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8 17:29:28

안성시

안성군에서 넘어옴
파일:Semi_protect2.svg   가입 후 15일이 지나야 편집 가능한 문서입니다.
(~ KST )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안성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의 독립운동가에 대한 내용은 안성(독립운동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2px -0px" <tablebordercolor=#004097>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6px -1px -36px; word-break: keep-all"
특례시
[[고양시|파일:고양시 CI.svg
고양시]]
파일:수원시 CI.svg
[[경기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c489d 21%, #80c84d 21%, #80c84d); font-size: 1em"
]] 수원시
[[용인시|파일:용인시 CI.svg
용인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자치시
[[과천시|파일:과천시 CI.svg
과천시]]
[[광명시|파일:광명시 CI.svg
광명시]]
[[광주시|파일:광주시 CI.svg
광주시]]
[[구리시|파일:구리시 CI.svg
구리시]]
[[군포시|파일:군포시 CI.svg
군포시]]
[[김포시|파일:김포시 CI.svg
김포시]]
[[남양주시|파일:남양주시 CI.svg
남양주시]]
[[동두천시|파일:동두천시 CI.svg
동두천시]]
[[부천시|파일:부천시 CI.svg
부천시]]
[[성남시|파일:성남시 CI.svg
성남시]]
[[시흥시|파일:시흥시 CI.svg
시흥시]]
[[안산시|파일:안산시 CI.svg
안산시]]
[[안성시|파일:안성시 CI.svg
안성시]]
[[안양시|파일:안양시 CI.svg
안양시]]
[[양주시|파일:양주시 CI.svg
양주시]]
[[여주시|파일:여주시 CI.svg
여주시]]
[[오산시|파일:오산시 CI.svg
오산시]]
[[의왕시|파일:의왕시 CI.svg
의왕시]]
파일:의정부시 CI.svg
[[경기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c489d 21%, #0aa4b5 21%, #0aa4b5); font-size: 1em"
]] 의정부시
[[이천시|파일:이천시 CI.svg
이천시]]
[[파주시|파일:파주시 CI.svg
파주시]]
[[평택시|파일:평택시 CI.svg
평택시]]
[[포천시| 파일:포천시 CI.svg
포천시]]
[[하남시|파일:하남시 CI.svg
하남시]]
[[화성시|파일:화성시 CI.svg
화성시]]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자치군
[[가평군|파일:가평군 CI.svg
가평군]]
[[양평군|파일:양평군 CI.svg
양평군]]
[[연천군|파일:연천군 CI.svg
연천군]]
미수복지역
파일:미수복 경기도 개성시 휘장.svg
개성시
파일:미수복 경기도 개풍군 휘장.svg
개풍군
파일:미수복 경기도 장단군 휘장.svg
장단군
대한민국이 실효 지배하지 않는 미수복지역은 자치 기능이 없는 명목상 행정구역이므로 실질적인 기초자치단체가 아니다. }}}}}}}}}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00205b>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공도읍
{{{#!wiki style="margin: -16px -11px" 보개면 금광면 서운면 미양면
대덕면 양성면 원곡면 고삼면 }}}
{{{#!wiki style="margin: -16px -11px" 일죽면 죽산면 삼죽면 }}}
법정동
가사동 가현동 구포동 낙원동 동본동
명륜동 발화동 봉남동 성남동
숭인동 영동 옥천동 창전동 현수동
계동 도기동 서인동 석정동 신흥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아양동 옥산동 인지동 중리동 }}}
금산동 금석동 당왕동 대천동 사곡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신건지동 신모산동 신소현동 연지동 }}}
}}}}}}}}} ||

경기도 자치시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안성시 CI.svg
안성시
安城市
Anseong City
}}}
<colbgcolor=#00205b><colcolor=#fff> 시청 소재지 시청길 25 (봉산동)
광역자치단체 경기도
하위 행정구역 1 11 34
면적 553.42㎢
인구 191,247명[1]
인구 밀도 344.86명/㎢[2]
시장
김보라 (재선)
시의회
5석[3]

3석[4]
도의원
1석[5]

1석[6]
국회의원
윤종군 (초선)
상징 <colbgcolor=#00205b><colcolor=#fff> 시화 개나리
시목 은행나무
시조 까치
지역번호 031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1. 개요2. 상징3. 역사
3.1. 고려 이전3.2. 고려3.3. 조선3.4. 일제강점기3.5. 미군정 및 대한민국
4. 지리
4.1. 자연지리4.2. 인구
5. 교통
5.1. 철도5.2. 고속도로5.3. 버스
6. 경제
6.1. 산업
6.1.1. 반도체
6.2. 상권6.3. 금융
7. 관광
7.1. 축제7.2. 안성의 명산(山)7.3. 특산물7.4. 명물
8. 생활문화
8.1. 문화예술8.2. 교육
8.2.1. 초/중/고등학교8.2.2. 대학교
8.3. 언어8.4. 의료기관8.5. 라디오 수신환경
9. 정치10. 하위 행정구역11. 기타12. 자매결연 도시
12.1. 국내12.2. 국외
13. 출신 인물

[clearfix]

1. 개요


파일:IMG_20240420_203546_(300_x_150_픽셀).jpg
안성경기도충청도가 갈라지는 곳이요, 삼남(충청도, 전라도, 경상도)을 통괄하는 입구렷다.
- 허생전
경기도 남부의 . 서쪽으로 평택시, 북쪽으로 용인시, 동쪽으로 이천시와 접하고, 남서쪽으로는 충청남도 천안시, 남동쪽으로 충청북도 진천군, 음성군에 접하는 곳이다. 경기도의 최남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충청도에 맞닿아있어 일종의 관문 역할을 수행한다. 그래서인지 과거에는 대구, 전주와 함께 3대 상업 도시로 손꼽히기도 했는데, 당시 안성은 대도시 부럽지 않은 번화한 도시로 특히 매월 2일과 7일 단위로 열리는 5일장은 조선시대 전국 3대 시장에 속했다.허생전에도 나와있듯 안성장(安城場)에서 매점매석 할 수 있으며 큰 돈을 벌 수 있다! 서울에는 없어도 안성에 가면 없는 것이 없다 라고 나와있다. 현재도 안성시내에 위치한 시장쪽에서 5일장이 열린다.[7]

경기도에서 최초로 으로 승격된 곳은 안성, 수원, 개성 이였다.[8]

안성선(安城線)은 과거 이천시 장호원읍과 충남 천안시로 가는 기차가 있었다. 현 한경국립대학교 길건너 한전 안성지사 부근이 안성역(安城驛)이였다. 안성역은 100년전(1925년) 개통 되었고, 1989년 폐업하고 1990년 없어졌다.현재는 폐선되어 철로 흔적이 남아있다. 그후 안성은 수도권이지만 철도없는 지역'으로 외면받아 낙후되어었다.하지만 2024년 수도권 내륙선 평택부발선 그리고 경강선건설 계획에 두고 있는데, 평택부발선의 경우 현재 예비타당성 조사 마무리 단계이며, 2024년 상반기 결과만 남겨둔 상황이다.예비타당성 조사가 끝나 B/C 0.9이상 된다면[9], 안성에서 강릉역까지 이어지는 철도가 생긴다.[10] 또 다른 철도는 수도권내륙선에 경우 예비타당성조사 면제를 받기 위해 준비중인데, 특히 화성시, 안성시, 청주시, 진천군이 하나로 손잡고 추진중인 사업으로 안성이 다시 주목받고 있고, 곧 안성에 30여년 만에 다시 철도시대를 열 것으로 보고 있다.[11]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된 안성남사당(매년 안성남사당 바우덕이 축제 개최)의 근원지'이다.

안성맞춤'의 대명사'가 바로 안성유기에서 나온 말'이다.

안성평야 경기도 안성시· 평택시 · 화성시 등을 포함한 지역에 펼쳐진 평야를 안성평야 라 부른다.

안성천 발원지가 안성이며,하구는 충남 아산이다.안성천국가하천으로 이미 오래전 지정이 되어 있으며,우리나라에서 7번째로 긴 하천이다. 또한 경기도 용인시, 안성시에 이어 평택시를 지나 아산만으로 흘러든다. 둔포천, 오산천, 입장천, 진위천, 청룡천, 통복천, 한천, 황구지천[2] 등의 지류가 있다. 특히 황구지천의 경우 북쪽으로 매우 넓게 퍼져있어서 군포시·의왕시 남쪽 일부(왕송호수 일대의 부곡동, 월암동 등), 수원시, 화성시 봉담읍과 정남면, 용인시 기흥구(한강-탄천 유역인 구성동 일대 제외), 처인구 이동읍 등도 다 안성천 수계로 들어가게 된다. 조선시대에는 안성천에서 배를 타고 바닷길로 갈수 있었다. (드라마 추노'에서도 등장)

차령산맥 차령산맥은 오대산에서 분기하여 원주 치악산, 충주, 안성을 거쳐 천안, 청양, 서천에 이르는 구릉성 산맥이다. 안성은 차령산맥이 지나는 곳 중 한 곳이다.

금북산맥 금북정맥은 한반도 13정맥 중 하나이다. 백두대간의 속리산에서 시작된 한남금북정맥이 안성시 칠장산에서 금북·한남으로 갈라지면서 칠장산에서 시작된 산세가 태안반도 지령산에 이르러 산세를 끝낸다. 그 길이가 약 240km에 이른다. 북서로는 안성천· 삽교천을 아우르고 남으로 길게 이어진 사면을 따라 금강이 흐른다. ‘금북정맥’이라는 이름은 금강의 북측에 있다 하여 붙은 이름이다.

