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7-24 17:52:58

초계함/국가별 생산 동향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초계함
세계의 군함 생산 동향
초계함/국가별 생산 동향 호위함/국가별 생산 동향 구축함/국가별 생산 동향

1. 개요2. 아시아의 초계함 생산
2.1. 동아시아 3국의 초계함 생산2.2. 동남아시아 5국의 초계함 생산: 인도네시아, 태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베트남2.3. 남아시아 3국의 초계함 생산
3. 유럽의 초계함 생산
3.1. 서유럽, 남유럽 5국의 초계함 생산3.2. 북유럽, 중부유럽, 동유럽 5국의 초계함 생산
4. 중동
4.1. 북아프리카, 서아시아 8국의 초계함 생산
5. 관련 항목

1. 개요

2014년 기준으로 초계함을 가잔 많이 생산하고 있는 국가는 중국이다. 초계함은 군함 중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고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생산하는 국가도 보유한 국가도 가장 많은 함급이다.

2. 아시아의 초계함 생산[1]

2.1. 동아시아 3국의 초계함 생산

2008년 이후, 한중일 3국의 초계함 진수 ( 배수량: 만재기준)
시기 대한민국 일본 중국
2012년 5월 蚌埠/Bengbu( 장다오급; 056형 초계함; 1,440 톤)
2012년 6월 惠州/Huizhou( 장다오급; 056형 초계함; 1,440 톤)
2012년 7월 梅州/Meizhou( 장다오급; 056형 초계함; 1,440 톤)
2012년 8월 大同/Datong( 장다오급; 056형 초계함; 1,440 톤)
上饶/Shangrao( 장다오급; 056형 초계함; 1,440 톤)
钦州/Qinzhou( 장다오급; 056형 초계함; 1,440 톤)
2012년 10월 百色/Baise( 장다오급; 056형 초계함; 1,440 톤)
2012년 11월 营口/Yingkou( 장다오급; 056형 초계함; 1,440 톤)
2013년 1월 揭阳/Jieyang( 장다오급; 056형 초계함; 1,440 톤)
2013년 2월 吉安/Ji'an( 장다오급; 056형 초계함; 1,440 톤)
2013년 5월 清远/Qingyuan( 장다오급; 056형 초계함; 1,440 톤)
2013년 6월 泉州/Quanzhou( 장다오급; 056형 초계함; 1,440 톤)
2013년 7월 泸州/Luzhou( 장다오급; 056형 초계함; 1,440 톤)
2013년 8월 威海/Weihai( 장다오급; 056형 초계함; 1,440 톤)
抚顺/Fushun( 장다오급; 056형 초계함; 1,440 톤)
2013년 11월 미정( 장다오급; 056형 초계함; 1,440 톤)
宿迁/Suqian( 장다오급; 056형 초계함; 1,440 톤)
미정/( 장다오급; 056형 초계함; 1,440 톤)
2014년 5월 미정( 장다오급; 056형 초계함; 1,440 톤)
2014년 6월 미정( 장다오급; 056형 초계함; 1,440 톤)
미정( 장다오급; 056형 초계함; 1,440 톤)
2014년 7월 미정( 장다오급; 056형 초계함; 1,440 톤)

2.2. 동남아시아 5국의 초계함 생산: 인도네시아, 태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베트남

2008년 이후, 동남아시아 5국의 초계함 진수/인수 ( 배수량: 만재기준)
시기 인도네시아 태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베트남
2008년 6월 Frans Kaisiepo( 시그마급 9113; 1,692 톤)
2011년 12월 Krabi( 리버급 원양초계함[2]; 1,700 톤)
2014년 7월 John Lie( 붕 또모급 초계함[3]; 1,940 톤)
Bung Tomo( 붕 또모급 초계함; 1,940 톤)

