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9 18:55:14

왓치맨(영화)

{{{#!wiki style="margin:-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f2023> 파일:dc-logo-313x313.png DC 코믹스
계열사 원작 기반 실사영화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로드 투 퍼디션 (2002)
젠틀맨 리그 (2003)
콘스탄틴 (2005)
폭력의 역사 (2005)
브이 포 벤데타 (2005)
스타더스트 (2007)
왓치맨 (2009)
루저스 (2010)
레드 (2010)
레드: 더 레전드 (2013)
더 키친 (2019)
}}}}}}}}} ||
둘러보기: DC 코믹스/미디어 프랜차이즈

잭 스나이더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펼치기 · 접기 ]

상세정보 링크 열기

왓치맨 (2009)
Watchmen
파일:왓치맨 국내판.jpg
장르
원작
앨런 무어, 데이브 기번스 - 그래픽 노블 《 왓치맨
감독
각본
데이비드 헤이터
알렉스 티세
출연
제작
로렌스 고든
로이드 레빈
데보라 스나이더
촬영
레리 퐁
편집
윌리엄 호이
음악
미술
알렉스 맥도웰
의상
마이클 윌킨슨
캐스팅
크리스티 칼슨
제공사
공동 제공사
제작사
파일:미국 국기.svg 로렌스 고든/로이드 레빈
수입사
배급사
개봉일
화면비
2.39 : 1
상영 시간
161분
190분[1]
215분[2]
제작비
1억 3,000만 달러
월드 박스오피스
$185,382,813(최종)
북미 박스오피스
$107,509,799(최종)
대한민국 총 관객 수
606,317명 (최종)
국내 등급
북미 등급
파일:R등급 로고.svg

1. 개요2. 예고편3. 시놉시스4. 제작과정5. 등장인물6. 줄거리7. 명대사8. 사운드트랙9. 평가
9.1. 호평9.2. 혹평9.3. 총평
10. 흥행11. 수상12. 감독판과 최종판13. 기타14. 관련 문서15. 외부 링크

[clearfix]

1. 개요

"Who watches the Watchmen?"
"감시자들은 누가 감시하는가?"[3][4]
북미 포스터 태그라인

잭 스나이더가 그래픽노블 왓치맨을 원작으로 만든 영화.

2. 예고편

▲ 예고편[5]
▲ 4K 예고편

3. 시놉시스

이제 히어로들의 반란이 시작된다!

1985년 냉전시기, 국가의 승인 없는 히어로들의 활동을 금지하는

4. 제작과정

원작이 워낙에 유명한 작품이다 보니 이미 영화화 계획은 꽤 오래 전부터 있었으나 매번 프로젝트가 무산되며 여러 감독의 손을 거쳐갔었다. 판권 취득은 이미 1986년에 로렌스 고든이 자신의 회사인 라르고 엔터테인먼트로 사들였지만, 라르고 엔터테인먼트가 와해되고 20세기 폭스와 고든이 각자 나눠가지게 되었다. 그 후 1994년에 고든이 제대로 영화화를 하기 위해 워너 브라더스와 손잡고 20세기 폭스에게 판권까지 사들이면서 완전한 판권을 소유하게 되었다. 실질적으로 영화화 프로젝트는 이때부터 시작한 것이다. 하지만 예산 문제로 크리. 다음으로 유니버설 픽처스가 추진했으나 제작자와 창작자 견해 차이로 취소. 그 다음 파라마운트 픽처스가 판권을 구매하게 되는데, 제작 단계에서 예산 문제로 취소됨에 따라 다시 워너 브라더스로 돌아온다. 하지만 배급권 등 수익배분 같은 부가적인 문제로 제작사 간의 해결이 되지 않아서 최종적으로 워너 브라더스는 파라마운트 픽처스에게 배급권, 제작비 지급, 극장 수익 배분을 주었지만 기존을 가지고 있었던 20세기 폭스에게도 파라마운트 픽처스과 같이 줄 수 있는 것이다.

테리 길리엄, 폴 그린그래스, 대런 애러노프스키가 영화화를 시도했었는데, 테리 길리엄은 "TV 시리즈로나 겨우 소화할 이야기"라며 포기했다. 가장 마지막까지 진행됐던 프로젝트는 대런 애러노프스키가 진행한 프로젝트로 시나리오 단계가 완성되어 있었다. 이때 애러노프스키가 직접 수정한 시나리오는 배경을 2000년대로 바꾸고 베트남 전쟁을 테러와의 전쟁으로 변경했다. 리처드 닉슨 조지 워커 부시로 변경한 상태였다고 한다. 물론 이 단계의 프로젝트가 무산되었기 때문에 이 상태로 잭 스나이더에게 넘어왔고, 스나이더는 " 나의 왓치맨은 그렇지 않아!!!"라고 말하며 다시 원작에 맞춰서 전면 수정하였다고 한다.

