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9 11:54:19

육군정보통신학교

육군통신학교에서 넘어옴
파일:육군교육사령부 부대마크.svg
육군교육사령부 예하부대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상무대
파일:육군보병학교 부대마크.svg
육군보병학교
파일:육군포병학교 부대마크.svg
육군포병학교
파일:육군기계화학교 부대마크.svg
육군기계화학교
파일:육군공병학교 부대마크.svg
육군공병학교
파일:육군화생방학교 부대마크.svg
육군화생방학교
파일:육군교육사령부 부대마크.svg
상무대 근무지원단
자운대
파일:육군정보통신학교 부대마크.svg
육군정보통신학교
파일:육군교육사령부 부대마크.svg
육군리더십센터
파일:육군종합군수학교 부대마크.svg
육군종합군수학교
그 외 지역
파일:육군교육사령부 부대마크.svg
군견훈련소
파일:육군종합행정학교 부대마크.svg
육군종합행정학교
파일:육군부사관학교 부대마크.svg
육군부사관학교
파일:육군훈련소 부대마크.svg
육군훈련소
파일:육군과학화전투훈련단 마크.svg
육군과학화전투훈련단
파일:육군방공학교 부대마크.svg
육군방공학교
파일:육군항공학교 부대마크.svg
육군항공학교
파일:육군정보학교 부대마크.svg
육군정보학교
※ 군 공통의 직할부대( 본부근무대, 의무근무대 등)는 제외.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 ||
육군정보통신학교
陸軍情報通信學校
ROK Army Signal School
파일:육군정보통신학교 부대마크.svg
ICT기술을 선도하는 정예 정보통신장병 육성
<colbgcolor=#1b0c81><colcolor=#F06808> 창설일 1947년 1월 20일(국방경비대 통신학교)
1950년 8월 21일(육군통신학교)
2005년 1월 1일(육군정보통신학교)
별칭 정통교, 통신교
소속 대한민국 육군
상급부대 육군교육사령부
경례구호 충성
종류 군사학교
규모 여단
역할 초급 정보통신 장교 교육
학교장 준장 임강규(육사 48기)
위치 대전광역시 유성구 자운대
홈페이지 웹사이트[1]

1. 개요2. 상세3. 교육과정
3.1. 일과 시간3.2. 일과 시간 이후3.3. 수료
4. 출신인물
4.1. 학교장4.2. 장교/부사관4.3. 병
5. 기타
5.1. 근무환경5.2. 부대시설5.3. 부대가
6. 사건사고7. 여담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육군 정보통신병과 장병들을 훈련하기 위한 정보통신 병과 교육기관. 대전광역시 자운대에 위치해 있다.

2. 상세

과거 제3군관구사령부 예하부대이었으나 육군교육사령부로 예속되었다. 자운대로 옮기기 이전에는 지금의 갈마동 경성큰마을 아파트 단지 자리에 있었다.

원래 이름은 '육군통신학교'였으나 병과 이름이 '통신'에서 '정보통신'으로 바뀌면서 학교 이름도 달라졌다. 부대 구호는 통(通)하라. 학교장의 계급은 준장이다. 예전에는 해군 공군에 정보통신 관련 특기 교육 기관이 없어서 타군의 통신병들도 이곳을 거쳤지만, 지금은 육군과 해병대, 특히 주로 육군훈련소에서 정보통신 관련 주특기를 부여받은 병들이 이곳을 거친다. 해군 수병들과 해병대 전산병들은 해군정보통신학교로, 공군 병들은 공군정보통신학교로, 해병대 통기병 및 전탐병 해군전투병과학교로 간다.

해병대의 경우 체계운용병들과 통신병과 장교.부사관들이 보수교육 위탁을 오는데 이는 해병대가 육군과 일부 같은 체계를 사용하기 때문이다.[2] 해병대원들끼리는 철저히 기수를 따져 육군과 달리 파라다이스는커녕 지옥이 펼쳐지기도 한다. 가령 선임기수와 후임기수가 같은 내무실을 쓸 때 선임기수가 교관 및 조교 몰래 얼차려를 주기도 하고 경례 안 하냐며 시비 걸기도 한다. 심지어는 초급간부가 해병대 병사들에게 꼬장을 부리기 까지 한다.

경찰청의 위탁을 받아 의경들의 교육도 한다. 다만 저들은 엄연히 민간인이기에 서로 조심한다.

이등병들만 교육하는 기관은 아니다. 통신 병과의 장교, 부사관들도 이곳에서 교육을 받으며 면회실도 운영하고 있다.

