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6px -10px" | <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2282b9> |
KBS 성우극회 소속 성우 |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2282b9><colcolor=#fff><rowcolor=#fff> 기수 및 연도 | 성우 | ||||
특기 (1948) |
남 |
|
||||
여 |
|
|||||
제1기 (1954) |
남 |
김수일, |
||||
여 |
고은정,
김소원, |
|||||
1955 | 남 |
|
||||
여 |
|
|||||
제2기 (1956) |
남 |
|
||||
여 |
|
|||||
1957 | 남 |
|
||||
여 |
|
|||||
제3기 (1958) |
남 |
|
||||
여 |
|
|||||
1960 | 남 |
|
||||
여 |
|
|||||
제4기 (1961) |
남 |
|
||||
여 |
|
|||||
제5기 (1961) |
남 |
|
||||
제6기 (1962) |
여 |
|
||||
1963 | 남 |
|
||||
여 |
|
|||||
제7기 (1964) |
남 |
김종성, |
||||
여 |
|
|||||
제8기 (1965) |
남 |
|
||||
여 | 정민희 | |||||
1966 | 남 |
|
||||
여 |
박영남, |
|||||
제9기 (1967) |
남 |
|
||||
여 |
김순환, |
|||||
제10기 (1968) |
남 |
|
||||
여 |
|
|||||
제11기 (1969) |
남 |
|
||||
여 |
|
|||||
제12기 (1970) |
남 |
김규식,
김세한, |
||||
여 | 김정미, 손정아 | |||||
제13기 (1971) |
남 |
김도현, |
||||
여 |
강연숙, |
|||||
제14기 (1972) |
남 |
|
||||
여 |
|
|||||
1973 | 남 |
|
||||
여 |
김민,
박은숙, |
|||||
1975 | 남 |
|
||||
여 |
|
|||||
1976 | 남 |
설영범, |
||||
여 |
|
|||||
제15기 (1977) |
남 |
|
||||
여 |
강미형,
고선형, |
|||||
1978 | 남 |
|
||||
여 |
|
|||||
1979 | 남 |
|
||||
여 |
강희선, |
|||||
제16기 (1980) |
남 | 김창주, 신흥철, 유제상, 이호인 | ||||
여 |
서미옥,
이연희, |
|||||
제17기 (1982) |
남 |
|
||||
여 |
|
|||||
제18기 (1983) |
남 |
강구한, |
||||
여 |
|
|||||
제19기 (1984) |
남 |
김태웅, |
||||
여 |
|
|||||
제20기 (1986) |
남 |
박규웅, |
||||
여 |
|
|||||
제21기 (1988) |
남 |
강수진, |
||||
여 |
문일옥,
송덕희, |
|||||
제22기 (1990) |
남 |
|
||||
여 |
김순영, |
|||||
제23기 (1992) |
남 |
구자형, |
||||
여 |
권성은,
김지민,
김희선, |
|||||
제24기 (1994) |
남 | 김영진, 박정민, 성수경, 이주원 | ||||
여 |
김수진,
김진주, |
|||||
제25기 (1995) |
남 |
|
||||
여 | 구민선, 은영선, 임미진 | |||||
제26기 (1997) |
남 | 류다무현, 변영희, 원호섭, 유동균, 이장원, 임진응 | ||||
여 |
김상현,
오길경,
은미,
이명원, |
|||||
제27기 (1999) |
남 | 사성웅, 안용욱, 양석정, 윤세웅, 이규석 | ||||
여 | 김지혜, 민지, 소연, 신소윤, 이현주 | |||||
제28기 (2000) |
남 | 고재균, 김래환, 변현우, 임채헌, 위훈, 최정호 | ||||
여 |
|
|||||
제29기 (2002) |
남 |
박찬희,
신찬혁, |
||||
여 | 김희영, 나지형, 송정희, 이미향, 임주현, 전숙경 | |||||
제30기 (2003) |
남 | 곽윤상, 김대중, 손정성, 이광수, 진웅, 최창석 | ||||
여 | 권연희, 서지연, 안영아, 유지원, 은정, 최하나 | |||||
제31기 (2005) |
