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4 21:08:23

요다 츠요시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3595><tablebgcolor=#003595> 파일:주니치 드래곤즈 엠블럼.svg 주니치 드래곤즈
감독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555,#aaaaaa
1936년 ~ 현재
1대
이케다
파일:일본 국기.svg
(1936)
2대
마스
파일:일본 국기.svg
(1937)
3대
네모토
파일:일본 국기.svg
(1938~1939)
4대
고니시
파일:일본 국기.svg
(1940~1941)
5대
혼다
파일:일본 국기.svg
(1941~1942)
6대
마스
파일:일본 국기.svg
(1942~1943)
7대
미야케
파일:일본 국기.svg
(1944)
8대
타케우치
파일:일본 국기.svg
(1946)
9대
스기우라
파일:일본 국기.svg
(1946~1948)
10대
아마치
파일:일본 국기.svg
(1949~1951)
11대
츠보우치
파일:일본 국기.svg
(1952~1953)
12대
아마치
파일:일본 국기.svg
(1954)
13대
노구치
파일:일본 국기.svg
(1955~1956)
14대
아마치
파일:일본 국기.svg
(1957~1958)
15대
스기시타
파일:일본 국기.svg
(1959~1960)
16대
노닌
파일:일본 국기.svg
(1961~1962)
17대
스기우라
파일:일본 국기.svg
(1963~1964)
18대
니시자와
파일:일본 국기.svg
(1964~1967)
19대
스기시타
파일:일본 국기.svg
(1968)
20대
미즈하라
파일:일본 국기.svg
(1969~1971)
21대
요나미네
파일:미국 국기.svg
(1972~1977)
22대
나카
파일:일본 국기.svg
(1978~1980)
23대
곤도
파일:일본 국기.svg
(1981~1983)
24대
야마우치
파일:일본 국기.svg
(1984~1986)
25대
호시노
파일:일본 국기.svg
(1987~1991)
26대
타카기
파일:일본 국기.svg
(1992~1995)
27대
호시노
파일:일본 국기.svg
(1996~2001)
28대
야마다
파일:일본 국기.svg
(2002~2003)
29대
오치아이
파일:일본 국기.svg
(2004~2011)
30대
타카기
파일:일본 국기.svg
(2012~2013)
31대
다니시게
파일:일본 국기.svg
(2014~2016)
32대
모리
파일:일본 국기.svg
(2017~2018)
33대
요다
파일:일본 국기.svg
(2019~2021)
34대
타츠나미
파일:일본 국기.svg
(2022~)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480><tablebordercolor=#003595><tablebgcolor=#003595> 파일:주니치 드래곤즈 엠블럼.svg 주니치 드래곤즈
역대 1라운드 지명선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쇼와 시대 ]
{{{#555555,#aaaaaa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
1965년 ~ 1988년
1965년 1966년 1차 1966년 2차 1967년 1968년
토요나가 류세이
(豊永隆盛)
오오바 타카히로
(大場隆広)
이구마 히로카즈
(伊熊博一)
츠치야 히로시
(土屋紘)
호시노 센이치
(星野仙一)
1969년 1970년 1971년 1972년 1973년
야자와 켄이치
(谷沢健一)
우지이에 마사유키
(氏家雅行)
후지사와 테츠야
(藤沢哲也)
스즈키 타카마사
(鈴木孝政)
후지나미 유키오
(藤波行雄)
1974년 1975년 1976년 1977년 1978년
츠치야 마사카츠
(土屋正勝)
타오 야스시
(田尾安志)
미야코 유지로
(都裕次郎)
후지사와 키미야
(藤沢公也)
타카하시 미치타케 (1)
(高橋三千丈)
1979년 1980년 1981년 1982년 1983년
우시지마 카즈히코
(牛島和彦)
나카오 타카요시
(中尾孝義)
오노우에 아키라
(尾上旭)
카시마 타다시 (1)
(鹿島忠)
후지오 야스하루
(藤王康晴)
1984년 1985년 1986년 1987년 1988년
나카무라 타케시 (1)
(中村武志)
사이토 마나부 (1)
(斉藤学)
콘도 신이치 (2)
(近藤真市)
타츠나미 카즈요시 (2)
(立浪和義)
이마나카 신지
(今中慎二)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헤이세이 시대 ]
{{{#555555,#aaaaaa
1989년 ~ 2018년
1989년 1990년 1991년 1992년 1993년
요다 츠요시
(与田剛)
코지마 히로무 (1)
(小島弘務)
오치아이 에이지 (1)
(落合英二)
사토 히데키 (1)
(佐藤秀樹)
히라타 히로시 (3)
(平田洋)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1998년
카나모리 타카히로 (1)
(金森隆浩)
아라키 마사히로 (1)
(荒木雅博)
코야마 신이치로
(小山伸一郎)
카와카미 켄신 (3)
(川上憲伸)
후쿠도메 코스케 (3)
(福留孝介)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아사쿠라 켄타 (1)
(朝倉健太)
나카자토 아츠시
(中里篤史)
마에다 아키히로 (1)
(前田章宏)
모리오카 료스케
(森岡良介)
나카가와 히로키
(中川裕貴)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히구치 타츠미 (3)
(樋口龍美)
히라타 료스케 (4)
(平田良介)
도노우에 나오미치 (2) (4) 아카사카 카즈유키 (1) (4)
(赤坂和幸)
노모토 케이 (2)
(野本圭)
요시미 카즈키 (3) (5)
(吉見一起)
타나카 다이스케 (3) (5)
(田中大輔)
야마우치 소마 (1) (5)
(山内壮馬)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오카다 토시야 (1)
(岡田俊哉)
오노 유다이
(大野雄大)
타카하시 슈헤이 (2)
(高橋周平)
후쿠타니 코지
(福谷浩司)
스즈키 쇼타 (1)
(鈴木翔太)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노무라 료스케
(野村亮介)
오가사와라 신노스케 (1)
(小笠原慎之介)
야나기 유야 (2)
(柳裕也)
스즈키 히로시 (1)
(鈴木博志)
네오 아키라 (2)
(根尾昂)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레이와 시대 ]
{{{#555555,#aaaaaa
2019년 ~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이시카와 타카야 (2)
(石川昂弥)
타카하시 히로토
(髙橋宏斗)
브라이트 켄타
(ブライト健太)
나카치 레이아
(仲地礼亜)
쿠사카 쇼 (1) (2)
(草加勝)
}}}}}}}}}}}} ||
(1) 하즈레 1라운더: 첫 지명에서 중복 지명된 선수의 교섭권 획득에 실패했을 때 차순위로 선택한 선수.
(2) 복수지명 추첨 성공
(3) 역지명, 희망 입단 범위: 1993년부터 2006년까지 존재한 제도로, 선수를 확정적으로 획득할 수 있었다.
(4) 고교생 드래프트, (5) 대학생, 사회인 드래프트: 2005년~2007년의 3년간은 고교 선수와, 대학&사회인 야구에서 뛰었던 선수의 지명이 분리되어 있었다.
(6) 지명 후 미입단
}}}}}}}}} ||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1990년 센트럴리그 최우수 신인
1989년
도마시노 겐지
( 야쿠르트 스왈로즈)
요다 츠요시
( 주니치 드래곤즈)
1991년
모리타 고이치
( 주니치 드래곤즈)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1990년 센트럴리그 최우수 구원투수[1]
1989년
츠다 츠네미
( 히로시마 도요 카프)
40SP[2]
요다 츠요시
( 주니치 드래곤즈)
35SP[3]
1991년
오노 유타카
( 히로시마 도요 카프)
32SP[4]
[[주니치 드래곤즈|주니치 드래곤즈]] 역대 감독
모리 시게카즈
(2016~2018[5])
요다 츠요시
(2019~2021)
타츠나미 카즈요시
(2022~)