한남정맥 한남정맥은 백두대간의 속리산에서 시작된 한남금북정맥(漢南錦北正脈)이 안성 칠장산(七長山)에서 한남·금북으로 갈라져 서북쪽으로 김포 문수산(文殊山)에 이르는 산줄기의 옛 이름이다. 《산경표》에서 규정한 1대간 1정간 13정맥중의 하나로, 한강 줄기의 남쪽에 있는 분수령이라 하여 한남정맥이라 부르며 경기도의 한강 본류와 남한강의 남쪽 유역의 분수령으로 해발 100m 미만의 낮은 등성이의 연결로서 서쪽에 위치한 인천·시흥·안산 등의 산줄기를 만들다가 용인과 수원에 이르러 제법 큰 산세를 이루며, 남쪽으로 금북정맥(錦北正脈)과 안성에서 연결된다.

한남금북정맥 한남금북정맥은 백두대간의 속리산에서 시작된 정맥으로 안성 칠현산(七賢山)에서 한남정맥과 금북정맥으로 분리되어 끝맺는 정맥으로 한남·금북으로 이어주어 서북쪽으로 김포 문수산(文殊山)과 서남쪽으로 태안반도 안흥까지 이르게 하는 산줄기의 옛 이름이다. 《산경표》에서 규정한 1대간 1정간 13정맥중의 하나로, 해발 400~600 m의 산들로 연결되었으나 때로는 100 m 이하의 낮은 구릉으로 이어지기도 한 이 산줄기는 동쪽으로는 괴산·음성·충주 등 중원의 남한강 지역과 서쪽으로 이어지는 보은·청주·증평·진천 등 금강 북부지역의 생활 문화권을 영유하였다. 삼국시대에는 고구려와 백제의 접경지역이기도 하였지만 현재는 중부지방과 호남지방의 자연스러운 한 경계를 이루고 있다.

2. 상징

안성시의 CI
파일:안성시 CI.svg
안성시의 심볼마크는 안성의 비전인 "장인의 혼이 살아있는 세계적인 예술도시"를 표현하기 위하여 안성맞춤 유기장들, 바우덕이 혼을 상징하는 태극과 세계적인 예술문화의 관문이 된다는 의미에서 전통대문을 형상화하였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역대 휘장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colbgcolor=#fff,#1c1d1f> 파일:안성시 CI(1998-2006).svg
1998년~2006년
시승격 이후부터 2006년까지 사용된 CI. }}}}}}}}}}}}}}}
안성시의 브랜드 슬로건
파일:안성시의안성맞춤브랜드.jpg
안성시 브랜드 슬로건(Brand Slogan)

장인의 혼이 살아있는 세계적인 예술도시'를
표현하기 위하여 안성맞춤 유기장들 바우덕이
혼을 상징하는 태극과 세계적인 예술문화의
관문이 된다는 의미에서 전통대문을 형상화함
안성시의 시정 슬로건
파일:안성시의시정슬로건.jpg
안성시의 마스코트
파일:경기도 안성시 바우덕이.png
바우덕이
안성시의 농수산물 브랜드
파일:안성농수산물브랜드.png
안성마춤 브랜드는 대한민국 퍼스트 브랜드 대상
2024년까지 18년 연속 수상
안성시의 5대 특산품
파일:안성5대특산물.jpg
안성시의 5대 특산물은 100년이 넘는 정성으로 길러낸 결실 포도, 천혜일미 경기미 , 대한민국 대표 브랜드 , 자연을 닮은 한우, 동양의 자연적 신비 인삼
파일:안성시청전경.jpg
안성시청

3. 역사

* 940년 안성현(安城縣) 으로 되었다.[12]
*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공주부 안성군으로 개편하였다.
* 1896년 8월 4일 경기도 안성군으로 개편하였다.
* 1914년 4월 1일 양성군(陽城郡), 죽산군(竹山郡)을 병합하여 12면으로 개편하였다.
* 1914년 4월 1일 안성군 원삼면을 용인군에 편입하였다.
* 1914년 4월 1일 안성군 입장면을 충청남도 천안군에 편입하였다.
* 1915년 6월 1일 죽일면을 일죽면으로, 죽이면을 이죽면으로, 죽삼면을 삼죽면으로 각각 개칭하였다.
* 1931년 3월 21일 용인군의 고삼면을 안성읍내로 편입 행정예고 하였다.
* 1937년 7월 1일 안성면을 안성읍으로 승격하였다.
* 1963년 1월 1일 용인군 고삼면을 안성군으로 편입하였다.
* 1983년 2월 15일 원곡면 용이리·죽백리·청룡리·월곡리와 공도면 소사리를 평택군 평택읍으로 강제 편입하였다.(공화국 시절 전두환 대통령제로 주민 의견 수렴없이 안성땅 수백만평을 강제 편입)
* 1987년 1월 1일 보개면 양복리 일부를 금광면에, 삼죽면 남풍리·동평리·가현리를 보개면에 편입하였다.
* 1992년 9월 30일 이죽면을 죽산면으로 개칭하였다.
* 1997년 6월 6일 보개면 가사리, 가현리와 대덕면 모산리, 건지리, 소현리 일부를 안성읍에 편입하였다.
* 1998년 4월 1일 안성군'에서 안성시'로 승격
* 2001년 6월 1일 안성시' 공도면'이 공도읍으로 승격하였다.
* 2024년 현재 1읍 11면 34동(법정동)

3.1. 고려 이전

안성은 고구려 시절 내혜홀(奈兮忽)이란 이름으로 불렸다. 그 흔적은 내혜홀초등학교와 내혜홀로에서 볼수있다. 내혜홀은 낮골, 즉 지역이 낮은 고을로 풀이하고 있으며, 안성의 토박이말로도 낮골로 불리었다.

진흥왕 시절 신라가 차지했고 9주 5소경 한주에 소속시켰고 757년(신라 경덕왕 16) 백성군(白城郡)으로 고치고 940년(태조 23) 지금의 이름인 안성현(安城縣)으로 고쳤다.

죽산군은 고구려 개차산군(皆次山郡)이었고 신라 경덕왕이 개산군(介山郡)으로 고쳤다가 신라 말에는 죽주(竹州)로 불렸다. 궁예를 잠깐 부하로 뒀던 호족 기훤의 본거지가 죽주였다.

3.2. 고려

1018년(현종 9) 안성현(安城縣)은 수주[13]에 넣었다가 뒤에 안성군(郡)으로 승격되기도 했다.

3.3. 조선

  • 1413년(태종 13)에는 안성군이, 1416년에는 죽산군이 각각 충청도로부터 경기도에 편입되었다.
  • 1895년(고종 32) 행정구역 개편에 의해 충주부 안성군, 양성군, 죽산군이 되었다.
  • 1896년(고종 33): 경기도 안성군, 양성군, 죽산군이 되었다.

세종실록지리지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3.4. 일제강점기

  • 1914년 3월 1일: 양성군, 죽산군을 통합하였다.
  • 1914년 4월 1일: 산하의 면을 통폐합하였다.
  • 1915년 6월 1일: 죽일면, 죽이면, 죽삼면이 각각 일죽면, 이죽면, 삼죽면으로 개칭하였다.
  • 1931년 4월 1일: 읍내면을 안성면으로 개칭하였다.
  • 1937년 4월 1일: 안성면이 안성읍으로 승격되었다.
  • 1943년: 안성읍 동리, 서리, 장기리 일대를 정(町), 정목으로 분할하였다.

3.5. 미군정 및 대한민국

파일:안성시 CI(1998-2006).svg
시 승격 이후 2006년까지 약 8년간 사용한 로고

1946~1947년: 안성 읍내의 일본식 지명을 정리하였다.
  • 1914년 안성군의 원산면을 용인군으로 편입
  • 1914년 안성군의 입장면을 충청남도 천안군에 편입
  • 1931년 3월 21일 용인군의 고삼면을 안성읍으로 편입예고 후 1963년 1월 1일: 용인군의 고삼면을 안성군 고삼면으로 행정구역 편입 완료[14]
  • 1983년 2월 15일: 원곡면 용이리, 죽백리, 청룡리, 월곡리와 공도면 소사리를 평택군 평택읍에 주민의견 수렴없이 강제 편입하였다.(공화국 시절 전두환 대통령제로 편입)
  • 1992년 9월 30일: 이죽면을 죽산면으로 개칭하였다.
  • 1998년 4월 1일: 안성시로 승격되어 안성읍의 법정동이 안성1동, 안성2동, 안성3동으로 분할되었다.
  • 2001년 6월 1일: 공도면이 공도읍으로 승격하였다. (전국 톱10위 안에 드는 곳으로 발전함)

4. 지리

4.1. 자연지리

안성은 예로부터 살기 좋는 곳, 편안한 곳이라 불려 지역명도 안성(安城)이다. 그래서인지 장마시기마다 침수 사태가 단 한번도 일어나지 않았다. 그나마도 2006년 홍수도 둑이 안성시내와 반대방향으로 무너져서 생긴 홍수였다. 인구밀집지역은 말짱하고 논 침수되었다. 안성 근처에 호우경보가 뜰 때, 옆동네인 평택시 천안시, 음성군, 진천군 은 침수 사태로 고통받는 와중에도 안성은 침수 사태가 일어나질 않는다.[15] 또, 태풍 피해도 거의 없는 지역이다.

안성천이 흐르고 있는데, 안성천은 아산만 방조제 건설 이전엔 작은 배들이 드나들어 소금장수가 보개면 북가현리까지 드나들 정도로 물이 많은 하천이었으나 방조제 및 저수지들이 생긴 이후 물이 줄어 현재는 여느 개천과 다를 것이 없다. 하나 있다면, 수위가 엄청나게 빨리 줄고 침전이 많아서 마구 파내도 금방 양쪽 냇가에 흙이 쌓인다. 안성천을 토대로 다양한 크고 작은 지류가 존재하며, 금광저수지와 고삼저수지는 FTV에서 꼭 나오는 주요 포인트이다. 아양지구 개발로 안성천 정리사업이 진행되어 강이 깔끔해지고 조망이 좋아졌다.

