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0-04 14:09:46

정남기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334782><tablebgcolor=#334782>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334782><tablebgcolor=#334782>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육군제2훈련소장
제1대
김종갑
제2대
이성가
제3대
심언봉
제4대
함병선
제5대
백인엽
제6대
양국진
제7대
백남권
제8대
박병권
제9대
한신
제10대
임충식
제11대
최홍희
제12대
김동빈
제13대
장춘권
제14대
김상복
제15대
김병휘
제16대
김진위
제17대
전부일
제18대
박남표
제19대
김재명
제20대
정봉욱
제21대
한무협
제22대
김영선
제23대
곽응철
제24대
이필조
제25대
배정도
제26대
이광노
제27대
김기석
제28대
김원태
제29대
김을권
제30대
임병화
제31대
김충식
제32대
김광석
제33대
이기룡
제34대
오영우
제35대
이태우
제36대
이종완
제37대
정화언
제38대
정남기
육군훈련소장
제39대
문판생
제40대
이광희
제41대
김문범
제42대
허평환
제43대
정두근
제44대
장종대
제45대
이태우
제46대
박성우
제47대
김정호
제48대
고성균
제49대
고현수
제50대
김규하
제51대
서상국
제52대
구재서
제53대
김인건
제54대
박원호
제55대
이용환
제56대
최장식
관련 직위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4098>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4098>
대한민국 육군
제21보병사단장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제1대
민기식
제2대
백남권
제3대
최석
제4대
민병권
제5대
이주일
제6대
양중호
제7대
양찬우
제8대
박남표
제9대
서재관
제10대
정규한
제11대
양인석
제12대
최일영
제13대
박찬긍
제14대
박승옥
제15대
안철원
제16대
이재희
제17대
박병억
제18대
신치구
제19대
이진삼
제20대
용영일
제21대
고용복
제22대
이준
제23대
유회국
제24대
서충일
제25대
정남기
제26대
강기창
제27대
권일상
제28대
엄항석
제29대
최용주
제30대
김기수
제31대
황영수
제32대
강한석
제33대
장준규
제34대
정항래
제35대
안수태
제36대
김혁수
제37대
황병태
제38대
장현주
제39대
이상렬
제40대
남진오
}}}}}}}}}}}}}}} ||
정남기
Chung Nam-gi
파일:정남기(갑종 182기·63년 임관) 101993.jpg
<colbgcolor=#2A5034><colcolor=#fff> 복무 대한민국 육군
기간 1963년 ~ 1999년
임관 갑종 182기
최종 계급 소장
최종 보직 육군제2훈련소장
주요 보직 육군교육사령부 전력개발부장
제21보병사단
육군교육사령부 교육훈련부장

1. 개요2. 생애3. 여담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육군 군인. 최종 계급은 육군 소장이며 제21보병사단장과 육군제2훈련소장을 역임했다.

2. 생애

광주동성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63년 갑종 182기로 임관했다.

대령 시절 제39보병사단 참모장, 육군제2훈련소 29교육연대 연대장, 육군교육사령부 전투교리처장을 역임했다. 준장 진급 후에는 제32보병사단 작전 부사단장과 육군교육사령부 교육훈련부장을 역임했으며, 1993년 소장으로 진급 후 제21보병사단장, 육군교육사령부 전력개발부장, 건군기념사업단 군외사업부장, 육군제2훈련소장을 역임했다.

3. 여담

  • 21사단장 재임시 교육훈련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사단 전부대원들의 전투요원화를 지향했다. 그 일환으로 사단 직할대 소속 장병들의 전투능력 향상을 위한 병공통과제 훈련을 집중적으로 실행하고 이를 사후측정하여 관리하였다. 또한 사단 직할대 소속 장병들에게 혹한기의 GOP 환경을 체험하고 백두인으로서의 정체성과 동료애, 자부심을 함양할 수 있도록, 매년 1월과 2월에 65연대와 66연대가 담당하고 있던 GOP 전선에 교대로 투입하여[1] GOP에 투입된 소초원들과 함께 생활하고 경계근무를 수행하게 하였다.
  • 21사단장 재임시 평소 엄정한 군기를 유지할 것을 간부들과 병사들에게 지속적으로 강조하였으며, 전임자인 서충일 소장의 갑작스런 보직해임[2]으로 분위기가 어수선했던 21사단을 정상화시키고 모든 장병들이 임무에 충실할 수 있도록 성공적인 지휘활동을 수행했다는 평을 받았다. 이러한 노력을 인정받아 1994년 대통령 부대표창을 수여하기도 하였다.

* 육군훈련소장 재임시 훈련병의 아버지 200여 명을 초청하여 2박3일 동안 훈련병인 아들과 함께 내무생활도 하고 똑같이 훈련도 받게하는 병영체험 프로그램을 도입했었다. 당시 언론보도 내용

[1] 직할대 별로 날짜를 조정하여 소규모 분대급 인원을 편성한 후 완전군장 행군으로 GOP 소초에 도착한 후 열흘정도 공동임무 수행 후 다시 완전군장 행군으로 자대 복귀하는 형식이었다. [2] 사생활과 관련된 투서가 청와대에 접수되었다는 것이 표면적 이유였으나 최전방의 전투사단장을 투서 하나 때문에 보직해임시킨다는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이 보다는 서충일 장군이 하나회의 핵심 멤버라는 점에서 김영삼 정부의 군내 사조직 해체를 목적으로 하는 군개혁의 일환으로 보는 관점이 보다 설득력있다. 당시 언론보도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