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한성부 | ||||
경모궁 | 계동궁 | 남별궁 | 누동궁 | 도정궁 | |
명례궁 | 사동궁 | 선희궁 | 수진궁 | 순화궁 | |
안동별궁 | 어의궁 | 연희궁 | 영수궁 | 영희전 | |
용동궁 | 운현궁 | 이현궁 | 인경궁 | 인덕궁 | |
자수궁 | 죽동궁 | 창성궁 | 창의궁 | 칠궁 | |
태화궁 | |||||
경기도 | |||||
강화행궁 | 개성행궁 | 경덕궁 | 남한산성 행궁 | 낙생행궁 | |
낙천이궁 | 노량행궁 | 목청전 | 수원행궁 | 수창궁 | |
시흥행궁 | 안산행궁 | 안양행궁 | 양주행궁 | 용흥궁 | |
월미행궁 | 이천행궁 | 이태조 행궁 | 진위행궁 | 통진행궁 | |
파주행궁 | 풍덕행궁 | 풍양궁 | 포천이궁 | 화성행궁 | |
충청도 | |||||
노은리 행궁 | 목천행궁 | 보은행궁 | 신도안 대궐 | 온양행궁 | |
전의행궁 | 직산행궁 | 초정행궁 | 천안행궁 | ||
전라도 | |||||
격포행궁 | 경기전 | 무풍 명례궁 | 전주행궁 | 보길도 행궁 | |
경상도 | |||||
집경전 | |||||
평안도 | |||||
영변행궁 | 영숭전 | 영유행궁 | 의주행궁 | 평양행궁 | |
풍경궁 | |||||
황해도 | |||||
배천행궁 | 평산행궁 | 해주행궁 | |||
강원도 | |||||
고성행궁 | 분수령 행궁 | 상원사 행궁 | 춘천이궁 | ||
함경도 | |||||
영흥본궁 | 함흥본궁 | ||||
행정구역은 조선시대 당시 기준 | }}}}}}}}} |
조선의 별궁 창의궁 彰義宮 |
||
|
||
<colbgcolor=#bf1400> 위성사진으로 본 창의궁 터 현재 자리 | ||
위치 |
한성부 북부 순화방 ( 서울특별시 종로구 효자로 19 일대[1]) |
|
설립시기 | 1712년 | |
해체시기 | 1907년 |
|
<colbgcolor=#bf1400> 창의궁 배치도 |
[clearfix]
1. 개요
조선 시대의 별궁. 영조가 연잉군이던 시절 살던 잠저(潛邸)로서 정빈 이씨와의 사이에서 화억옹주, 효장세자, 화순옹주가 태어난 집이며, 말년의 숙빈 최씨가 궁에서 나와 살던 곳이기도 하다.원래 이 곳은 효종의 4녀 숙휘공주의 남편 인평위 정제현의 옛 집이었는데 숙종이 매입해 4남 연잉군(훗날의 영조)에게 준 것이다. 숙종은 건물 한 채의 이름을 양성헌(養性軒)이라 짓고 시까지 지어 현판으로 걸어 아들에 대한 사랑을 전했다.[2]
1721년( 경종 1년) 연잉군이 왕세제가 되어 궁궐에 들어와 살면서 기존의 연잉군 사저는 동궁 소속 궁가가 되었고, 이름도 근처의 '창의문(彰義門)[3]'에서 딴 '창의궁(彰義宮)'으로 바뀌었다. 영조는 즉위 후 창의궁 정당(正堂)에 '건구고궁(乾九古宮)'이란 현판을 걸었다. 《건구공궁 소지(小識)》에 따르면 건구(乾九)는 《 주역》에서 온 말로, 승천하지 않고 숨어있는 용, 잠룡을 뜻한다. 즉, 왕이 되기 전의 자신을 투영해 쓴 것이다.
|
<colbgcolor=#bf1400> '건구고궁(乾九古宮)' 현판[4] |
정조도 사도세자의 초상화를 이곳에 수용하면서 주기적으로 참배하였고 가끔 머물면서 전교를 내리기도 했다. 순조 때는 일찍 죽은 효명세자의 사당도 두었다.
고종 때까지 존재하다가 1908년( 융희 2년) 일제에게 헐려 사라졌다. 그리고 창의궁 자리에는 동양척식주식회사의 사택이 세워졌다. 8.15 광복 이후 적산(敵産)으로 분류된 뒤 재분할되어 주택가가 들어서있다.
2. 기타
<colbgcolor=#bf1400> 창의궁 터 근처의 백송 |
<colbgcolor=#bf1400> 창의궁 터 알림표지석 |
- 더 많은 다른 자료는 이 곳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