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보수주의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이념 | 가부장적 보수주의( 레드 토리) · 내셔널리즘( 성직자 · 캐나다) · 대중주의( 트럼프주의) · 사회보수주의 · 재정보수주의( 블루 토리) | ||
연관 개념 | 경제적 자유주의 · 군주주의 · 보호무역주의 · 왕당파 · 연방제 · 작은 정부 · 캐나다 가치 | |||
현존 정당 | 연방 | 캐나다 보수당 · 캐나다 인민당 | ||
지역 | BC 연합 · 서스캐처원당 · 연합보수당 · 온타리오 진보보수당 · 유콘당 · 퀘벡미래연합 | |||
인물 | 로버트 보든 · 브라이언 멀로니 · 스티븐 하퍼 · 조던 피터슨 · 존 디펜베이커 · 존 맥도널드 경 · 콘래드 블랙 | |||
그 외 | 영국의 보수주의( 대영제국) | |||
보수주의/분파 | }}}}}}}}} |
People's Party of Canada Parti populaire du Canada |
|
한글명칭 | 캐나다 인민당 |
영어명칭 | People's Party of Canada |
프랑스어명칭 | Parti populaire du Canada |
분당 이전 | 캐나다 보수당 |
창당일 | 2018년 9월 14일 |
이념 |
보수주의 캐나다 내셔널리즘 우익대중주의 우파 자유지상주의 고전적 자유주의[1] |
정치적 스펙트럼 | 우익 ~ 극우[2] |
당 색 | 보라색[3] |
주소 |
캐나다
퀘벡주
가티노 #205–290 St-Joseph Blvd J8Y 3Y3 |
당대표 | 막심 베르니에 |
상원 의석 수 |
0석[43대] / 105석 (0%)
|
하원 의석 수 |
0석[43대] / 338석 (0%)
|
웹사이트 | 영어 사이트 프랑스어 사이트 |
[clearfix]
1. 개요
캐나다의 강경 보수, 우익 포퓰리즘 정당. 약칭은 PPC이다.2. 역사
2018년, 보수당 소속 정치인이였던 막심 베르니에가 보수당을 탈당한 후 창당했다.즉, 이 당의 창당자격인 막심 베르니에부터 알아야 이 당의 정체성이 어느정도 이해가 되는데, 그는 당시 캐나다 보수당 전당대회에서 앤드루 쉬어 후보에게 50.95% vs 49.05%라는 간발의 차이로 지고 대표 자리를 내준 인물이다. 헌데 특이한건 막심 베르니에는 이름에서부터 어렴풋이 느껴지듯 전통적으로 영어사용자(Anglophone)가 강세인 캐나다 보수당에서 프랑스어사용자(Francophone)이자 사용하는 영어의 프랑스어 액센트가 짙은 전형적인 퀘벡인이다. 이런 그가 전형적인 영어권 출신의 앤드루 쉬어를 상대로 선전한 것 자체가 드문 사례기도 했다.
이것은 막심 베르니에가 좀 더 화끈한 이미지인 반면에 앤드루 쉬어가 표면적으론 다소[6] 온건적이면서 재미가 없는(bland) 정치꾼(career politician)이라는 인식에서 일어난 것이다. 하지만 결국 보수당 지지자들은 베르니에가 당대표로 뽑히면, 당대표의 힘이 강한 캐나다 정당의 특성상, 온건파들의 지지를 잃을 것으로 인식하여 안전한 앤드루 쉬어를 뽑아줬고[7] 막심 베르니에는 갈등 끝에 탈당하게 된다.
2019년 연방 총선에선 넷상의 일부 극성 지지자들이 힘을 실어주기도 했으나, 선거 결과 참패를 면치 못하며 단지 그들의 목소리가 좀 컸을 뿐(vocal minority)이라는 비아냥만 당하고 만다. 그나마 유일하게 당선 가능성이 있던 당수 막심 베르니에도 낙선하면서 하원에서 단 한 석도 얻지 못하며 원외정당이 되었다. 득표율은 1.6%.
2020년 10월 26일 두 선거구에서 열릴 보궐 선거에 후보를 냈다. York centre엔 막심 바르니에 대표가 출마했지만 3.56% 받고 둘 다 떨어졌다.
2023년 6월 19일 열린 Portage—Lisgar 지역구의 보궐선거에 또 막심 베르니에 대표가 출마했지만 17.16% 받고 낙선했다. 사실 본인의 원래 지역구는 퀘벡인데 여기는 매니토바 주 시골이다.... 메노나이트 공동체가 있어 앨버타급의 투표 성향을 보여주는 곳이고 지난 연방 총선에서는 인민당 후보에게 무려 20%나 되는 표를 준 곳이었으나 졌잘싸도 아닌 초라한 결과를 내었다.
사실 다른 지역구는 더 처참한것이 Notre-Dame-de-Grâce—Westmount에서는 자유당 극 우세 지역임을 감안해도 3.29%는 받았던 지난 총선과 달리 0.65%라는 저조한 득표율을 기록했고 옥스포드에서는 7.36%p 하락한 3.29%를, 기록하며 전체적으로 많이 침체된 상황이다.
