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1 21:32:01

전민재/선수 경력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전민재
1. 개요2. 아마추어 시절3. 두산 베어스
3.1. 2018 시즌3.2. 2019 시즌3.3. 2021 시즌3.4. 2022 시즌3.5. 2023 시즌3.6. 2024 시즌
4. 연도별 성적

[clearfix]

1. 개요

두산 베어스 소속 내야수 전민재의 선수 경력을 다루는 문서다.

2. 아마추어 시절

3학년을 앞두고 기회를 잡기 위해 북일고등학교에서 대전고등학교로 전학을 왔다. 같은 지역 내에서의 전학이라 1차지명 대상에 포함되었지만, 성시헌이 지명되면서 2차지명에 나오게 되었고, 4라운드 전체 40순위로 두산 베어스에 지명되었다.

3. 두산 베어스

3.1. 2018 시즌

파일:2018101103714_0.jpg

우승이 확정된 이후 10월 11일 SK 와이번스와의 경기에서 허경민과 교체되어 들어온 뒤 3타수 2안타 2타점 1득점으로 활약하였다.

이 때 데뷔 첫 안타를 동점을 만드는 적시타로 장식하였다.물론 SK도 2위를 확정한 이후의 잔여경기라서 마운드에 힘이 조금 빠진 감은 있지만, 신인으로서 충분히 가능성을 짐작할 수 있는 기록이었다고 할 수 있다. 더군다나 수비에서도 나름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미야자키 마무리캠프에 참가하여 타격 부분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3.2. 2019 시즌

정규시즌 2경기 교체 출전에 그쳤고, 시즌 후 현역 입대했다.

3.3. 2021 시즌

파일:21전민재.jpg
미복귀 전역 후 이천에서 훈련 중이다. 등번호는 오재일의 등번호였던 36번을 물려받았다.

6월 20일 1군 엔트리에 등록되었다.
6월 24일 키움전 8회말 1루 대주자로 출전했고, 연장 10회말 1사 주자 없는 상황에서 시즌 첫 안타를 때려냈다.

6월 25일 롯데전 7회초 3루수 대수비로 출전했다. 타석에서는 1타수 무안타 1삼진을 기록했다.

9월 4일 삼성전 7회말 2루수로 대수비 출전하여 8회말에 실책을 하였고 타석에서는 1타수 무안타를 기록했다. 다음날 1군에서 말소되었다.

3.4. 2022 시즌

파일:22전민재.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전민재/선수 경력/2022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5. 2023 시즌

1군 스프링캠프 명단에 포함되었으나 스프링캠프 이후 잠실 훈련에서 부상을 입으면서 시범경기에 단 한 차례도 출전하지 못했고, 시즌 개막 이후에도 2군에서 재활을 하고 있다.

시즌 전 이승엽 감독은 안재석을 주전 유격수로, 전민재를 백업으로 낙점했지만, 전민재는 부상으로 이탈했고 안재석은 연습경기와 시범경기 등에서 문제점이 드러나 개막전 선발 유격수는 이유찬에게 돌아갔다. 하지만 백업 내야수도 부족한 팀 사정상 부상 복귀후 2군에서 좋은 폼을 보여준다면 금방 1군에서 얼굴을 볼 수 있을 듯. 4월 21일에 이형범, 박신지와 2군으로 올라왔고 올라오자마자 2주간 23타수 9안타 타율 .391 OPS 1.027을 기록하며 활약하는 중이다.

5월 1일 퓨처스에서 말소되었다. 경쟁자인 안재석이 허리 통증과 부진으로 1군에서 말소되었으므로 5월 2일 경기부터 1군에 합류할 것으로 추측되었으며, 예상대로 2일 1군 엔트리에 등록되었다. 2일 경기에서는 9회 초 강승호의 대수비로 출장했다.

5월 3일 잠실 한화전에서는 이유찬을 대신해 8번 유격수로 선발 출장했는데 타격에서는 첫 타석부터 득점권 찬스를 병살타로 날려먹고, 3회초 두 차례의 실책성 플레이와 7회에 역전을 허용하는 치명적인 실책을 범하며 연승 중단의 최대 원흉이 되었다. 8회에 직선타 하나를 잡아냈지만 이미 스코어가 7점 차로 벌어진 상태라 스찌가 되었다. 다음 날에도 선발 유격수로 나섰는데 이 날은 1안타를 기록하고 수비도 나쁘지 않은 모습을 보였으나 팀이 김유성 때문에 거하게 패해서 묻혔다.

5월 14일 잠실 KIA전에서 어지럼증을 호소한 허경민을 대신해 3루수 대수비로 투입되었고, 8회말 타석에서 1안타를 기록했다.

5월 19일 수원 KT전에 3루수로 나서서 3회 말, 정수빈이 단타를 낙구한 후 바운드없이 3루를 향해 날린 송구를 정확하게 받아내 강백호를 아웃시켰다. 이때 강백호가 3루에 쇄도하기 직전까지 사인을 보내는 제스처를 취하다 송구가 오자마자 곧바로 태그로 이어가는 페이크 동작을 보여주며 강백호를 감쪽같이 속여 화제가 되었다.

6월 25일 고척 키움전에서 7회초 허경민의 대주자로 나왔고, 8회초 1사 2루에서 1타점 적시 2루타를 쳤다.

이후로는 1루, 2루, 3루, 유격까지 내야 전포지션에서 대수비로 뛰고 있으며, 조수행과 함께 대주자롤도 맡고 있다. 백업 내야수도 부족한 팀 사정상 1군에는 당분간 계속 남을 듯.

7월 7일 박준영이 콜업되며 말소되었다.

7월 22일 김대한, 박성환 등과 함께 술 자리에서 음주가무를 했다는 것이 알려졌지만, 애초에 이 소식의 발단 자체가 김대한이 올린 인스타 스토리였고, 전민재 본인은 동석만 했을 뿐 딱히 어그로를 끌지도 않았기 때문에 조용히 묻어갔다.

8월 5일 1군 엔트리에 등록되었으나 경기에 나오지 못하며 하루 만에 1군에서 말소되었고 그 후로는 1군 콜업이 없었다.

10월 19일 미야자키 교육 리그에서 수비 도중 중견수 김대한과 정면 충돌해 부상을 당했다. 부상의 정도가 심각한 지 곧바로 한국으로 귀국했고 마무리 캠프와 잔류군 캠프에도 나서지 못 할 것으로 보인다.

이후 등번호를 15번으로 교체했다.

3.6. 2024 시즌

파일:24전민재.pn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전민재/선수 경력/2024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연도별 성적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전민재의 역대 KBO 기록
<rowcolor=#ffffff>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wRC+ WAR*
2018 두산 12 8 3 1 0 0 2 3 0 0 2 .375 .375 .500 .875 125.2 0.00
2019 2 0 0 0 0 0 0 0 0 0 0 - - - - - 0.00
2020 군복무( 현역)
2021 9 5 1 0 0 0 1 1 0 0 2 .250 .200 .250 .450 0.1 -0.02
2022 35 46 13 1 0 0 11 0 3 0 12 .289 .289 .311 .600 64.5 0.12
2023 19 18 4 2 0 0 3 1 0 0 3 .235 .235 .353 .588 49.3 -0.14
KBO 통산
(5시즌)
77 77 21 4 0 0 17 5 3 0 19 .284 .280 .338 .618 61.1 -0.04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4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40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