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8-12 15:45:57

이채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노동청장 (1963~1981)
<nopad> 박정희 정부
초대
정희섭
제2대
이찬우
제3대
이승택
제4대
조의창
제5대
최두열
<nopad> 박정희 정부 <nopad> 최규하 정부 <nopad> 전두환 정부
제6대
최석원
제7대
박상렬
제8대
정종택
제9대
박창규
제10대
권중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노동부장관 (1981~2010)
<nopad> 전두환 정부
초대
권중동
제2대
정한주
제3대
조철권
제4대
이헌기
<nopad> 노태우 정부
제5대
최명헌
제6대
장영철
제7대
최영철
제8대
최병렬
<nopad> 노태우 정부 <nopad> 문민정부
제9대
이연택
제10대
이인제
제11대
남재희
제12대
이형구
<nopad> 문민정부 <nopad> 국민의 정부
제13대
진념
제14대
이기호
제15대
이상룡
제16대
최선정
<nopad> 국민의 정부 <nopad> 참여정부
제17대
김호진
제18대
유용태
제19대
방용석
제20대
권기홍
<nopad> 참여정부 <nopad> 이명박 정부
제21대
김대환
제22대
이상수
제23대
이영희
제24대
임태희
고용노동부장관 (2010~현재)
<nopad> 이명박 정부 <nopad> 박근혜 정부
초대
임태희
제2대
박재완
제3대
이채필
제4대
방하남
<nopad> 박근혜 정부 <nopad> 문재인 정부
제5대
이기권
제6대
김영주
제7대
이재갑
제8대
안경덕
<nopad> 윤석열 정부
제9대
이정식
제10대
김문수
}}}}}}}}}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0095DA; border-right: 10px solid #0095DA; text-align: center; margin: -6px -11px; padding: 7px; min-height: 34px"
{{{#!wiki style="margin: 0 -16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직위 명단
기획재정부장관 <colbgcolor=#fff,#1f2024><colcolor=#0095DA> 강만수 윤증현 박재완
교육과학기술부장관 김도연 안병만 이주호
외교통상부장관 유명환 김성환
통일부장관 김하중 현인택 류우익
법무부장관 김경한 이귀남 권재진
국방부장관 이상희 김태영 김관진
행정안전부장관 원세훈 이달곤 맹형규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 정병국 최광식
농림수산식품부장관 정운천 장태평 유정복 서규용
지식경제부장관 이윤호 최경환 최중경 홍석우
보건복지가족부장관 보건복지부장관 김성이 전재희 진수희 임채민
환경부장관 이만의 유영숙
고용노동부장관 이영희 임태희 박재완 이채필
여성부장관 여성가족부장관 변도윤 백희영 김금래
국토해양부장관 정종환 권도엽
특임장관 주호영 이재오 고흥길 }}}
}}}}}}}}}