왓치맨의 팬들은 이런 스나이더의 변경 소식을 듣고 환호했다지만, 스나이더의 최종 결과물과 《 블랙 스완》을 만든 애러노프스키의 역량을 보자면 이게 긍정적이었는지는 아무도 알 수 없다.

2003년에 촬영한 테스트 영상이 공개되었다. 각본가인 데이비드 헤이터가 감독을 맡았다.[6] 영상

5. 등장인물

5.1. 왓치맨

5.2. 미닛맨

파일:왓치맨 영화판 모스맨.jpg
바이런 루이스 / 모스맨 (나이얼 매터 扮)
파일:왓치맨 영화판 실루엣.jpg
우르술라 찬트 / 실루엣 (아폴로니아 바노바 扮)
파일:왓치맨 영화판 1대 나이트 아울.jpg
홀리스 메이슨 / 1대 나이트 아울 (스티븐 맥허티 扮)

5.3. 기타

파일:왓치맨 영화판 말콤 롱.jpg
말콤 롱 박사 (윌리엄 테일러 扮)
파일:왓치맨 영화판 버나드.jpg
버나드[8] (제이 브라조, 롭 라벨리 扮)
파일:external/i83.photobucket.com/2-9.jpg
제이니 슬레이터 (로라 매넬 扮)

5.4. 검은 수송선[9]