2.3. 남아시아 3국의 초계함 생산

2008년 이후, 남아시아 5국의 초계함 진수/인수 ( 배수량: 만재기준)
시기 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2009년 3월 Saryu( 사리우급 원양초계함[4]; 2,300 톤)
2009년 11월 Sunayna( 사리우급 원양초계함; 2,300 톤)
2010년 4월 Kamorta( 카몰타급 초계함; 3,400 톤)
2010년 12월 Sumitra( 사리우급 원양초계함; 2,300 톤)
2011년 5월 Sumedha( 사리우급 원양초계함; 2,300 톤)
2011년 10월 Kamorta( 카몰타급 초계함; 3,400 톤)
2012년 8월 Durjoy(Durjoy급 초계함; 650 톤)[5]
2012년 9월 Nirmul(Durjoy급 초계함; 650 톤)
2012년 10월 Padma( 파드마급 원양초계함[6]; 350 톤)
2013년 1월 Surma( 파드마급 원양초계함; 350 톤)
2013년 3월 Kamorta( 카몰타급 초계함; 3,400 톤)
2013년 12월 인도받음 Aparajeya( 파드마급 원양초계함; 350 톤)
2013년 12월 인도받음 Adamya( 파드마급 원양초계함; 350 톤)
2013년 12월 인도받음 Atandra( 파드마급 원양초계함; 350 톤)

3. 유럽의 초계함 생산

3.1. 서유럽, 남유럽 5국의 초계함 생산

2008년 이후, 서유럽, 남유럽, 5국의 초계함 진수 ( 배수량: 만재기준)
시기 영국 프랑스 네덜란드 스페인 이탈리아
2009년 10월 Meteoro( 메테오로급; 2,500 톤)
2010년 2월 Holland( 홀란트급 원양초계함[7]; 3,750 톤)
2010년 5월 Rayo( 메테오로급; 2,500 톤)
2010년 10월 Relámpago( 메테오로급; 2,500 톤)
2010년 11월 Zeeland( 홀란트급 원양초계함; 3,750 톤)
Friesland( 홀란트급 원양초계함; 3,750 톤)
2011년 3월 Tornado( 메테오로급; 2,500 톤)
2011년 4월 Groningen( 홀란트급 원양초계함; 3,750 톤)
2011년 6월 L'Adroit( 고윈드급; 1,450 톤)

3.2. 북유럽, 중부유럽, 동유럽 5국의 초계함 생산

2008년 이후, 북유럽, 중부유럽, 동유럽 5국의 초계함 진수 ( 배수량: 만재기준)
시기 노르웨이 덴마크 스웨덴 독일 러시아
2010년 3월 Soobrazitelnyy( 스테레구시급; 2,220 톤)
2011년 4월 Boikiy( 스테레구시급; 2,220 톤)
2011년 5월 Volgodonsk( 부얀급; 기준 550 톤)
2012년 4월 Mahachkala( 부얀급; 기준 550 톤)
2012년 5월 Stoikiy( 스테레구시급; 2,220 톤)
2013년 3월 Grad Sviyazhsk( 부얀-M급; 949 톤)
2013년 4월 Uglich( 부얀-M급; 949 톤)
2014년 5월 Veliki Ustyug( 부얀-M급; 949 톤)

4. 중동

4.1. 북아프리카, 서아시아 8국의 초계함 생산

2008년 이후, 북아프리카, 서아시아 8국의 초계함 진수 ( 배수량: 만재기준)
시기 모로코 알제리 이집트 이스라엘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이란 터키
2008년 9월 Heybeliada( 아다급[8]; 2,400톤)
2010년 7월 Tarik Ben Ziyad( 시그마급 9813; 2,075톤)
2010년 8월 Bir Anzaran( OPV-70[9]; 800톤)
2011년 2월 Sultan Moulay Ismail( 시그마급 9813; 2,075톤)
2011년 9월 Büyükada( 아다급; 2,400톤)
2011년 10월 Allal Ben Abdellah( 시그마급 10513; 2,335톤)

5. 관련 항목


[1] 서아시아 제외 [2] http://en.wikipedia.org/wiki/River-class_patrol_vessel [3] http://en.wikipedia.org/wiki/Nakhoda_Ragam_class_corvette [4] http://en.wikipedia.org/wiki/Saryu-class_patrol_vessel [5] http://en.wikipedia.org/wiki/Durjoy-class_corvette [6] http://en.wikipedia.org/wiki/Padma-class_patrol_vessel [7] https://en.wikipedia.org/wiki/Holland-class_offshore_patrol_vessels [8] http://en.wikipedia.org/wiki/MILGEM_project [9] http://en.wikipedia.org/wiki/OPV-70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