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31 06:11:51

제29신병교육연대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상징명칭(광개토)이 같은 부대에 대한 내용은 광개토부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다른 29연대에 대한 내용은 제29연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육군본부 직할부대
사령부 예하 부대 예하 연대
<colbgcolor=#009600> 교육사 육군훈련소 제23신병교육연대 · 제25신병교육연대 · 제26신병교육연대 · 제27신병교육연대 · 제28신병교육연대 · 제29신병교육연대 · 제30신병교육연대
군수교
수송교육단
제1수송교육연대 · 제2수송교육연대 · 제3수송교육연대
육군과학화전투훈련단 전문대항군연대
{{{-2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연대 · 연대 | 해체된 독립연대 · 해체된 연대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육군훈련소 부대마크.svg 파일:육군훈련소 부대마크.svg 파일:육군훈련소 부대마크.svg 파일:육군훈련소 부대마크.svg
제23신병교육연대 제25신병교육연대 제26신병교육연대 제27신병교육연대
파일:육군훈련소 부대마크.svg 파일:육군훈련소 부대마크.svg 파일:육군훈련소 부대마크.svg
제28신병교육연대 제29신병교육연대 제30신병교육연대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연대 · 연대 | 해체된 독립연대 · 해체된 연대
}}}}}}}}} ||
제29신병교육연대
第29新兵敎育聯隊
The 29th Recruit Training Regiment
파일:육군훈련소 부대마크.svg
개교일 <colbgcolor=white,#191919> 0000년 00월 00일
별칭 광개토부대
소속 대한민국 육군
상급부대 육군훈련소
종류 훈련소
규모 연대
역할 선진강군 및 강인한 육군 병사 육성
연대장 대령 000(육사 00기)
위치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진등길 47[1]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소개3. 편제
3.1. 연대직할대3.2. 제1교육대3.3. 제2교육대3.4. 제3교육대
4. 출신인물
4.1. 연대장4.2. 장교/부사관4.3. 병
5. 수료인물6. 사건사고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육군 육군훈련소 예하 제29신병교육연대. 별칭은 광개토부대. 충청남도 논산시에 위치하고 있다.

2. 소개

연대장 대령이며 각 신병교육연대의 교육대장은 소령이, 예하 교육중대의 중대장은 대위가 맡으나, 야전 부대와는 달리 예외적으로 상사~원사 급의 부사관이 맡는 경우도 많다. 각 교육소대 소대장은 전원이 훈련부사관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야전에서처럼 소위가 소대장을 맡는 일은 없다.

2020년 기준 육군훈련소 예하 신병교육연대 중 단 둘 밖에 없는 신막사 건물을 사용하는 연대다.[2] 덕분에 구막사에 비해 기본적인 생활면에서 쾌적한 편. 당장 복도나 생활관 넓이도 구막사에 비해 넓으며, 샤워시설이나 화장실, 세탁실 같은 부대시설도 비교적 깔끔하고 제대로 정비가 되어 있다.[3]

훈련소의 입구인 연무문 바로 옆에 위치해있으며, 덕분에 예하장병들이 출타를 나갈 때 편리하다는 점이 장점이다. 단, 입구가 가까운 것과 반대로 훈련 교장으로부터의 거리는 가장 먼 축에 속하며, 대부분의 교장으로 이동할 때 타연대에 비해 적게는 5분에서 많게는 20분까지 시간이 더 걸린다.

기존엔 현역병만 기초군사훈련을 실시했으나, 2022년 3월 입영한 훈련병들을 시작으로 보충역 기초군사훈련도 실시하고 있다. 보충역의 경우 3교육대로 편성됐으나 2023년 8월 31일 입영 훈련병은 1교육대로 편성되는 등 유동적일 수 있다.

3. 편제

3.1. 연대직할대

  • 본부중대

3.2. 제1교육대

  • 제1중대
  • 제2중대
  • 제3중대
  • 제4중대

3.3. 제2교육대

  • 제5중대
  • 제6중대
  • 제7중대
  • 제8중대

3.4. 제3교육대

  • 제9중대
  • 제10중대
  • 제11중대
  • 제12중대

4. 출신인물

4.1. 연대장

볼드체 대장 진급이 된 연대장.
역대 제29신병교육연대장
역대 이름 계급 임관 비고 기타
초대 000 예) 대령 육사 00기 연대장
00대 엄옥순 예) 대령 여군 24기 연대장 [4]
00대 이철우 대령 학군 27기 연대장
00대 000 대령 육사 00기 연대장

4.2. 장교/부사관

4.3.

5. 수료인물

6. 사건사고



[1] 단, 훈련병에게 손편지나 소포를 보낼 때는 "(우편번호 33011) 충남 논산시 연무읍 득안대로 504 사서함 76-13호 29연대 0교육대 00중대 0소대 0분대 000번 훈련병 000"으로 적어야 한다. [2] 그 외에 신막사를 사용하는 연대는 제28신병교육연대. [3] 변소의 경우 한 때는 화변기(변기 양 옆에 발판이 있으며 볼밸브식이었다)에 조적벽 칸막이었으나 지금은 큐비클 칸막이에 양변기다. [4] 창군이래 최초의 여성 보병 연대장 [5] 3교육대 9중대에서 중대장 훈련병으로 훈련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