{{{#!wiki style="margin: -15px -10px -2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3%"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 파일:정부상징.svg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7%"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3764><tablebgcolor=#003764> 고용노동부차관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노동청 차장 (1963~1981)
<nopad> 김현철 내각 <nopad> 박정희 정부
초대
김문영
제2대
우기도
제3대
허성준
제4대
김원규
<nopad> 박정희 정부 <nopad> 최규하 정부 <nopad> 박충훈 대행 <nopad> 전두환 정부
제5대
허성준
제6대
박창규
제7대
한진희
제8대
장영철
노동부차관 (1981~2010)
<nopad> 전두환 정부 <nopad> 노태우 정부 <nopad> 문민정부
초대
정동철
제2대
한진희
제3대
이용준
제4대
정동우
제5대
김훈기
<nopad> 문민정부 <nopad> 국민의 정부
제6대
강봉균
제7대
김태연
제8대
최승부
제9대
우성
제10대
안영수
<nopad> 국민의 정부 <nopad> 참여정부
제11대
김상남
제12대
김송자
제13대
박길상
제14대
정병석
제15대
김성중
<nopad> 참여정부 <nopad> 이명박 정부
제16대
노민기
제17대
정종수
제18대
이채필
고용노동부차관 (2010~현재)
<nopad> 이명박 정부 <nopad> 박근혜 정부
초대
이채필
제2대
이기권
제3대
이재갑
제4대
정현옥
제5대
고영선
<nopad> 문재인 정부 <nopad> 윤석열 정부
제6대
이성기
제7대
임서정
제8대
박화진
제9대
권기섭
제10대
이성희
<nopad> 윤석열 정부
제11대
김민석
}}}}}}}}} ||
대한민국 제3대 고용노동부장관
이채필
李埰弼 | Lee Chae-pil
파일:정치인 이채필.jpg
<colbgcolor=#003764><colcolor=#ffffff> 출생 1956년 4월 28일 ([age(1956-04-28)]세)
경상남도 울산군 청량면 학남리
(현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산읍 학남리)[1]
본관 학성 이씨
현직 안전생활실천시민연합 공동대표
재임기간 제18대 노동부차관
2010년 3월 23일 ~ 2010년 7월 4일
초대 고용노동부차관
2010년 7월 5일 ~ 2011년 5월 30일
제3대 고용노동부장관
2011년 5월 31일 ~ 2013년 3월 11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3764><colcolor=#ffffff> 배우자 하혜숙
자녀 슬하 1남 2녀
학력 울산청량국민학교 (졸업)
울산제일중학교 (중퇴)
고등학교 졸업학력 검정고시 ( 합격)
영남대학교 ( 행정학 / 학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 행정학 / 석사[2])
병역 병역면제
경력 제25회 행정고시 합격
노동부 행정관리담당관
노동부 보험제도과장
대통령비서실 보건사회 행정관 ( 노태우 정부)
대통령비서실 노사고용 행정관 ( 문민정부)
대통령비서실 선임행정관 ( 국민의 정부)
노동부 산업안전국장
노동부 고용정책심의관
노동부 직업능력개발국장
노동부 노사협력정책국장
노동부 기획조정실장
제18대 노동부차관 ( 이명박 정부)
초대 고용노동부차관 (이명박 정부)
제3대 고용노동부장관 (이명박 정부)
한국장애인재단 이사장
안전생활실천시민연합 공동대표
}}}}}}}}}

1. 개요2. 생애3. 재판4. 사면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전 공무원.

2. 생애

1956년 경상남도 울산군 청량면 학남리(현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산읍 학남리)에서 태어났다. 이후 청량면 두왕리(현 울산광역시 남구 두왕동)에서 유년기를 보냈다. 울산 청량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울산제일중학교에 재학 중에 중퇴하였다. 이후 중학교 및 고등학교 과정을 검정고시로 이수하고 영남대학교 행정학과, 1986년 서울대학교 행정 대학원에서 행정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81년 제25회 행정고시에 합격하여 공무원으로 근무하였다. 주로 노동부(현 고용노동부), 청와대 대통령비서실 등에서 근무하였다.

이명박 정부가 출범하자 2010년 3월부터 2011년 5월까지 고용노동부차관을, 2011년 5월부터 2013년 3월까지 고용노동부장관을 지냈다.

3. 재판

국정원 특수활동비 청와대 상납 사건 재판
{{{#!wiki style="margin: 0 -10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rowcolor=#FFF>주요 혐의 피고인 1심 항소심 상고심
<colbgcolor=#b8c8dc,#192048> 특활비 상납 등
특가법 뇌물수수
국고 등 손실
<colbgcolor=#ededed,#121212> 이재만 징역 1년 6월 징역 1년 6월 2심 판결 확정
안봉근 징역 2년 6월
벌금 2,700만 원
추징금 1,350만 원
징역 2년 6월
벌금 1억 원
추징금 1,350만 원
2심 판결 확정
정호성 징역 10월·집행유예 2년 징역 1년 6월·집행유예 3년
벌금 1억 원
2심 판결 확정
특활비 상납 등
국고 등 손실·뇌물공여
직권남용·강요
뇌물수수
남재준 징역 3년 징역 2년[파기환송]
징역 1년 6월
2019. 11. 28. 파기환송
파기환송심 판결 확정
이병기 징역 3년 6월 징역 2년 6월[파기환송]
징역 3년
2019. 11. 28. 파기환송
파기환송심 판결 확정
이병호 징역 3년 6월·자격정지 2년 징역 2년 6월[파기환송]
징역 3년 6월·자격정지 2년
2019. 11. 28. 파기환송
파기환송심 판결 확정
이헌수 징역 3년 징역 2년 6월[파기환송]
징역 2년 6월
2019. 11. 28. 파기환송
파기환송심 판결 확정
이원종 무죄 기각, 1심유지 2심 판결 확정
특활비 유용 등
특가법 뇌물수수
국고 등 손실·횡령