삼죽면을 경계로 수계가 다르다. 국사봉-칠장산-덕성산으로 이어지는 산줄기를 경계로 서쪽은 안성천 유역이며, 동쪽은 한강의 지류인 청미천 유역이 된다. 삼죽면은 이 두 수계가 겹치는 동네. 심지어 죽산면 남쪽 3개 리는 금강 수계이다. 그러다보니 역사적으로 삼죽 지역은 행정구역도 달랐고 생활권도 안성시내권역과 다르게 용인, 진천, 이천 등과의 교류가 많았으며, 지금도 안성시내와는 생활권이 다소 분리되어 있다.

4.2. 인구

파일:안성시 CI.svg 안성시 인구 추이
(1911년~현재)
1911년 69,668명 (안성군 29,378명 + 양성군 13,407명 + 죽산군 26,883명)
1914년 4월 1일 안성군 + 양성군 + 죽산군 → 안성군 통합
1914년 안성군 원삼면 → 용인군 원삼면 편입
1914년 안성군 입장면 → 천안군 입장면 편입
1915년 64,719명
1920년 72,876명
1925년 74,143명
1930년 74,630명
1935년 85,163명
1940년 86,225명
1944년 93,917명
1949년 108,812명
1955년 113,402명
1960년 131,957명
1966년 144,274명
1970년 133,404명
1975년 132,888명
1980년 127,891명
1983년 2월 15일 안성군 원곡면 용이리·죽백리·청용리·월곡리, 공도면 소사리 → 평택군 평택읍으로 편입 [16]
1985년 121,752명
1990년 118,260명
1995년 124,671명
1998년 4월 1일 경기도 안성군 → 안성시 승격
2000년 136,590명
2005년 157,130명
2010년 177,937명
2015년 180,199명
2020년 187,012명
2024년 5월 191,24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0만 명
읍면동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공도읍 60,745명
안성2동 26,133명
안성3동 22,133명
대덕면 15,277명
안성1동 11,925명
일죽면 7,434명
금광면 7,313명
죽산면 7,024명
원곡면 6,580명
미양면 5,563명
양성면 5,152명
보개면 5,138명
삼죽면 4,009명
서운면 3,132명
고삼면 1,898명
2023년 9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6.3만 명
}}}}}}}}} ||

인구는 1980년대 후반 지역구 국회의원인 유치송 이자헌[17] 안성선을 폐선시킨 이후 급격히 인구가 줄기 시작하여 1990년대까지 감소하였다.[18][19] 그러다 1990년대 중반에 공도읍 쪽으로 인구가 대거 유입이 이뤄지면서 인구가 차츰 늘더니, 마침내 1998년에 로 승격이 되었는데 이 날을 기념하는 노래까지 나올 정도로 축제 분위기였다.[20] 그 후부터 안성시 공도읍은 20년 전 인구 5,000명이던 공도가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대한민국 전체 읍 순위 10위 안에 포함된다. 안성시 인구 '20만명'가운데 63,000명이 공도읍에 거주하고 있다.또한 공도는 곧 자체 인구 10만명'을 돌파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공도는 사실 '소사'인구를 제외한 기준을 넣었기에 2024년 기준 '소사'인구를 합산하면 현재 인구 10만명이 넘은 상태이며, 전국 순위 1위이다. 추가로 원곡의 경우도 죽백,용이,청룡,월곡 인구를 합산하면, 2024년 기준 인구 6만명이 넘는 동시에 '원곡'도 전국 읍 순위 10위안에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사실상 2024년 원곡읍이나 다름없다. 추가로 대덕면 의 경우 내리 쪽'의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곧 대덕읍으로 승격 될 가능성이 높다.元안성시의 일원인 소사,용이,청룡,죽백,월곡 인구를 합산하면 2024년 현재 안성시 인구는 대략 30만명이 넘는다.여하튼 안성은 안성시내와 공도에 인구가 집중되어 있는 상황이다.그래서인지 지난 18대 대선에서도 그 차이가 엿보였는데 공도 쪽은 문재인 후보가 앞선 반면 그 이외 지역에서는 박근혜 후보가 크게 앞서는 모습을 보여줬다. 다른 지역도 마찬가지지만, 신도심 지역은 민주당 우세, 구도심 지역은 새누리당 우세 원칙이 그대로 적용되었다. 공도읍의 장점은 안성생활권과 평택생활권을 같이 누릴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성 병점 용인 기흥생활권이 수원 생활권을 같이 누릴 수 있는 것과 동일하다.[21]

2005년 경에 화성시 남양뉴타운(화성시 남양읍)과 안성뉴타운(안성 아양지구)을 개발하기로 계획을 발표했다. 이 중 안성 뉴타운은 120만평에 계획 정도인 도시개발계획지구였다.[22] 하지만 스타필드 안성과 2024년 국가반도체 소부장특화단지를 유치와 다시 30년만에 철도복원 을 눈앞에 두고 있는 시점이다.그래서 2024년 안성시 전체가 발전에 한발짝 전진중 이다. 근데 2010년 경에 재정난에 빠진 한국토지주택공사가 사업성이 없다는 이유로 남양뉴타운은 그대로 두고 안성뉴타운을 대폭 축소하여 안성아양지구로 명칭을 바꿔 120만평의 계획을 20만평 계획 규모로 개발하기로 하고 2024년 아직도 나머지 구간을 공사중이다. 2018~2019년 들어 안성아양지구 개발이 대부분 이루어져 도로가 새로 뚫리고, 안성천이 정비되는 등 2024년 도시의 모습을 갖춰가고있다. 향후 안성철도 개통과 소부장특화단지가 가동되면 나머지 100만평 이상의 도시 개발이 이루어 질수도 있다. 그래서인지 안성시는 20년만에 안성도시공사 설립에 심여를 기울이고 있다.

5. 교통

5.1. 철도

수도권 전철 미개통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건설 중인 노선
GTX-B GTX-C
신안산선 동북선 위례선
건설이 확정된 노선
(기본계획 승인)
민투심 통과 노선
동탄 도시철도 대장홍대선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노선
면목선
추진 중인 노선(기본계획 미승인&예타 미통과)
GTX-D GTX-E GTX-F GTX-G
GTX-H 서부선
목동선
부천트램
송도트램 영종트램
기존 노선의 연장선 및 지선 건설 계획은 각 노선 연장 문서 참조.
개통된 전철 노선 보기
}}}}}}}}}

안성역
평택부발선
강릉 방면

[ 부발역]
-.- ㎞ →
역명 표기
평택부발선 안성
Anseong
安城 / アンソン
개통일 미정

제4차 국가철도망/예비타당성 진행중
안성역
수도권내륙선

[ 진천선수촌역]
-.- ㎞ →
역명 표기
수도권내륙선 안성
Anseong
安城 / アンソン
개통일 미정

제4차 국가철도망/사전타당성 진행중
안성역
경강선
종점

역명 표기
경강선 안성
Anseong
安城 / アンソン
개통일 미정

제5차 국가철도망 계획/경기도 발표
안성역
GTX-A
종점

역명 표기
GTX-A 안성
Anseong
安城 / アンソン
개통일 미정

2024년 3월 용역착수/안성시
[clearfix]

5.2. 고속도로

사통팔달 교통의 중심지 답게 안성은 전국 주요 고속도로가 모두 연결되어 있다. 경부고속도로, 중부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평택제천간 고속도로 등이 있다. 경부고속도로가 차량 증가로 인하여, 정부에서 2011년 부터 준비한 세종포천고속도로 안성~구리 구간을 2024년 11월 개통을 목표로 공사가 진행 중이다. 안성 구간에만 IC 4개가 설치 된다. 특히 38국도와 34국도와 연계한다는 설계이다.

안성시의 고속도로는 다음과 같다.

안성JC를 기점으로 안성IC[23], 서안성IC, 송탄IC, 남안성IC, 일죽IC, 안성맞춤IC[24], 안성바우덕이IC[25], 금광IC[26], 서운입장IC[27] 총 9개의 인터체인지가 있다.[28] 안성시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인터체인지가 있으며, 전국의 주요 고속도로가 모두 연결되어 있다.

2024년 3월7일 경부고속도로 평일 버스전용차로가
안성IC까지 연장 발표를 하였고 2024년 6월부터 평일 버스전용차로 안성IC까지 연장이 시행 되었다.[29]

5.3. 버스

시외버스 노선은 안성종합버스터미널 참조
시내버스 노선과 시간표는 안성시청에서 제공하는 시간표 참조 시간표

광역급행버스(광역버스)는 2023년 양재 개통을 시작으로 2023년 하반기 4401번 강남역 개통이 되었고 2024년 3월 4402번 강남역이 추가 개통 되었다. 2024년 6월24일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에서 안성에서 잠실행 광역버스 신설 노선을 발표하였다.[30] 잠실행 광역버스는 2024년 하반기 개통할 예정이다. [31]
2024년 현재 안성시의 광역버스 노선은 총6개 이며[▶8200(안성~수원) ▶8201(안성~성남) ▶8202(안성~동탄역) ▶4401(한경대~강남역) ▶4402(동아방송대~강남역) (안성▶잠실)][32] 10개까지 늘리는 방안을 추진중이다.

6. 경제

GRDP(지역내 총생산) 2012년 기준으로 15조원 8109억원이며, 경기도에서 약2.2% 이상을 차지한다.

1인당 GRDP는 경기도에서 4번째로 높다. 개발과 인구에 비해서 상당히 높다. 앞으로 향후 한강수계지역[33]유천취수장 해제[34] 안성 철도 개통시 발전이 더 높아 질 것으로 예상한다.

