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0px" | <tablebordercolor=#36c> | }}} | ||||
[[틀:인천광역시 공항버스| 공항 ]] [[틀:인천광역시 광역버스|광역 ]] [[틀:인천광역시 좌석버스|좌석 ]] [[틀:인천광역시 급행간선버스|급행 ]] [[틀:인천광역시 간선버스|간선 ]] [[틀:인천광역시 심야버스|심야 ]] [[틀:인천광역시 지선버스|지선 ]] [[틀:인천광역시 마을버스|마을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
1 | 2 | 2-1 | 3-2 | 4 | 5 |
5-1 | 6 | 6-1 | 7 | 8A | 9 | |
10 | 11 | 12 | 13 | 14 | 14-1 | |
15 | 16 | 16-1 | 17 | 20 | 21 | |
22 | 23 | 24 | 24-1 | 26 | 27 | |
28 | 28-1 | 29 | 30 | 33 | 34 | |
35 | 36 | 37 | 38 | 42 | 43 | |
43-1 | 44 | 45 | 46 | 47 | 55 | |
58 | 62 | 63 | 65 | 65-1 | 66 | |
67-1 | 70 | 71 | 72 | 75 | 76 | |
77 | 78 | 79 | 80 | 81 | 82 | |
86 | 87 | 92 | 93 | 103 | 103-1 | |
111-2 | 112 | 202A | 203 | 204 | 205 | |
206 | 221 | 222A | 223A |
1. 개요
신동아교통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60.2km다. 전체 정류장 목록2. 노선 정보
인천광역시 간선버스 66번 | |||||
|
|||||
기점 | 인천광역시 서구 마전동(금호어울림아파트) | 종점 | 인천광역시 서구 원당동(검단예미지트리플에듀) | ||
종점행 | 첫차 | 05:00 | 기점행 | 첫차 | 06:10 |
막차 | 22:00 | 막차 | 23:30 | ||
평일배차 | 공식 | 23~32분 | 주말배차 | 공식 | 32~43분 |
실제 | 15~40분 | 실제 | 40~60분 | ||
운수사명 | 신동아교통 | 인가대수 | 11대(예비 1대)[1] | ||
노선 | 금호어울림아파트 - 완정역 - 독정역 - 한들마을입구 - 검암역입구 - 검암경서동행정복지센터 - 서곶지구대 - 서구보건소 - 국제성모병원 - 심곡도서관 - 공촌마을 - 경남아파트 - 교통연수원 - 경인교대입구역 - 작전역 - 화전초등학교 - 계양경찰서 - 임학역 - 박촌역 - 동양주공1.2단지 - 계양센트레빌1단지 - 귤현감리교회 - 계양역 - 장기동 - 오류동마을 - 유현사거리 - 아라동행정복지센터 → 검단예미지트리플에듀 → 검단로제비앙라포레 → 디에트르더힐 → 인천이음초등학교 → 이후 역순 |
중간 출발 정류장 | |
검단예미지트리플에듀 방향 | 인재개발원, 오류동마을 |
3. 역사
===# 김포시 시내버스 시절 #===- 1996년 6월 16일에 김포시 시내버스로 신설되었다. 당시에는 강화운수[2]에서 운행했고 구간은 계산동(박촌) - 상야동 - 김포공항 - 당산역 - 영등포역이었다. 당시 계산동에서 김포공항, 영등포로 가는 유일한 시내버스였기 때문에 수요가 많았다. 하지만 1999년 9월 3일에 공항버스에서 계산동과 서울시청을 잇는 63-1번을 신설하면서 경쟁이 시작됐다.
- 경쟁을 피하고 새로 수요처를 확보하는 차원에서 2000년 4월 1일에 왕길동으로 기점이 연장됐다.
- 신공항여객은 39번 국도 경유를 버리고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를 경유하는 초강수를 두면서 계산동과 영등포를 빠르게 연계하는 노선으로 등극한다. 66번이 경쟁력에서 밀리자 2001년 5월 7일에 좌석버스에서 일반시내버스로 전환됐다.