[병합1]
박근혜 징역 6년
추징금 33억 원
징역 5년
추징금 27억 원
[파기환송]
징역 20년
벌금 180억 원
추징금 35억 원
[병합1]
2019. 11. 28. 파기환송
파기환송심 판결 확정[병합1]
특활비 유용 등
특가법 뇌물수수
최경환 징역 5년
벌금 1억 5천만 원
추징금 1억 원
징역 5년
벌금 1억 5천만 원
추징금 1억 원
2심 판결 확정
관제시위, 화이트리스트 등
명예훼손, 사기, 공갈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국가정보원법 위반

추선희 징역 1년 10개월
집행유예 4년
자격정지 2년
징역 10개월·자격정지 2년[9]
징역 1년6개월·집행유예 3년[10]
2심 판결 확정
문화계 화이트리스트·공천개입 등
직권남용·강요
뇌물수수·국고 등 손실
공직선거법 위반·위증
·국가공무원법 위반 등
허현준 징역 1년 6월·자격정지 1년 징역 1년 6월·자격정지 1년[파기환송]
징역 10월
2020. 2. 13. 파기환송
파기환송심 판결 확정 (재상고 포기)
김기춘 징역 1년 6월 징역 1년 6월[파기환송]
징역 1년
2020. 2. 13. 파기환송
파기환송심 판결 확정
박준우 징역 1년·집행유예 2년 징역 1년·집행유예 2년[파기환송]
징역 10월·집행유예 2년
2020. 2. 13. 파기환송
파기환송심 판결 확정 (재상고 포기)
조윤선 징역 1년·집행유예 2년 징역 1년·집행유예 2년[파기환송]
징역 10월·집행유예 2년
2020. 2. 13. 파기환송
파기환송심 판결 확정 (재상고 포기)
현기환 징역 3년 징역 2년 10월[파기환송]
징역 1년 6월
2020. 2. 13. 파기환송
파기환송심 판결 확정 (재상고 포기)
김재원 무죄 무죄 2심 판결 확정
신동철 징역 1년·집행유예 2년 징역 1년·집행유예 2년[파기환송]
징역 10월·집행유예 2년
2020. 2. 13. 파기환송
파기환송심 판결 확정 (재상고 포기)
정관주 징역 1년·집행유예 2년 징역 1년·집행유예 2년[파기환송]
징역 10월·집행유예 2년
2020. 2. 13. 파기환송
파기환송심 판결 확정 (재상고 포기)
오도성 징역 1년·집행유예 2년 징역 1년·집행유예 2년[파기환송]
징역 10월·집행유예 2년
2020. 2. 13. 파기환송
파기환송심 판결 확정 (재상고 포기)
특활비 상납 등
뇌물공여·횡령
추명호 징역 2년
자격정지 2년
징역 2년
자격정지 2년
2심 판결 확정
특활비 유용 등
뇌물수수·횡령
김진모 징역 1년·집행유예 2년
사회봉사 200시간
징역 1년·집행유예 2년
사회봉사 200시간
2심 판결 확정
장석명 징역 1년·집행유예 2년
사회봉사 200시간
징역 10월·집행유예 2년
사회봉사 200시간
2심 판결 확정
특활비 상납
뇌물수수 방조
국고 등 손실
김백준 무죄·면소 무죄·면소 2심 판결 확정
특활비 상납
국고 등 손실
김성호 무죄 무죄 2심 판결 확정
김대중·노무현 전 대통령 불법사찰 등
특가법상 국고손실죄
횡령
최종흡 징역 1년 6개월 징역 1년 6개월 2심 판결 확정
김승연 징역 2년 징역 2년 2심 판결 확정
무죄 징역 6개월
자격정지 6개월
2심 판결 확정
이종명 징역 8개월 징역 6개월 2심 판결 확정
이현동 무죄 기각, 1심유지 2심 판결 확정
박윤준 무죄 기각, 1심유지 2심 판결 확정
특활비 상납, 대북공작금 유용 등
블랙리스트·야권인사 사찰 등 정치 공작
사이버상 여론조작·불법 선거 운동 등

특가법상 국고손실
허위공문서작성
허위작성공문서행사
뇌물공여·업무상 횡령
국정원법 위반·업무방해
노조법 위반
정보통신망법 위반(명예훼손)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사문서 위조·사기