6.1. 산업

안성포도 안성포도는 대한민국 포도 역사의 시발점이자 대한민국 포도근원지이다. 특히 안성포도는 거봉포도 안성지역에서만 재배하는 유일한 품종 마스카트가 일품이다.[35]

안성하면 안성맞춤과 안성 유기가 생각나는데[36], 현재 유기를 만드는 곳으로 전화국에서 좀 가다보면 안성맞춤유기공방이 있다. 가격은 진짜 매우 비싸다.

그 외 넓고 풍요로운 안성평야에서 재배된 대한민국 3대 米중에 하나'인 이며,대한민국 3대 한우가 이 지역을 대표하는 농산물 중에 하나이다. 안성쌀은 경기미이기 때문에 비교적 인정을 많이 받고 있으며, 안성 지역에서 나오는 6년근 홍삼 인삼도 조선 3대 (개성,금산,안성)과 함께 유명하다. 지리적 표시제/대한민국에는 안성 과 함께 안성 가 등록되어 있는데 안성 梨는 대한민국 3개 배' 주산지 중 한 곳 이며, 당도는 최소 13브릭스 이상을 자랑하며, 경기도 최고의 배'로 알려져 있다.

농심그룹 안성공장이 있다는 것. 여기서 안성탕면도 생산한다. 그래서 안성탕면이 안성과 연관이 있다.안성 사람들이 집에 항상 안성탕면 한봉지를 준비해 놓는다는 건 드립이다.절대 그렇지 않다. 안성사람들이라고 안성탕면을 전부 먹는 것은 아니다. 안성탕면은 부산 및 경상도 지방에서 예전부터 지금까지 줄곧 판매 1위를 이어져 오고 있다. 또한 농심그룹에서 안성에 세운 공장이 하나가 아니다. 스프를 생산하는 계열사 농심태경과 농심켈로그 공장도 있다. 그래서 켈로그 역시 안성에서 생산된다. 그리고 인근 미양면에는 롯데칠성음료의 공장, 그 옆 서운면에는 KCC 도료공장이 있다. 대체로 고속도로 위주의 교통편리로 인해서 별의별 기업들이 입주하고 있다. 특히 물류터미널은 경부선 연선 지역이 다 그렇지만 안성에 입주해 있다.

파일:external/www.usci.kr/2106514135_94MbyjQV_EC82ACECA784_5968.jpg
결국 이러한 드립은 진짜로 퍼져버렸다. 참고로 이 사진은 진짜로 농심그룹 안성공장 안에 있는 홍보실에 붙어있었다가 2015년 이후 없어졌다. 웃을 일만은 아닌게 SK 하이닉스는 아예 이천의 특산물 반도체를 밀고 있으니 이런 류의 원조라고 볼수도 있다.

안성시에는 산업단지 (제1,제2,제3,제4)까지 수 많은 기업들이 자리하고 있다. 2025년 제5산단도 준공을 앞두고 있고 2024년 동신산단이 국가반도체 클러스터에 안성시가 소부장특화단지를 유치하므로 윤석열 대통령( 대선후보 당시 경기도 유세에서 제일 먼저 안성에서 연설함)이 안성을 세계적인 반도체 지역으로 만든다고 했다. 따라서 안성은 새로운 인구유입과 많은 일자리 그리고 반도체 도시로 준비 하고 있으며 앞으로 안성 경제를 책임질 전망이다.

6.1.1. 반도체

안성시는 수 년 전부터 반도체 산업을 가져오고 싶었고, 나름대로 노력도 해 보았으나 현실적으로 쉽지 않았다. 그도 그럴 것이 반도체 관련 산업들은 나노미터 내지는 마이크로미터 수준을 다루다보니 대부분의 연관 산업들이 상당한 수준의 기술을 요구하는데 이러면 인력을 구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안성시의 인구 규모, 각종 기반시설, 교통 등을 볼 때, 고급 인력의 유치가 쉽지는 않았을 것. 그래서 안성은 지금까지 용인 평택에 전기를 공급해 주고 있었다. 안성에는 없어서는 안될 변전소 안성에 있는데 바로 서안성변전소에서 SK 용인과 삼성 평택캠퍼스에 전기를 공급해주고 있다. 그런던 중 2023년 드디어 안성시가 국가 반도체 클러스터 지역 소부장 특화단지를 유치하게 되었다.옆 동네 용인 안성과 인접한 부분에 대규모 투자를 2회 연속으로 유치하는데 성공하여 입지 경쟁력을 갖추고 있었고, 안성시청의 공무원 국회의원이 노력한 결과, 안성시보개에 추진중인 동신일반산업단지에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기업들의 투자 의향서를 받아낼 수 있었고, 소부장 특화단지로 유치 지정되어, 조만간 착공이 되면 안성시도 반도체 산업 클러스터에 들어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6.2. 상권

과거 신생극장이라고 유명한 극장이 있었고 그리고 조금 규모가 작았던 광신극장이 있었다. 신생극장이 사업을 접고서도 광신극장은 남아 있어서 30년 역사를 자랑했으나 학생이 화장실에서 자살하는 사건이 일어나고 그 뒤로 관객이 뚝 끊겨서 결국 폐업하고 만다. 극장 관람객마저 줄고 있어서 울상이었는데 거기에 산소호흡기를 뗀 격. 1980년대부터 성인영화+일반영화를 다뤘고, 안성에 있었던 여러 개 극장 중 최근까지도 꿋꿋히 생존했으며, 거기다 광신극장 앞 사거리가 원래는 서인사거리였지만 시민들에겐 광신사거리로 이름이 굳혀진 것도 모자라서 안성의 대표적인 랜드마크(시내 개발 이전엔 안성에서 제일 높은 건물이었다)였기에 안타까움은 더해만 간다. 광신극장은 일반 극장으로서 국내 무일유이 최초로 개봉관으로 승격 된 극장이기도 했다.
결국 광신극장이 있던 광신빌딩에는 다이소 노래방과 오락실이 생겨버렸다.
그래서 지금의 안성의 랜드마크는 스타필드 안성이다.

그리고 2013년 7월에 공도읍 롯데마트 안성점 롯데시네마가 생겼고 그 후 2018년 5월 28일 안성 뉴타운아양지구에 CGV가 CGV 안성으로 문을 열었다. 그리고 메가박스 역시 스타필드 안성에 2020년 10월 7일 메가박스 안성스타필드로 오픈했다.
또한 국내에 5개뿐인 돌비시네마가 바로 안성에 있다.

대형마트는 공도읍 롯데마트 안성점이, 석정동에 이마트가 있다.모두 수요일이 휴일이다. 참고로 안성오락실'에는 자그만치 유비트 소서가 2대나 설치되어 있었으나, 13년 10월 중 유비트 한 대가 빠지고 사볼이 들어왔고, 12월엔 리플렉이 들어왔다. 이는 평택에도 없는 게임기였고, 테크니카는 더 이상 말 할 것도 없다. 참고로 중앙대 후문의 오락실도 유비트 코피어스에 테크니카까지 있다.[37] 그야말로 안성 충남 천안 다음으로 리게이의 꿈의 도시였다. 그래서 2021현재는 유비트,사볼이 빠진대신에 스타필드 안성 과 함께 신 태고의 달인이 경기남부 최초로 안성에 발을 내딛었다.

시내에 패스트푸드점으로는 롯데리아 파파이스, 맥도널드가 있었으나 2010년초 맘스터치가 생기고 현재 안성에는 맥도날드가 5곳이나 생겼다.롯데리아의 경우 오래 전부터 있었지만 세 번이나 옮겼다. 처음엔 시장 옆이었으나, 광신사거리가 인지도를 타서 광신빌딩 1층, 현재는 구 기업은행 자리로 옮겨졌다. 과거에는 파파이스도 있었는데, 이미 오래 전에 사라지고 그 곳은 옷가게가 된지 오래다. 서브웨이 크리스피 도넛이 입점되어 있고. 2019년 12월 공도에 버거킹이 생겼으며, 2020년 11월 말, KFC가 입점했다. 2017년 5월경 쿠우쿠우가 입점하면서 처음으로 초밥뷔페가 생겼다. 2024년 5월 아양지구에도 버거킹이 오픈했다.

과거 시내 구경은 20분이면 다 했다. 시내 한 바퀴 돌다 보면 아까 만난 친구를 세 번 정도 다시 만나볼 수 있다.. 거기다 분지도 아닌데 그 이유는 대학가를 제외 하고 시내권에서는 과거 토박이들이 주를 이루었기 때문이다. 또한 안성은 어디에든 산이 보인다. 그 이유는 차령산맥이 안성을 지나가고, 수도권에서 유일하게 산과 물 그리고 시내를 차로 10분이내 만날 수 있는 지역이다.그래서 과거 안성시내 학생들은 대부분 안성에 문화 생활을 즐길 것이 없었다. 특히 한경국립대학교 학생들도 학교 처음 와 보고선 좌절하는 경우가 많았었지만, 이마트 앞 뉴타운이 들어온 후 몰라보게 달라졌다. 그전에는 허와벌판 이였지다.어히려 안성 공도 쪽이 더 발전한 듯한 느낌이 들었을 정도 였다'' 하지만 2024년 현재 공도는 더욱 발전되었고 앞으로도 더 발전될 전망이고, 안성 뉴타운 아양지구에 신시가지'가 조성되어 안성시내가 완전 탈바꿈 되었다. 안성시내는 앞으로 안성역 개통과 보개면 동신리와 가사동,가현동,중리동,발화동,계동,현수동의 개발이 시작되면 안성시내가 지금보다 더 엄청난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공도의 경우 공도읍 전체가 2000년대 초중반부터 엄청난 개발로 상권과 인구가 증가하고 있어 향후 용인의 기흥과 화성의 동탄 처럼 될거라 예상하고 있다. 그렇게 되면 공도면에서 공도읍으로 승격했지만, 향후 공도읍 전체가 구 또는 동으로 바뀌게 될 수도 있다.또한 유천취수장이 해제되면 엄청난 속도로 안성시 전체가 공도를 포함하여 발전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38]

2020년 안성시 공도읍 진사리에 경기도는 물론 충청도(안성인근 충청남도와 충청북도)에서 최대의 쇼핑몰 스타필드 안성( 트레이더스 홀세일 클럽 안성점 포함)이 들어왔다.[39] 전국 프렌차이즈로 커진 모박사 부대찌개의 본점이 안성 대덕면에 있다. 다른 부대찌개와의 차이점이라면 김치가 들어가지 않는다는 것이다. 특허받은 부대찌게'이다. 또한 안성 지역에만 찾아볼수 있는 햄버거 프랜차이즈 중 하나인 쑤와리질러가 무려 3곳이나 있다. 각각 죽산면, 삼죽면( 동아예대 인근), 당왕동( 한경대 인근)에 위치해 있다.

