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1-09 09:38:44

양국진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1d2088>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1d2088>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초대
이형근
2대
유재흥
3대
강문봉
4대
송요찬
5대
이성가
6대
오덕준
7대
양국진
8대
박병권
9대
최석
10대
최창언
11대
서종철
12대
이창정
13대
황엽
14대
심흥선
15대
박춘식
16대
최세인
17대
이동화
18대
김재규
19대
정승화
20대
김학원
21대
윤성민
22대
전성각
23대
이상훈
24대
한철수
25대
신치구
26대
이진삼
27대
박익순
28대
편장원
29대
김종배
30대
이규환
31대
김석재
32대
박봉식
33대
신일순
34대
권영기
35대
박흥렬
36대
최용주
37대
김일생
38대
이성호
39대
이용광
40대
한동주
41대
나상웅
42대
김병주
43대
김승겸
44대
박상근
45대
전동진
46대
신희현
47대
김봉수
관련 직위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334782><tablebgcolor=#334782>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334782><tablebgcolor=#334782>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육군제2훈련소장
제1대
김종갑
제2대
이성가
제3대
심언봉
제4대
함병선
제5대
백인엽
제6대
양국진
제7대
백남권
제8대
박병권
제9대
한신
제10대
임충식
제11대
최홍희
제12대
김동빈
제13대
장춘권
제14대
김상복
제15대
김병휘
제16대
김진위
제17대
전부일
제18대
박남표
제19대
김재명
제20대
정봉욱
제21대
한무협
제22대
김영선
제23대
곽응철
제24대
이필조
제25대
배정도
제26대
이광노
제27대
김기석
제28대
김원태
제29대
김을권
제30대
임병화
제31대
김충식
제32대
김광석
제33대
이기룡
제34대
오영우
제35대
이태우
제36대
이종완
제37대
정화언
제38대
정남기
육군훈련소장
제39대
문판생
제40대
이광희
제41대
김문범
제42대
허평환
제43대
정두근
제44대
장종대
제45대
이태우
제46대
박성우
제47대
김정호
제48대
고성균
제49대
고현수
제50대
김규하
제51대
서상국
제52대
구재서
제53대
김인건
제54대
박원호
제55대
이용환
제56대
최장식
관련 직위 둘러보기 }}}}}}}}}}}}}}}

<colbgcolor=#1D2088><colcolor=#fff> 양국진
楊國鎭
파일:양국진.png
창씨명 나카하라 코쿠친(中原國鎭)
본관 청주 양씨(淸州 楊氏)
출생 1916년 9월 20일
평안남도 평양부
사망 1981년 2월 28일 (향년 64세)
학력 신경법정대학 ( 법학 / 학사)
임관 봉천군관학교 (6기)
육군군수학교 (2기)
군사영어학교 (1기)
약력 육군본부 군수국장
제3군단장

1. 개요2. 상세

[clearfix]

1. 개요

일제강점기 만주국 및 대한민국의 군인.

2. 상세

1916년 9월 20일 평안남도 평양부에서 태어났다. 1939년 만주국 신경법정대학(新京法政大學)[1] 법학과를 졸업했다.

1938년 봉천군관학교를 제6기로 졸업하고, 이어 신경의 육군군수학교를 제2기로 졸업 후, 만주군에서 군수 및 경리 장교로 복무하였다.

1945년 8월 17일 간노 히로시(菅野弘)[2]의 도움으로 박승환, 최창륜, 방원철 등 조선인 장교 7명이 함께 비행기로 귀국했다.

귀국 후 잠시 경찰공무원으로 있었으나, 1946년 군사영어학교에 입교하여 국방경비대 부위(중위)로 임관한 뒤 조선경비대총사령부 군수조달과장과 미군정청 통위부 감찰총감을 거쳐 대한민국 육군본부 군수국장을 역임했다.

1949년 백범 김구 암살 사건이 일어나자 안두희에 대한 군법회의에서 배심심판관으로 참여했다.

1960년 제3군단장 재임 중 부정축재 혐의로 구속되면서 중장으로 예편하였다. 1961년 5.16 군사정변 후 다시 부정축재 혐의로 체포됐다.

이후 대한종합식품회사[3] 사장을 지냈고, 1981년 2월 28일 사망했다.

민족문제연구소 친일인명사전 군 부문에 등재되었다.


[1] 1934년 만주국 사법부 법학교로서 신경에 설립, 1939년에 신경법정대학으로 승격하였다. 1946년 국립장춘대학에 합병되었다가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성립하면서 폐교되었다. [2] 2.26 사건에 연루되었다가 만주로 밀려온 일본인 교관으로 만주국육군군관학교 2기생 중대장을 맡았었다. [3] 월남 파병된 한국군의 전투식량을 만들기 위해 만들어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