초군반의 경우에는 4개월의 교육 기간 동안 통신학교마크만 달며, 지휘 실습이나 수료 이후에만 배치 부대의 부대마크를 단다.

이등병들 역시 교육기간 동안 전투복에 이 부대의 마크를 달며 자대로 갈 때 이 마크를 반납하게 된다.

간혹 아무런 교육도 받지 않고 정보통신 관련 주특기를 받은 병사들도 들어온다[3]. 만약 이등병이 아닌 일등병, 상병 들이 보인다면 거의 이쪽일 가능성이 높다. 다만 각 부대들의 일정이 매우 바쁘기에 여단급 이하로 배치 받았다면 여기까지 교육을 받으러 올 일은 잘 없다.

PX의 크기는 육군종합군수학교보다는 못하지만 큰 편에 속한다. 혹시라도 자신이 산속에 파묻히게 될 것 같으면 여기서 냉동식품을 많이 먹어두자.

3. 교육과정

교육받는 이등병들의 호칭은 훈련병이 아닌 교육생. 내부시설도 나쁘지 않은 편이고(거주하는 건물의 각 층마다 생활관 두개크기의 휴식공간이 있고 정해진 시간동안 마음대로 이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때때로 강당으로 단체로 이동해 영화를 보기도 한다.). 후반기 교육이라서 자대 생활을 바로 하는 것 보다는 낫다는 평을 받고 있다. 이등병들끼리 PX도 이용하는 등 교육생들에게는 정말 편한 곳으로 여겨진다. 수송교육연대와 마찬가지로 이쪽도 신병훈련소에 비하면 천국. 규율도 심하게 얽어매지 않는 편이다.

교육생들이 우글우글 몰려다니는 것을 볼수있으며 종교행사시에 좌르륵 몰려있는 모습은 여기가 대전인지 논산인지 모를 정도. 종교행사 참석은 교육생 자유로 맡기며, 종교행사에 참가하지 않는 교육생은 각자 휴식을 취하기도 한다.

교육 받으러 온 간부의 경우, 초급반 및 초군반은 간부식당에서 식사를 한다. 해병대에서도 위탁교육을 한 바 있다. 주말에 외박이 가능한데 과목 공부를 소홀히 하여 과락을 맡게된 경우 해당 교육생에 대해서는 외박이 통제 당한다.
2023년 기준 악명 높은 통신이론은 과락률이 높으며, 과락을 당하더라도 외박 통제는 없다. 하지만 2회 이상 과락을 하게 되면 퇴교 조치 당하는데 경우에 따라서 불명예제대를 하게 될 수도 있다.

외박 시 관광버스가 영내까지 와서 각 터미널로 운행한다.[4]

3.1. 일과 시간

일반병의 일과 시간동안 오직 통신 관련 교육만 받는다. 각종 케이블 및 통신장비의 제원 및 조작방법을 익히도록 해 그냥 투입되는 통신병보다 많이 알고 적응력도 빠르다. 이러한 교육이 3~4주 동안 진행된다( 기준).[5]

초급반(초급리더과정)과 초군반(신임장교과정)은 14~17주 동안 교육이 진행된다.

3.2. 일과 시간 이후

조교(혹은 조교가 속한 중대 기간병)와 경계 근무를 나가는데 근무 교육 할 때 제대로 안받고 정신줄 놓고 경계근무 나가면 같이 나가는 조교에게 지적(or 갈굼) 당할 수 있으니 근무는 제대로 배우자. 간혹 조교와 같이 안가고 혼자서 근무해야 할 때가 있는대(이때는 총은 들고가지 않는다) 이때 야간순찰 간부가 오면 당황하지 말고 암구호를 꼭 물어봐야 한다.

경계근무 외에 당직근무[6]를 선다. 경계근무는 필요 인원이 많지 않기 때문에 교육 중 세 번 정도 나가면 많이 나가는 것이지만, 당직근무는 자주 선다. 방식은 자대의 불침번과 같다. 행정반에 신고하고 교대. 동초 등등.

간부 교육생(장교, 부사관)의 경우, 불침번과 당직을 서게 된다. 당연히 당직근무는 할 것도 많고 당직사령 순찰이라도 오면 불침번보다 고생한다.

3.3. 수료

군대에서 몸과 정신의 노동은 반비례인지라 배운 항목을 가지고 시험을 치며 성적 우수자는 상장과 함께 포상이 주어진다. [7] 물론 시험 성적이 망했다고 그렇게 눈치 볼 필요는 없다. 어차피 육군의 자대배치는 해 공군과 달리 철저히 랜덤이기 때문인데 시험성적이 상위권이었음에도 전투대대 본부중대로 가는 경우가 있고 거의 과락만 면했음에도 국군지휘통신사령부 본부나 국방부로 발령 받는 경우도 있다. 즉 휴가를 노리는게 아니라면 그냥 적당히만 하면 된다.