최근 물가는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폭등하고 있는 추세여서 옆 동네 평택, 천안만 봐도 원재료 값과 물가 추세에 중심가의 소비자 감소세를 견디지 못하고 폐점하는 소매업체, 프랜차이즈가 점점 늘고 있다. 다만 상업 중심지 기능의 안성시내는 과거 서인사거리 중심의 상권이였지만 점점 안성뉴타운인 아양지구(CGV 주변)로 이전하고 있고[40] 안성서부권 스타필드 안성을 필두로 진사리로 이동하고 있는 추세이다.그렇지만 공도읍만정리는 주변 인구가 여전히 많기 때문에 서인사거리와 다르게 아직 성황이긴 하다.

6.3. 금융

{{{#fff {{{#fff 안성시}}}에 위치한 금융기관 }}}[괄호]
제1금융권[괄호]
국가기관
안성우체국 (11)[43]
국책은행
중소기업은행 (2)
특수은행
NH농협은행(중앙회) (3)[44]
시중은행
신한은행 (2)[45] 우리은행 (2)[46]
하나은행 (1) 국민은행 (3)
{{{#fff [[제2금융권|{{{#fff 제2금융권}}}]](상호금융) }}}[괄호]
농업협동조합
안성농협 (4) 서안성농협 (4)
안성원예농협 (2) 안성축산농협 (5)
안성인삼농협 (2) 양성농협 (1) 서운농협 (1)
고삼농협 (1) 금광농협 (2) 대덕농협 (3) 미양농협 (2)
보개농협 (1) 삼죽농협 (1) 일죽농협 (2) 죽산농협 (1)
새마을금고
안성새마을금고 (2) 안성장학새마을금고 (4)
신용협동조합
안성신용협동조합 (4) 안성제일신용협동조합 (2)
산림조합
안성시산림조합 (1)
상호저축은행(상호금고)
안성상호저축은행 (1)

7. 관광

안성시2025년 동아시아 문화도시'로 선정됐다. 문화체육관광부는 2023년 12월 29일 열린 동아시아 문화도시 선정 심사위원회에서 경기도 안성시2025년 동아시아 문화도시로 선정했다.[48] 안성시는 조선 최초 아이돌 바우덕이 [49], 아시아를 잇는 줄을 타다!라는 표어 아래 2025년 한 해 동안 중국, 일본 동아시아 문화도시와 함께 문화행사를 기획하고 교류하면서 아시아를 잇는 문화도시를 조성할 계획이다.[50]

관광지로 꼽을 만한 곳은 고삼호수[51], 미리내 성지[52], 죽산순교성지, 그리고 안성유기를 전시한 안성맞춤 박물관, 삼국시대에 쌓은 산성인 죽주산성, 박문수가 기도를 올리고 나서 과거 시험에 합격했다는 설화가 전해 내려오는 칠장사 등을 관광지로 소개하고 있다. 그외 안성팜랜드도 있고, 석남사 도깨비 촬영지가 있고, 그 앞에 계곡을 보며, 식사를 하러 오는 사람들도 꽤 있다.또한 조병화문학관을 비롯해, 안성 시내에 위치한 120년이 넘는 역사를 자랑하는 국내 성당계에서 손꼽히는 성당 구포동 안성성당이 있다. 한옥 프랑스의 건축 양식을 접목해 만들어져 독특하고 아름답다.그 외 많은 낚시 명소와 캠핑러들의 켐핑지, 향교등이 있고, 스타필드 안성이 있다.

유네스코 세계중요무형문화유산 등재된 안성남사당 공연(안성맞춤랜드)

금광호수, 고삼호수, 칠곡호수, 반제호수, 청룡호수 등 70여개 호수(수도권 최대)

특히' 금광호수는 박두진둘레길 조성과 2025년 완공을 목표로 전망대를 조성하고 이으며,칠곡지와 반제지의 경우 인근에 대형 카페 촌이 있다. 청룡호수의 경우 레저스포츠를 즐길 수 있다. 서운산 자락에 위치하여 그 전망이 더욱 좋다. 고삼호수의 경우 세종포천고속도로 안성에 설치될 4개의 IC중 하나인 ( 바우덕이IC)가 고삼호수에 설치되는데 멋진 고삼교와 전국 최고의 휴게소인 바우덕이 휴게소가 고삼호수에 설치 중이다.

스타필드 안성 (경기와 충청 최대)[53]

안성팜랜드 (안성목장체험 및 일출)[54]

칠장사, 석남사(안성) (역사 및 촬영지)[55]

안성향교, 죽산향교, 양성향교 (선비마을,덕봉서원)[56]

구포동 안성성당 (문화제 및 촬영지)[57]

안성국사봉 해발 445m 위에 있으며 수도권에서 보기 드문 엄청난 광경을 자랑한다.[58]

죽주산성 (역사와 촬영지) [59]

안성비봉산 안성시내권에 위치하고 있으며, 일출 및 포토존을 새로 만들어 팔각정과 포토존에서 멋진 사진을 담을 수 있다.[60]

대림동산 (휴식) [61]

서운산 (등산 및 레저스포츠)[62]

서일농원 (간장,청국장,된장 체험)[63]

너리굴문화마을 (캠핑 및 체험)

풍산개테마파크 (강아지 테마)[64]

건강나라 (동양최대의 찜질방)[65]

안성허브마을 (체험 및 캠핑)

캠핑러들의 메카도시 안성! 공기 좋고 물 좋은 안성!교통까지 편리하여 안성에는 멋진 캠핑장이 많다.

카페의 낭만도시 안성! 아름다운 곳이 많고 호수가 많아 안성에는 웅장한 대형 카페 및 이색 카페가 많다.특히 원곡에는 카페촌이 있을 정도이고, 2024년 공도 쪽에도 예쁜 카페들이 즐비하고 있다.[66]

남사당 맞춤랜드 동영상 #

2011년, 2012년 2년간은 세계문화민속축전을 안성에서 유치하기도 했다.

7.1. 축제

안성에는 축제가 꽤 있는데 그 중 안성시를 대표하는 축제바우덕이축제이다. 특히 문화체육관광부는 2023년에 개최한 지역축제를 대상으로 전문가 현장‧서면 평가, 소비자 인지도‧만족도 조사, 지역주민 지지‧호응도 조사 결과를 종합해 지정심사위원회를 거쳐 안성맞춤 남사당 바우덕이 축제 문화체육관광부가 주관하는 ‘2024~2025년 문화관광축제’ 에 선정됐다. 아울러 안성맞춤 남사당 바우덕이축제는 문체부에서 선정한 대한민국 대표 최우수 축제이다.

안성남사당을 계승하여 바우덕이 를 필두로 안성맞춤랜드에서 매년 가을에 축제를 한다.관광객은 대략 80만-120만명'이 바우덕이 축제를 찾는다.

안성맞춤 남사당 바우덕이 축제 [67]
안성맞춤 포도축제[68]
안성 동막골 빙어축제[69]
죽주 대문화 고려축제[70]
산내들 푸른안성 환경축제[71]

7.2. 안성의 명산(山)

FM 라디오의 경우 지형 등의 원인으로 관악산 전파가 쾌적하게 들리지가 않았었다. 그렇다고 충청권 라디오를 듣자니 그것도 꽤 만만치 않은 거리라서 라디오 수신기가 좋은 게 아니라면 웬만한 채널은 잘 안들린다. 다만 요새 최신 자동차 라디오수신기는 성능이 좋은게 많아 역으로 말하자면 서울, 경기, 충청권 FM방송을 모두 들을 수도 있다는 의미도 된다. KBS 제1라디오 기준으로 안성에서는 서울(97.3)보다는 천안(89.9), 대전(94.7), 충주(92.1)가 깨끗하게 들린다. 그래도 서울 방송을 들을려면 용문산 주파수(90.3)로 듣는 편이 더 낫다. 아무래도 안성에서 천안, 충청북도(진천, 음성)이 더 가깝다. 2024년 연말에는 KBS 제1라디오 비봉산 중계소 (90.5) 개국 예정이다.