6. 줄거리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7. 명대사

영화의 어두운 분위기를 잘 나타내며 팬들에게 인기를 끌었다. 다만 일부 오리지널 대사를 제외하면 원작에서 그대로 따온 것이 대부분이다.
"Who watches the Watchmen?"
감시자들은 누가 감시하는가?[10][11]
This city is afraid of me. I've seen its true face.
이 도시는 나를 두려워한다. 내가 그 실체를 알고 있으니까.
로어셰크의 일기장 中
The End Is Nigh
종말이 도래했다[12]
코미디언: "It's a joke. It's all a joke. Mother, forgive me."
다 농담이야. 다 농담일 뿐이야... 어머니, 용서해 주시길...
코미디언: "You know, mankind's been trying to kill each other off since the beginning of time; now, we finally have the power to finish the job. Ain't nothing gonna matter once those nukes start flying; we'll all be dust. And Ozymandias here will be the smartest man on the cinder.''
너도 알다시피, 인류는 태초부터 서로를 죽이려 들었지. 그리고 이젠 드디어 우리에게 그것을 끝내 버릴 힘이 생겼어. 핵무기들이 발사되기 시작하면 너나 할 것 없이 우리 모두 잿더미가 되어 버리겠지. 그러면 여기 있는 오지만디아스는 그 잿더미 위에서 가장 똑똑한 사람이 되는 거고.
로어셰크: "The accumulated filth of all their sex and murder will foam up about their waists, and all the whores and politicians will look up and shout "Save us!"... and I'll whisper "no."
정욕과 살인으로 뒤범벅된 오물이 그들의 허리까지 차오를 것이다. 그리고 모든 창녀들과 정치인들이 위를 올려다보며 "살려 줘!"라고 외치겠지... 그럼 난 속삭일 것이다. "안 돼."
1대 나이트 아울: "You were a better Nite Owl than I ever was, Danny boy."
자넨 나보다 훨씬 나은 나이트 아울이었어, 대니 보이.
2대 나이트 아울: "Hollis, we both know that's bullshit."
홀리스, 그런 건 말도 안 되는 소리라는 거 우리 다 알잖아요.
1대 나이트 아울: "Hey, watch with the language! This was the left hook that took out Captain Axis! Remember?"
이봐, 입 조심해! 이건 내가 캡틴 액시스를 뻗게 한 레프트 훅이라고, 기억나지?
2대 나이트 아울: "The Watchmen are over."
왓치맨은 끝났어.
로어셰크: "Says Tricky Dick."
교활한 딕이 한 말이지.[13]
(2대)나이트 아울: "Says me."
내가 한 말이야.
2대 나이트 아울: "What happened to us? What happened to the American Dream?"
대체 우리에게 무슨 일이 일어난 거지? 아메리칸 드림은 어떻게 된 거고?
코미디언: "What happened to the American Dream? It came true! You're lookin' at it."
아메리칸 드림이 어떻게 됐긴? 실현됐잖아! 너도 직접 보고 있고.
로어셰크: "I heard joke once: Man goes to doctor. Says he's depressed. Life seems harsh, and cruel. Says he feels all alone in threatening world. Doctor says: "Treatment is simple. The great clown - Pagliacci - is in town. Go see him. That should pick you up." Man bursts into tears. "But doctor..." he says "I am Pagliacci.""
나도 아는 농담 하나 해 볼까. 한 남자가 의사를 찾아갔어. 우울하다고, 인생이 힘겹고 가혹하다고. 험한 세상에 나 홀로 남아 있는 것 같다고 하소연을 했지. 의사가 말하길 "치료법은 간단합니다. 위대한 광대 팔리아치가 이 동네에 온다고 합니다. 그를 만나러 가 보시죠. 그럼 기분이 좋아지실 겁니다." 남자는 울음을 터트리며 말했어. "하지만 의사양반, 내가 바로 팔리아치요."
닥터 맨하탄: "I am looking at the stars. They are so far away, and their light takes so long to reach us. All we ever see of stars is their old photographs."
별을 보고 있어. 저들은 너무나도 멀리 떨어져 있어서, 그들의 빛이 우리에게 닿기까지 너무나 오래 걸리지. 우리가 보는 것은 별들의 옛 사진일 뿐이야.
로어셰크: "God doesn't make the world this way. We do."
세상을 이렇게 만든건 신이 아니야. 우리가 그랬지.
로어셰크: "You don't seem to understand. I'm not locked in here with you. You're locked in here with me!"
이해를 못 한 것 같군. 내가 너희와 갇힌 게 아니야. 너희가 나와 갇힌 거지!
2대 실크 스펙터: "Everyone will die!"
모두가 죽을 거야!
닥터 맨하탄: "And the universe will not even notice."
그리고 우주는 알아차리지도 못하겠지.
닥터 맨하탄: "We are all puppets, Laurie. I'm just the puppet who can see the strings."
우린 모두 꼭두각시야, 로리. 난 그저 을 볼 수 있는 꼭두각시일 뿐이지.
오지만디아스: "I'm not a comic book villain. Do you seriously think I would explain my master stroke to you if there were even the slightest possibility you could affect the outcome? I triggered it 35 minutes ago."
난 만화책에 나오는 악당이 아니야.[14] 너희가 결과에 영향을 미칠 확률이 조금이라도 있는 상황에서 내 계획을 너희에게 다 말해 줬을 것 같아? 이미 35분 전에 실행했어.
로어셰크: "Never compromise. Not even in the face of Armageddon. That's always been the difference between us, Daniel."
종말을 마주할지라도, 결코 타협하지 않는다. 그게 항상 우리의 차이였어, 대니얼.
로어셰크: "Suddenly, you discover humanity. Convenient. If you'd cared from the start, none of this would've happened."
갑자기 인간성이라도 되찾으셨나? 참 편리하군. 네가 처음부터 신경을 썼더라면 이런 사단은 일어나지도 않았어.
닥터 맨하탄: "I can change almost anything. But I can't change human nature."
난 거의 모든 것을 바꿀 수 있어. 하지만 인간의 본성은 바꿀 수 없어.[15]
로어셰크: "Of course, you must protect Veidt's new Utopia. One more body amongst foundations makes little difference. Well, what are you waiting for? Do it... Do it!!!"
(그러시겠지, 넌 바이트의 새로운 유토피아를 지켜야 하니까. 거기에 시체 한 구 더 얹어 봤자 무슨 상관이겠나. 자, 뭘 망설여? 죽여... 어서 죽이라고!!!
오지만디아스: "Dan. A world united in peace... there had to be sacrifice."
댄. 모두가 평화롭게 단결한 세상... 거기에는 희생이 따라야만 했어.
2대 나이트 아울: "No! You haven't idealized mankind but you've... you've deformed it! You mutilated it. That's your legacy. That's the real practical joke. "
아니! 넌 인간의 본성을 바꾸지 못했어. 넌... 넌 인간을 기형적으로 만든 것뿐이야! 불구로 만들었다고! 그게 너의 업적이야. 정말 질 나쁜 농담이지.[16]
로어셰크: "Rorschach's Journal. October 12th, 1985. Tonight, a comedian died in new york"
로어셰크의 일기, 1985년 10월 12일. 오늘 밤, 뉴욕에서 어떤 코미디언이 죽었다.