[병합2][병합3][병합4]
[병합5][병합6][병합7]
[병합8][병합9][요약]
민병주 징역 2년 6월[병합2][결론2] 징역 2년 2심 판결 확정
원세훈 징역 7년·자격정지 7년
[병합2][병합3][병합4]
[병합5][병합6][병합7]
[병합8][병합9][결론1]
징역 7년·자격정지 5년[파기환송]
징역 9년·자격정지 7년
2021. 3. 11. 파기환송
파기환송심 판결 확정 (재상고 취하)
이종명 징역 2년[병합2][결론3] 기각, 1심유지 2심 판결 확정
김재철 징역 1년 6월·집행유예 3년
사회봉사 160시간

[병합3][결론4]
기각, 1심유지 2심 판결 확정
민병환 징역 3년
자격정지 3년
[병합6][병합9][결론5]
징역 2년 6월
자격정지 3년
[파기환송]
징역 3년
자격정지 3년
2021. 3. 11. 파기환송
파기환송심 판결 확정
박승춘 징역 2년·집행유예 3년
자격정지 2년[병합4][결론6]
기각, 1심유지 2심 판결 확정
이상태 징역 1년 선고유예 2년
자격정지 1년 선고유예 2년

[병합4][결론7]
기각, 1심유지 2심 판결 확정
차문희 징역 2년 집행유예 3년
자격정지 2년
사회봉사 160시간
[병합6][결론8]
기각, 1심유지 공소 기각
박원동 징역 1년 6월
[병합9][결론9]
징역 2년 4월
자격정지 3년
[파기환송]
징역 2년 4월
자격정지 3년
2021. 3. 11. 파기환송
파기환송심 판결 확정 (재상고 포기)
징역 3년
자격정지 3년[별건1][별건2]
이채필 징역 1년 2월[병합9][결론10]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 2심 판결 확정
이동걸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
사회봉사 160시간
[병합9][결론11]
기각, 1심유지 2심 판결 확정
DAS 비자금 조성 등 경영비리
BBK 140억 회수·DAS 소송비 대납
특활비·불법정치자금 수수 등

특가법 뇌물수수·국고 등 손실
정치자금법 위반·직권남용
특경법 횡령·조세포탈
대통령기록물법 위반 등
이명박 징역 15년
벌금 130억 원
추징금 82억 7,070만 3,643원
징역 17년
벌금 130억 원
추징금 57억 8,053만 5,000원
2심 판결 확정 }}}