안성비봉산
서운산
고성산
노성산
칠현산
원곡백운산
안성국사봉
죽주산성
덕암산
천덕산
도덕산
보개산
청량산
팔용산
대이산
팔공산(안성)
차령산
뒷산(안성)
왕골산
대덕산
금병산
샛죽바위산
죽림산
금광산(안성)
보체산
칠장산
바카프미산
죽산백운산
봉바위산
부흥산
쌍령산
망월산
금강산(동음이의어)
새댕이산
묘룡산
쌍영산
미양산
안성남산
좌상산
진재말림산
닭모이산
머린골산
곧트나산
산닝이산
봉황산(안성)
제비월산
아오실산
돌섯산
산박골산
양성조산
달보산

7.3. 특산물

비옥한 땅에서 재배한 갖가지 농산물이 사철 생산된다. 특히 안성평야는 땅이 기름지고 작은 하천을 많이 끼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하천의 범람이 별로 없기 때문에 예로부터 ‘흉작 없는 풍작지’로 널리 알려져 있다. 안성시는 포도· 인삼··· 한우 등의 농산물에 대해 안성마춤이란 브랜드를 만들어 상표를 등록했고,현재 안성의 대표 브랜드인 이 ‘안성마춤’ 5대 농특산물은 각종 품평회에서 최고상을 휩쓸며 전국에서 가장 우수한 농축산물로 인정받는 안성의 자랑거리다. 안성시는 ‘안성마춤’이란 브랜드로 2002년 대통령상을 수상으로 매년 소비자 만족도 1위를 차지하고 있고,2024년 현재까지 16년 연속 대한민국 퍼스트 브랜드 대상을 수상하고 있다.
안성유기[72]
안성 포도[73]
안성[74]
안성 한우[75]
안성 인삼[76]
안성[77]
안성 막걸리[78]
안성토속주[79]
안성 찹쌀떡[80]

안성 5대 특산물 지리적 표시제/대한민국에 등록되어 있다.

7.4. 명물

안성은 전통과 현대가 공종하는 독특한 매력의 도시이다. 또한 문화예술이 도시이기도 하다. 그래서인지 안성 유기, 안성 꽃신, 안성 상투 등 명물이 있다.

대다무 낚싯대 대한민국 유일의 대나무 낚시 명인이 안성의 대나무로 손수 수작업으로 대나무 낚싯대를 만들고 있다. 수도권에 웬 대나무 ? 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북방한계선'[81]이기에 대나무 또한 잘 자라고 많이 있다.그래서 안성지역에는 대나무 죽(竹)를 쓰는 동네가 3곳(일죽,죽산,삼죽)이나 있다.

안성하면 농수산물중에 포도,배,쌀,인삼을 떠올리는데 친환경 안성 바나나가 재배된다.[82] 바나나는 열대야 지역에서만 재배되는 과일중 하나 인데,비옥한 땅과 낮과 밤의 일교차가 좋아서인지 안성에서 바나나가 재배된다.

체리자두 흔히 체리 또는 자두는 알아도 체리자두는 생소하다. 하지만 안성에는 체리자두가 있다. 귀한 과일 여름과일의 환상적인 콜라보!이다. 크기는 체리보다 약간 크지만 색갈은 체리 색이며, 속안은 체리와 자두 두가지 느낌이 든다.

장(醬) 명인이 만든 청국장,된장,고추장,간장이 있다.특히 수천개의 장독대가 매우 매력적이다.[83]

8. 생활문화

스타필드 안성과 여러 행정센터에서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며, 안성맞춤 아트홀에서 공연,콘서트,등을 즐길 수 있고, 서예와 공방 등 여러 문화 체험을 할 수 있다.

8.1. 문화예술

안성출신 문화예술인'이 많다.한 지역에서 한명 배출하기도 힘든데, 안성은 역사가 깊고 문화예술의 지역이라 그런지 유독 많다. 대표적으로 조병화, 박두진,이 있으며, 고은 역시 안성에 터를 잡고 있고,김수현 작가역시 고향은 청주이지만 안성에 터를 잡고 집필하여 드라마 작가계에 레전드가 되었다. 공기 좋고 물 좋고 경관이 좋아 많은 문학인과 예술인을 탄생 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듯 하다. 그래서인듯 2025년 동아시아 문화도시 안성시가 선정 되었다.다른 도시들을 제치고 문화도시로 선정된 것은 그 만큼 안성지역이 문화예술의 도시라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84]

공연시설로는 안성맞춤아트홀이 있다. 도서관은 안성시립도서관 외에 15개 도서관이 있고, 체육시설은 안성종합운동장 부지에 축구장, 야구장, 수영장, 체육관, 정구장이 있고, 공도읍 대덕면에도 야구장과,축구장이 있다. 금광면에는 국민체육센터 등이 있다. 서안성쳉 ㅇ센터에는 볼링장, 수영장 등 넓은 부지를 가진 전국 최고 규모의 서안성체육센터가 2021년 9월에 개관하여 운영 중이다.

영화관으로는 CGV 안성, 롯데시네마 안성[85], 메가박스 안성스타필드가 있다. 안성에는 전국에 5개뿐인 Dolby Cinema도 있다.

8.2. 교육

안성시에는 유독 100년이 넘는 학교가 많다. 안성시내권에서는 안성초등학교의 경우 과거 한반도에 몇 안되는 초등학교 중 한 곳이였으며, 안성서부권에서는 공도초등학교가 100년이 넘는 역사를 갖고 있다. 안성동부권에서는 죽산초등학교'와 일죽초등학교'가 100년이 넘는 역사룰 갖고 있다. 특히 안성초등학교의 경우 졸업생을 수만명 배출한 곳이다. 고등학교의 경우 사립고인 안법고등학교역시 100년이 넘는 역사를 자랑하는 것과 동시에 다른 지역에서 유학을 많이 온다. 또한 일명 스카이 라고 불리는 명문대에 진학률이 높다. 안법고등학교 학생들은 주말 그리고 늦은 밤까지 공부 하는 학생들이 많기로 소문났다. 명실상부 경기도 최상위권 고교중 한 곳이다. 추가로 경기창조고등학교가 매년 커트라인이 올라가고 있어 평판이 좋다. 대학교의 경우 중앙대학교, 경기도 유일의 4년제 국립대학교인 한경국립대학교, 연예계 등용문으로 손꼽히는 예대중 한 곳인 동아방송예술대학교, 한국폴리텍대학교, 두원공과대학교, 수도침례신학대학교 등이 있다. 또한 안성에는 명문 국제학교가 있다. 최근 광역버스가 안성에 개통'되므로 강남역에서도 저렴하고 빠르게 안성의 대학교를 이용 할 수 있게 되었다.

8.2.1. 초/중/고등학교

파일:안성시 CI.svg 경기도 안성시 초등학교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개산초등학교 개정초등학교 고삼초등학교 공도초등학교 광덕초등학교
광선초등학교 금광초등학교 내혜홀초등학교 대덕초등학교 동신초등학교
마전초등학교 만정초등학교 명덕초등학교 문기초등학교 미곡초등학교
미양초등학교 백성초등학교 보개초등학교 보체초등학교 비룡초등학교
산평초등학교 삼죽초등학교 서운초등학교 안성초등학교 양성초등학교
양진초등학교 어울초등학교 용머리초등학교 원곡초등학교 일죽초등학교
죽산초등학교 죽화초등학교 현매초등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안성시 CI.svg 경기도 안성시 중학교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공도중학교 만정중학교 명륜여자중학교 비룡중학교 서운중학교
안성여자중학교 안성중학교 양성중학교 안청중학교 양진중학교
일죽중학교 죽산중학교 한겨레중학교
푸른색 바탕은 남자중학교, 붉은색 바탕은 여자중학교. 흰색 바탕은 남녀공학.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안성시 CI.svg 경기도 안성시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0px;margin-bottom:-11px"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고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가온고등학교 경기창조고등학교 두원공업고등학교 안법고등학교 안성고등학교
안성여자고등학교 일죽고등학교 죽산고등학교 한겨레고등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초등학교는 향교가 있는 지역 답게 30개가 넘는 초등학교가 있다.시내외 할 것 없이 초등학교가 있지만 문제는 중학교가 안성 중심부에 쏠려있다. 2024년 6월 기준 안성시의 중학교는 13개이다.고등학교는 10개 정도인데,추가로 안성뉴타운 아양지구에 중학교 1개[86], 공도읍에 고등학교 1개가[87] 새롭게 개교 될 전망이다.

안성시내와는 다르게 안성 외곽의 읍면 단위 행정구역들은 대부분 한 면당 하나 이상의 중학교와 고등학교가 있고 안성 시내와는 별개로 운영되고 있다. 안성의 읍면 단위 소재 중학교는 공도읍의 "공도중학교" "만정중학교" "양진중학교", 죽산면의 "죽산중학교", 일죽면의 " 일죽중학교", 서운면의 "서운중학교", 양성면의 "양성중학교" 삼죽면의 "한겨레중학교" 등이 운영되고 있으며 한겨레중학교의 경우는 북한에서 탈북한 학생들의 교육을 보조하고 도와주기 위해 운영되고있는 중학교이다. 안성의 읍면 단위 고등학교는 공도읍의 "창조고등학교", 죽산면의 "죽산고등학교", 일죽면의 "일죽고등학교", 삼죽면의 "한겨레고등학교"가 있으며 한겨레중학교와 동일하게 한겨레고등학교도 탈북 학생들의 교육을 책임져 주고있는 고등학교이다.

고등학교의 경우에는 비평준화 지역이기 때문에 커트라인·평균 입시성적이 학교마다 다르고, 연합고사 날 각 중학교에서 고입 선배들을 응원하는 수능과 같은 진풍경이 오래 남아있기도했다. 사립 명문고인 안법고등학교가 지역 명문으로 경기도내 학생들이 유학 오는 곳이다. 가톨릭 재단인지라, 천주교 수원교구 내 성당에서 지역 학생에게 추천해주기도 한다.
2015년도 고입 내신 커트라인은 경기창조고 160점, 안성고, 안성여고 140점대, 두원공고 130점대, 가온고 120점대 안법은 190점대가 대부분이다. 참고로 경기창조고의 경우, 개교 당시보다 점점 커트라인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며 매년 좋아지는 대입 결과와 농어촌 전형이 해당되기에 이로 인한 영향이 크다고 볼 수 있다.

2016년도 전국 일반계 고등학교 입시에서 대규모 미달이나 대부분의 학교 내신 커트라인이 적게는 10점에서 많게는 30점이 하락했다.

안성시내에서도 고등학교/중학교는 금산동에 몰려있다. 정확히는 금산동 이외 몇몇 동이지만 거의 학교들이 시내 북쪽에 붙어있다.

