받았다고 봐도 좋을 듯. [10] 알리스타,니달리,아트록스 이렇게 3밴을 먹었다. 한마디로 블레이즈 최악의 암흑기 때 니달리, 이렐리아, 잭스 3밴 먹은 플레임이랑 동급 경기 전부터 다이러스가 자신보다 프레디가 더 잘한다고 평하는 등 엄청난 견제를 받았다. 이 반대급부로 SK는 팀원들의 모스트 픽인 베인, 모르가나, 직스, 카직스를 다 가져오고 TSM이 의외로 픽밴에서 말렸다 [11] 한국 롤챔스에서도 프리시즌에는 꽤 등장했으나 정규시즌에는 잘 등장하지 않는다. 나름 장인급인 SKT의 마린이 픽했으나, 진에어에게 챔프 한계를 드러내며 완패. [12] 대표적으로 윅드의 AMA에서 유럽에서 좋은 탑솔을 뽑을 때 프레디를 빼놓았다든가... [13] 자주 언급되지만 프레디의 CD 발매는 꼭 프레디 탓이 아니라 팀 운영 및 시야장악의 문제라는 평가도 존재한다. [14] 2020 시즌까지는 개인 시상이었으나 2021 시즌부터 코치진 통합 시상으로 변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