파일:요다츠요시.jpg
요다 츠요시
与田剛[6] / Tsuyoshi Yoda
생년월일 1965년 12월 4일 ([age(1965-12-04)]세)
국적
[[일본|]][[틀:국기|]][[틀:국기|]]
출신지 치바현 키미츠시
포지션 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입단 1989년 드래프트 1순위
소속팀 주니치 드래곤즈 (1990~1996)
치바 롯데 마린즈 (1996~1997)
닛폰햄 파이터즈 (1998~1999)
한신 타이거스 (2000)
지도자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1군 투수코치 (2016~2017)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2군 투수코치 (2018)
주니치 드래곤즈 감독 (2019~2021)

1. 개요2. 선수 시절3. 은퇴 이후
3.1. 주니치 드래곤즈 감독 부임 이후
4. 기타

[clearfix]

1. 개요

일본프로야구 선수, 해설가, 코치.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주니치 드래곤즈의 감독을 역임하였다.

2. 선수 시절

고등학교와 대학 시절엔 부상 등으로 눈에 띄는 활약이 없었지만, 이후 사회인야구 NTT 도쿄로 가면서부터 시속 150km가 넘는 강속구를 던지며 주목을 받았고, 1989년 드래프트 1위로 주니치 드래곤즈에 입단했다.