8. 사운드트랙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왓치맨(영화)/사운드트랙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평가


||<-3><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bgcolor=#333><tablebordercolor=#333>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
메타스코어 56 / 100 점수 8.4 / 10 상세 내용



||<-2><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93208><bgcolor=#f93208> 파일:로튼 토마토 로고 화이트.svg ||
신선도 65% 관객 점수 71%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6c700><tablebordercolor=#f6c700><tablebgcolor=#fff,#191919><:> [[IMDb|
파일:IMDb 로고.svg
]] ||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14181c><tablebordercolor=#14181c><tablebgcolor=#fff,#191919><:>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c0><bgcolor=#fc0> 파일:알로시네 화이트 로고.svg ||
전문가 별점 3.7 / 5.0 관람객 별점 3.8 / 5.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05><bgcolor=#005> 파일:키노포이스크 로고.svg ||
별점 7.6 / 1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00><#fff,#ddd> 파일:야후! 재팬 로고.svg ||
별점 3.4 / 5.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333><bgcolor=#333> 파일:엠타임 로고.svg ||
평점 7.5 / 1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6699cc><#edf4ec> 파일:더우반 로고.svg ||
별점 8.5 / 1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f0558><bgcolor=#ff0558> 파일:왓챠피디아 로고 화이트.svg ||
별점 3.4 / 5.0



||<-2><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ordercolor=#101322><#101322><tablebgcolor=#fff,#191919> 파일:키노라이츠 화이트 로고.svg ||
지수 85.15% 별점 / 5.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bgcolor=#03cf5d><tablebordercolor=#03cf5d><tablebgcolor=#fff,#191919>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
{{{#!wiki style="display:66471"
{{{#!wiki style="display:none; display: inline-block; display: 66471; margin:-5px -9px"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66471|{{{#!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기자·평론가
6.78 / 10
관람객
없음 / 10
네티즌
6.87 / 10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5px -9px"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tablecolor=#000,#fff>
기자·평론가
6.78 / 10
관람객
없음 / 10
네티즌
6.87 / 10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6393f9><tablebgcolor=#fff,#191919> 파일:다음 로고.svg ||
평점 6.3 / 1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84C4D><tablebordercolor=#F84C4D><tablebgcolor=#fff,#191919>
파일:CGV 로고 화이트.svg
||
지수 없음%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f5e2a><tablebordercolor=#ff5e2a><tablebgcolor=#fff,#191919><:> [[MRQE|
MRQE
]] ||
평점 없음 / 10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00><bgcolor=#000> 파일:cinemascore-logo.png ||
등급 B


Gritty and visually striking, Watchmen is a faithful adaptation of Alan Moore's graphic novel, but its complex narrative structure may make it difficult for it to appeal to viewers not already familiar with the source material.
불쾌한 현실을 그대로 보여주고 시각적으로도 두드러지는 영화 <왓치맨>은 앨런 무어의 그래픽노블을 충실하게 각색한 영화이나, 그 복잡한 이야기 내러티브 구조는 원작에 익숙하지 않은 관객들에게 다가가기에는 다소 어려울지도 모른다.
- 로튼 토마토 총평
원작을 고스란히 재현한 것만으로도 만족.
- 김봉석 (★★★★)
원작의 충실한 영화화
- 김종철 (★★★★)
잡탕 공포가 드라마 공포를 압도한다.
- 유지나 (★★☆)
그래픽 노블이 생명을 얻었다
- 문석 (★★★☆)
원작을 향한 충성심이 거둔 절반의 성공
- 이용철 (★★★)
박진감을 즐기기엔 잔소리가 너무 많다
- 박평식 (★★★)
원작에 대한 열렬한 팬보이 신앙간증
- 김도훈 (★★★)
- 이동진 (★★★☆)
슈퍼히어로 영화계의 블레이드 러너 #
- 스콧 데릭슨[17]

9.1. 호평

우선 영상미는 일품이다. 비주얼의 디테일에 중점을 두는 잭 스나이더의 작품답게 모든 컷에 정성이 들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왓치맨들의 코스튬과 시설물은 세련되게 리파인되었지만, 1대 실크 스펙터의 헤어스타일이라든가 맨 첫 장면에 나오는 팻 뷰캐넌 쇼, 장면마다 나오는 적절한 올드팝 BGM 등 당시 사회를 더 리얼하게 반영한 부분도 있다.

영화가 시작하며 연출되는 코미디언의 죽음도 훌륭한 OST 선곡 덕에 호평받았고, 코미디언을 내던져 유리가 깨지는 장면은 원작과 거의 비슷하게 재연되여 좋은 평을 받는다.
▲ 오프닝 크레딧

명장면이라 불리는 해당 오프닝 크레딧[18]. 오프닝 크레딧이 오르면서 나오는 수퍼 히어로들이 미국 현대사에 개입해서 벌어지는 대체역사 상황들이 아주 일품이다. 노래는 밥 딜런' The Times They Are a-Changin''이 쓰였는데, 노래 자체가 워낙 명곡인데다 영상과의 싱크로율도 높다.

