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5px 0" |
※ 2003년 11월 독일의 공영TV인 ZDF가 독일 국민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가장 위대한 독일인 1백인’을 발표한 명단이다. | ||||||||
TOP 10 | |||||||||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콘라트 아데나워 | 마르틴 루터 | 카를 마르크스 | 한스, 죠피 숄 남매 | 빌리 브란트 | |||||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 요한 볼프강 폰 괴테 | 요하네스 구텐베르크 | 오토 폰 비스마르크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 |||||
11위~100위 | |||||||||
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아돌프 콜핑 | 루트비히 판 베토벤 | 헬무트 콜 | 로베르트 보쉬 | 다니엘 퀴블뵈크 | |||||
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콘라트 추제 | 요제프 켄테니히 | 알베르트 슈바이처 | 카를하인츠 뵘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 |||||
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
헬무트 슈미트 | 레진 힐데브란트 | 알리체 슈바르처 | 토마스 고트샤크 | 허버트 그로네메이어 | |||||
26위 | 27위 | 28위 | 29위 | 30위 | |||||
미하엘 슈마허 | 루트비히 에르하르트 | 빌헬름 콘라트 뢴트겐 | 귄터 야우흐 | 디터 볼렌 | |||||
31위 | 32위 | 33위 | 34위 | 35위 | |||||
얀 울리히 | 슈테피 그라프 | 사무엘 하네만 | 디트리히 본회퍼 | 보리스 베커 | |||||
36위 | 37위 | 38위 | 39위 | 40위 | |||||
프란츠 베켄바워 | 오스카 쉰들러 | 네나 | 한스 디트리히 겐셔 | 하인츠 뤼만 | |||||
41위 | 42위 | 43위 | 44위 | 45위 | |||||
하랄트 슈미트 | 프리드리히 대왕 | 임마누엘 칸트 | 패트릭 린드너 | 하르트무트 엥겔 | |||||
46위 | 47위 | 48위 | 49위 | 50위 | |||||
힐데가르트 폰 빙엔 | 하이노 | 리하르트 폰 바이츠제커 | 클라우스 폰 슈타우펜베르크 | 마를레네 디트리히 | |||||
51위 | 52위 | 53위 | 54위 | 55위 | |||||
로베르트 코흐 | 요슈카 피셔 | 카를 마이 | 로리오 | 알베르투스 마그누스 | |||||
56위 | 57위 | 58위 | 59위 | 60위 | |||||
루디 푈러 | 하인츠 에르하르트 | 로이 블랙 | 하인츠 하랄트 프렌첸 | 볼프강 아펠 | |||||
61위 | 62위 | 63위 | 64위 | 65위 | |||||
알렉산더 폰 훔볼트 | 피터 크라우스 | 베르너 폰 브라운 | 디르크 노비츠키 | 캄피노 | |||||
66위 | 67위 | 68위 | 69위 | 70위 | |||||
프란츠 요제프 슈트라우스 | 세바스티안 크나이프 | 프리드리히 실러 | 리하르트 바그너 | 카타리나 비트 | |||||
71위 | 72위 | 73위 | 74위 | 75위 | |||||
프리츠 발터 | 니콜 | 프리드리히 폰 보델슈윙흐 | 오토 릴리엔탈 | 마리온 돈호프 | |||||
76위 | 77위 | 78위 | 79위 | 80위 | |||||
토마스 만 | 헤르만 헤세 | 로미 슈나이더 | 스벤 하나발트 | 바이에른의 엘리자베트 여공작 | |||||
81위 | 82위 | 83위 | 84위 | 85위 | |||||
빌리 밀로위치 | 게르하르트 슈뢰더 | 요제프 보이스 | 프리드리히 니체 | 루디 두치크 | |||||
86위 | 87위 | 88위 | 89위 | 90위 | |||||
카를 레만 | 베아테 우제 | 트뤼머프라우 |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 | 헬무트 란 | |||||
91위 | 92위 | 93위 | 94위 | 95위 | |||||
알브레히트 뒤러 | 막스 슈멜링 | 카를 벤츠 | 프리드리히 2세 | 라인하르트 메이 | |||||
96위 | 97위 | 98위 | 99위 | 100위 | |||||
하인리히 하이네 | 게오르크 엘저 | 콘라드 두덴 | 제임스 라스트 | 우베 젤러 | |||||
출처 | |||||||||
같이 보기 : 위대한 인물 시리즈 |
요제프 보이스 Joseph Beuys |
|
|
|
<colbgcolor=#eaeaea,#191919> 출생 | 1921년 5월 12일 |
바이마르 공화국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크레펠트 | |
사망 | 1986년 1월 23일 (향년 65세) |
국적 | 독일 |
직업 | 화가 |
소속 정당 |
[1] |
주요수상 | 빌헬름 렘브루크상 (1986) |
주요작품 |
《죽은 토끼에게 어떻게 그림을 설명할 것인가》 (1965) 《흔적》 (1974) 《꿀을 주세요》 (1979) 《카프리 배터리》 (1985) 《집합체가 놓인 책상》 (1958∼1985) |
[clearfix]
1. 개요
독일의 예술가로서, 조각, 드로잉, 설치 미술, 행위 예술 등 다양한 작품 활동을 하였고, 교육가, 정치가로도 활동하였다. "모든 사람은 예술가이다"라고 주장하며 '사회 조각'이라는 확장된 예술 개념을 통해 사회의 치유와 변화를 꿈꾸었다.2. 생애
요제프 보이스는 1921년 5월 12일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크레펠트에서 태어났다. 보이스가 태어나고 얼마 후, 그의 가족이 클레베로 이사하여 보이스는 이곳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그는 동식물, 조각, 과학과 기술 등에 흥미가 많았으며, 소아과 의사가 되기를 꿈꾸었다.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보이스는 1940년에 고등학교 졸업시험을 마치고 독일 공군(루프트바페)에 입대하여 폭격기 부조종사로 복무하였다. 1943년, 그가 탄 JU-87기가 러시아 크림 반도에서 격추되었다. 보이스는 저서에서 의식 불명 상태에 있던 자신을 유목민족인 타타르인이 발견하여 구조하고, 동물의 지방과 펠트 천으로 감싸 치료해주었다고 주장했다. 이는 그의 예술 경력에서 가장 논쟁적인 부분이다. 이는 자전적 신화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확실한 목격자들에 따르면 충돌후 곧 조종사는 죽었다고 한다. 그러나 독일 수색특공대가 발견했을때 보이스는 의식이 있었다고 한다. 그리고 그 당시 사고 장소에는 타타르인이 없었다고 한다. 보이스는 군병원으로 후송되었고 3월 17일에서 4월 7일까지 3주간 입원했었다.