남 | 박영재, 방우호, 심승한, 이지환, 주재규, 차진욱 | ||||
여 |
박지윤, |
|||||
제32기 (2006) |
남 |
|
||||
여 | 강유경, 김희진, 박희은, 안소이, 전지원, 전진아 | |||||
제33기 (2008) |
남 | 김목용, 김태영, 이문희, 전승화, 정성훈, 조규준 | ||||
여 | 강보라, 배진홍, 안찬이, 양유진, 조세령, 최정현 | |||||
제34기 (2009) |
남 | 김두용, 김상백, 배영규, 윤호, 이찬우, 임정길 | ||||
여 | 신송이, 우현주, 이미연, 이미형, 이제인, 홍수정 | |||||
제35기 (2010) |
남 | 백선우, 이희탁, 조연우, 최현철, 한복현 | ||||
여 | 권문정, 공경은, 김태리, 김소희, 지화정 | |||||
제36기 (2011) |
남 | 권도일, 권창욱, 김도담, 김동하, 박상훈, 탁원정 | ||||
여 | 강규리, 김민신, 박상경, 사문영, 선은혜, 이영미 | |||||
제37기 (2012) |
남 | 김인, 박노식, 백성식, 전상조, 조민수, 채안석 | ||||
여 | 금령, 김두리, 김자연, 윤정화, 조경아, 최윤정 | |||||
제38기 (2013) |
남 | 김현수, 박진우, 신범식, 심인종, 윤용식, 전종구 | ||||
여 | 길라영, 김사라, 우성은, 이아름, 전영수, 한혜정 | |||||
제39기 (2014) |
남 | 공준호, 서승휘, 송대선, 이상운, 임호기, 장병관 | ||||
여 |
김경진,
김한나,
문지영,
변혜숙, |
|||||
제40기 (2015) |
남 | 김진수, 석승훈, 이규창, 이정민, 장희문, 허성재 | ||||
여 | 민아, 남유정, 서다혜, 오주희, 이명호, 이자영 | |||||
제41기 (2016) |
남 | 구지원, 선우현수, 이진무, 정의진, 최결, 홍후백 | ||||
여 | 김성화, 리우, 송하랑, 이다슬, 이현애, 채지희 | |||||
제42기 (2017) |
남 | 김용, 김인형, 박주광, 임주완, 하지형 | ||||
여 | 신온유, 이지선, 임희진, 최하리, 허예은 | |||||
제43기 (2018) |
남 | 김용석, 나은혁, 서정익, 오해성, 이명상 | ||||
여 | 김나혜, 나인애, 박하진, 방시우, 혜원 | |||||
제44기 (2019) |
남 | 김희승, 송백경, 장지민, 지병문, 황원종 | ||||
여 | 김다운, 김봄, 김이안, 김성희, 유인선 | |||||
제45기 (2020) |
남 | 송기원, 유선일, 이수안, 최현식 | ||||
여 | 박의주, 정해은, 천송이, 한이정 | |||||
제46기 (2021) |
남 | 박기욱, 박성광, 윤세하, 이창현 | ||||
여 | 김순미, 배하경, 수현, 이눈솔 | |||||
제47기 (2022) |
남 | 이주봉, 이현준, 임의주, 전병하 | ||||
여 | 강한별, 권선영, 오은수, 최현지 | |||||
제48기 (2023) |
남 | 박준모, 이도하, 전종건, 최우성 | ||||
여 | 박송, 엄지은, 임지현, 주예진 | |||||
제49기 (2024) |
남 | 김시우, 김용효, 정상일, 최인일 | ||||
여 | 김정운, 배주원, 유승희, 정수현 | |||||
타 성우극회: 대교방송 · 투니버스 · CBS · EBS · 대원방송 · MBC · PBC | ||||||
※ 송백경 성우를 포함 회색은 문서가 없는 성우이고, 최연소 성우는 밑줄로, 최고령 성우는 볼드체로, 은퇴한 성우나 제명되거나 사망한 성우는 |
}}}}}}}}} |
정동열 鄭東烈 | Jeong Dong-yeol[1] |
|
|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출생 | 1946년 8월 27일 ([age(1946-08-27)]세)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소속 | KBS 성우극회 15기 ( 프리랜서) |
활동 시기 |
전속:
1977년 ~
1979년 프리랜서: 1980년 ~ 현재 |
[clearfix]
1. 개요
|
KBS 성우극회 프로필 및 최근 사진 |
대한민국의 성우. 1977년 KBS 성우극회 15기로 입사했으며 1980년부터 프리랜서로 활동 중이다. 김환진, 김새영, 이윤선, 이정구, 강미형, 안경진, 이진화, 한인숙, 장정진, 김정애, 성병숙, 이종구와 동기.