1대 실크 스펙터가 부부 싸움을 하는 장면[19]이나 은퇴 장면, 로어셰크가 창녀의 자식이라는 장면 등 주인공들의 어린 시절과 교차하거나, 미닛 맨들의 최후, 히로시마에 원자폭탄을 투하하는 비행기에 실크 스펙터가 그려져 있다던지, 케네디의 암살을 사실은 코미디언이 한 일이라든가[20], 그 밖에 아폴로 11호 달 착륙 당시 기념 사진을 찍어주는 닥터 맨하탄, 뉴욕 스튜디오 54 앞에서 데이빗 보위, 믹 재거, 빌리지 피플 등과 같이 있는 오지만디아스 씬 등 원작에서는 언급만 하고 지나간 이야기들 등을 노래와 결합시킨 영상이 압권.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피델 카스트로의 만남, 켄트 주립대 시위 발포 사건, 앤디 워홀과 트루먼 카포티 등 미국의 굵직한 근대사 사건들을 교차 나열하여 현장감과 리얼리티를 높였다.

원작을 봤든 안 봤든 비평가든 관객이든 이 장면은 원작 이상으로 훌륭하다는 평이다. 이는 스나이더가 광고 감독 출신인 영향이 클 것이다. 194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미국 사회의 모습을 영상으로 훌륭하게 재현한 것도 영화판의 큰 성과이다.

원작에 충실하려고 나름대로 최선을 다한 것 또한 장점이라면 장점이다. 사실 결말부의 전개를 빼면 완전판 기준으로 원작을 그렇게 크게 바꾼것도 아니다.[21] 또한 배우들의 연기력, 원작과의 싱크로도 좋은 반응을 얻었다. 특히 로어셰크를 연기한 재키 얼 헤일리는 배우 자신이 캐릭터의 열렬한 팬으로서 소화해낸 연기 역시 압권이며 여러 대사들을 원작에서와 같이 소화해내는 배우들의 열연이 보인다.

9.2. 혹평

3시간 정도의 영화로 원작의 그 많은 텍스트를 소화하기가 불가능한 것도 기정 사실이었으며 특히 핵이라고 하면 노이로제에 가까운 반응을 보이던 당시 시대상을 반영했던 원작의 느낌을 지금 제대로 살리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그런 것을 감안해도 감독의 취향인 쓸데없는 고어 연출과 슬로모션을 남발한 것은 뭐라고 이해해주기 힘든 실수. 원작의 우울하고 무력한 히어로들을 너무 멋지게 그려낸 점이나[22], 가장 큰 문제로 바뀐 결말 때문에 작품의 주제의식을 스스로 부정하는 치명적인 실수를 저질렀다.

영화가 개봉하자 영화 평론을 종합하는 웹사이트인 로튼토마토의 평균 평점도 65%로 평작 정도의 미미한 편이었으며, 원작을 모르는 일반 관객들의 평가도 대체로 회의적이었다. 《300》 개봉 당시에도 원작과 비교해서 비슷한 비판이 나왔었지만 영화 특성상 관객들은 그러한 것에 주목하지 않았으나, 《왓치맨》과 《300》은 너무나 다른 영화였다. 액션과 영상미로 압도하기에는 너무나 우울한 영화였으며, 단점을 그냥 넘기기에는 너무 섬세한 내용이었다. 한국 성적 역시 액션 블록버스터인 양 마케팅한 것에 얻어 걸린 관객들 사이에 입소문이 좋지 않게 퍼져서 흥행은 별로였다. 잭 스나이더는 어떻게든 원작에 충실하려고 노력하였고 영상미 역시 훌륭하였지만 결국 소소한 곳에서 감독의 취향과 원작이 불협화음을 내면서 불완전 연소된 것 같은 아쉬운 영화가 되어버렸다. 스나이더는 영화 《300》처럼 자기 취향과 원작이 결합돼서 좋은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원작을 찾았어야 했었다라는 의견이 많았다.

또한 극장 개봉판에서는 원작의 외계인 이야기와 '검은 수송선' 이야기가 완전히 빠져 있었다. 극장 개봉 횟수를 늘리기 위한 엄청난 가위질에도 불구하고 상영 시간은 무려 2시간 41분. 우려했던 대로 자세히 보면 원래 있었는데 어딘가 가위질당한 듯한 부분들이 많이 보인다. 일례로 2대 실크 스펙터가 종이컵을 정리하는 장면이라든지, 말콤 롱이 후반부의 뉴욕 장면에서 등장하는 장면이라든지.

영화판의 한계로 가장 많이 지적되는 것은 원작 결말의 변경이다. 방향은 같지만 세부적인 설정과 장치가 변화하였다.[23] 바뀐 결말에 대한 평가는 좀 갈리는 것 같지만, 적어도 극의 흐름과 작품의 주제를 생각하면 원작에 비해서 좋은 변경이었다고 하기는 매우 어렵다.