부상에도 불구하고 1944년 8월 보이스는 낙하산병 훈련을 받고 서부전선에 재배치되었다. 1945년 5월 8일 패전후에는 독일 쿡스하펜의 영국 포로수용소에 수감되었으며, 그해 8월 5일 풀려나 클레베로 귀향하였다.
전쟁에서 죽을 고비를 넘기며 산전수전을 겪은 그는 미술가가 되기로 결심하고, 1947년 뒤셀도르프 예술 아카데미[2]에 입학하여 조각을 공부하였다. 1950년대 초 작품을 발표하기 시작하였고, 1953년 부퍼탈에 있는 폰 더 하이트 박물관(Von der Heydt Museum)에서 첫 개인전을 가졌다.
1961년에 그는 뒤셀도르프 예술 아카데미의 조각과 교수로 임명되었다. 그 후 플럭서스(Fluxus) 운동에 참여하게 되었고, 1963년 플럭서스 페스티벌에서 그의 첫 행위 예술인 《플럭서스 시베리안 심포니 1악장》이 행해졌다. 그 후 보이스는 평생 동안 약 70여 회의 퍼포먼스를 선보이며, 국내외적으로 그의 명성을 떨쳤다.
그는 사회와 정치에 많은 관심을 가졌고, 예술로 사회를 변화시키려 함은 물론, 직접 정치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1967년에 학생들의 요구를 대변해주는 독일 학생당(DSP)을 창당하였고, 1972년 카셀 도큐멘타 5(Documenta V)에서는 프리데리치아눔 박물관 안에 '국민투표를 통한 직접 민주주의 조직'이라는 사무실을 열어 100일 동안 민주주의, 예술에 대해 강연하고 관람객들과 토론하였다. 1976년에는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의원 선거에 출마하였고, 1979년 유럽 의회 선거에서 녹색당 후보로 출마하기도 하였다.
보이스는 교육에 있어서도 그의 신념을 적극적으로 밀어붙였다. 1971년 뒤셀도르프 예술 아카데미 안에 자유 국제 대학[3]을 설립하여 누구나 자유롭게 공부하고 토론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였다. 또, 아카데미 입학 시험에서 떨어진 학생들을 입학시키기 위해 아카데미 사무실을 점거하며 시위를 벌이기도 하였다. 1972년에도 낙방한 학생들의 입학 허가를 받아 내려 또 한 번 사무실을 점거하며 시위하다가 결국 교수직에서 해임되었다. 1979년 뉴욕 구겐하임 미술관에서 보이스의 대규모 회고전이 개최되어 그의 명성이 국제적으로 떨쳐졌다. 1982년에 보이스는 카셀 시에 7000그루의 나무를 심는 환경운동이자 퍼포먼스의 일종인 《7000그루 참나무》 프로젝트를 시작하였다. 보이스는 1986년 1월 23일 뒤셀도르프에서 심장 질환으로 사망하였으며, 이듬해인 1987년 그의 아들인 벤젤이 마지막 7000번째 나무를 심으며 프로젝트가 완성되었다.
3. 예술관
제2차 세계대전 중 보이스가 겪은 죽을 뻔한 경험은 그의 예술 활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비행기에서 추락하여 의식을 잃은 보이스를 타타르족이 발견하고 동물의 지방과 펠트 천으로 그를 치료해주었는데, 이 지방과 펠트는 그의 작품에서 매우 중요한 재료가 된다. 타타르족은 상처를 치료하고 몸에 온기를 촉진시키기 위해 동물의 지방을 그의 몸에 발랐고, 추위로부터 열을 보존하기 위해 펠트 천을 덮어주었다. 즉 보이스의 작품에서 지방은 생명을 주는 에너지를 상징하고, 펠트는 에너지를 보존하는 따뜻함을 상징한다. 보이스는 이러한 소재들을 사용하여 예술로서 개인적, 사회적 상처를 치유하고자 하였다. 또, 보이스는 "모든 사람은 예술가이다"라고 주장하며 인간의 창조력을 옹호하였다. 이 말은 모든 사람들이 화가나 조각가가 될 수 있다는 말이 아니라, 모든 인간이 가지고 있는 창조적인 능력을 모든 직업에서 발견하고 계발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따라서 이 때 창조되는 것은 미술관에 있는 그림이나 조각이 아니라, 바로 ' 사회'이다. 즉, 인간의 모든 삶은 예술 작업의 일부이며, 인간은 이러한 예술 작업을 통해 '사회적 조형물(Soziale Plastik)'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 확장된 미술 개념을 통해 보이스는 현대인의 황폐하고 비인간적인 삶과 사회를 치유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