2. 연기
90년대 대원 비디오판에 유제상, 박상훈, 임성표와 같이 많은 역할에 출연했던 성우이다.[2] 다만 동기인 김새영처럼 늦은 나이에 데뷔에 한 탓인지 청년 연기와 노인 연기가 차이가 안나는 경우가 많아서 평가는 좋지 않았다. 음색부터가 젊은 청년 역할에는 전혀 어울리지가 않았음에도 활발히 활동했던 비디오판 더빙 애니들에서 청년 역할이 많았기 때문이다. 노인 배역에 최적화된 성우임에도 미스 캐스팅이 계속해서 이어진 셈이다. 같이 활약했던 임성표와 유제상, 박상훈도 지나친 중복캐스팅과 무리한 강행군으로 인해 미스캐스팅이 종종 발생했지만[3] 정동열은 저 셋과 달리 캐릭터에 따른 연기 방식마저 차이가 거의 안나서 평가가 매우 안 좋았다. 특히 비디오판 드래곤볼 Z에서 맡은 천진반과 비디오판 슬램덩크 채치수 연기는 그야말로 최악이었는데 진중한 젊은 Z전사나 무게 있는 농구부 주장 목소리가 모두 동네 할아버지 같은 목소리가 나왔기 때문이다.그래도 그 특이한 음색 덕분에 노인이나 개그 캐릭터를 연기했을 때는 좋은 평가를 받기도 했다.[4]시청자들의 일단 비노인 캐릭터들 중 그나마 괜찮았던 캐릭터 연기를 뽑아보자면 소년탐정 김전일에서 맡은 이츠키 요스케인데 나중에는 임성표로 교체되었다.[5][6] 또한 세일러문 비디오판에서 담당한 쿤차이트도 나름 쿤차이트의 성격을 잘 살려서 연기했다는 평을 들었지만 KBS판 성우인 구자형과 대원방송판 성우인 최낙윤의 연기가 더 호평받으면서 묻혀버렸다.[7] 그 외에도 드래곤볼 비디오판에서의 천진반은 임성표와 더불어 최악이었다는 평을 들었지만[8] 중복으로 한 슈, 기뉴, 일성장군[9]은 좋은 연기를 보여주었다. 슈와 기뉴는 개그캐릭터여서 특유의 경박한 음색이 잘 어울렸고 일성장군은 평소 목소리와는 다르게 낮고 거친 목소리로 연기해서 제법 포스도 있고 괜찮은 편이었다. 그래서 전체적으로 평이 안좋은 GT 비디오판에서 몇 안 되는 호평을 받았다.
과거에는 짱구는 못말려 극장판 비디오에도 많이 출연했는데, 이 때는 노인이나 개그캐릭터가 대부분이라 평가가 좋았으며 사실상 이때가 정동열의 최대 전성기였다. 대표적으로 돼지발굽 대작전의 마우스[10]와 온천 부글부글 대작전의 닥터 때범벅이 있는데 특히 마우스는 괴팍한 노인연기가 굉장히 절륜해서 정동열의 인생 캐릭터라 해도 손색이 없다. 암흑마왕 대작전에서는 게이 형제의 맏형 로즈도 맡았는데 대원판의 유해무만큼은 아니더라도 나름 좋은 평가를 받았다.[11] 이 외에도 반딧불이의 묘에서 보여준 농부 할아버지와 나이든 순사 연기도 좋았다. 확실히 개그 캐릭터나 고령의 캐릭터 연기는 괜찮은 편.
