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19><tablebgcolor=#000019> |
오릭스 버팔로즈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일반 문서 | |
<colbgcolor=#9e751f><colcolor=#ffffff> 모기업 관련 정보 | <colcolor=#000019,#fff>모기업 오릭스그룹 | |
일본시리즈 우승 ★★★★★ |
1975 · 1976 · 1977 · 1996 · 2022 | |
리그 우승 (15회) |
1967 · 1968 · 1969 · 1971 · 1972 · 1975 · 1976 · 1977 · 1978 · 1984 · 1995 · 1996 · 2021 · 2022 · 2023 | |
퍼시픽리그 전·후기 우승 (9회) |
1973후기 · 1974전기 · 1975전기 · 1976전후기 · 1977전기 · 1978전후기 · 1979후기 | |
클라이맥스 시리즈 | 2008 · 2014 · 2021 · 2022 · 2023 | |
시즌 문서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현역 선수 경력 | 모리 토모야/선수 경력 · 니시카와 료마/선수 경력 · 야마자키 소이치로/선수 경력 | |
경기장 | 1군 교세라 돔 오사카 · 홋토못토 필드 고베 · 2군 마이시마 베이스볼 스타디움 · 지방 홈구장 와카사 스타디움 교토 | |
홈 중계 채널 | ||
주요 인물 | 감독 키시다 마모루 · 선수회장 스기모토 유타로 · 주장 공석 | |
구단 상세 정보 | 역사 ·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 · 선수단 및 등번호 · 역대 선수 · 응원가 · 유니폼 · 버팔로 벨 · 10.2 결전 · 칠석의 비극 · 오릭스-라쿠텐 분배 드래프트 | |
틀 문서 | ||
코칭스태프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육성선수 |
역대 감독 |
역대 1라운더(한큐-오릭스) |
역대 1라운더(킨테츠)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한큐-오릭스) |
상위 문서: 오릭스 버팔로즈/역사
1. 정규 시즌
시즌 전 예상은 하위권으로 예상되었으나 정규시즌 개막 이후엔 예상보다는 분전하며 4위에 안착. 이때까지만 해도 탈꼴찌정도만 할 것으로 보여졌지만 교류전에서 18전 12승 5패 1무로 대박을 치며 교류전 1위를 차지했다. 다른 퍼시픽리그 구단들이 고전한 반면[1] 혼자서만 승수를 차곡차곡 쌓아 2010년 이후 팀 역대 2번째 교류전 우승을 차지함과 동시에 다른 퍼시픽리그 팀들을 제치고 A클래스 진입에도 성공했다.6월 13일 기준 5연승을 달리며 소프트뱅크를 따돌리고 2위에 오르면서 교류전을 마감. 다시 퍼시픽리그로 돌아와서도 상승세를 잃지 않고 8연승을 내달리는 중이다. 그와 동시에 선두 라쿠텐과 승차 없는 공동 1위가 되면서 2014년 이후 7년만에 리그 1위가 되었다. 그리고 6월 21일 공동선두 라쿠텐과의 맞대결 3연전을 스윕함으로써 10년만의 9연승을 기록함과 동시에 단독 탑릭스를 찍었다. 심지어 그걸로도 모자라 23일엔 닛폰햄을 누르고 1984년 한큐 시대 이래 처음으로 11연승을 기록하는 기염을 토했다.
7월 5일 기준으로 2위 라쿠텐과 4게임차 선두를 유지중이다. 옆 리그의 선두 한신 타이거스가 교류전 이후의 부진으로 독주체제가 무너지려고 하는 반면 오릭스는 교류전의 상승세를 밑바탕으로 독주체제를 서서히 구축하고 있다.
오릭스의 상승세의 중심선수로는 부동의 에이스 야마모토 요시노부와 간판타자 요시다 마사타카가 있지만 이들 외에도 20시즌 1라운드 픽 좌완 선발 미야기 히로야가 첫 풀타임 시즌임에도 전반기 13경기 평자책 1.96 9승 1패을 기록하며 신인왕 페이스를 보여주고 있고 30줄에 접어들어서 타격 포텐이 터진 거포 노망주 스기모토 유타로가 요시다의 뒤를 든든히 받쳐주고 있는것이 크다.