과거에 사용한 로고.
3. 노선
기본적으로 고전적 자유주의와 우파 자유지상주의를 표방하지만 외교적으로는 내셔널리즘과 자국민 우선주의를 추구하고 있다. 캐나다에서 발의한 Bill C-16에 강하게 반대하여 캐나다 내 좌익 진영으로부터 성소수자 혐오 정당이라고 비판받기도 한다.또한 이민에 대해서 매우 부정적인데, "Say NO to Mass Immigration(대량 이민에 반대한다고 말하라)"이라는 광고를 노바스코샤의 핼리팩스에 내걸기도 했다. 많고 많은 지역 중에서도 하필 고령화 문제로 죽어가고 있던 캐나다 대서양 연해주에서 이런 발언을 한 것부터가 현실성이 매우 떨어지는데, 저 지역은 청년 백인 인구가 지속적으로 유출되며 노인 인구를 감당 못 해서 수십년째 저성장에 시달리던 곳인데, 농반진반으로 랍스터와 노인밖에 없다는 말까지 나오는 동네에서 이민 안받으면 성장 동력을 확보할 수가 없다.
그나마 최근 들어 AIPP를 비롯해서 적극적인 주 정부 프로그램의 개방으로 이민자들을 유입시키는 정책이 빛을 봤다. 외국인 노동자들과 유학생들을 적극적으로 유치하여 인구 증가를 견인하는 것이 지표로 나타나 새로운 희망을 이제 겨우 보고 있던 지역인데 이민자 그만 받자는 광고를 내걸었으니 지역 사회로부터 큰 비난을 받았다. 연해주 4개 주들 모두 주 단독 인구수가 100만 명을 넘기는 곳이 단 한 군데도 없을 정도로[8] 쇠퇴일로를 걷다 이제서야 외국인 받아 뭘 해보려는 마당에 현실적인 성장 대안도 없이 외국인 그만 받자는 소리만 해대니 좋은 반응이 나오기 힘든 셈.
그리고 애초에 캐나다와 미국은 상황이 상당히 다르다. 미국은 3억 3천만명이 넘는 사람들이 사는 인구 대국이지만, 캐나다는 이제 인구가 3800만명을 넘어섰을 뿐이다. 심지어 국토 면적은 미국보다 더 넓은데도 말이다. 즉, 세계 2위 면적의 미개척 얼음 땅이 썩어 넘치고 사람은 여전히 부족한 나라에서 노골적인 반이민 성향을 띤다는 것 자체가 적극적인 호응을 받기 뭐한 소재다. 여담으로 인구 저밀도 시골 지역들이 반드시 국경 정책에 보수적이진 않다. 국경 정책에 있어 상당히 보수적이라는 평가를 받는 한국조차 이미 지방 공업 단지와 농촌에서는 외국인 노동자 없이 조업을 논할 수 없다는 평이 나올 정도로 고용주들이 외국인 노동자 수급에 훨씬 더 적극적인 편이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는 갑자기 정치적 올바름에 공장주나 농장주 등이 심취해서 벌어진 현상은 당연히 아니다. 노동력이 극도로 부족해지고 고령화 현상이 심각해지면 결국엔 외국인 노동자를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세계의 여러 극우 정당들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온건하다고는 해도 인민당 역시 타국의 극우정당들이 주장하는 노선의 일부 궤는 따라하고 있어보인다. 하지만 2020년 미국 대선에서 트럼프가 조 바이든에 패배함으로써 미국에서도 4년만에 접은 노선을 캐나다 인민당이 고스란히 주장하기도 뭐한 상황이다. 안그래도 보수적 정치 담론이 끗발이 잘 안먹히는 리버럴 우위 정치지형을 가진 캐나다라 상황은 더 안 좋은 편. 심지어 마지막 보수당 총리였던 스티븐 하퍼 내각 시절에도 딱히 반이민 모습을 보이진 않았는데, 이는 주류 보수 세력조차도 이민자들이 많은 캐나다 대도시에서 표 잃을까봐 이민자들 눈치를 많이 보기 때문이다. 이런 현실을 감안하면 인민당의 노선이 캐나다에서 주류로 떠오르긴 꽤나 힘들어보인다.
영어중심주의적이며, 캐나다를 영미권 문화의 국가로 정의하고 있다.
2021년 연방 총선에선 여론조사에서 거진 10%에 가까운 지지를 받는데, 이유로는 에린 오툴 신임 보수당 대표가 너무 리버럴 친화적이라는 것. 백신 접종 의무화나 낙태죄 같은 사안에서 찬성하거나 어물쩍 넘어가는 모습을 자주 보여주자 실망한 유권자들에 의해 한때 보수당이 자유당을 3%p 차로 앞섰으나 다시 역전당했다. 그래서 보수당 지지자들은 인민당에 투표하는 것을 자유당에 투표하는 것과 동급으로 좋지 않게 본다.
