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6 11:00:17

지티엑스운정역

지티운정역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운정역에 대한 내용은 운정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지티엑스운정역[1]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시종착 GTX-A
(X101)

미개통
동탄 방면
킨텍스

6.7 km →
역명 표기
GTX-A 지티엑스운정
GTX Unjeong
GTX雲井 / GTX云井 / GTX[ruby(雲井, ruby=ウンジョン)]
주소
경기도 파주시 동패동 409-1
운영 기관
GTX-A 지티엑스에이운영(주)
개업일
GTX-A 2024년 12월 예정
역사 구조
지하 7층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운정기지 방면
운정기지

← 4.0 ㎞[추정]
GTX-A
차량인입선

지티엑스운정

(공사중)
기점

파일:GTX 운정역.png
파일:station_a01.jpg
파일:station_a02.jpg
GTX 운정역 조감도.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
3.1. 주변 개발현황
4. 승강장5. 일평균 승차량6. 연계 교통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GTX A선 X101번. 경기도 파주시 운정신도시 내에 건설될 역이다. 기존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운정역과는 다른 별개의 역이고, 위치도 서로 정반대편이다.[3] 따라서 노선도에서도 "지티엑스운정역"으로 표기한다.

2. 역 정보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은 본래 킨텍스역까지만 지어질 예정이었으나, 파주시 운정신도시 주민과 파주시청 및 윤후덕 국회의원의 요구로 운정 연장이 별도로 논의되었는데, 예비타당성 조사를 1회 탈락하고 2017년 11월 8일에 B/C 1.11로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 현재 공사 중이며 2024년 12월 개통 예정이다.

교하나 운정의 오랜 숙원이었던 지하철역이 드디어 생김으로서, 주민들은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지티엑스운정역이 생길 곳은 교하지구와 인접한 위치인데, 이 지역에 살던 사람들이 지하철을 타려면 버스를 타고 20분 정도를 가서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운정역이나 수도권 전철 3호선 대화역으로 가야만 했기 때문이다. 버스 노선 사정이 꽤 괜찮아서 버스 보기가 귀한 지역은 아니지만, 그래도 도보권에 지하철역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은 큰 차이가 있는 노릇이라 대체적으로 환영하는 분위기.

물론 지하철역의 입성은 역세권의 이유로 환영하나, 그 사이에서 일어난 잡음이 아예 없던 것은 아니었다. 지티엑스운정역과 차량기지를 잇는 선로가 교하 거주단지 인근 열병합발전소의 지하를 지난다는 이유로 폭발이나 지반침식 등의 위험성이 있다고 판단한 열병합발전소 주변 아파트 주민들이 모여 집회를 열 정도로 꽤나 큰 갈등이 있었던 전적이 있다.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역들 중 가장 지면에 가까운 역사다. 또한 파주시의 최초의 지하역이기도 하다.

GTX A 노선에서 4개뿐인[4] 비환승역이며, GTX A~C노선이 모두 개통하면 GTX 노선의 모든 역 중에서 앞으로도 환승역이 될 예정이 없는 유일한 역이다. 원래는 파주시에서 자체적으로 추진하는 파주 경전철 동서선( 파주출판도시~ 경의선 운정역~봉일천)이 GTX 운정역 자리를 거칠 예정이었는데, 파주 경전철 계획이 운정신도시 개발 이전인 2006년 무산됐다. GTX 운정역은 파주 경전철 계획이 부활하지 않는 한 계속해서 단일역으로 남게 될 것이다.

2021년 5월 28일, 최종환 파주시장은 운정역을 복합 환승센터로 개발할 의향이라고 밝혔다. # 2024년 기준 공사중이며 연말까지 역과 동시 개통 예정이다. #

3. 역 주변 정보

이 역을 중심으로 운정3지구의 중심상업지구가 들어오게 되며,상·하·좌측으로는 운정3지구 우측으로는 운정 1·2지구가 있다.

연다산동 755에 운정차량사업소가 설치될 예정이다.