[파기환송] [파기환송] [파기환송] [파기환송] [병합1] 박근혜의 국가정보원 특수활동비 청와대 상납 사건 파기환송심은 박근혜의 국정농단 사건에 병합 [파기환송] [병합1] 박근혜의 국가정보원 특수활동비 청와대 상납 사건 파기환송심은 박근혜의 국정농단 사건에 병합 [병합1] 박근혜의 국가정보원 특수활동비 청와대 상납 사건 파기환송심은 박근혜의 국정농단 사건에 병합 [9] 국정원법 위반 혐의 [10] 공갈 등 나머지 혐의 [파기환송] [파기환송] [파기환송] [파기환송] [파기환송] [파기환송] [파기환송] [파기환송] [병합2] 원세훈, 이종명의 온라인 여론조작·사이버상 불법 선거 운동과 관련한 특정범죄가중법위반(국고등손실) 또는 업무상횡령 재판(2017고합1241) 병합 [병합3] 원세훈, 김재철의 MBC 장악 활동과 관련한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위반(2018고합75)에 병합 [병합4] 원세훈, 박승춘, 이상태의 국발협 활동과 관련한 정치관여로 인한 국가정보원법, 특정범죄가중법위반(원세훈 한정 혐의로 국고등손실) 재판(2018고합112) 병합 [병합5] 원세훈의 국가정보원 특수활동비 횡령 및 뇌물수수(2018고합321) 병합 [병합6] 원세훈, 민병환, 차문희의 야권 정치인에 대한 정치관여 활동과 관련한 허위공문서작성, 국가정보원법 위반(2018고합375) 병합 [병합7] 원세훈의 김대중 전 대통령, 노무현 전 대통령 관련 정치공작 활동과 관련한 특정범죄가중법위반(국고등손실 및 업무상횡령) 재판(2018고합494) 병합 [병합8] 원세훈의 권양숙 여사, 박원순 서울시장 미행 및 감시와 관련한 직권남용으로 인한 국가정보원법 위반(2018고합622) 재판 병합 [병합9] 원세훈, 민병환, 박원동, 이채필, 이동걸에 대한 어용노총 설립 등으로 인한 특정범죄가중법위반(국고등손실) 재판(2019고합13) 병합 [요약] 민병주의 온라인 여론조작·사이버상 불법 선거 운동과 관련한 특정범죄가중법위반(국고등손실), 공직선거법 위반, 사문서 위조행사, 사기, 국정원법 위반 재판(2017고합1008)에 원세훈과 관련자들이 다른 혐의로 기소되어 받고 있던 재판 목록인 2017고합1241, 2018고합75, 2018고합112, 2018고합321, 2018고합375, 2018고합494, 2018고합622, 2018고합846, 2019고합13 사건이 차례차례 병합되어 2020년 2월 7일 선고가 이루어짐.(워낙 병합된 사건이 많고 사건 사이의 관계가 많아 사건이 방대했다. 그래서인지 1심 선고문이 1500쪽에 이르렀으며 낭독하는데만 2시간 30분이 걸렸다. 초대형 사건이라 불렸던 이명박이나 박근혜의 선고에 걸린 시간이 1시간 30분이었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가히 대단한 기록이다.) 이 재판과 별개로 박원순 김미화 사찰 및 퇴출 공작으로 박원동 재판(2017고합1156, 2018고단394 -> 2018고합92(병합))이 진행되었으며 병합된 사건에서 항소심(2018노3185)이 진행중 사건이 원세훈 항소심(2020노486)에 병합되었으며 2020년 8월 31일 선고가 이루어짐. 항소심 선고 이후 검찰은 이상태를 제외한 모든 피고인들에 대해 2심 판결에 불복하고 상고장을 제출하였으며, 피고인 측은 전원이 2심 판결에 불복하고 상고장을 제출하여 상고심(2020도12583)이 진행되었으며, 선고 결과 원세훈, 민병환, 박원동의 판결에 대한 검찰 측의 상고를 받아들여 무죄 부분에 대해서 파기환송, 차문희는 상고심이 한창 진행중이던 2020년 12월 11일 사망하여 공소기각, 나머지 부분의 상고를 모두 기각하는 선고가 2021년 3월 11일 이루어짐. 파기환송을 받은 서울고등법원은 세 명에 대해 2심 재판을 다시 실시하여(2021노488) 2021년 9월 17일 세 명에 대한 선고가 이루어짐. 판결을 받은 세 명에 대해 검찰은 재상고하지 않고, 박원동 또한 재상고하지 않아 형이 확정됨. 원세훈은 재상고했다가 2021년 10월 20일 상고를 취하해 사건이 종국되었으며, 같이 재판을 받던 민병환은 2021년 12월 30일 재상고심(2021도13366)에서 상고가 기각되어 그대로 파기환송심 판결이 확정됨. [병합2] 원세훈, 이종명, 민병주의 온라인 여론조작·사이버상 불법 선거 운동과 관련한 특정범죄가중법위반(국고등손실) 또는 업무상횡령 재판(2017고합1008, 2017고합1241(병합) 병합 [결론2] 2017고합1008 사건 [병합2] 원세훈, 이종명의 온라인 여론조작·사이버상 불법 선거 운동과 관련한 특정범죄가중법위반(국고등손실) 또는 업무상횡령 재판(2017고합1241) 병합 [병합3] 원세훈, 김재철의 MBC 장악 활동과 관련한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위반(2018고합75)에 병합 [병합4] 원세훈, 박승춘, 이상태의 국발협 활동과 