- 요금이 인하되면서 수요가 늘었지만 배차간격이 20~30분으로 길어서 좌석버스로 이탈하는 승객도 많았다. 카드 단말기도 서울과 인천에서 주로 사용한 인텍크 기종이 아닌 에이캐시를 사용하여 교통카드 사용자들에게 많이 외면받았다.
- 2001년 11월 20일에 위 상황으로 인해 위기를 겪다가, 도원교통에게 매각된다.
- 2002년 1월 1일에 종점이 송정역으로 단축되고 계산현대아파트~계산삼거리 구간이 삭제됐다. 계산동자연풀장 인근에 차고지를 조성하여 기점을 변경하기에 이른다.
- 2002년 7월 16일에 공항버스 홈페이지에 63-1번을 매각한다는 공지가 등장하고 66번과 동일하게 도원교통으로 노선이 매각됐다. 당시엔 63-1번과 66번이 같이 다녔으며 오래도록 지속되던 '계산동~서울' 구간의 경쟁은 66번으로 통일됐다.
- 2002년 12월 1일에 63-1번과 66번이 김포운수로 인수된다. 63-1번은 66번에 흡수되고 다시 좌석버스로 전환된다. 좌석버스로 환원됐지만 이용객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1,000원의 요금만 징수했고, 2007년까지 인천 - 서울 시계외요금제를 따로 운영했다.[3][4]
- 2008년 5월 1일에 시내일반버스로 전환하고, 거리비례제로 바뀌었다.
- 2009년 10월 10일에 770번과 770-1번이 분리되어 770번이 계산역을 경유하지 않게 되자 66번이 심곡동과 연희동 일대를 추가로 경유하도록 변경됐다. 동시에 송정역으로 종점이 환원됐다. 네이버 카페[5]
3.1. 현재
- 2010년 9월 22일에 김포시 일반시내버스에서 인천시 간선버스로 전환돼 김포운수에서 신동아교통으로 이관됐다. 선진그룹과 인천광역시의 협의를 거쳐서 준공영제에는 참여하지 않기로 합의하였다.[6]
- 2011년 6월 7일에 검단산업단지로 연장됐고 기점이 오류동에서 진웅종점으로 변경됐다.
- 인천 도시철도 2호선 공사로 인해 2012년 2월 18일부터 4월 6일까지 검단로445번길로 우회했다.
- 공항대로에 버스중앙차로가 개통하면서 2012년 12월 22일부터 중앙차로를 경유하게 됐고 송정역 인근 삼거리가 아닌 공항중학교 앞에서 유턴하도록 변경됐다.
- 2014년 9월 22일에 오류동과 검단일반산업단지 구간이 변경됐고 사유지였던 영은슈퍼 구간이 이설됐다.
- 2014년 11월 20일부터 공촌사거리 대신 서인천세무서, KT서인천지사, 심곡초교를 경유하게 됐다.
- 2016년 7월 30일 시내버스 개편으로 기점이 진웅종점에서 안동포종점까지 연장되고, 계산역을 경유하는 대신 경인교대입구역, 작전역 경유로 변경되면서 노선이 단순화됐다. 배차간격은 12~20분에서 17분으로 조정되었고, 운행 거리는 74.7km에서 90km으로 늘어났다.
- 2016년 9월 3일에 기점이 다시 진웅종점으로 단축되었다.
- 2017년 7월 22일에 작전1동행정복지센터 구간이 폐지되고 '작전역 - 뉴서울3차아파트 - 효성사거리 - 로얄금속 - 부평구청역 - 굴포천역 - 광명아파트' 경유로 변경됐다.
- 2017년 12월 9일에 '작전역 - 효성사거리 - 로얄금속 - 부평구청역 - 굴포천역 - 광명아파트' 구간이 폐지되고 '작전역 - 북인천세무서 - 한신아파트 - 한림병원 - 임학역'으로 변경됐다.
