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0 14:55:15

인천 버스 66

{{{#!wiki style="margin:-10px -0px" <tablebordercolor=#36c>
인천광역시
간선버스 노선
}}}
[[틀:인천광역시 공항버스|
공항
]] [[틀:인천광역시 광역버스|
광역
]] [[틀:인천광역시 좌석버스|
좌석
]] [[틀:인천광역시 급행간선버스|
급행
]] [[틀:인천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 [[틀:인천광역시 심야버스|
심야
]] [[틀:인천광역시 지선버스|
지선
]] [[틀:인천광역시 마을버스|
마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1 2 2-1 3-2 4 5
5-1 6 6-1 7 8A 9
10 11 12 13 14 14-1
15 16 16-1 17 20 21
22 23 24 24-1 26 27
28 28-1 29 30 33 34
35 36 37 38 42 43
43-1 44 45 46 47 55
58 62 63 65 65-1 66
67-1 70 71 72 75 76
77 78 79 80 81 82
86 87 92 93 103 103-1
111-2 112 202A 203 204 205
206 221 222A 223A
}}}}}}}}} ||
파일:in66-ac1.png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
3.1. 현재
4. 특징
4.1. 대체 노선4.2.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개요

신동아교통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60.2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2. 노선 정보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간선버스 66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240706_인천_66번_지도노선도.svg
기점 인천광역시 서구 마전동(금호어울림아파트) 종점 인천광역시 서구 원당동(검단예미지트리플에듀)
종점행 첫차 05:00 기점행 첫차 06:10
막차 22:00 막차 23:30
평일배차 공식 23~32분 주말배차 공식 32~43분
실제 15~40분 실제 40~60분
운수사명 신동아교통 인가대수 11대(예비 1대)[1]
노선 금호어울림아파트 - 완정역 - 독정역 - 한들마을입구 - 검암역입구 - 검암경서동행정복지센터 - 서곶지구대 - 서구보건소 - 국제성모병원 - 심곡도서관 - 공촌마을 - 경남아파트 - 교통연수원 - 경인교대입구역 - 작전역 - 화전초등학교 - 계양경찰서 - 임학역 - 박촌역 - 동양주공1.2단지 - 계양센트레빌1단지 - 귤현감리교회 - 계양역 - 장기동 - 오류동마을 - 유현사거리 - 아라동행정복지센터 → 검단예미지트리플에듀 → 검단로제비앙라포레 → 디에트르더힐 → 인천이음초등학교 → 이후 역순
중간 출발 정류장
검단예미지트리플에듀 방향 인재개발원, 오류동마을

3. 역사

===# 김포시 시내버스 시절 #===
  • 1996년 6월 16일에 김포시 시내버스로 신설되었다. 당시에는 강화운수[2]에서 운행했고 구간은 계산동(박촌) - 상야동 - 김포공항 - 당산역 - 영등포역이었다. 당시 계산동에서 김포공항, 영등포로 가는 유일한 시내버스였기 때문에 수요가 많았다. 하지만 1999년 9월 3일에 공항버스에서 계산동과 서울시청을 잇는 63-1번을 신설하면서 경쟁이 시작됐다.
  • 경쟁을 피하고 새로 수요처를 확보하는 차원에서 2000년 4월 1일에 왕길동으로 기점이 연장됐다.
  • 신공항여객 39번 국도 경유를 버리고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를 경유하는 초강수를 두면서 계산동과 영등포를 빠르게 연계하는 노선으로 등극한다. 66번이 경쟁력에서 밀리자 2001년 5월 7일에 좌석버스에서 일반시내버스로 전환됐다.
  • 요금이 인하되면서 수요가 늘었지만 배차간격이 20~30분으로 길어서 좌석버스로 이탈하는 승객도 많았다. 카드 단말기도 서울과 인천에서 주로 사용한 인텍크 기종이 아닌 에이캐시를 사용하여 교통카드 사용자들에게 많이 외면받았다.
  • 2001년 11월 20일에 위 상황으로 인해 위기를 겪다가, 도원교통에게 매각된다.
  • 2002년 1월 1일에 종점이 송정역으로 단축되고 계산현대아파트~계산삼거리 구간이 삭제됐다. 계산동자연풀장 인근에 차고지를 조성하여 기점을 변경하기에 이른다.
  • 2002년 7월 16일에 공항버스 홈페이지에 63-1번을 매각한다는 공지가 등장하고 66번과 동일하게 도원교통으로 노선이 매각됐다. 당시엔 63-1번과 66번이 같이 다녔으며 오래도록 지속되던 '계산동~서울' 구간의 경쟁은 66번으로 통일됐다.
  • 2002년 12월 1일에 63-1번과 66번이 김포운수로 인수된다. 63-1번은 66번에 흡수되고 다시 좌석버스로 전환된다. 좌석버스로 환원됐지만 이용객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1,000원의 요금만 징수했고, 2007년까지 인천 - 서울 시계외요금제를 따로 운영했다.[3][4]
  • 2008년 5월 1일에 시내일반버스로 전환하고, 거리비례제로 바뀌었다.
  • 2009년 10월 10일에 770번 770-1번이 분리되어 770번이 계산역을 경유하지 않게 되자 66번이 심곡동과 연희동 일대를 추가로 경유하도록 변경됐다. 동시에 송정역으로 종점이 환원됐다. 네이버 카페[5]