다만 최근에 불펜이 흔들리는 모습을 보인다는 것이 흠. 용병투수 히긴스의 부진이 특히 뼈아프다. 그리고 외인타자들 또한 실망스러운 성적을 남기고 있는 상황이다. 거액을 들여 데려온 아담 존스는 대타 성적 하나는 훌륭하나 전반적인 시즌 성적은 낙제점이다. 일본 생활 5년차에 접어든 스티븐 모야도 갈피를 잘 잡지 못하고 있어 외인타자에 대한 근심이 크다.
결국 7월 16일, 최근 8경기 성적이 2승 1무 5패로 나빠지고 라쿠텐과의 경기에서 1무 2패를 기록하여 격차가 1경기 차이까지 좁혀졌었지만 올림픽 휴식기까지 87경기 42승 34패(0.553)을 기록하며 1.5경기차로 리그 선두 자리를 유지했다.
휴식기가 끝나기 무섭게 게임차를 다시 벌리긴 했으나 유의미하게 멀리 도망가지는 못하면서 2위 롯데와의 2.5게임차를 유지중이다. 8월 31일 현재 오릭스는 49승 37패 13무, 롯데는 45승 38패 14무를 기록중이며 라쿠텐이 45승 22패 13무로 3위다.
8월31일~9월5일 6경기에서 오릭스는 패-패-무-승-패-패(1승 1무 4패)를 기록하는 동안, 롯데는 승-패-경기없음-승-무-승(3승 1무 1패)을 기록하며 롯데는 승차없이 승률에서 앞서는 1위로 등극하며 오릭스는 2위로 내려갔다.
9월7일 ~ 9일 롯데와의 맞대결 3연전에서 사이좋게 1승 1무 1패를 기록했다. 10~12일 세이부에게 2승 1패를 거두며 13일 기준 1위 롯데와 2게임차를 유지하고 있다. 25일 라쿠텐에 승리, 26일 라쿠텐과 무승부, 27일 휴식일, 28~30일 롯데와의 3연전에서 스윕승을 거뒀고, 10월 1일부터 치러진 소프트뱅크와의 3연전에서 스윕승을 거두며 8경기 연승 행진중이며 롯데를 다시 1.5게임차로 앞서며 리그 수위자리를 지키고 있다.
최근 몇년간 센트럴리그를 주도했던 히로시마와 요미우리의 추락으로 6년만의 리그 우승을 노리는 야쿠르트와 16년만의 리그 우승을 노리는 한신의 우승 대결로 좁혀진 센트럴리그와 마찬가지로 퍼시픽리그에선 소프트뱅크, 세이부의 추락과 함께 오릭스가 블루웨이브 시절이었던 1996년 이후 25년만의 리그 우승이 가능할지 아니면 16년만에 치바 롯데가 리그 우승 차지할지가 볼거리로 남았다.
10월 9일 소프트뱅크가 패하며 비밀번호 탈출에 단 1승을 남겨두고 있다. 소뱅이 단 1패라도 하거나 오릭스가 1승을 올리면 CS 진출이 확정된다. 그리고 10월 12일 롯데와 무승부를 거두며 클라이맥스 시리즈 진출을 확정지었다. 다음 목표는 리그 우승하고 팀 역사상 최초로 파이널 스테이지로 진출하는 것. 1등을 찍는 상황에서도 매직넘버는 오릭스 쪽이 아니라 치바에게 켜졌는데, 치바 롯데 마린즈와의 잔여경기 수 차이가 승차보다 더 많이 남아 경기를 덜 치른 치바가 필요한 경기를 다 이겨버리면 오릭스는 무슨 수를 쓰더라도 1위 사수가 불가능하다.
최종전을 앞둔 상황에서 치바 롯데가 홋카이도 닛폰햄과의 2연전을 모두 쓸어담으면서 오릭스는 2위로 내려가고 자력우승이 불가능해졌다. 그나마 최상의 시나리오는 최종전을 이기고, 롯데가 2패하는 것이다. 그 시나리오를 완벽하게 이루려는지 마지막 경기에서 4-0으로 이기고, 같은 날 치바 롯데가 참패를 당하며 리그 우승의 9부능선을 넘었다. 이제 오릭스 자신이 할 건 다 했다. 남은 건 롯데가 남은 세 경기 중 하나라도 패하거나, 2무 이상 나오기를 기도해야 한다.