입단 첫 해인 1990년부터 구원투수로 뛰며 빠른 강속구를 주무기로 50시합 등판, 4승 5패 31세이브 방어율 3.26을 기록하며 신인왕, 최우수 구원투수 타이틀을 얻고 신인투수 최다 세이브 기록을 세우는 뛰어난 활약을 선보였다.[7] 같은 해 퍼시픽리그 소속으로 투수 4관왕에 신인왕, MVP, 그리고 사와무라상까지 독차지한 긴데츠의 노모 히데오와 함께, 그해 일본 프로야구에서 신인투수 돌풍을 일으킨 주역이었던 셈.[8]

하지만 그 해 이후엔 1992년 시즌[9]을 제외하면 부상 등으로 인해 제대로 출장조차 하지 못하며 부진에 시달렸고[10] 결국 1996년 시즌 도중 치바 롯데 마린즈로 트레이드되며 주니치를 떠났다. 이후 치바 롯데 마린즈, 닛폰햄 파이터즈, 한신 타이거스를 떠돌다[11] 2000년 허리 부상이 악화되면서 끝내 은퇴를 선언하였다.

통산 성적은 148시합 등판, 8승 19패 59세이브, 방어율 4.58이다. 현역 선수를 제외한 역대 투수 신인왕 중 유일하게 통산 승리가 10승 미만인 선수인데, 이는 선수 시절의 대부분을 구원투수로 활동했던 점에 따른 결과였다. 데뷔 초창기의 무리한 기용으로 인한 부상만 아니었으면 좀 더 오래, 성공적으로 선수 생활을 할 수도 있었을지도 모를 일.

3. 은퇴 이후

2001년부터 2015년까지 NHK 선데이 스포츠 프로그램에서 해설위원으로 활동하면서 사회인 야구팀과 일본 여자야구대표팀 투수코치를 지냈고 2009년에는 제2회 WBC대회에서 불펜코치를 담당. 팀의 2연패에 기여하였다. 2013년 제3회 WBC대회에선 메인 투수코치를 맡았고 대회가 끝난뒤 해설위원으로 활동하다가 2016년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투수코치로 취임했고, 2018년까지 역임했다.

3.1. 주니치 드래곤즈 감독 부임 이후

2019년부턴 모리 시게카즈의 후임으로 주니치 드래곤즈의 감독이 되었다. 수석 코치로는 감독 경험이 풍부한 이토 쓰토무가 선임되었는데 이때문에 이런 저런 얘기가 나오고 있다. 여튼 선수로서의 첫 소속팀에 20여년만에 감독으로 돌아온 셈. 취임 액땜인지 시즌을 앞두고 마쓰자카 다이스케가 팬들에게 사인을 해주다가 어깨 부상을 당하는 예기치 못한 불상사로 불편한 기색을 보였다고 한다. #

하지만 액땜이 충분하지 않았는지 주전, 후보 선수를 가리지 않고 부상을 당하며 누더기가 된 선수진으로 시즌을 보내야했다. 그탓인지 성적도 널뛰기를 거듭했는데, 4월 한때 리그 선두 다툼을 하면서 상승세를 타다가 선수 줄부상으로 인해 하위권으로 쳐졌다가, 다시 7월에는 부상 선수들의 복귀와 함께 8연승을 기록하며 센트럴 리그 2위까지 올라왔다가 다시 하락세를 타고 결국 9월 24일, DeNA전에서 패배하며 취임 첫 해 B클래스(4위 이하)가 확정됐다. 거기다 시즌 막판 한신의 극적인 클라이맥스 시리즈 진출 도전의 조연이 되며 피해자가 된 히로시마 도요 카프 팬들의 원성을 사야 했다. 히로시마를 이기면서 고춧가루를 제대로 뿌려주고 한신과의 시즌 최종 2연전을 모조리 내주면서 한신의 극적인 드라마를 완성시켜 주었기 때문이었다.

다만 주전 선수들의 계속된 부상 이탈에도 불구하고 9월 초반까지 클라이맥스 시리즈 진출에 도전하는 등 나름 전 감독인 모리 시게카즈 시절보다는 조금 나아졌다는 평이 많다.