2011년, 대원방송에서 원피스를 재더빙해서 오랜만에 애니메이션에 출연했지만[12] 여전히 비슷한 연기 스타일로 많은 캐릭터를 연기해서 혹평을 받았다. 다만 초창기 대원판 원피스의 퀄리티는 워낙에 개판이었고 다른 외부 성우들의 역량을 제대로 살리지 못했으며 정동열에게도 전속들 못지않게 무리한 중복 캐스팅을 요구한 것을 감안해야 한다. 당장 상디의 성우였던 김일 성우와 우솝의 성우인 김소형 성우만 해도 엄청나게 중복을 많이 했는데 둘 다 연기력이 좋은 성우들임에도 불구하고 중복으로 돌린 대부분의 캐릭터들의 연기 평이 상당히 좋지 않았다는걸 감안하면[13] 단순 정동열의 연기력 탓으로는 볼 수 없다. 그래도 제이가르시아 새턴 성과 도크 Q의 경우엔 역대 한국판 성우들 중 가장 좋은 연기를 보여줬지만 2013년 이후, 아쉽게도 다른 후배 성우들로 교체되고 말았고 더 이상 대원판 원피스에 캐스팅되지 않고 있다. 현재 에그 헤드 편에서 새턴 성과 도크 Q 역으로 복귀하지 못해 아쉽다는 평가가 많다.
종합하자면 연기폭이 좁긴 하지만 로즈, 기뉴, 도크 Q 등의 개그 캐릭터 및 마우스 같은 괴팍한 노인, 비열하지만 카리스마 있는 일성장군 같은 캐릭터는 잘 소화함에도 불구하고 미스캐스팅과 중복 캐스팅, 강행녹음으로 인해 연륜과 명성에 걸맞은 연기력이 묻히고 만 케이스라 볼 수 있다. 비슷한 경우로는 대원방송의 후배들인 고구인, 디도 등이 있는데 이 둘도 초~중기 대원방송의 미스캐스팅으로 인해 큰 피해를 보았으며, 그런 미스캐스팅과 별개로 잘 어울리는 배역이 엄연히 존재했다.
3. 출연작(가나다순)
3.1. 애니메이션
- 기동전사 건담 F91(비디오) - 빌기트 피리요
- 달의 요정 세일러문(비디오) - 쿤차이트
- 드래곤볼(비디오) - 나무, 휴, 슈[14]
- 드래곤볼 Z(비디오) - 천진반, 우마왕, 기뉴[15], 도도리아, 베지터왕, 인조인간 16호(전기), 신[16]
- 드래곤볼 GT(비디오) - 피콜로, 닥터 뮤, 일성장군, 리루도 장군
- 드래곤볼 2기 극장판(비디오) - 루시펠
- 란마 1/2(1997년판 비디오) - 주진창( 텐도 소운)
- 루니 툰( KBS) - 포키 피그
- 루팡 3세 바이바이 리버티 위기일발(비디오) - 지미
- 마녀 배달부 키키(극장) - 시계탑 할아버지 / 케토의 아빠
- 마법기사 레이어스 (1994)(비디오) - 이노바/ 라파가/남혜진(류자키 우미) 아빠/ 윈덤
- 명왕계획 제오라이머(비디오) - 타이하(타일러)
- 비스트 워즈(비디오) - 테러소어
- 사무라이 디퍼 쿄우( XTM) - 도쿠가와 이에야스
- 소년탐정 김전일(비디오) - 장수길( 이츠키 요스케)[17][18]
- 슬램덩크 대원비디오판 (52~101화, 극장판) - 채치수/ 안선생님
- 신세기 에반게리온(비디오) - 유조( 후유츠키 코조)
- 아르슬란 전기(1994년판)(비디오) - 안드라고라스 3세
- 유니크론과 변신로보트(KBS) - 재즈
- 원피스( 대원방송)[19]
- 원피스 Original 1기 이스트 블루 편 - 가이몬, Dr. 나코, 존 자이언트[20], 보쿠덴
- 원피스 Original 2기 위대한 항로 편 - 크로커스[21], Dr. 히루루크[22]
- 원피스 Original 3기 알라바스타 편 - 제니, 라이스, 오다마, 헨조, 이얀
- 원피스 Original 4기 스카이피아 편 - 도크 Q[23][24], 센고쿠[25], 조보, 간 폴, 파가야, 겐보, 제이가르시아 새턴 성[26]
- 원피스 Original 5기 해군 요새 & 폭시 해적단 편 - 메카오, 톤지트