만약 과락되면 가르치는 교관이나 조교들이 여러 불이익을 받기에 과락 안 되는 선에서 힌트를 주며 과락을 면할 때까지 여러번 재시험을 보는 경우도 있다. 어찌 보면 과락이 나올래야 나올 수가 없다. 설령 과락이 나온다고 해도 집으로 돌려 보낼 순 없으니 문제없이 자대로 배치된다. 교관들 입장에서도 자진 퇴교가 아닌 강제 퇴교를 시키려면 위원회 소집등의 귀찮은 절차를 거쳐야 하고 병사수준에서는 높은 지식이 필요하지 않기에 어지간해서는 수료를 시키려고 한다.

추가적으로 기장은 2박 3일을 받고 서무계로 지원한 용사는 1박 2일의 휴가를 받게 된다. 신병휴가시에 붙여쓸 수 있기 때문에 신병휴가를 7박8일로 나갈 수 있다. 다만 이는 부대사정에 따라 달라지므로 참고만 할 것.

교육을 마치면 대부분의 경우 사단, 군단 예하 정보통신대대 또는 정보통신단에 배치되며 나머지는 작전사령부 직할 통신여단이나 국군지휘통신사령부의 예하 부대로 배치된다. 여단 통신대/통신중대 등에 배치되기도 하며 드물게는 보병여단 보병대대 본부중대까지 가는 경우도 있다[8]. 그나마 보병대대 본부중대는 업무스케일이 작아 사고쳐도 큰 타격이 없는건 다행... 아무래도 상급부대로 가면 다루는 업무의 스케일 자체가 커지고 보안도도 매우 높아지기 때문이다.

레이더의 경우 대개 레이더 기지로 가지만 대대 쪽에 차출되는 경우도 더러 있다.[9] 수료 이후에도 다시 올 기회가 없는것은 아니다. 통신학교에서 자격증 시험을 일부[10]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만약 해당 자격증을 군에서 취득하려는 경우 통신학교에 파견되어서 실습을 진행한다.

4. 출신인물

4.1. 학교장

볼드체 대장 진급이 된 학교장.
역대 육군정보통신학교장
역대 이름 계급 임관 비고 기타
초대 예) 소장 前 학교장
00대 김규석 예) 소장 육사 29기 국군지휘통신사령관
46대 남궁균 예) 소장 육사 35기 前 학교장 [11]
47대 이명노 예) 소장 육사 36기 前 학교장, 現 쏠리드윈텍 대표 [12]
48대 김종찬 예) 준장 육사 38기 국군지휘통신사령관
49대 박순상 예) 준장 육사 40기 前 학교장
50대 이경일 예) 소장 학군 27기[13] 前 육군본부 정보화기획참모부장
51대 정문황 예) 준장 육사 45기 前 합참 사이버.지휘통신참모부장
52대 최창운 소장 육사 47기 現 육군본부 정보화기획참모부장
53대 김한성 예) 준장 육사 46기 사이버작전사령관
54대 임강규 준장 육사 48기 現 학교장. 前 국군지휘통신사령관

원칙적으로 육군정보통신학교장은 정보통신감을 겸직한다.

4.2. 장교/부사관

4.3.

  • 신치용 - 배구 감독, 한국체육산업개발 대표이사
    1978년 1월 10일 입대, 육군통신학교에서 견인포병(야전포병)으로 복무, 1980년 4월 3일 병장 만기전역.
  • 윤남노 - 간부회관 취사병으로 복무. 도중 레바논 파병을 다녀왔다.

5. 기타

5.1. 근무환경

사용하지 않는 생활관에는 괴담이 붙는 경우가 있다. 실제로 사용하지 않는 생활관을 청소하다 보면 뭔가 정체를 알 수 없는 퀴퀴한 냄새가 난다. 사람 없는 데가 원래 을씨년스럽지만 사용하지 않는 생활관이 많은 층은 불침번 근무 설 때 상당히 으스스하다. 사람 적은 기수일 경우 한 층에 한 생활관만 사용하는 경우도 종종 있으니..

면회 외출이 존재한다. 보통 교육 3주 차 정도 되었을 때 주말에 실행하며 짧은 시간이지만 가족과의 면회 및 외출이 가능하다. 출발시간은 09:00부터 면회 온 가족을 확인하는 순서대로 보내준다. 복귀 시간은 16:00으로 제한시간상 대전 유성구 근처에서 쉬는 것을 추천한다. 그러나 외출 중 탈영사고가 터져서... 현재는 일반 면회로 변경된 상태.