9.3. 총평

극장판은 대체로 평범한 영화라는 평이 많아 원작의 위상에 비하면 조금 낮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잭 스나이더의 작품답게 호불호가 심하게 갈리는 편이다. 반대로 감독판, 최종판은 극의 짜임새나 내용면에서 꽤나 좋은 평을 받고 있다.

대체적으로 호평하는 사람들은 '원작을 무작정 바꾸려 하지 않고 영화에 알맞게 잘 만들었다.'고 말하고, 빼어난 영상미와 원작 재현도를 높게 사는 한편. 혹평하는 사람들은 '원작을 영화화하려 했다는 것 자체가 실수였다.'고 한다. 앨런 무어의 왓치맨이 가진 섬세하면서도 많은 분량의 스토리를 압축하는데 실패하고, 비주얼에 집중하다가 원작을 제대로 해석하지 못한 장면들이 있다는 것이 주요한 단점.

이동진은 그래도 자신의 추천 지수인 별 세 개 반을 주었다. 이는 잭 스나이더의 작품 중에서는 최고 점수이며, 웬만한 수작 블록버스터 작품들의 점수와 같다.

10. 흥행

출처: 박스오피스 모조
국가 개봉일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기준일
전 세계 (최초개봉일) $185,382,813 (기준일자)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북미 미정 $107,509,799 미정

일단 흥행에 불리한 R등급에 심각한 호불호, 그리고 낮은 대중성으로 흥행은 중박이었다. 제작비는 순 제작비 1억 3000만 달러에 마케팅비 홍보비를 더한 총 제작비에 1억 5천만달러 정도 들였는데 북미 흥행은 1억 달러를 겨우 넘겼고 국외 흥행까지 합쳐 1억 8천만 달러에 그쳤다. 제작비 2배는 벌어야 본전치기인 걸 생각하면 손익분기점은 넘기지 못했다. 결과적으로 극장 흥행은 중박이었다.

미국 제외 해외 흥행 1위는 영국인데, 영국만 1000만 달러를 넘겼으며 한국은 전국 60만 관객을 겨우 넘겨 300만 달러 정도를 벌어들였다. 사실 해외 흥행도 그저 그래서 한국 흥행이 세계 흥행 10위권에 들어갈 정도였다, 일본이 400만 달러를 겨우 넘기는 수준이었으며, 프랑스나 호주 같은 나라들에서도 500만달러를 겨우 넘기는 수준이었다.

11. 수상

역대 새턴상 시상식
파일:saturn-award.png
판타지 영화상
제35회
(2008년)
제36회
(2009년)
제37회
(2010년)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왓치맨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12. 감독판과 최종판

극장 개봉판에서는 편집당한 장면들을 추가한 감독판이 DVD/BD로 나왔고, 나중에는 단편 애니메이션 ' 검은 수송선'[24]과 홀리스 메이슨의 '후드 아래'가 추가로 삽입된 3시간 35분의 최종판이 출시되었다. 검은 수송선 이야기를 포함해 약 40분이 넘는 장면이 추가된 최종판은 극장판에 비해 매우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때문에 영화를 감상할 생각이라면 반드시 최종판을 보는 것을 추천한다.

1대 나이트아울 1대 실크스펙터에게 전화통화를 하면서 또 다른 스토리가 교차되는 장면도 호평이다. 잔잔한 클래식 음악[25][26]이 흐르며 죽음을 맞이하는 나이트아울의 모습이 굉장히 서정적으로 표현되었다. 이 장면은 코믹스의 황금기, 즉 꿈과 희망, 그리고 선이 악을 무찌르는 세상이 종말을 맞이하고 어둡고 부정한 세상의 도래에 대한 비유이기도 하다. 작중 1930,40년대를 대변하는 히어로 1대 나이트아울이 사망하면서 그와 같은 세상이 함께 무너지는 것에 대한 안타까움, 과거에 대한 향수 등을 잘 녹여냈다.

13. 기타

  • 영화 전체의 주제는 '시대의 변화'이다. 오프닝 크레딧에 사용된 밥 딜런의 노래 The Times They Are a-Changin' 부터, 닉슨에서 레이건으로의 변화, 전쟁과 혼란의 시대에서 평화와 공존의 시대로의 변화까지. 이전의 세대가 감추려 한것을 공개하는 로어세크의 반격 또한 큰 의미가 있다.
  • 코미디언과 닥터 맨하탄이 베트남을 침공할 때 BGM으로 바그너의 'Rise of the Valkyries'가 나오는데 지옥의 묵시록의 오마주다. 'Rise of the Valkyries'은 사실 영화뿐만 아니라 왓치맨 원작에서도 등장하는데, 1대 나이트 아울인 홀리스 메이슨의 자서전에 '내가 아는 음악 중 가장 비극적인 음악'으로 언급된다.
  • 베트남 침공 당시를 회상하는 장면에서 감독 잭 스나이더가 수송선에서 총을 쏘는 병사로 출연한다.
    파일:external/1.bp.blogspot.com/Screenshoot021.jpg