- 이나중 탁구부( XTM) - 그 외(단역)
- 지옥의 외인부대( 에어리어 88)( KBS) - 보리스
- 짱구는 못말려(비디오) - 원장선생님[27], 짱구 외할아버지[28], 로즈[29], 마우스[30], 닥터 때범벅[31]
- 천하무적 멍멍기사 - 아라미스
- 청의 6호(비디오) - 함장
- 드래곤 퀘스트 다이의 대모험(비디오) - 대마왕 벨
3.2. 외화
- 데몰리션 맨( SBS) - 경찰서장(스티브 카핸)
- 라붐( KBS) - 라울의 아빠(자크 아르두앵)
- 람보( SBS) - 오벌(존 맥리암)
- 레이싱 스트라이프스( SBS) - 우지( M. 에밋 월시)
- 로미오 머스트 다이( SBS) - 추싱(구형리)
- 리플리( SBS) - 로베리니 형사(세르조 루비니)
- 메달리온( SBS) - 서점 주인(유조명)
- 무기여 잘 있거라( KBS) - 군인(헨리 아메타)
- 백야( KBS) - 비행 부조종사(베니 영) / 시장 상인 / 소련 요원
- 백 투 더 퓨처( KBS) - 1955년 마티의 외할아버지(조지 디센조) / 제니퍼 아빠 / 흑인 밴드 멤버
- 볼케이노( KBS) - 스탠(존 캐럴 린치)
- 블랙아웃( SBS) - 술집 주인(드류 레치워스)
- 수호전지 영웅본색( SBS) - 임총의 하인
- 쇼타임( SBS) - 윈십(프랭키 페이슨)
- 시네마 천국( SBS) - 마을 사람(레오 굴로타)
- 쓰리( SBS) - 타오
- 아웃브레이크( SBS) - 벤자민(자케스 모캐)
- 아일랜드( SBS) - 고객(리처드 V. 리카타)
- 애니 홀( KBS) - 앨비의 아버지(모데카이 로우너) / 의사(빈스 오브라이언)
- 에너미 오브 스테이트( SBS) - 토마스 브라이언 레이놀즈( 존 보이트)[32]
- 올리버 트위스트( SBS) - 서장
- 의적 실버 블레이드( SBS) - 드라이스데일(이언 배넌)
- 이레이저( SBS) - 시프 요원(마이클 파파존)
- 이연걸의 탈출( SBS) - 지휘관(단위륜)
- 인디아나 존스: 잃어버린 성궤( KBS) - 마커스 브로디( 덴홈 엘리어트)[33]
- 제네비에브( KBS) - 경찰(제프리 켄)
- 조슈아 트리( SBS) - 교도관(토니 에퍼)
- 코만도( KBS) - 경비원(그렉 웨인 엘램) / 경찰(짐 페인터)
- 콘택트( SBS) - S.R.헤든( 존 허트)
- 칵테일( KBS) - 조던의 아버지(로런스 러킨빌)
- 키스 더 걸( SBS) - 샘슨(빌 넌)
- 투 터프 가이즈( SBS) - 구메르신도(안토니오 가메로)
- 특공대작전( KBS) - 군인(해롤드 코인)
- 특전대 네이비 씰( SBS) - 선장(나예프 라쉐드)
- 트윈스( KBS) - 그레인저(휴 오브라이언)
- 풀 프루프( SBS) - 해미쉬(윌리엄 하우스)
3.3. 라디오 드라마
- 홍도( KBS 라디오 극장) - 정여립
4. 관련 문서
[1]
한자명은 <TV가이드> 1983년 제106호 '성우 인명사전' p178 참고.
[2]
대원 비디오판이 나오면 이 넷은 꼭 나왔었다. 여기에 더 추가한다면
장혜선,
이진화,
박규웅,
최문자도 포함된다.
[3]
사실 저 시절 대원 비디오판은 강행군이 심하거나 지나친 중복 캐스팅 등 워낙 무리수를 많이 뒀기 때문에 고용된 성우들 중 미스 캐스팅이 없던 성우는 없었다고 봐야한다. 현재에도 활발히 활동하는
김환진,
최문자 같은 성우들도 대원 비디오판을 돌아보면 연기나 음색 면에서 어색한 부분이 많이 들린다.
[4]
의외로 지금 시점에서 다시 들으면 아들 뻘 후배 성우 이장원이랑 비슷하게 들린다는 의견이 많다.
