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9 23:16:22

캘빈 피커링

캘빈 피커링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ce0e2d><tablebgcolor=#ce0e2d>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 SSG 랜더스
역대 외국인 선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fff>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풀리엄 파일:미국 국기.svg
뮬렌 (2)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브리또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혼즈 (2) 파일:미국 국기.svg
(3) 파일:러시아 국기.svg
브리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에르난데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에레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페르난데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카스텔라노 (1)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러핀 (3) (2) 파일:미국 국기.svg
잉글린 (3) 파일:미국 국기.svg
에르난데스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매기 (3) 파일:미국 국기.svg
디아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스미스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카브레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카브레라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크루즈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산체스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차바치 (3) 파일:미국 국기.svg
시오타니 (2) 파일:일본 국기.svg
세라노 (3) 파일:미국 국기.svg
피커링 (2) 파일:미국 국기.svg
카브레라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마노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번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번 파일:미국 국기.svg
쿠비얀 (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레이 (3) (2) 파일:미국 국기.svg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니코스키 (2) 파일:미국 국기.svg
글로버 (3) 파일:미국 국기.svg
존슨 (2) 파일:캐나다 국기.svg
카도쿠라 (3) 파일:일본 국기.svg
<rowcolor=#ffffff>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글로버 파일:미국 국기.svg
카도쿠라 파일:일본 국기.svg
글로버 파일:미국 국기.svg
매그레인 (2) 파일:미국 국기.svg
고든 (3) 파일:미국 국기.svg
마리오 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
로페즈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부시 (3) 파일:미국 국기.svg
슬래튼 (1)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예스 (3) 파일:미국 국기.svg
세든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예스 (2) 파일:미국 국기.svg
밴와트 (3) 파일:미국 국기.svg
울프 파일:미국 국기.svg
스캇 (2)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브라운 파일:미국 국기.svg
밴와트 (2) 파일:미국 국기.svg
세든 (3) 파일:미국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고메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세든 (2) 파일:미국 국기.svg
라라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다이아몬드 파일:캐나다 국기.svg
워스 (2) 파일:미국 국기.svg
로맥 (3) 파일:캐나다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산체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맥 파일:캐나다 국기.svg
산체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맥 파일:캐나다 국기.svg
다익손 (2) 파일:캐나다 국기.svg
소사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로맥 파일:캐나다 국기.svg
핀토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킹엄 (2) 파일:미국 국기.svg
화이트 (3) 파일:미국 국기.svg
로맥 파일:캐나다 국기.svg
폰트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르위키 (2) 파일:미국 국기.svg
가빌리오 (3) 파일:미국 국기.svg
폰트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노바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모리만도 (3) 파일:미국 국기.svg
크론 (2) 파일:미국 국기.svg
라가레스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맥카티 파일:미국 국기.svg
에레디아 파일:쿠바 국기.svg
로메로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엘리아스 (3) 파일:쿠바 국기.svg
에레디아 파일:쿠바 국기.svg
엘리아스 파일:쿠바 국기.svg
시라카와 (4) 파일:일본 국기.svg
더거 (2) 파일:미국 국기.svg
앤더슨 (3)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25년 2026년 2027년 2028년 2029년
화이트 파일:미국 국기.svg
(1) 시즌 전 방출/계약 취소
(2) 시즌 중 이적/방출
(3) 대체 영입
(4) 일시 대체 영입
본 항목에서 선수의 이름은 등록명만을 기재합니다
}}}}}}}}}}}} ||

캘빈 피커링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볼티모어 오리올스 등번호 6번
애런 라데스마
(1997)
캘빈 피커링
(1998)
리치 아마랄
(1999~2000)
볼티모어 오리올스 등번호 39번
제리 헤어스턴
(1998)
캘빈 피커링
(1999)
마이크 킨케이드
(2000)
신시내티 레즈 등번호 34번
마이클 터커
(1999~2001)
캘빈 피커링
(2001)
후안 엔카나시온
(2002)
보스턴 레드삭스 등번호 57번
후안 페냐
(1999)
캘빈 피커링
(2001)
제이슨 실
(2003)
캔자스시티 로열스 등번호 36번
카일 슈나이더
(2003)
<colbgcolor=#c09a5b><colcolor=#000> 캘빈 피커링
(2004~2005)
세스 에서튼
(2006)
SK 와이번스 등번호 36번
최혁길
(2004~2005)
피커링
(2006~2006.6.30.)
카브레라
(2006.7.1.~2006)
}}} ||
}}} ||
파일:캘빈 피커링.jpg
SK 와이번스 시절
캘빈 피커링
Calvin Pickering
본명 캘빈 엘로이 피커링
Calvin Elroy Pickering
출생 1976년 9월 29일 ([age(1976-09-29)]세)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세인트토마스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학력 C. Leon King 고등학교
신체 198cm, 125kg
포지션 내야수
투타 좌투좌타
프로 입단 1996년 드래프트 35라운드 (전체 976번, BAL)
소속팀 볼티모어 오리올스 (1998~1999)
신시내티 레즈 (2001)
보스턴 레드삭스 (2001)
캔자스시티 로열스 (2004~2005)
SK 와이번스 (2006)

1. 개요2. 선수 경력3. 연도별 성적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2006시즌 KBO 리그 SK 와이번스에서 뛰었던 외국인 타자이다.