  • 엔딩 OST는 My Chemical Romance'Desolation Row'이다. 사실 이것도 밥 딜런의 원곡이다. 영화 오프닝 음악 또한 밥 딜런의 노래이기에,[27] '시대가 변하고 있다.'는 주제를 인상적으로 표현했다.
  • 등장인물 두 명이 서로 같은 이름을 가진 덕분에 친해지는 장면[28]이 나와서, 훗날의 DC 코믹스 팬들은 이미 이 때부터 배트맨 대 슈퍼맨의 엔딩을 미리 계획하고 있었던 것 아니냐고 농담하기도 한다. 사실 이 장면은 그냥 원작 내용을 그대로 따 온 것이라 잭 스나이더의 아이디어는 아니지만, 정말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도 아예 없는 것은 아니다. 왓치맨에서는 이 장면이 화합의 가능성이 없어 보이는 두 인물이 우연한 계기로 서로 가까워지는 계기가 됨과 동시에 미국과 소련의 연합을 암시하는 훌륭한 극적 장치로 평가받지만, 이 장치를 어설프게 배대슈에 적용한 결과는(...).
  • 잭 스나이더가 이후 팟캐스트에서 밝힌 사실에 따르면 오지만디아스 역으로 톰 크루즈를 고려했었다고 한다. 미남에다 신체능력이 뛰어나고, 카리스마 또한 겸비한 오지만디아스의 캐릭터성과 미남 및 액션스타로 유명한 톰 크루즈의 스타성을 생각하면 상당히 어울렸던 캐스팅. 그러나 톰 크루즈는 그와는 정반대인 로어셰크 역을 맡기를 원했고, 결국 이에 대한 입장 차로 캐스팅은 엎어졌다고 한다. 물론 원작 속 로어셰크의 마스크 속 볼품없지만 어딘가 매서운 외모를 생각하면, 톰 크루즈의 조각미남 얼굴보다는 재키 얼 헤일리의 특유의 마스크가 더 잘 어울리는 게 맞다. 이외에도 닥터 맨해튼에는 키아누 리브스를 고려하기도 했다고.