그러나 대망의 2020시즌,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때문에 리그 개막이 늦어진 걸 감안하더라도 실드를 치지 못할 정도의 개막장 운영과 삽질을 시전한 끝에 2020년 7월 말부터 도로 최하위로 돌아가고 말았다. 급기야 7월 25일 주니치신문에서 요다 감독의 용병술과 작전에 대해서 대놓고 비판하는 기사를 1면 톱기사로 실었다. 기사 내용은 24일 선발 오노 유다이를 어거지로 끌고 간 것[12], 불펜에 10명이나 투수를 쌓아 두고도 제때 교체 안한 것, 7회초에 역전을 허용하는 과정에서 전진 수비한 것에 대한 비판이었다. 그 기사 최상단 베플을 번역해 보면 원래 이토 쓰토무를 감독으로 올리려다가 말았다는 뉘앙스의 코멘트가 나왔다. 사실상 이토가 감독이고 요다 감독은 그냥 바지감독인 셈. 24일 경기 역전패 이후 코멘트는 아예 올해 주니치의 유행어라는 조롱까지 댓글로 받아야 했다. 그래도 에이스 오노 유다이를 중심으로 분전하며 시즌 막판에 3위 등극을 확정지었고 4456555를 종결지으며 8년만에 A클래스 복귀와 5할승률을 기록했다.

하지만 2021시즌에는 다시 B클래스로 내려와 요코하마와 꼴찌 싸움을 하고 있는 상황이 되어 시즌 종료 후 결별이 예상되고 있다. # 결국 10월 12일자로 이번 시즌까지만 감독직을 수행하고 사임한다는 기사가 올라오며 팀을 떠나게 되었다. 후임 감독으로는 '미스터 드래곤즈' 타츠나미 카즈요시가 가장 유력하며 구단측에서 타츠나미에게 취임 요청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 그리고 타츠나미 카즈요시가 후임 감독이 되며 요다는 물러났다.

4. 기타

  • 신인왕 수상 이듬해인 1991년에 전용 테마곡으로 좋아해, 스트레이트! 그래서 오늘 밤도 여기에 왔어(好きよ、ストレート! だから今夜もここに来た)가 나오기도 했다. # 주니치의 응원가 타올라라 드래곤즈!를 만든 야마모토 마사유키가 제작한 곡으로, 당시 성우 데뷔 전이었던 카와카미 토모코가 보컬로 참여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이 곡은 요다가 감독으로 취임한 2019년에 발매된 타올라라 드래곤즈! 레이와의 격려 음반에 복각 수록되었다.
  • 프로 입단 2년째였던 1991년 시즌 후, 최초의 한일 슈퍼게임에도 출전했다. 고시엔 구장에서 열린 3차전에 일본 올스타가 역전하자 9회 마무리 투수로 등판하여 장효조 등에 안타를 허용해 득점권 출루까지 허용했지만, 마지막 타자인 이만수를 삼진으로 잡으면서 경기를 끝냈다.
  • 야구계에서도 알아주는 어깨깡패로 24인치라는 넓은 어깨폭을 자랑한다. 타카츠 신고 야쿠르트 감독과 라인업 교환을 하는 사진을 보면 확연하게 차이가 느껴진다. 참조

[1] 이때 수상기준은 세이브 수가 아닌 세이브 포인트(구원승+세이브, 약칭 SP)가 기준이었다. 2005년부턴 세이브 포인트가 폐지되면서 이 상도 최다 세이브 상으로 새로 개편된다. [2] 12구원승 28세이브, 세이브 수는 리그 1위 [3] 4구원승 31세이브, 세이브 수는 리그 1위 [4] 6구원승 26세이브, 세이브 수는 리그 1위 [5] 2016년 시즌은 감독대행 [6] 1999~2000년까진 발음은 같지만 한자 표기가 다른 요다 츠요시(与田剛士)를 등록명으로 썼다. [7] 이후 16년 후인 2015년 야마사키 야스아키가 37세이브로 갱신하게 된다. [8] 요다와 노모는 그해 일본 프로야구 올스타전 첫경기에서 각각 센트럴과 퍼시픽 리그의 선발로 맞대결까지 했다. [9] 41시합 등판, 2승 5패 23세이브 방어율 3.48 [10] 당시 주니치 감독이었던 호시노 센이치의 무리한 투수 관리로 인한 결과로 평가받는다. 기본적으로 157km까지 구속이 나오는 요다 본인의 투구폼이 부상당하기 쉬운 투구폼이긴 했지만, 본인이 감독의 지시를 제대로 거절 못하는 성격이었기에 첫해부터 50경기 88이닝에 달하는 과도한 출장을 소화했다. 1992년에도 41게임 72이닝을 출장해냈다. 데뷔 3년차 등판 기록이 이정도면 탈이 안 날 리가...요다 츠요시 본인은 1년차부터 '이러다 탈이 나지 않을까?' 하는 의구심이 들었지만, 어쨌건 지시라서 등판했다고 회고하였다. [11] 1995년 시즌 이후로는 1999년만 딱 1경기 구원 등판해 평균자책점 8.00을 기록했고, 이 경기가 마지막으로 등판한 경기가 되었다. [12] 5회 종료시 투구수 103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