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4 20:23:08

올맨 브라더스 밴드

The Allman Brothers Band에서 넘어옴
파일:UCRlogo.jpg 선정 가장 위대한 미국 밴드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미국의 음악 언론 Ultimate Classic Rock이 2021년 가장 위대한 미국 밴드를 선정한 순위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비치 보이스 톰 페티 앤 더 하트브레이커스 밴 헤일런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에어로스미스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도어즈 토킹 헤즈 R.E.M. 이글스 사이먼 앤 가펑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1위-50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스틸리 댄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 올맨 브라더스 밴드 너바나 라몬즈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메탈리카 건즈 앤 로지스 ZZ 탑 버즈 레너드 스키너드
<rowcolor=#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카스 그레이트풀 데드 사운드가든 앨리스 쿠퍼 키스
<rowcolor=#fff>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팔리아멘트 / 펑카델릭 벨벳 언더그라운드 스투지스 부커 티 앤 더 엠지스 하트
<rowcolor=#fff>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템테이션스 홀 앤 오츠 시카고 펄 잼 산타나
<rowcolor=#fff>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머틀리 크루 프랭크 자파 그리고 마더스 오브 인벤션 블론디 두비 브라더스 칩 트릭
<rowcolor=#fff>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저니 보스턴 제퍼슨 에어플레인 픽시즈 본 조비
<rowcolor=#fff>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레드 핫 칠리 페퍼스 스톤 템플 파일럿츠 캡틴 비프하트 & 히스 매직 밴드 플레이밍 립스 푸 파이터스
출처
}}}}}}}}} ||}}}}}}}}} ||