14. 관련 문서

15. 외부 링크



[1] 확장판(익스텐디드 컷) [2] 최종판(얼티메이트 컷) [3] 영화 전체를 관철하는 의문이다. 로마 시인 유베날리스의 "Quis Custodiet Ipsos Custodes"로도 쓴다. 해석하면 "Who watches the watcher?" [4] 라틴어 버전은 영화 배트맨 대 슈퍼맨에서 슈퍼맨이 배트맨에게 실려가는 건물의 기둥에 그래피티로 쓰여있다. [5] 삽입곡은 스매싱 펌킨스 The Beginning Is The End Is The Beginning [6] 메탈기어 시리즈에서 솔리드 스네이크의 목소리로 유명한 사람이다. [7] 나이트메어 리메이크에서 프레디 크루거 역을 맡았다. [8] 동명이인. [9] 최종판에 삽입된 단편 애니메이션. [10] 영화의 주제를 관통하는 물음이다. 원문은 고대 로마의 시인 유베날리스의 "Quis Custodiet Ipsos Custodes". [11] 라틴어 원문은 영화 배트맨 대 슈퍼맨에서 슈퍼맨이 배트맨에게 실려가는 건물 기둥의 그래피티로 나오기도 했다. [12] 로어셰크가 히어로 활동을 하지 않을 때 항상 들고 다니는 팻말에 쓰인 표어. 마찬가지로 배트맨 대 슈퍼맨에서 잠깐 이 표어가 등장한다. [13] 리처드 닉슨의 별명. Dick은 '치사한 놈', '교활한 자'를 의미하기도 하지만, 리처드의 애칭이기도 하다. [14] 원작에서는 리퍼블릭 영화 속의 악당이 아니라고 말한다. 매체가 바뀌면서 재치있게 바꾼 대사. [15] 영화판 오리지널 대사. 원작에서 이와 같은 포지션의 대사는 로어셰크가 아닌 오지만디아스에게 하는 'In the end'? Nothing ends, Adrian. Nothing ever ends.(끝내는? 아무것도 끝나지 않아, 에이드리언. 끝나는 건 아무것도 없어.) 자신도 인간의 본성을 바꿀 수는 없으니 결국 바이트가 거짓으로 인간의 본성을 바꾸려 해도 결국 이것도 헛될 것이라는 의미로, 생명의 가치를 깨닫고 그것을 지키기 위해 침묵할지언정 결국 처음으로 돌아갈 것이란 체념이 함께 묻어난다. 영화에서는 닥터 맨하탄의 감정이 아직 남아 있기 때문에 원작처럼 감정 없이 말하지 않고 "로어셰크, 네가 틀리지는 않아"라는 위로와 연민이 아주 약간이나마 들어가 있다. [16] 영화판 오리지널 대사. 인간의 본성은 어쩔 수 없는 것도, 인정할 객체가 아니라는 절규. 복선과 대사로 간접적으로 모든 것을 전달하고 생각하게 하는 원작과 달리, 영화라는 매체의 한계 때문인지 너무 직관적으로 다 말해 버려서 아쉽다는 평가가 많다. 하지만 이들 중 가장 상식적이고 뒤틀리지 않은, 나이트 아울이 아닌 대니얼 드라이버그가 하고 싶었을 말로는 딱이라는 평가. 오지만디아스도 이 말을 듣고 후회하는 듯 댄이 마구 때려도 반격하지 않고 얻어맞기만 한다. [17] 영화 닥터 스트레인지의 감독. [18] 제라드 버틀러의 이름이 나오는 것을 보아 최종판 오프닝으로 보여진다. [19] TV에서는 베트남 전쟁의 시작이 된 틱꽝득 소신공양이 나온다. [20] 영화의 독자적 설정. 이후 그려진 프리퀄인 비포 더 왓치맨에서 코미디언과 케네디 일가는 절친한 관계였고, 오히려 제클린 케네디의 의뢰로 마릴린 먼로를 암살했다. [21] 원작에선 죽은 초능력자의 뇌를 부풀린 후 전송시켜 뉴욕을 파괴하지만, 잭 스나이더는 좀 더 현실적인 재앙을 생각하여 핵폭발로 바꾸었다. [22] 이것은 명백한 문제점이라기보다는 호불호가 갈리는 요소다. 마치 슈퍼히어로 장르 그 자체를 비꼬듯 현실적이고 건조하며 골계미 가득한 원작의 묘사와는 달리, 영화에서는 히어로들의 구린 과거와 방탕한 행실이 어느 정도 고증되기는 했지만 결정적인 순간에는 일반적인 슈퍼히어로 영화의 주인공처럼 숭고한 선택을 하며 심지어 품위마저 느껴진다. 이러한 어레인지가 전형적인 슈퍼히어로 영화의 이미지에 어느 정도 맞춰 대중성을 확보하는 데는 성공했지만, 원작에서도 히어로들을 그렇게 묘사한 데 타당한 이유가 있기에 호불호가 갈리는 것. [23] 원작에서는 흑막의 계획이란게 외계인처럼 보이는 괴물을 등장시키는 것이었으나, 영화에서는 그것이 닥터 맨하탄이 만들어낸 기계 장치로 교체되었다. 원작에서는 외계인 괴물 결말에 복선을 차근차근 밟아나가지만 영화에서는 시간적 여유가 없으니 큰 복선이 필요 없는 맨하튼의 힘을 훔쳤다는 식으로 변경한 것도 하나의 이유일듯 하다. [24] 주인공과 나레이터 배우가 무려 제라드 버틀러. 오프닝에 그의 이름이 들어갔지만 해당 애니메이션이 극장판에서 통편집되었다. [25] 마스카니의 오페라인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Cavalleria Rusticana)의 간주곡이다. 해당 오페라의 제목은 촌뜨기의 기사도 정도로 번역할 수 있는데, 이 오페라의 결말은 결투에서 주인공이 살해당하면서 비극적으로 끝난다. 배트맨의 이명인 caped crusader(망토 두른 십자군 기사)와 같이 작중의 히어로를 현대의 기사로 해석한다면, 과거의 기사도적인 행적을 되짚던 현재의 퇴물이 된 촌뜨기촌뜨기라는 말은 좀 심했지만인 메이슨이 불량배들과의 결투(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의 갈등의 해결방식은 결투로 표현된다)에서 비극적으로 사망한다는 점이 매우 의미심장하다. [26] 이 곡은 전설적인 권투 영화 분노의 주먹에 쓰인 것이 유명한데, 나이트 아울 역시 불량배들을 권투로 상대한다. 분노의 주먹 또한 경위는 다르지만 스타의 몰락이라는 스토리의 흐름을 공유힌다는 점이 아이러니. [27] 원작 1화의 제목을 이 노래의 가사에서 따오기도 했다. [28] 신문 가판대에서 잡지나 신문을 파는 백인 대머리 아저씨 버나드와 그 옆의 소화전에 기대어 앉아 만화책을 보고 있는 안경 낀 흑인 꼬마 버나드. 항목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