관련한 정치관여로 인한 국가정보원법, 특정범죄가중법위반(원세훈 한정 혐의로 국고등손실) 재판(2018고합112) 병합 [병합5] 원세훈의 국가정보원 특수활동비 횡령 및 뇌물수수(2018고합321) 병합 [병합6] 원세훈, 민병환, 차문희의 야권 정치인에 대한 정치관여 활동과 관련한 허위공문서작성, 국가정보원법 위반(2018고합375) 병합 [병합7] 원세훈의 김대중 전 대통령, 노무현 전 대통령 관련 정치공작 활동과 관련한 특정범죄가중법위반(국고등손실 및 업무상횡령) 재판(2018고합494) 병합 [병합8] 원세훈의 권양숙 여사, 박원순 서울시장 미행 및 감시와 관련한 직권남용으로 인한 국가정보원법 위반(2018고합622) 재판 병합 [병합9] 원세훈, 민병환, 박원동, 이채필, 이동걸에 대한 어용노총 설립 등으로 인한 특정범죄가중법위반(국고등손실) 재판(2019고합13) 병합 [결론1] 2017고합1241, 2018고합75, 2018고합112, 2018고합321, 2018고합375, 2018고합494, 2018고합622, 2018고합846, 2019고합13 사건이 2017고합1008 사건에 병합 [파기환송] [병합2] 원세훈, 이종명, 민병주의 온라인 여론조작·사이버상 불법 선거 운동과 관련한 특정범죄가중법위반(국고등손실) 또는 업무상횡령 재판(2017고합1008, 2017고합1241(병합) 병합 [결론3] 2017고합1241 사건이 2017고합1008 사건에 병합 [병합3] 원세훈, 김재철의 MBC 장악 활동과 관련한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종법 위반(2018고합75)에 병합 [결론4] 2018고합75 사건이 2017고합1008 사건에 병합 [병합6] 원세훈, 민병환, 차문희의 야권 정치인에 대한 정치관여 활동과 관련한 허위공문서작성, 국가정보원법 위반(2018고합375) 병합 [병합9] 원세훈, 민병환, 박원동, 이채필, 이동걸에 대한 어용노총 설립 등으로 인한 특정범죄가중법위반(국고등손실) 재판(2019고합13) 병합 [결론5] 2018고합375, 2019고합13 사건이 2017고합1008 사건에 병합 [파기환송] [병합4] 원세훈, 박승춘, 이상태의 국발협 활동과 관련한 정치관여로 인한 국가정보원법, 특정범죄가중법위반(원세훈 한정 혐의로 국고등손실) 재판(2018고합112) 병합 [결론6] 2018고합112 사건이 2017고합1008 사건에 병합 [병합4] 원세훈, 박승춘, 이상태의 국발협 활동과 관련한 정치관여로 인한 국가정보원법, 특정범죄가중법위반(원세훈 한정 혐의로 국고등손실) 재판(2018고합112) 병합 [결론7] 2018고합112 사건이 2017고합1008 사건에 병합 [병합6] 원세훈, 민병환, 차문희의 야권 정치인에 대한 정치관여 활동과 관련한 허위공문서작성, 국가정보원법 위반(2018고합375) 병합 [결론8] 2018고합375 사건이 2017고합1008 사건에 병합 [병합9] 원세훈, 민병환, 박원동, 이채필, 이동걸에 대한 어용노총 설립 등으로 인한 특정범죄가중법위반(국고등손실) 재판(2019고합13) 병합 [결론9] 2019고합13 사건이 2017고합1008 사건에 병합 [파기환송] [별건1] 박원순 김미화 사찰 및 퇴출 공작(2017고합1156) 사건은 따로 진행되다가 항소심(2018노3185) 심리 중 원세훈 항소심(2020노486)에 병합됨. 항소심 판결 이후 이상태를 제외한 모든 피고인과 검사 측이 상고하여 상고심(2020도12583)이 진행되었는데 박원동은 유죄 부분과 국가정보원 직원들을 상대로 한 직권남용으로 인한 각 국가정보원법 위반 무죄 부분이 유죄 취지로 파기되어 서울고등법원으로 환송됨. [별건2] 국정원 자금을 보수단체에 지원했다가 기소된 재판은 2018고합92로 따로 진행되다가 박원동 사건(2017고합1156)에 병합되어 진행되었음. [병합9] 원세훈, 민병환, 박원동, 이채필, 이동걸에 대한 어용노총 설립 등으로 인한 특정범죄가중법위반(국고등손실) 재판(2019고합13) 병합 [결론10] 2019고합13 사건이 2017고합1008 사건에 병합 [병합9] 원세훈, 민병환, 박원동, 이채필, 이동걸에 대한 어용노총 설립 등으로 인한 특정범죄가중법위반(국고등손실) 재판(2019고합13) 병합 [결론11] 2019고합13 사건이 2017고합1008 사건에 병합
}}}}}}

4. 사면


2022년 윤석열 정부 특별사면으로 형선고 실효 및 복권되었다. 아이러니하게도 사면을 결정한 윤석열 대통령과 한동훈 법무부장관 문재인 정부 시절 윤석열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검사장 - 한동훈 서울중앙지방검찰청 3차장을 맡아 당사자를 감옥으로 보냈던 사람들이다.


[1] # [2] 석사 학위 논문 : 韓國勞動委員會 判定制度의 硏究(한국노동위원회 판정제도의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