- 2018년 5월 5일부터 정류장 간격이 멀다는 민원으로 인해 동양동주유소 정류장이 신설되어 정차했으나 동년 8월 11일에 이용객 저조로 인해 폐지되어 통과한다.
- 2018년 7월 21일부터 주민들의 민원으로 인해 신설된 당산초등학교아래사거리 정류장에 정차한다.
- 2018년 9월 5일부터 검단 방향만 경유하던 개화역광역환승센터를 경유하지 않고 양방향 모두 개화검문소에만 정차한다.
- 2021년 11월 27일부터 '동양지구 - 송정역' 구간이 단축됨과 동시에, '동양지구 - 도담공원.푸르지오더베뉴' 구간으로 연장되면서 서울시 구간을 더이상 운행하지 않게 됐다. 4대가 감차되어 배차간격은 평일 19~25분, 토요일 23~30분, 공휴일 26~33분으로 늘어났다. 단축된 서울 구간의 대체 노선은 86번이다.[7] 인천광역시 공지사항
- 2022년 5월 28일부터 디에트르더힐(ID:89455), 인천이음중학교(ID:89456) 정류소에 추가로 정차한다.
- 2022년 9월 3일부터 '진웅종점-검암역' 구간이 단축되고 기점이 드림파크야생화단지로 변경되고 67번(2기) 폐선분 4대가 다시 증차되어 평일 배차간격 기준 배차간격이 10~13분 정도로 상당히 줄어들었으나 배차간격 정정으로 14~19분으로 변경되었다. 이후에 휴차 차량이 6대로 늘면서 실질적으로 평일 배차간격은 30~55분, 일요일 및 공휴일 배차간격은 35~70분으로 변경됐다.
- 2023년 1월 28일부터 원당교(89485, 89486) 정류장에 추가로 정차한다.
파일:Screenshot_20240523_144910_Chrome.jpg
- 2024년 7월 6일에 시행되는 2차 수시개편안에 따르면 운송수익금 감소로 기점을 금호어울림아파트로 연장, 종점을 도담공원 대신 검단예미지트리플에듀 경유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그와 동시에 공식 배차간격은 10~13분에서 14~19분으로 늘어났다. # # 참고로 2년만에 완정역~검암역 구간이 환원되는 셈이다.
- 2024년 9월 14일부터 검단LH26단지아파트(89545), 검단금호어울림센트럴아파트(89546), 도담공원.인천이음초등학교(서측)(89547) 정류장이 신설되어 추가로 정차한다.
- 2024년 9월 말에 배차간격 현실화로 23~32분으로 변경되었다.
4. 특징
- 현금 승차가 불가능하다.
- 완정사거리를 출발해 검단신도시로 가는 노선이지만 계양구 방향으로 크게 우회하는 노선이기 때문에[8] 검단신도시로 이동할 때에는 다른 노선들을 이용하는 것이 압도적으로 빠르며, 검단(마전동) - 작전역 이동 역시 이 노선보다는 김포 90번이 더 빠르다. 계산 동부지역(까치말사거리)으로 갈 때에도 79번, 97번을 타는게 훨씬 빠르다. 사실상 장거리 수요는 거의 없으며, 노선 특성상 구간수요가 주를 이룬다. 그래서 인천 간선버스 굴곡도 2위를 기록하는 만큼 노선도 순환형에 가깝다.[9]
- 인천광역시 간선버스 중 유일한 준공영제 미적용 노선이다. 또한 준공영제 미적용 노선이기 때문에 모든 인천광역시 버스들이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LED 행선판이 아닌 전용 행선판[10]을 사용하고, 차량 내 LED 표출기가 없다.
- 2022년 9월 3일 노선 개편으로 운행 거리가 줄었지만, 기사 부족 때문에 운행하는 차량 수가 일정하지 않아 배차간격이 매우 긴 편이다. 특히 일요일과 공휴일은 배차간격이 40분 ~ 60분이며, 평일에도 배차간격이 70분 이상으로 늘어날 때가 많다.