[5]
다만 이츠키 요스케 성우 중 제일 호평을 받은 건 후배 성우
문관일이다.
[6]
그 외에도 비노인 캐릭터들 중에서도 얍삽해보이거나 비겁해보이는 캐릭터에는 또 어울리는 편이다.
[7]
쿤차이트를 더빙했을 때에는 평소에 비해 더 미성으로 연기했고 쿤차이트의 고고한 성격도 나름 잘 살린 편이었다.
[8]
임성표의 경우도 목소리 자체가 간사한 악역이나 노인에 어울리는 목소리다보니 평가가 안좋았다. 반면에 나중에 담당한 마인 부우는 호평 일색.
[9]
출처
[10]
단역으로 원장선생님도 맡았었다.
[11]
사실 짱구 극장판 비디오판의 경우 아쉬운 건 대사 번역이다. 대부분 수위를 낮추다보니 몇몇 대사는 약간 어색하지만 일부 로컬라이징은 오히려 대원방송 재더빙판보다 훌륭한 편이었다.
[12]
아무래도 정동열 성우가 한빛영상제작(주) 대표로 역임하고 있는데 이 대피스를 녹음한 외주업체가 이곳이니 만큼 게스트로 출연한 듯하다.
[13]
김일, 김소형 성우는 KBS판 원피스에서도 중복 캐스팅을 자주 당했는데 그 당시에는 전체적으로 평가가 좋았다. 특히 김소형의 페루, 라피트 연기는 상당히 좋은 평가를 받았다는 걸 생각하면 PD의 역량 문제인 것이다.
[14]
미성을 잘 살려 의외로 나쁘지 않은 평가를 받았다.
[15]
중복 캐릭터가 너무 많아 평가가 안좋지만 그중에서 기뉴 역이 제일 평가가 좋다.
[16]
구극장판 비디오판에서 맡음.
[17]
후에
임성표로 교체.
[18]
세일러문의
쿤차이트와 더불어 정동열의 비(非) 노인 캐릭터 배역 중 그나마 낫다는 평가를 들었다.
[19]
정동열 성우가 가장 최근에 출연한 작품이다. 그가 맡은 배역들 대부분은 전부 다 동네 할아버지같은 음색 때문에 혹평을 받아 평가가 매우 좋지 않다. 그나마
제이가르시아 새턴 성과
도크 Q는 음색이 잘 맞는 보이스로써 호평을 받았지만 이후 이 두 배역 마저 대원 성우로 교체되어 아쉽다는 평가를 받았다.
[20]
9기에서
안효민으로 교체됐다가 14기에
김현욱으로 변경.
[21]
11기에서
장성호로 변경.
[22]
9기에서
이재범에서 교체됐다가 20기에
이창민으로 변경.
[23]
센고쿠, Dr. 히루루크, 크로커스, 간 폴 같은 다른 노인 배역들은 캐릭터 해석 없이 동네 할아버지 캐릭터로만 연기해서 혹평이 심한 반면, 노화되어가고 쇠약한 연기를 잘 살려 가장 호평을 받았다. 다만 문서에서도 보면 알 수 있듯이 도크 Q는 노인이 아니라 심각한 노안을 가진 20대라 다소 미묘한 평가도 존재한다.
[24]
이 배역만은 호평을 받았지만 아쉽게도 10기에서
이상헌으로 교체됐다가 13기에
이현으로 변경.
[25]
8기에서
김일로 교체됐다가 14기부터
강구한으로 원상복귀.
[26]
아이러니하게도 대원판 성우들 중 제일 나은 평을 받은 캐릭터. 훗날 손자뻘 후배들이 젊은 톤이 묻어나는 연기를 선보이는 바람에 재평가가 되어버린 것. 아쉽게도 5기에서
김혜성으로 변경되었다가 19기에
이현으로 변경.
[27]
투니버스,
대원방송판은
현경수.
[28]
투니버스판은
신용우.
[29]
대원방송판은
유해무.
[30]
대원방송판은
김정호.
[31]
대원방송판은
신용우.
[32]
KBS 방영판에서는
박상일.
[33]
3편인
최후의 성전에서는
김현직,
MBC 방영판에서는
권혁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