고등학교는 되려 타지에서 유학오는 사람(평준화된 용인쪽에서 많이 온다)들이 종종 있다보니 더 빡세기도 하다(그래서 외지학생한테 밀린 많은 학생들이 안성고로 몰린다). 2010년에는 경기창조고등학교가 공도읍에 개교했으므로 고등학생들이 무조건 시내를 돌아야 할 일이 없어지게 되었다.

국제학교로 베일러 국제학교가 있다. 약 8000평 규모 캠퍼스의 국제 학교로, 저명한 Cognia(전 AdvancED) 인증을 2년의 최단기간 안에 최장 5년 인증을 획득했다.아름다운 캠퍼스 경관,휴양시설 같은 기숙사도 갖추고 있다.매년 아이비리그 및 미국 명문대 합격자를 배출하고 있다.

8.2.2. 대학교

파일:안성시 CI.svg 안성시의 대학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한경국립대학교 UI.svg 한경국립대학교
사립 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 중앙대학교(다빈치캠퍼스)
전문
대학
파일:동아방송예술대학교 로고.svg 동아방송예술대학교, 파일:두원공과대학교 UI.svg 두원공과대학교
기능
대학
파일:한국폴리텍대학 CI.svg 한국폴리텍대학(반도체융합캠퍼스) }}}}}}}}}


교육의 도시답게 대학교가 많다.
4년제 대학으로는 중앙대학교 다빈치캠퍼스 한경국립대학교 본교가 있고, 그 밖에 전문대학으로는 두원공과대학교 동아방송예술대학교, 그리고 한국폴리텍특성화대학 반도체융합캠퍼스가 위치해 있다.

이 중 오랫동안 안성을 대표해 온 대학은 중앙대학교 다빈치캠퍼스다. 1980년 캠퍼스 설치 이래 대덕면 내리를 필두로 수십 년 간 수많은 학생들이 거쳐가며 지역 경제의 큰 축을 차지했다. 그렇지만 2000년대 후반 중앙대학교가 캠퍼스 이전계획을 발표한 이후[88] [89]

반면에 국립인 한경국립대학교는 말 그대로 애증의 존재다. 1939년 '안성공립농업학교'로 시작하여 '안성농업전문대학', '안성산업대학교'를 거쳐 지금의 국립종합대학교까지 발전하는 과정이 안성의 도시화와 맥을 같이 한 관계로 지역 사회에서 큰 위상을 차지한다. 때로는 이런저런 이유로 안성 시민들에게 까이지만, "상위권 학생을 제외하곤 한경대 입학하는 게 효도다"라는 말을 할 정도로 애정 또한 상당하다. 특히 과거보다 학생들의 수준이 대체로 높아지고 정문 앞에 일부 시외·고속버스가 정차하면서 대다수 주민들의 인식이 개선되었다. 다만, 학교 측에서 대대적인 인지도 개선과 거점국립대학교로의 도약을 위해 다른 국립대학과의 통·폐합이나 제2캠퍼스 개교 사업 등을 꾸준히 추진하면서 본교인 안성캠퍼스 규모가 작아질 것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존재하였으나 2023년 안성의 한경대와 평택(송탄)의 장애인 전문대인 국립 한국복지대간의 통합은 성사 되었다. 캠퍼스 규모 축소 우려나 상권 위축도 기우인 게 중앙대처럼 없어지는 것도 아니고 한경대가 애초부터 사회복지과로 유명한 학교도 아니었다. 물론 약간의 이전이 있을수도 있지만 대이동까지는 하지 않을 듯 하며 오히려 통합으로 이미지가 개선되고 관심도가 높아진다면 주변 재개발, 활성화에 대한 얘기도 자연스럽게 커질 것이니 장기적으로는 오히려 안성 입장에서 이득이다.

동아방송예술대학교 두원공과대학교도 4년제 과정이 있다.

피아선 대학교 원곡면 용이리에 위치한 신학대학교'로서 4년제 이지만 학명이 변경된 상태이다.[90]

유명한 일화중에 이화여자대학교 한국항공대학교 안성에 오려했지만 주민들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8.3. 언어

경기도에 속해 있지만, 충청도와 접경해 있는지라 말투도 충청도 방언에 가까운 경기 방언을 쓴다. 그래도 안성시의 방언은 용인 방언과 상당히 유사하고, 수원 방언과도 중첩되기도 하며, 안성뿐만 아니라 같은 충청도 접경 지역인 평택시, 용인시, 여주시 일부 지역 토박이 말도 이와 상당히 비슷하다. 특히 양성면 공도읍 일대는 충청남도 방언을 제법 구사하는 경향이 크다. 실제로 [안성 지역은 역사적으로 충청남도에 속했던 적이 잠시 있었다.] 실제로 수백년전 안성은 잠시 충청남도에 속한적이 있었다.]어미에 "~하는 거여."라고 쓰는 것이 특징. 이 지역 출신인 최일구 김수로의 억양을 생각하면 된다.

그리고 안성 사람들이 자주 쓰는 말 중에 "형님은 이거나 하셔" 라는 말이 있는데 타지 사람들 중에 반말로 알아들어 말싸움을 벌이게 되는 경우도 있다. 실제로 저건 형님은 이거를 해 주세요 의 안성 방언이다. 특히 안성사람들은 말투가 무뚝뚝하고 약간 무심한듯 말하기 때문에, 외지 사람들이 들으면 오해를 하기도 한다. .

8.4. 의료기관

종합병원으로 안성 성모병원(208병상), 최근 신축이전한 경기도의료원 안성병원(308병상)이 있다. 또한 187억원을 들여 만든 경기도 공공산후조리원이 있다.2023년부터는 경기도립 안성병원의 소아청소년과에서 24시간 소아청소년 진료를 운영하고 있다.

대덕과 보개를 제외한 모든 곳 단위에 보건지소가 있다.

8.5. 라디오 수신환경

FM 라디오의 경우 지형 등의 원인으로 관악산 전파가 쾌적하게 들리지가 않았었다. 그렇다고 충청권 라디오를 듣자니 그것도 꽤 만만치 않은 거리라서 라디오 수신기가 좋은 게 아니라면 웬만한 채널은 잘 안들린다. 다만 요새 최신 자동차 라디오수신기는 성능이 좋은게 많아 역으로 말하자면 서울, 경기, 충청권 FM방송을 모두 들을 수도 있다는 의미도 된다. KBS 제1라디오 기준으로 안성에서는 서울(97.3)보다는 천안(89.9), 대전(94.7), 충주(92.1)가 깨끗하게 들린다. 그래도 서울 방송을 들을려면 용문산 주파수(90.3)로 듣는 편이 더 낫다.
심지어 SBS 파워FM보다 TJB 파워FM(95.5, 95.7) CJB 조이FM(97.9, 101.5) 전파가 더 강하게 잡힌다. 문화방송의 경우 표준FM은 관악산이지만 FM4U는 남산에 송신소가 있었을 때는 서울 쪽의 청취가 거의 불가능했다. 이때는 MBC충북 충주 FM4U(FM 88.7), 대전MBC FM4U(97.5)가 해결법이다. 안성 대부분에서 빵빵하게 터진다. 이는 남산보다 더 높은 관악산이나 청계산이 남산의 전파를 막아 안성은 물론이고 천안 평택 오산 수원 안양 등 관악산 전파가 수신 가능한 경기남부 일대 지역 대부분에서 수신이 곤란하다. 그러나 이제 FM4U도 송신소를 관악산으로 옮겨서 지방방송과 서울지역 방송이 둘다 잘 터지게 되었다. 위치를 잘 맞추면 효도 라디오도 전주 JTV 매직FM(90.1), kbs happy fm (92.9), mbc표준(94.3), 원음라디오(97.9 joy fm 방송 간섭)가 들린다. 그리고 강원도 원주 mbc 표준(102.5)를 들을 수 있다. 남산 중계소에 있는 ytn라디오(94.5), 국악방송(99.1), tbs e fm(101.3)이 들리지 않는다. 예외로 영어라디오 듣고 싶으면 미군기지에서 afn라디오(88.3)를 들을 수 있다. EBS 라디오가 안성에서 여러개 잡힌다. 서울(104.5), 대전(105.7, 107.9), 충주(104.1), 원주(104.9 kbs 제3라디오 간섭), 서산(102.3)이 잡힌다.

안성시내에 있는 제일 높은 산인 안성비봉산(해발 229여미터)에 KBS 중계소가 존재' 이곳에서는 KBS1, 2TV와 EBS1, 2TV와 수도권 지상파DMB 전채널을 송출하고 있다. KBS에서 제공하는 디지털 TV 수신 지도 등에서 확인하면 알 수 있지만 서안성 변소가 전국 최대 규모로 설치가 되어 전기와 전파에 도움이 되었다.[91]

9.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안성시/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하위 행정구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안성시/행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기타