5.2. 부대시설

PX, 군장점,횃불관 카페가 끝이다. 인근 군수교와 비교되는점이기도 하다.

5.3. 부대가

백두산 정기받아 올려진 봉화

삼천리 금수강산 비춰주리니

대한의 건아들 여기모여서

조국을 지키려고 횃불을 들고

민족의 나갈 길 밝게 비춘다

오 국군의 자랑 육군정보통신학교

-육군정보통신학교가

6. 사건사고

7. 여담

면회 외출을 위해 올라오던 일가족이 추풍령 구간에서 사고를 당해 조부상을 당하게 된 사건이 있었다.

영내에 사슴을 기르던 때가 있었다. 일명 짬사슴. 사슴에 대한 소문으로는 등이 있었다.(...)

참고로 현재는 방목 중.[14] 가끔씩 동산에서 나와 잔디를 잘 먹는다 (....) 뿔이 무지 길었던 사슴이 하루아침에 갑자기 뿔이 없어진 것을[11-1] 목격한 목격담도 있다.

상급 부대와 가까워서 그런지 기간병들이 훈련에 나가는 경우가 있었다. 조리병마저도. 조리병마저 훈련을 나가게 되어 밥을 안 주고 전투식량을 배급한 일이 있다.

가끔가다(주로 10~12월) 교복에 이름표를 달고 조교 인솔 하에 무리 지어 다니는 학생들이 있는데, 통신학교에 체험하러 온 군 특성화고 군 통신 관련 학생들이다. 100% 확률로 졸업 후 바로 논산-> 통신학교 테크로 다시 오는 학생들이니 가엾게 봐주자.

만약 자신이 군 국가기술 검정 시험에서 통신선로 산업기사, 기능사 시험을 응시해서 필기 합격했다면 와볼 수 있다.

대전 자운대로 옮긴 직후인 1992년 12월 '노노노노노'로 데뷔한 가수 하수빈 우정의 무대 촬영차 이곳에서 병영체험을 한 적이 있다.


[1] 사용 저조로 폐쇄 [2] 정확히 말하면 육군과 해군의 C4I 체계를 모두 사용한다. 더 자세히 이야기하면 코렁탕을 먹을 수 있으니 이 정도로만. 반면 해병대의 레이더를 담당하는 전탐병들의 경우 해상감시 레이더라는 특성상 해군전투병과학교로 가서 수병과 같이 교육받는다. [3] 주로 사단 신교대로 입대한 인원 중 정보, 통신관련 학과나 자격증을 가졌다면 통신특기를 받을 수 있다. [4] 개인 자차가 있는 간부들은 개인 자차로 이동한다. [5] 대개 부대가 필요하거나 운용 규모가 커 운용병이 많이 필요한 보직일수록 교육기간이 짧다. 특히 사단에서 대규모로 운영하는 TMR은 짧은 교육기간의 대표주자다. (2주. 참고로 타 주특기는 3주~4주) [6] 자대에서 서는 진짜 당직이 아니라 불침번 근무인데 당직 근무라고 한다. 주말에는 일정 시간씩 돌아가면서 근무하게 된다. 당직 완장도 찬다(...) [7] 1등만 포상이(3박 4일) 주어지고 기장이 1등을 한 경우에는 같은 과정에서 기장이 추천한 사람이 포상을 받는다. [8] 다만 여기는 주로 사단신교대에서 직배속 받은 인력들이 주로 가는 곳이다. 아무리 군대가 주먹구구식의 인력배치를 한다해도 여기까지 수료한 나름 고급인력을 굳이 업무 난이도도 낮은 전투대대로 보내는건 여러모로 낭비이기 때문이다. [9] 주로 제한된 범위인 해안선과 가까운 육지를 감시하는 육군과 경찰 레이더는 인원이 해군 /해병 및 해경에 비해 적다. 그리고 대부분 무인화되어 현재 내륙의 1개 기지가 무인 기지들을 통제하는 식으로 바뀌었다. 반면 해군과 해병대가 합동 근무하는 해군 해안 레이더와 해경 레이더는 수가 많은 편이다. [10] 통신선로 기능사/산업기사 [11] ~2009.11.05 [12] 2009.11.05~ [13] 금오공과대학교 [14] 참고로 큰 도로 반대편 자운대에있는 육군종합군수학교 전투지휘훈련단 에서도 사슴을 방목하고 있다. [11-1] 어느정도 길어진 뿔로 학교장이 녹용즙을 만들어 먹는다는 소문이 기간병들 사이에 돌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