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15 19:52:45

직할부대

1. 개요2. 상세3. 근무환경

1. 개요

直轄部隊.

군대의 편제단위로 상급부대가 직접 관할[1]하는 부대를 말한다. 다만 부대 특성이나 지리적 여건에 따라 다른 부대랑 붙어있을 수도, 떨어져 있을 수도 있다.

2. 상세

우선 사령부최소 단위 연대다. 그래서 각 전투 연대들은 자신만의 지휘권을 행사할 수 있기에 상급 부대의 명령을 수행하되, 직할대는 아니다. 그리고 이 연대에는 중대급의 본부, 수색,[2] 의무, 통신, 지원, 수송대 등의 직할대가 있으며, 이들은 연대 예하 대대들을 지원할 의무가 있으므로 때때로 구성원 일부를 파견 또는 배속시키기도 한다.

여단의 경우 연대보다 큰 규모라 연대급보다 한두단계 높은 에서 대대급 부대들이 직할 편성된다.

사단의 경우 본부근무대, 수색대대, 군사경찰대, 정보통신대대, 보충중대, 의무대, 방공중대, 화생방지원대, 보급수송대대, 정비대대, 공병대대, 전차대대[3] 등을 예하 연대와 여단들을 위한 직할대로 거느리고 있다. [4]

군단 역시 예하 사단들을 지원시키고자 본부근무대, 정보통신단, 경비연대, 특공연대, 지상정찰중대, 전차대대,[5] 방공대대, 화생방대대, 보충중대 등을 직할대로, 공병 및 포병 여단 등을 예하로 거느리고 있다. 제2작전사령부는 예하에 군단이 없기 때문에 이런 직할부대들이 사령부 직속으로 존재한다.

그리고 이런 직할대가 극단적으로 커진 곳이 바로 계룡대로, 근무지원 예하에 지원연대가 위치한다.

본부근무대 근무지원단은 참모부서의 개념이던 본부사령실을 직할부대의 개념으로 개편해서 만들어진 것이다. 그래서 간부 비중이 높고, 병 편제의 경우 행정병이 대다수이다.

3. 근무환경

직할대에서 복무하게 될 경우 편한 점도 있고 나쁜 점도 있다. 전투근무지원 성향에 가까울수록 부대가 후방, 즉 군(읍)내나 시내에 가깝게 위치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빠르게 시내로 가서 놀 수 있지만 사령부에서 행사가 벌어지면 100% 차출되고 상급 부대로 갈수록 제식, 군기에 엄청나게 신경을 쓰기에 힘들어지게 된다. 특히 높으신 분들이 많은 곳에서의 국기게양식은 군에 깔려 있는 병영부조리가 한데 응축된 경우라 한순간의 실수가 내리갈굼과 군기훈련으로 이어질 수 있다.


[1] 요즘은 잘 쓰이지 않아 생소할 수도 있지만, 1980~1990년대까지만 해도 광역시들은 직할시라고 불렀다. 이 들은 상급기관이 도청이 아니라, 내무부 직할이어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 [2] 다만 대한민국 국군을 기준으로 육군의 경우에는 육군 수색대, 해병대의 경우에는 해병대 수색대. 또한 대한민국 육군의 후방 지역방위사단은 기동대가 편성된다. [3] 다만 2010년대까진 보병사단들은 대개 중대 편제였다. 하지만 화력 증강 차원에서 군단 전차대대의 전차와 병력들을 예하 사단들로 보내 대대급으로 증편 혹은 그대로 예속시켜 이 이후론 보병사단들도 대대급으로 증편되었다. [4] 예외로 신병교육대의 경우 지역방위사단과 제1보병사단, 제9보병사단은 사단 직속이며 나머지 보병사단(제2보병사단, 제23보병사단, 제27보병사단은 사단 해체, 제22보병사단은 신병교육대만 해체)은 보병여단의 1개 대대이다. 한 때 있었던 기계화보병사단, 제22보병사단, (구)제23보병사단에도 신병교육대가 사단 직속이었다. [5] 2010년 이후 일선 사단의 화력 증강을 위해 전차대대 상당수를 해체했고, 이후 기계화보병사단 역시 개편을 통해서 상당수를 해체하고, 기갑여단으로 대체했다. (첨언하면 기갑여단은 군단 예하이긴 해도 자체 사령부가 있어 직할대가 아니다.) 일례로 제3군단의 경우 전차들을 일선으로 내려보내기 위해 제2전차대대를 해체한 상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