파일:Grammy.svg
'''[[그래미 어워드#s-5.3.2|그래미 어워드 평생 공로상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5px"
<colbgcolor=#fff,#353535> 1963년 빙 크로스비
1965년 프랭크 시나트라
1966년 듀크 엘링턴
1967년 엘라 피츠제럴드
1968년 어빙 벌린
1971년 엘비스 프레슬리
1972년 루이 암스트롱, 마할리아 잭슨
1984년 척 베리, 찰리 파커
1985년 레너드 번스타인
1986년 베니 굿맨, 롤링 스톤스, 안드레스 세고비아
1987년 로이 에이커프, 베니 카터, 엔리코 카루소, 레이 찰스, 패츠 도미노, 우디 허먼, 빌리 홀리데이, 비비 킹, 아이작 스턴,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아르투로 토스카니니, 행크 윌리엄스
1989년 프레드 아스테어, 파블로 카잘스, 디지 길레스피, 야샤 하이페츠, 리나 혼, 레온타인 프라이스, 베시 스미스, 아트 테이텀, 사라 본
1990년 냇 킹 콜, 마일스 데이비스, 블라디미르 호로비츠, 폴 매카트니
1991년 매리언 앤더슨, 밥 딜런, 존 레논, 줄리 스턴, 키티 웰스
1992년 제임스 브라운, 존 콜트레인, 지미 헨드릭스, 머디 워터스
1993년 쳇 앳킨스, 리틀 리처드, 델로니어스 몽크, 빌 먼로, 피트 시거, 패츠 월러
1994년 빌 에반스, 아레사 프랭클린,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1995년 팻시 클라인, 페기 리, 헨리 맨시니, 커티스 메이필드,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1996년 데이브 브루벡, 마빈 게이, 게오르그 솔티, 스티비 원더
1997년 바비 블랜드, 에벌리 브라더스, 주디 갈란드, 스테판 그라펠리, 버디 홀리, 찰스 밍거스, 오스카 피터슨, 프랭크 자파
1998년 보 디들리, 밀스 브라더스, 로이 오비슨, 폴 로브슨
1999년 조니 캐쉬, 샘 쿡, 오티스 레딩, 스모키 로빈슨, 멜 토메
2000년 해리 벨라폰테, 우디 거스리, 존 리 후커, 미치 밀러, 윌리 넬슨
2001년 비치 보이스, 토니 베넷, 새미 데이비스 주니어, 밥 말리, 더 후
2002년 카운트 베이시, 로즈메리 클루니, 페리 코모, 알 그린, 조니 미첼
2003년 에타 제임스, 조니 마티스, 글렌 밀러, 티토 푸엔테, 사이먼 앤 가펑클
2004년 밴 클라이번, 펑크 브라더스, 엘라 젠킨스, 소니 롤린스, 아티 쇼, 독 왓슨
2005년 에디 아놀드, 아트 블래키, 카터 패밀리, 모턴 굴드, 재니스 조플린, 레드 제플린, 제리 리 루이스, 젤리 롤 모턴, 파인톱 퍼킨스, 스태플 싱어즈
2006년 데이비드 보위, 크림, 멀 해거드, 로버트 존슨, 제시 노먼, 리처드 프라이어, 더 위버스
2007년 조안 바에즈, 부커 티 앤 더 엠지스, 마리아 칼라스, 오넷 콜먼, 도어즈, 그레이트풀 데드, 밥 윌스
2008년 버트 배커랙, 더 밴드, 캡 캘러웨이, 도리스 데이, 이작 펄만, 맥스 로치, 얼 스크럭스
2009년 진 오트리, 더 블라인드 보이즈 오브 알라바마, 포 탑스, 행크 존스, 브렌다 리, 딘 마틴, 톰 팩스톤
2010년 레너드 코헨, 바비 다린, 데이비드 "허니보이" 에드워즈, 마이클 잭슨, 로레타 린, 앙드레 프레빈, 클락 테리
2011년 줄리 앤드류스, 로이 헤인즈, 줄리아드 현악 콰르텟, 킹스턴 트리오, 돌리 파튼, 라몬즈, 조지 비벌리 시어
2012년 올맨 브라더스 밴드, 글렌 캠벨, 안토니우 카를루스 조빙, 조지 존스, 더 멤피스 혼즈, 다이애나 로스, 길 스콧 헤론
2013년 글렌 굴드, 찰리 헤이든, 라이트닝 홉킨스, 캐롤 킹, 패티 페이지, 템테이션스
2014년 비틀즈, 클리프턴 체니어, 아이즐리 브라더스, 크라프트베르크, 크리스 크리스토퍼슨, 아르만도 만사네로, 마우드 파웰
2015년 비 지스, 피에르 불레즈, 버디 가이, 조지 해리슨, 플라코 지메네즈, 루빈 브라더스, 웨인 쇼터
2016년 루스 브라운, 셀리아 크루즈, 어스 윈드 앤 파이어, 허비 행콕, 제퍼슨 에어플레인, 린다 론스태드, Run-D.M.C.
2017년 셜리 시저, 아마드 자말, 찰리 프라이드, 지미 로저스, 니나 시몬, 슬라이 스톤, 벨벳 언더그라운드
2018년 할 블레인, 닐 다이아몬드, 에밀루 해리스, 루이스 조던, 더 미터스, , 티나 터너
2019년 블랙 사바스, 조지 클린턴 / 팔리아멘트-펑카델릭, 빌리 엑스타인, 도니 해서웨이, 훌리오 이글레시아스, 샘 & 데이브, 디안 워윅
2020년 시카고, 로버타 플랙, 아이작 헤이즈, 이기 팝, 존 프라인, 퍼블릭 에너미, 시스터 로제타 사프
2021년 그랜드마스터 플래시 앤 더 퓨리어스 파이브, 라이오넬 햄프턴, 마릴린 혼, 솔트 앤 페파, 셀레나, 토킹 헤즈
2022년 보니 레잇
2023년 바비 맥퍼린, 너바나, 마 레이니, 슬릭 릭, 나일 로저스, 슈프림즈, 하트
같이 보기: 공로상 수상자 · 레전드상 수상자 }}}}}}}}}
파일:5ARYZvK4L2afx8AcWcf6kF-1.jpg 로큰롤 명예의 전당 헌액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올맨 브라더스 밴드
The Allman Brothers Band
헌액 부문 공연자 (Performers)
멤버 디키 베츠, 듀언 올맨, 그레그 올맨, 제이 조니 조핸슨, 베리 오클리, 부치 트럭스
입성 연도 1995년 }}}}}}}}}
<colbgcolor=#E1E1E1><colcolor=#000>{{{#!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 bordercolor=#E1E1E1> 파일:올맨브라더스밴드로고.svg 올맨 브라더스 밴드
The Allman Brothers Band
}}}
▲왼쪽부터 디키 베츠, 듀언 올맨, 그레그 올맨, 제이 조니 조핸슨, 베리 오클리, 부치 트럭스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결성 1969년
미국 플로리다 잭슨빌
데뷔 1969년 11월
데뷔 앨범
멤버
[ 펼치기 · 접기 ]
듀언 올맨( 기타)
그렉 올맨( 보컬, 오르간, 키보드, 기타)
디키 베츠[1]( 보컬, 기타)
베리 오클리( 베이스 기타, 백킹 보컬)
부치 트럭스( 드럼, 백킹 보컬)
제이 조니 조핸슨 ( 드럼, 백킹 보컬)
척 리벨 ( 피아노, 백킹 보컬)
라마 윌리엄스† ( 베이스 기타)
댄 톨러† ( 기타)
데이비드 골드플라이 ( 베이스 기타)
마이크 롤러 ( 키보드)
프랭키 톨러† ( 드럼)
워렌 헤인즈 ( 보컬, 기타)
앨런 우디† ( 베이스 기타, 백킹 보컬)
조니 닐 ( 키보드, 하모니카)
마크 퀴노네스 ( 드럼, 백킹 보컬)
잭 피어슨 ( 기타, 백킹 보컬)
오테일 버브릿지 ( 베이스 기타)
데릭 트럭스 [2]( 기타)
지미 헤링 ( 기타)
장르 서던 록, 블루스 록, 컨트리 록, 재즈 록
레이블 Atlantic · Capricorn · PolyGram · Arista · Epic · Sanctuary
링크 파일:올맨브라더스밴드로고.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1. 개요2. 상세3. 음악적 성향4. 멤버5. 디스코그래피6. 대표곡