2. 선수 경력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출신인 캘빈 피커링은 1995년 35라운드 지명으로 볼티모어 오리올스에 입단하였고, 이후 1998년에 메이저리그 베이스볼에 데뷔하였다. 데뷔시즌 2홈런을 당시 20승을 노리고 있었던 뉴욕 양키스 데이비드 콘과 시즌 후 사이영상 2등에 빛나는 보스턴 레드삭스 페드로 마르티네스를 상대로 뽑아냈을정도로 파워는 증명된 유망주였다.

다만 이후 보여준 모습은 별 임팩트 있지않아 2001년에는 신시내티 레즈 보스턴 레드삭스로 두 번 팀을 옮겼고, 2002년은 부상으로 출장 기록이 없었다. 부상 때문인지 2003년 시애틀 매리너스, 다시 신시내티와 멕시칸 리그를 전전하였지만 2004년 캔자스시티 로열스에 입단한 후 유망주 시절 슬러거 기질을 보여주며 최약체 로열스의 뎁스 속에서 간간히 출장 기록을 남겼다. 메이저리그 통산 성적은 .223 59안타 14홈런 45타점. 트리플A에서 20홈런을 꾸준히 생산해내던 거포 유망주였다.

198cm의 신장에 무려 125kg이라는 엄청난 거구를 자랑했던 피커링은 2014년 롯데의 루이스 히메네스가 입단하기 전까지 역대 외국인 선수 최고 중량의 선수였다.[1] 병풍 사건으로 기존 1루 거포 자원인 이호준이 입대하게 되면서 1루에 빈자리가 생긴 SK는 피커링의 장타 능력에 큰 기대를 걸며 일본인 외인 시오타니 가즈히코와 함께 외국인 선수 내야를 구성하는 계획을 보였다.

스프링캠프에서 배팅 케이지 그물을 찢어버리는 등 무시무시한 파워를 보여주었고, 시즌 개막 후 피커링은 타율은 낮지만 장타력을 보여주면서 시즌 초반엔 홈런 레이스 선두권을 유지하는 등 기대에 부응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문제는 한국 야구 환경에 적응을 하지 못했던 것이었다. 원정 버스는 너무 좁았고, 회식 자리에서는 같이 상에 앉을 수가 없어서 혼자 외롭게 식사를 하는 것은 예사 일이었다. 결국 향수병이 도진 피커링은 정상적인 컨디션을 보이지 못했고,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음에도 7월 1일 퇴출되고 만다. 피커링을 대체하는 선수는 종전에 SK에서 뛰었다가 다시 돌아온 마무리 투수 호세 카브레라.

벤치 클리어링이 일어날 때 가장 먼저 뛰어가서 막겠다는 인터뷰도 그렇고, 가족들과 매일 연락하는 가정적인 모습도 보이며 인성도 좋은 선수였지만 약한 멘탈 때문에 별 활약을 보이지 못한 선수였다. 향수병 때문에 밤마다 가족들과 전화하면서 통곡했다.

이후 피커링은 2008년 비교적 젊은 나이인 32세에 은퇴했다.

은퇴 이후 캘리포니아에 정착하여 야구 아카데미를 열기도 했고, 마이너리그 타격코치도 거쳤고 2020년에는 교도관 일도 했다고 한다.

3. 연도별 성적

역대 성적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4사구 장타율 출루율
1998 BAL 9 21 .238 5 0 0 2 3 4 1 3 .524 .333
1999 23 40 .125 5 1 0 1 5 4 0 0 .225 .314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4사구 장타율 출루율
2001 CIN/ BOS 21 54 .278 15 1 0 3 8 4 0 8 .463 .378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4사구 장타율 출루율
2004 KC 35 122 .246 30 8 1 7 26 21 0 19 .500 .338
2005 7 27 .148 4 0 0 1 3 4 0 4 .259 .226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4사구 장타율 출루율
2006 SK 60 212 .278 59 11 0 9 34 23 2 36 .458 .382
MLB 통산
(5시즌)
95 264 .223 59 10 1 14 45 37 1 44 .428 .329
KBO 통산
(1시즌)
60 212 .278 59 11 0 9 34 23 2 36 .458 .382

4. 관련 문서



[1] 엄청난 덩치를 갖고 있음에도 웨이트 트레이닝을 한번도 한적이 없다고 한다. 큰 덩치는 집안 내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