3.1. 주변 개발현황

  • 운정 테크노밸리 - GTX-A 차량기지 인근에 2026년까지 조성을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연다산동 일원에 47만㎡ 규모로 첨단·지식 산업 단지가 들어선다. 91개의 업체에 약 5,000여 명의 고용 창출 효과를 기대한다.
  • 파주 ​메디컬 클러스터 - 파주 메디컬 클러스터는 2022년 기준 경기도청 도시 계획 심의를 통과했다. GTX-A 운정역과 역세권으로 연계된다. 운정3지구 남서향에 위치한 서패동 일원(운정3지구 A34 블록 아래) 에 45만㎡ 부지에 총 사업비 1조 5천억원을 투입하여 조성한다. 주요시설로는 다음과 같다. 종합의료시설로 아주대학교 파주병원(경기도 서북부 거점병원 500병상 이상 규모)[5], 국립암센터 혁신의료센터(연구시설 등)[6], 의료바이오 R&D 센터, 바이오융복합 단지(바이오랩) 등이 순차적으로 들어선다. 파주시는 국립암센터, 아주대학교 파주병원, 의료바이오 R&D 센터, 바이오융복합 단지(바이오랩)을 연계한 세계적인 수준의 의료 및 바이오클러스터 조성을 목표하고 있다. 클러스터 조성으로 500병상 이상 규모의 아주대학교 병원을 짓기 위해 파주시가 직접 병원에 부지를 제공하는 방안과 병원 건립비용을 지원하는 방안을 제안했고 협의 중이다.
  • 롯데 세븐페스타 - 롯데 세븐페스타는 운정 신도시 설립 초기에 롯데 프리미엄 아울렛 옆 부지(문발동 일대 30만 2000㎡, 파주 출판단지 - 운정 3지구 사이)에 추진되다가 현재 장기간 표류 중이다. 2020년 이후 개발 재검토 진행 중이나, 구체적인 추진 계획은 아직 밝혀진 바 없다.

4. 승강장

↑ 종착역/ 운정기지
2 1
킨텍스
1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대곡· 서울· 수서· 동탄 방면
2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당역종착

5. 일평균 승차량

6. 연계 교통

파주시 GTX-A 연계 버스 노선 개편안에 따르면 운정역을 지나게 될 노선은 다음과 같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075}}} : 야당역 ↔ GTX 운정역 ↔ 초롱꽃마을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076}}} : 야당역 ↔ GTX 운정역 ↔ 해오름마을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077}}} : 경의·중앙선 운정역 ↔ 별하람마을 ↔ 운정행복센터 ↔ GTX 운정역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081}}} : 야당역 ↔ GTX 운정역 ↔ 초롱꽃마을 3단지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082}}} : 야당역 ↔ 새암공원 ↔ 동패고 ↔ GTX 운정역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089}}} : 조리 ↔ GTX 운정역 ↔ 교하중심상가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신설}}} : GTX 운정역 ↔ 경의·중앙선 운정역 ↔ 야당역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신설}}} : GTX 운정역 ↔ 해오름마을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신설}}} : 적성 ↔ 파평 ↔ GTX 운정역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신설}}} : 법원 ↔ 광탄 ↔ GTX 운정역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5em"
3400}}} : 가람마을 ↔ GTX 운정역 ↔ 공덕역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5em"
7101}}} : 금촌 ↔ GTX 운정역 ↔ 혜화역

연천군도 연천과 GTX 운정역을 잇는 직행좌석버스를 운행할 예정이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5em"
2200}}} : 연천 ↔ 전곡 ↔ GTX 운정역

7. 둘러보기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9a6292>
명칭 미고시
''' '''
''' ''' }}}}}}}}}
타 노선의 역 둘러보기

파일:파주시 CI_White.svg 파주시의 교통
{{{#!wiki style="margin: 0 -10px"
{{{#003896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철도 파일:GJLine_icon.svg 야당 · 운정 · 금릉 · 금촌 · 월롱 · 파주 · 문산 · 운천 · 임진강 · 도라산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지티엑스운정
도로 고속도로 평택파주 · 수도권제2순환
국도 1( 통일로) · 37( 율곡로) · 77( 자유로)
버스 버스노선 광역급행버스 직행좌석버스 일반시내버스 마을버스
버스터미널 문산고속버스정류소(문산공용) · 금촌고속버스정류소 · 운정고속버스정류소
공유이동수단 deer, SWING, 씽씽, 킥고잉, 일레클
경기도의 교통
}}}}}}}}}}}} ||



[1] 2023년 제1회 파주시 지명위원회 개최 결과. 서울교통공사, 한국철도공사의 차량/역사 내 노선도에도 지티엑스운정이라는 역명으로 표기되었다. GTX-A 차량 내 LCD 노선도에서는 GTX-A 운정으로 안내한다. [추정] 네이버 지도로 측정한 추정 거리. 실제와는 다를 수 있음. [3] 경의중앙선 운정역과 지티엑스운정역은 직선거리 기준 3.5km 정도 떨어져 있다. 소재 행정동도 GTX는 운정6동(동패동), 경의중앙선은 운정4동(야당동)이다. [4] 나머지 셋은 킨텍스역, 창릉역, 동탄역인데, 이 중 동탄역은 이미 동탄인덕원선이 건설 중이고, 나머지 두 역들마저 미래에는 환승역이 될 예정에 있다. [5] '27; 착공 예정. [6] 22; 건축설계 '24; 공사착공 '25 건물 준공 및 입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