[clearfix]

1. 개요

파일:올맨브.jpg
미국 서던 록 밴드.

2. 상세

밴드의 대표 앨범은 라이브 앨범인 At Fillmore East로, (Pronounced 'Lĕh-'nérd 'Skin-'nérd)와 더불어 서던 록 최고의 앨범으로 평가받으며, 더 나아가 라이브 앨범 역사상 가장 훌륭한 앨범이라는 평가도 받는다.

올맨 브라더스 밴드는 직역하면 "올맨 형제의 밴드"인데,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초기에 이 밴드는 듀언 올맨(기타)과 그레그 올맨(키보드, 보컬)을 중심으로 결성되었다. 그러나 1971년 듀언 올맨은 오토바이 사고로 급사하고, 이후 듀언 올맨과는 상관 없는 밴드가 되었다. 프론트맨의 사망으로 밴드의 기량이 떨어지지는 않을까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었지만 오히려 상업적으로는 듀언의 사망 이후 더욱 대성한 편이다. 레너드 스키너드도 못해본 빌보드 차트 1위를 찍어본게 이때의 일이다.

전성기인 1973년 Brothers and Sisters는 레드 제플린 폴 매카트니의 앨범이 거의 동시에 발매된 불리한 시점에도 불구하고 이들을 제치고 빌보드 200 1위를 차지했고 앨범에 들어간 싱글 Ramblin' Man도 빌보드 핫 100에서 2위를 차지했다. 오히려 밴드의 간판인 듀언 올맨이 사망한 이후 평론적으로는 몰라도 상업적으로는 훨씬 크게 성공했다고할 수 있다. 다만 정통 블루스 록의 인기가 떨어지고, 뉴 웨이브 글램 메탈이 떠오른 1980년대부터는 조금 주춤한 모습을 보였으며, 이후 라이브 중심의 밴드로 개편되었다.

버치 트럭스의 조카인 데렉 트럭스가 무려 11살부터 투어에 기타리스트로 참여하였다. 13살에 Layla를 슬라이드 기타로 연주하는 모습을 유튜브에서 찾아볼 수 있다. 듀언 올맨의 환생이라는 극찬을 어릴때부터 들었으며 세계 최정상 기타리스트로 인정 받았다.

2014년 워렌 헤이즈와 데렉 트럭스가 탈퇴하면서 동시에 같은 해 10월 28일 공연을 마지막으로 해체했다. 2017년 그레그 올맨과 부치 트럭스가 세상을 떠나면서 올맨 브라더스 밴드로서 재결합은 힘들게 되었다. 대신 남아있던 멤버들이 2020년 브라더스라는 이름으로 50주년 헌정 콘서트를 열였다. [3]

3. 음악적 성향

레너드 스키너드와 함께 서던 록의 양대 산맥인만큼 주로 이 두 밴드가 엮여서 설명되는 편이다. 심지어 두 밴드는 잭슨빌 출신으로 출신지까지 똑같다. 차트 성적상으로는 올맨 브라더스 밴드가 더 크게 성공했지만, 앨범 판매량은 레너드 스키너드가 앞선다. 그러면서도 프론트맨이[4] 불의의 교통사고로 요절했다는 점이 록 음악의 비극으로 회자되기도 한다.