- 백석동에서 검암역과 검암2지구로 단독으로 가장 빠르게 이어주는 노선이었지만, 위와 서술한 매우 긴 배차간격과 검암역까지는 아파트 자체에서 출퇴근 시간에 셔틀버스가 운행하며 43번과 72번도 검암역으로 바로 가서 수요를 잡지 못했다. 현재는 백석중학교와 백석고등학교의 통학 수요를 70번, 93번, 308번과 함께 나눌 수 있으나 긴 배차간격과 노선 홍보가 덜 되어 이용하는 사람이 조금밖에 없다.
4.1. 대체 노선
- 완정역 - 검암역 - 검암지구: 70번, 79번, 김포 90번, 93번
- 검암지구 - 계산동: 79번, 김포 90번
- 작전동 - 홈플러스: 24-1번, 79번
- 동양지구 - 굴현지구 - 계양역: 76번, 87번
- 계양역 - 검단신도시 아라동(북부): 76번
실질적으로 검단 원도심 ~ 계산지구 까지는 79번, 박촌역 ~ 검단신도시 아라동 북부 지역은 76번으로 대체가 가능하다.
4.2. 일평균 승차인원
인천광역시 간선버스 66번 | ||
<rowcolor=#ffffff>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9년 | 7,685명 | - |
2020년 | 5,137명 | ▽ 2,548 |
2021년 | 2,016명 | ▽ 3,121 |
2022년 | 1,125명 | ▽ 891 |
2023년 | 748명 | ▽ 377 |
※ 하차인원 미포함 |
- 출처: 교통카드 빅데이터 통합정보시스템
- 데이터 누락이나 오류로 인해 실제 승차량보다는 낮게 집계되니 단순 참고용으로만 확인하기 바람.
- 이용객 수가 매우 줄었다. 2019년 7700명 정도에서 코로나와 차량감차로 인해 2023년 기준 748명까지 떨어졌다. 다만 휴차 차량 복귀가 이루어질 시 수요가 다시 오를 가능성이 있다.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인천광역시 준공영제 미참여 버스노선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 공항[통] | |
간선급행 | ||
간선 | ||
지선 | ||
마을 | ||
[통] 수도권 통합요금 미적용 노선 |
[1]
휴차 6대, 토요일 4대 / 공휴일 3대 운행.
[2]
현
선진상운
[3]
정확히는 인천 - 인천/서울 - 서울 탑승 시에는 시내버스와 동일한 운임을 받았고, 시 경계를 넘어가면 거리에 상관 없이 칼 같이 좌석버스 요금을 받았다.
[4]
김포시 면허였음에도, 시내버스 전환 이전까지 정작 차는 GBUS 브랜드가 나온 이후에도 파란색 + 인천스타일 행선판을 걸고 다녔을 정도로 김포 버스라는 정체성은 없었다.
[5]
문제는 그 과정에서 경기도 시내버스임에도 경기도 관내 정류장이 1개도 없는 촌극이 펼쳐진다. 애초에 김포시 시내버스임에도 김포는 전혀 안 들어가고 부천시만 깔짝거리는 수준이었지만.
[6]
이관 준비는 2010년 6월쯤부터 이뤄지고 있었다. 기존 저상버스는 타 노선으로 보내고,
김포 631번 등에서 가져온 BS106에 파란칠을 해서 굴리고 있었다.
[7]
본래
67번(2기)으로 대체하였으나, 2022년 9월에 폐선되면서 86번이 대체한다.
[8]
참고로 완정사거리에서
검단신도시 첫 정류장이자, 인근에 66번이 정차하는 정류소가 위치한 고산터널 정류장까지는
75번을 타면 15분 내외로 갈 수 있으며, 유현사거리까지 갈 때에도
30번,
97번,
841번,
1002번을 이용하면 20분 내외로 갈 수 있다. 참고로 66번의 왕복 운행 시간은 무려 264분(4시간 24분)이다.
[9]
1위는
82번이다.
[10]
전면부의 경우는
경기도 버스의 것과 비슷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