3.1. 현재

  • 2010년 9월 22일에 김포시 일반시내버스에서 인천시 간선버스로 전환돼 김포운수에서 신동아교통으로 이관됐다. 선진그룹과 인천광역시의 협의를 거쳐서 준공영제에는 참여하지 않기로 합의하였다.[6]
  • 2011년 6월 7일에 검단산업단지로 연장됐고 기점이 오류동에서 진웅종점으로 변경됐다.
  • 인천 도시철도 2호선 공사로 인해 2012년 2월 18일부터 4월 6일까지 검단로445번길로 우회했다.
  • 공항대로에 버스중앙차로가 개통하면서 2012년 12월 22일부터 중앙차로를 경유하게 됐고 송정역 인근 삼거리가 아닌 공항중학교 앞에서 유턴하도록 변경됐다.
  • 2014년 9월 22일에 오류동과 검단일반산업단지 구간이 변경됐고 사유지였던 영은슈퍼 구간이 이설됐다.
  • 2014년 11월 20일부터 공촌사거리 대신 서인천세무서, KT서인천지사, 심곡초교를 경유하게 됐다.
파일:인천!66 변경.jpg
  • 2016년 7월 30일 시내버스 개편으로 기점이 진웅종점에서 안동포종점까지 연장되고, 계산역을 경유하는 대신 경인교대입구역, 작전역 경유로 변경되면서 노선이 단순화됐다. 배차간격은 12~20분에서 17분으로 조정되었고, 운행 거리는 74.7km에서 90km으로 늘어났다.
  • 2016년 9월 3일에 기점이 다시 진웅종점으로 단축되었다.
  • 2017년 7월 22일에 작전1동행정복지센터 구간이 폐지되고 '작전역 - 뉴서울3차아파트 - 효성사거리 - 로얄금속 - 부평구청역 - 굴포천역 - 광명아파트' 경유로 변경됐다.
  • 2017년 12월 9일에 '작전역 - 효성사거리 - 로얄금속 - 부평구청역 - 굴포천역 - 광명아파트' 구간이 폐지되고 '작전역 - 북인천세무서 - 한신아파트 - 한림병원 - 임학역'으로 변경됐다.
  • 2018년 5월 5일부터 정류장 간격이 멀다는 민원으로 인해 동양동주유소 정류장이 신설되어 정차했으나 동년 8월 11일에 이용객 저조로 인해 폐지되어 통과한다.
  • 2018년 7월 21일부터 주민들의 민원으로 인해 신설된 당산초등학교아래사거리 정류장에 정차한다.
  • 2018년 9월 5일부터 검단 방향만 경유하던 개화역광역환승센터를 경유하지 않고 양방향 모두 개화검문소에만 정차한다.

파일:Screenshot_20240523_145155_Chrome.jpg
  • 2021년 11월 27일부터 '동양지구 - 송정역' 구간이 단축됨과 동시에, '동양지구 - 도담공원.푸르지오더베뉴' 구간으로 연장되면서 서울시 구간을 더이상 운행하지 않게 됐다. 4대가 감차되어 배차간격은 평일 19~25분, 토요일 23~30분, 공휴일 26~33분으로 늘어났다. 단축된 서울 구간의 대체 노선은 86번이다.[7] 인천광역시 공지사항
  • 2022년 5월 28일부터 디에트르더힐(ID:89455), 인천이음중학교(ID:89456) 정류소에 추가로 정차한다.
  • 2022년 9월 3일부터 '진웅종점-검암역' 구간이 단축되고 기점이 드림파크야생화단지로 변경되고 67번(2기) 폐선분 4대가 다시 증차되어 평일 배차간격 기준 배차간격이 10~13분 정도로 상당히 줄어들었으나 배차간격 정정으로 14~19분으로 변경되었다. 이후에 휴차 차량이 6대로 늘면서 실질적으로 평일 배차간격은 30~55분, 일요일 및 공휴일 배차간격은 35~70분으로 변경됐다.
  • 2023년 1월 28일부터 원당교(89485, 89486) 정류장에 추가로 정차한다.

파일:Screenshot_20240523_144910_Chrome.jpg
  • 2024년 7월 6일에 시행되는 2차 수시개편안에 따르면 운송수익금 감소로 기점을 금호어울림아파트로 연장, 종점을 도담공원 대신 검단예미지트리플에듀 경유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그와 동시에 공식 배차간격은 10~13분에서 14~19분으로 늘어났다. # # 참고로 2년만에 완정역~검암역 구간이 환원되는 셈이다.
  • 2024년 9월 14일부터 검단LH26단지아파트(89545), 검단금호어울림센트럴아파트(89546), 도담공원.인천이음초등학교(서측)(89547) 정류장이 신설되어 추가로 정차한다.
  • 2024년 9월 말에 배차간격 현실화로 23~32분으로 변경되었다.