비슷한 점도 많았지만 다른 점도 많았다. 레너드 스키너드 하드 록, 블루스 록적인 성향이 짙은 밴드라면 올맨 브라더스 밴드는 보다 더 미국적인 음악인 컨트리와 재즈에 기반을 두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밴드의 히트곡중 대다수가 하드 록으로 분류되는 레너드 스키너드와 달리, 올맨 브라더스 밴드는 재즈 록 혹은 컨트리 록으로 분류된다. 이 때문에 하드 록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레너드 스키너드를 더 좋아하고, 조금 더 서정적인 블루스나 재즈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올맨 브라더스 밴드를 선호한다.

더 밴드와 함께 컨트리 록 장르를 대중화시킨 밴드중 하나로 꼽힌다.

4. 멤버

오리지널 라인업 기준이다.
  • 듀언 올맨 (기타) - 1971년 사망
  • 그레그 올맨 (보컬, 키보드) - 2017년 사망
  • 디키 베츠 (보컬, 기타) - 2024년 사망
  • 제이 조니 조핸슨 (드럼, 퍼커션)
  • 베리 오클리 (기타, 베이스, 보컬)- 1972년 사망
  • 부치 트럭스 (드럼, 팀파니) - 2017년 사망

5. 디스코그래피

  • The Allman Brothers Band (1969)
  • Idlewild South (1970)
  • At Fillmore East (1971 / 라이브)
  • Eat a Peach (1972)
  • Brothers and Sisters (1973)
  • Win, Lose or Draw (1975)
  • Enlightened Rogues (1979)
  • Reach for the Sky (1980)
  • Brothers of the Road (1981)
  • Seven Turns (1990)
  • Shades of Two Worlds (1991)
  • Where It All Begins (1994)
  • Hittin' the Note (2003)

6. 대표곡


* Whipping Post (1969)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b18904><tablebgcolor=#fff,#191919><#b18904> ||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
393위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b18904><tablebgcolor=#fff,#191919><#b18904> ||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
2010년 393위 ||

밴드의 초기 명작이자, 프로그레시브 록의 형성을 예견한 곡이라고도 불린다. 스튜디오 버전도 5분 17초로 꽤 긴편인데[5] At Fillmore East에 수록된 1971년 라이브 버전은 22분 40초로 당대에는 볼 수 없었던 파격적인 구성을 선보였다.[6] 이 때문에 록 음악 전문 라디오 DJ들이 잠깐 쉬고 화장실에 다녀올 용도로 이 곡을 많이 틀어서(...) 인기가 높아졌다.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에서 410위에 선정되어, 밴드의 곡중 유일하게 순위권에 들어갔다.[7]

* Ramblin' Man (1973)
빌보드 핫 100의 2위에 오른 밴드의 최대 히트곡. 듀언 올맨 사후의 곡중 가장 높은 평가를 받는다. Whipping Post에 비해 훨씬 컨트리 록에 가까운 성향을 보여준다.

* Jessica (1973)
긴 기타 솔로가 인상적인 블루스 록 넘버. 탑기어의 오프닝과 클로징 곡으로 사용되고있다. 듀언 올맨의 극찬을 들었던 디키 베츠의 재능이 만개한 곡.


[1] 올맨 형제의 명성에 가려진 감이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듀언 올맨 사후 팀의 음악적 리더라고 볼수있는 인물. [2] 부치 트럭스의 조카로, 롤링 스톤지가 2016년에 선정한 가장 위대한 기타리스트 명단에서 16위라는 높은 순위에 오르는 등 젊은 기타리스트로서는 드물게 역대급 거장의 반열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인물이다. [3] 이 콘서트는 북미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유행 직전 마지막으로 열린 대규모 공연이기도 해서 약간 논란이 있었다. 데렉 트럭스가 이에 대해 변명성 발언을 했을 정도. [4] 레너드 스키너드는 로니 밴 전트(보컬)가 비행기 사고로 사망했고, 올맨 브라더스 밴드는 듀언 올맨(기타)이 오토바이 사고로 죽었다. [5] 대곡의 전투력 측정기중 하나로 쓰이는 Bohemian Rhapsody가 5분 59초이다. [6] 더 후 Live at Leeds, 레드 제플린 Dazed and Confused 라이브와 전개가 비슷하다. [7] 여담이긴 하지만 라이벌 밴드인 레너드 스키너드 Free Bird가 딱 3계단 위인 407위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