|
퍼시픽리그 우승 확정에 환호하는 오릭스 선수단 |
그리고 10월 27일, 롯데가 라쿠텐에 1-2로 패하면서 스스로 매직 넘버를 다 날려버리면서, 25년만의 리그 우승이자 오릭스 버팔로즈로 팀이 병합된 이후 처음으로 리그 우승을 이뤄내었다.[2] 선수단과 코칭스태프는 경기가 없음에도 오사카 교세라 돔에서 모여 유니폼 차림으로 1루 덕아웃에서 외야 멀티비전을 통해 롯데-라쿠텐 게임을 관람하였고 롯데의 패배로 끝나자 모두 마운드로 몰려나와 나카지마 감독을 헹가래치며 우승의 기쁨을 나눴다. 센트럴리그에서는 야쿠르트가 우승에 성공했으며 양대리그 꼴찌가 이듬해 양대리그 우승을 차지한 것은 일본프로야구 역사상 처음있는 일이다. 리그 우승 소식에 야마다 히사시, 오이시 다이지로, 스즈키 이치로 등 OB들의 축하가 이어졌다.
팀의 성공 요인으로 스카우트팀의 교체가 꼽히고 있다. 약한 팀 전력을 보강하기 위해 즉시전력감을 선발해오던 기존의 기조를 버리고 소위 '소재형'이라 불리는 툴이 뛰어난 유망주를 선발해 새로 건립한 팀의 야구 훈련시설에서 육성시키는 방향으로 전환였는데 그 결과 팀 성적을 몇 년간 희생한 대신 뛰어난 유망주들을 훌륭히 육성해내었고 이들 중 일부가 주전으로 정착하면서 세대교체가 적절히 이루어졌고 베테랑들과의 신구조화가 맞물리면서 리그 우승을 일궈 낼 수 있었다. 주전 타자인 요시다 마사타카의 급작스러운 이탈에도 불구하고 팀이 흔들리지 않았던것도 젊은 선수들의 분전과 중견급 및 베테랑들의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3]
그리고 비슷한 시기 단행된 코로나19 긴급사태선언 해제와 함께 킨테츠 백화점에서 2001년 이후 20년만에 다시 우승 세일이 열렸다.
2. 클라이맥스 시리즈
리그 1위 자격으로 직행한 클라이맥스 시리즈 파이널 스테이지에서는 3위 라쿠텐을 1승 1무로 어렵사리 누르고 온 치바 롯데를 다시 만나게 됐는데 야마모토 요시노부와 타지마 다이키, 두 선발 투수의 압도적인 활약으로 어드밴티지 1승을 포함해 시리즈 스코어 3승 1무로 승리, 오릭스 버팔로즈로 합병한 이후 처음으로 일본시리즈에 진출했다.3. 일본시리즈
일본시리즈에서는 센트럴 리그 우승팀인 야쿠르트를 만나게 됐는데, 전년도 각 리그 최하위팀이 다음해 일본시리즈에서 만나는 진기한 모습을 만들어냈다. 여담으로 간토의 2인자와 간사이의 2인자가 만나는 재밌는 모습이 만들어지기도 했다. 두 팀이 정상을 두고 결전을 펼치는건 1995년 이후 처음.다만, 26년만에 다시 맞붙게된 야쿠르트와의 일본시리즈에서는 결국 2승 4패로 석패, 퍼시픽 리그에서는 가장 일본시리즈 우승 공백이 긴 팀으로 여전히 남게되는 불명예를 계속 안게 되었다. 종합적으로 이번 시즌은 '절반의 성공'으로 남았다.[4]
시즌 종료 후 외국인 선수들을 정리했다. 스티븐 모야와 애덤 존스, 타일러 히긴스, 글렌 스파크맨을 방출했고 바르가스와 라벨로만 잔류했다.
[1]
2~5위는 한신, DeNA, 주니치, 야쿠르트였으며 6~8위가 라쿠텐, 세이부, 롯데였다.
[2]
여담으로 팀의 정규시즌 일정이 모두 종료된 후, 다른 팀의 결과에 따라 우승에 성공한건
1988년의
세이부 라이온즈 이후 33년만의 기록이다.
아이러니하게도 이때 희생당한 팀이 바로 버팔로즈의 전신 중 하나인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
[3]
요시다의 이탈 이후 당시 ops가 6할도 채 되지 않던 쿠레바야시 코타로가 3번으로 타순을 옮기더니 맹타를 휘두르며 최대한 요시다의 공백을 지워낸 것이 대표적.
[4]
여담으로
2013년 일본시리즈부터 계속 이어져온 퍼시픽 리그 팀의 8년 연속 일본시리즈 연속 우승 역시 이어가는 데 실패했다. 근데 이중 6번을 소뱅이 달성한 건 함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