4. 특징

  • 현금 승차가 불가능하다.
  • 완정사거리를 출발해 검단신도시로 가는 노선이지만 계양구 방향으로 크게 우회하는 노선이기 때문에[8] 검단신도시로 이동할 때에는 다른 노선들을 이용하는 것이 압도적으로 빠르며, 검단(마전동) - 작전역 이동 역시 이 노선보다는 김포 90번이 더 빠르다. 계산 동부지역(까치말사거리)으로 갈 때에도 79번, 97번을 타는게 훨씬 빠르다. 사실상 장거리 수요는 거의 없으며, 노선 특성상 구간수요가 주를 이룬다. 그래서 인천 간선버스 굴곡도 2위를 기록하는 만큼 노선도 순환형에 가깝다.[9]
  • 인천광역시 간선버스 중 유일한 준공영제 미적용 노선이다. 또한 준공영제 미적용 노선이기 때문에 모든 인천광역시 버스들이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LED 행선판이 아닌 전용 행선판[10]을 사용하고, 차량 내 LED 표출기가 없다.
  • 2022년 9월 3일 노선 개편으로 운행 거리가 줄었지만, 기사 부족 때문에 운행하는 차량 수가 일정하지 않아 배차간격이 매우 긴 편이다. 특히 일요일과 공휴일은 배차간격이 40분 ~ 60분이며, 평일에도 배차간격이 70분 이상으로 늘어날 때가 많다.
  • 백석동에서 검암역과 검암2지구로 단독으로 가장 빠르게 이어주는 노선이었지만, 위와 서술한 매우 긴 배차간격과 검암역까지는 아파트 자체에서 출퇴근 시간에 셔틀버스가 운행하며 43번 72번도 검암역으로 바로 가서 수요를 잡지 못했다. 현재는 백석중학교와 백석고등학교의 통학 수요를 70번, 93번, 308번과 함께 나눌 수 있으나 긴 배차간격과 노선 홍보가 덜 되어 이용하는 사람이 조금밖에 없다.

4.1. 대체 노선


실질적으로 검단 원도심 ~ 계산지구 까지는 79번, 박촌역 ~ 검단신도시 아라동 북부 지역은 76번으로 대체가 가능하다.

4.2. 일평균 승차인원

인천광역시 간선버스 66번
<rowcolor=#ffffff>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9년 7,685명 -
2020년 5,137명 ▽ 2,548
2021년 2,016명 ▽ 3,121
2022년 1,125명 ▽ 891
2023년 748명 ▽ 377
※ 하차인원 미포함
  • 이용객 수가 매우 줄었다. 2019년 7700명 정도에서 코로나와 차량감차로 인해 2023년 기준 748명까지 떨어졌다. 다만 휴차 차량 복귀가 이루어질 시 수요가 다시 오를 가능성이 있다.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파일:인천광역시 휘장.svg 인천광역시 준공영제 미참여 버스노선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공항[통]
간선급행
간선
지선
마을
[통] 수도권 통합요금 미적용 노선
}}}}}}}}} ||

[1] 휴차 6대, 토요일 4대 / 공휴일 3대 운행. [2] 선진상운 [3] 정확히는 인천 - 인천/서울 - 서울 탑승 시에는 시내버스와 동일한 운임을 받았고, 시 경계를 넘어가면 거리에 상관 없이 칼 같이 좌석버스 요금을 받았다. [4] 김포시 면허였음에도, 시내버스 전환 이전까지 정작 차는 GBUS 브랜드가 나온 이후에도 파란색 + 인천스타일 행선판을 걸고 다녔을 정도로 김포 버스라는 정체성은 없었다. [5] 문제는 그 과정에서 경기도 시내버스임에도 경기도 관내 정류장이 1개도 없는 촌극이 펼쳐진다. 애초에 김포시 시내버스임에도 김포는 전혀 안 들어가고 부천시만 깔짝거리는 수준이었지만. [6] 이관 준비는 2010년 6월쯤부터 이뤄지고 있었다. 기존 저상버스는 타 노선으로 보내고, 김포 631번 등에서 가져온 BS106에 파란칠을 해서 굴리고 있었다. [7] 본래 67번(2기)으로 대체하였으나, 2022년 9월에 폐선되면서 86번이 대체한다. [8] 참고로 완정사거리에서 검단신도시 첫 정류장이자, 인근에 66번이 정차하는 정류소가 위치한 고산터널 정류장까지는 75번을 타면 15분 내외로 갈 수 있으며, 유현사거리까지 갈 때에도 30번, 97번, 841번, 1002번을 이용하면 20분 내외로 갈 수 있다. 참고로 66번의 왕복 운행 시간은 무려 264분(4시간 24분)이다. [9] 1위는 82번이다. [10] 전면부의 경우는 경기도 버스의 것과 비슷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