4. 여담
영어중심주의적 캐나다 내셔널리스트 정당이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이 당의 중앙당사는 프랑스어 강세권인 퀘벡에 위치해 있는데, 사실 막심 베르니에부터가 퀘벡 출신이고 지역구 역시 퀘벡이긴 하다. 반대로 해석하자면, 다른 캐나다 지역과 달리 프랑스 문화와 분리독립주의적 성향이 있는[9] 퀘벡이기 때문에 역으로 퀘백은 캐나다의 일부다라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당사를 퀘벡에 설치했을 수도 있다. 다만 당사가 위치한 지역을 보면 일종의 생색용 연막작전일 가능성도 있는게, 이 지역이 가티노기 때문. 가티노는 퀘벡 서부의 신흥 지역으로, 연방수도인 오타와에서 강변과 다리 하나를 경계로 다리만 건너면 도착하는(...) 사실상 오타와의 위성도시다. 즉, 퀘벡 내 최대 도시인 몬트리올이나 콩라인 퀘벡시라면 모를까 현실은 몬트리올의 위성도시인 라발보다도 인구가 적은게 가티노로 퀘벡하고 엮기엔 상징성이 떨어진다.[10]2019년 총선 당시 캐나다의 장난 정당인 코뿔소당(Rhinoceros Party)은 막심 베르니에가 출마하는 같은 지역구에 동명이인 후보자 막심 베르니에[11]를 출마시켜 화제가 되었다. 이 후보는 1.81%의 득표율를 얻어내 인민당의 전국 득표율인 1.6%보다 높은 득표율을 얻었다.(...)
[1]
"Maxime Bernier's new party stakes out classical liberal values: Don Pittis". CBC.
[2]
뉴욕 타임스,
National Observer,
토론토 스타,
The Conversation 기사. 보면 보통 중도우파 언론들은 단순 우익이라고 하고, 중도~중도좌파 언론들은 극우라고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 대중적으로도 그 정도 포지션으로 인식되고 있는데 그것은 캐나다의 정치적인 토양을 보면 알 수 있다.
[3]
정확히는 Purple navy.
[43대]
국회; 2020년 5월 28일 기준.
[43대]
국회; 2020년 5월 28일 기준.
[6]
2019년 총선 토론 때 쥐스탱 트뤼도는 앤드루 쉬어에게 '당신은 막심 베르니에가 대놓고 막말하는 것들을 대놓고 말하지는 않지만 속으론 믿고 있죠?'라고 하였다. 이는 앤드루 쉬어가 정치 경력 초반에 동성결혼을 반대하는 발언과 투표를 하는 등 온건적이지 않은 행보를 보인 것에 기인한 것이다. 요즘 캐나다에선 웬만한 우파 정치인들도 동성결혼 합법 문제는 이미 결정된 것(fait accompli)으로 치부하여 거론하지 않는 추세다.
[7]
캐나다 보수당이 스티븐 하퍼 이후 총리감 후보를 딱히 내지 못하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반대로 상대 진영의 쥐스탱 트뤼도 총리는 20세기 명총리였던 피에르 트뤼도의 아들이고 말빨도 괜찮은데다 외모도 멀끔해서 스타성이 있다.
[8]
이 일대 최대도시라는
핼리팩스시조차도 위성도시권까지 영혼을 끌어모아서 겨우 40만 명 대에 불과하다. 중서부의 깡촌 소리 듣는
서스캐처원이나
매니토바 주조차도 주 인구가 모두 100만명을 가볍게 넘는걸 보면... 오죽하면 인구 15만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주의 경우 아무리 캐나다 연방의 역사적 장소였다 해도 이런 깡촌에 아직도 Province(주) 지위를 유지시켜 줘야 하냐는 비아냥까지 나올 정도이다.
[9]
물론 가능성이 크진 않다. 퀘벡 역시 지금은 기타 문화권 사람들이 제법 들어와 있어 완전한 프랑스권이라고 보긴 좀 애매하기 때문. 독립해도 퀘벡이라는 나라가 되는 거지 프랑스 땅이 되는 건 아니다. 상당수 퀘벡 사람들은 프랑스와도 이질감을 느낀다.
[10]
현지인들 사이에서도 가티노는 오타와 연방수도권에 묻어가는, 퀘벡과 온타리오 그 중간의 무언가(?)라는 상당히 애매모호한 정체성을 지닌 곳으로 본다. 좋게 보자면 연방과 퀘벡인들간의 화합의 장으로서 성공한 모델 케이스지만 나쁘게 보자면 반쯤 집 나간 아이 취급이다. 실제로도 다리 건너 오타와로 통근하는 인구가 굉장히 많고 영어 구사자의 비율도 높으며 영어를 배우는 데에도 거부감이 다른 지역에 비해 현저히 덜하다. 이 때문에 주 경제의 전통적인 기반인 동부 퀘벡인들의 관점에서 볼 때는 상당히 이질적인 도시이다.
[11]
철자도 "Maxime Bernier"로 일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