  • 어원 안성맞춤이라는 대명사 외에도 안성에서 유래된 다른 말도 있다. 소나기 트집이다. 소나기는 가람 이병기 선생의 책에도 나와있듯 ' 안성을 지나가는데 갑자기 비가 쏟아졌고 안성의 아낙내들은 '소나기'가 온다 '라고 말을 하여, 소나기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라고 되어있다. 트집은 흔히 우리가 괜히 트집 잡네 라고 하는 트집이 옛날 안성장(安城場)에서 상투와 갓을 수리하는 것 또한 일품이였는데 갓과 상투를 수리하는 것을 트집 잡는다 '라고 했다하여 오늘날의 트집이라는 말의 어원도 안성에서 유래되었다.
  • 탈북한 북한 주민들과 북파공작원의 재사회화 기관인 하나원이 안성에 있다. 원래 탈북자들은 본적이 하나원 주소로 등록돼서 모두 안성을 고향으로 한 주민번호를 받았는데, 이후 탈북자들이 중국을 통해 북한으로 재입국하여 가족의 탈북을 돕는 일이 생기자 중국 측에서 안성 출신의 주민번호(안성의 지역코드는 25)를 가진 남한 국적자의 입국 및 투숙을 거부하는 일도 발생했다. 이후 탈북자들의 본적 및 주민번호 부여는 정착지를 기준으로 변하게 되었으며, 현재도 동북 3성 지역에서는 남한 국적 투숙자의 주민번호를 계속 확인한다.
  • 안성시청은 현재 봉산동 언덕배기에 위치해 있는데 원래 청사는 1990년대 초반만 하더라도 현재 GS 슈퍼마켓이 위치한 자리에 있었다. 이후 1990년대 중반에 청사를 옮긴 것이다. 덕분에 오늘날 그 일대에 낙원공원과 안성1,2동사무소와 시민회관 그리고 보건소(2010년에 외곽으로 이전) 등의 공공기관이 몰려있는 것이다. 그리고 최초에는 왼쪽의 4층 건물이 전부였으나 자동차 등록사업소의 업무가 늘어나서 우측에 별관을 하나 더 지었고 결국 그 옆에 또 별관을 더 지어버렸다. 그덕인지 건물이 밋밋한 모습을 볼 수가 있다.
사실 웃긴게 원래 안성시청이 자리잡았던 곳은 "공설운동장" 예정지였다. 시간은 198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서 당시 안성군은 공설운동장이라는 게 따로 없어서, 군 예산 + 도 예산 + 안성 군민 성금을 모아서 공설운동장을 짓기로 하였지만 정작 지어진 곳은 금광면이다. 그나마도 초창기 공설운동장에는 전광판 하나 없어서 대형 화이트보드 하나로 모든 것을 대체하였으나, 2000년대 중반에 예산을 확보하여 일단 전광판은 설치되어 있는 상태다.
  • 일본 아이치현에 안성시와 똑같은 한자를 쓰는 안조(安城)시가 있다. 그래서 1970년대에 안성농협과 안조농협이 자매협약을 맺기도 했다.
  • 안성시내를 필두로 타 지방 지주들이 소유하고 있는 땅이 상당하다. 이유는 경부고속도로 등으로 인해 교통이 상당히 편리한 반면 농촌에는 개발이 안된 곳이 많고 투자 가치가 높기 때문이다. 그리고 안성에는 부자가 많은데 경기도에서 최고 부자 역시 안성 토박이'이다.그래서 안성에서 뭔가를 개발을 하려고 하면, 안성시 주민보다는 타 지방 지주들에 의해 좌절이 되는 경우가 많다.
  • 안성시청에서 자체적으로 제작하는 안성시정뉴스가 있다. 이 뉴스는 1990년대 말, 안성유선방송시절부터 제작하여 유선방송으로 송출되기 시작하여 왔으며, 이 역사가 오늘날까지 이르러서 시청홈페이지를 거쳐 페이스북에서도 공개하기에 이르렀다. 시정 소식을 전달하는 것 치고는 꽤 역사가 유서 깊은 편이다.
  • 평택과 묘하게 라이벌 관계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현재 한국복지대학교 한경대학교가 피해를 입었지만 다행히 통합이 되었지만, 안성-평택간 버스경쟁부터 시작해서, [[경부고속도로 안성IC의 명칭에 대해서도 말이 많았는데, IC자체는 행정구역상 안성에 위치하지만, 고속도로에서 그곳을 통해 나가면 바로 길 건너 정면에 보이는 곳이 안성시 원곡면 용이리'이지만 1983년 주민의견 수렴없이 공화국 시절 강제 편입으로 주소상 평택시로 되어 있어서 명백히 안성의 행정구역인 안성IC의 IC명을 평택IC로 바꿔야 하는 것 아니냐는 일부 정신나간 평택 주민들의 의견도 있었다.[92]아니나 다를까 과거 일주일 정도 안성IC의 이름이 안성평택IC가 된적이 있는데 안성에서 난리가 났었다.바로 평택시와 도로교통공단에서 꼬리를 내리고 바로 다시 원IC이름인 안성IC로 교체했다. 그러면 송탄IC의 행정구역이 안성시'이니까 북안성IC로 변경해야 되는 말이다.[93] 그래서 송탄IC앞에도 안성시 라는 큰 전광판을 설치해야 된다. 이렇게 복잡하게 된 배경은 1983년 공화국 시절 전두환 대통령의 오른팔이였던 평택출신의 국회의원 유치송(당시 안성,평택,용인이 국회의원 한 지역구)의 입김으로 소사동,용이동,죽백동,월곡동, 청용동이 주민의견 동의 수렴없이 강제로 평택으로 편입이 되어 그덕분에 1986년 평택군은 평택시로 승격되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 현재도 평택시의 인구 절반은 송탄시 인구이며, 나머지 25%는 이상은 안성시에서 유입된 인구이다. 정확히 계산하면 2024년 현시점 안성시의 인구는 빼앗긴 땅의 원 인구를 합산하면 2024년 3월 기준 30만명 정도이다. 다시말해 2024년 3월 기준 평택시 인구는 59만명인데, 여기서 안성인구 최소 10만명을 제외하고, 송탄인구 최소 25만명을 제외, 외국인 4만명 제외하면, 원 평택인구는 대략 20만명 정도이다. 따라서 현 안성시 인구와 비슷하다는 결과다. 예컨대 평택과 송탄이 다시 분할되고 안성땅을 되찾는다면, 2024년 기준 안성 인구 30만명,평택 인구 22만명, 송탄 인구 28만명 정도로 추정한다.[94] 평택과 안성의 관계를 보면 마치 한국과 중국'같다. 고구려 역사를 바꾸는 중국이나 안성천을 평택강으로 바꾸려는 움직임과 안성평야를 평택평야라 부르고, 평택은 얘로부터 치안이 좋지 않고 범죄가 많아 대학이 하나도 없었다. 평택대학교의 원래 교명은 피아선 신학대학교 였다. 하지만 안성시의 500만평의 땅을 수렴없이 편입시켜 교명을 평택대학교로 변경 되었다.
  • 삼성그룹에서 안성시 대림동산에 에버랜드를 만들려 했으나 반대로 무산되었고[95], 세계최고 규모의 사계절 돔구장 스카장을 안성시 서운면에 건설하려 했지만 안성포도의 재배지이기에 주민들의 극심한 반대로 무산되었고[96], 추가로 한국항공대학교와 이화여자대학교도 안성으로 오려했지만 반대로 무산이 되었다[97].

12. 자매결연 도시

12.1. 국내

12.2. 국외

13. 출신 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분류:안성시 출신 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2024년 5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통계 [2] 2024년 4월 기준 [3] 안성시 가선거구 (공도읍, 양성면, 원곡면): 최호섭
안성시 나선거구 (미양면, 대덕면, 고삼면, 안성3동): 정천식
안성시 다선거구 (보개면, 금광면, 서운면, 일죽면, 죽산면, 삼죽면, 안성1동, 안성2동): 이중섭, 안정열
비례대표: 박근배
[4] 안성시 가선거구 (공도읍, 양성면, 원곡면): 최승혁
안성시 나선거구 (미양면, 대덕면, 고삼면, 안성3동): 이관실
안성시 다선거구 (보개면, 금광면, 서운면, 일죽면, 죽산면, 삼죽면, 안성1동, 안성2동): 황윤희
[5] 안성시 제1선거구 (공도읍, 미양면, 대덕면, 양성면, 원곡면, 고삼면, 안성3동): 양운석 (재선) [6] 안성시 제2선거구 (보개면, 금광면, 서운면, 일죽면, 죽산면, 삼죽면, 안성1동, 안성2동): 박명수 (초선) [7] 안성 5일장 거리 (위치는 구 안성 버스터미널 옆) [8] 1937년 경기도에서 최초로 읍으로 승격된 지역 [9] 지방은 B/C 0.7 이상 수도권은 0.9 이상이어야 된다. 안성은 그동안 0.8 이상은 되었지만 0.9를 넘지 못했다.하지만 국가 반도체 클러스터 소부장 특화단지 유치와 인구증가로 무난히 0.9를 넘을 것으로 보고있다.참고로 경기북부와 경기남부의 여주 같은 곳은 안성보다 경제성이 낮지만 B/C 0.9를 넘긴 이유가 이웃지역의 철도가 큰 도움이 되었다. [10] 이 노선 구상당시 일반 철도로 구상이 되었지만 고속철도로 바뀌었고, 완공이 된다면 안성에서 강릉까지 49분-50분 이내에 갈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11] 수도권 내륙선의 경우 완공이 된다면 안성에서 동탄까지 10분이면 갈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추가로 GTX-A 노선이 안성까지 연장을 위해 사전타당성 조사를 하고 있는데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12] 고려시대 내혜홀,신라시대 백성군이라 불리다 940년 지금의 이름인 안성현이 되었다. [13] 水州: 지금의 수원시 [14] 일제강점기 시절 안성군의 원삼면이 용인군 원삼면으로 편입되었다. 하지만 1931년 3월21일 동아일보 자료에 따르면 용인군의 고삼면을 안성읍으로 편입한다고 행정예고를 하였고, 편입 완료까지 30년이 소요되어 해방 후 1963년 편입이 완료되었다. [15] 불난리는 일어나도 물난리는 좀처럼 일어나지를 않는다. [16] 공화국 시절 평택출신 국회의원이 안성주민의 동의 및 의견수렴 없이 법정리 5개를 평택군으로 편입하여 평택시 승격에 도움이 되었다. [17] 유치송은 전두환 오른팔,이자헌은 전두환 내각, 당시 안성과 평택은 국회의원 하나의 선거구 경기10 선거구 였는데 2명의 국회의원을 선출했다.하지만 2명 모두 평택출신이 당선되었는데 1982년 각각 전두환 바지와 내각으로 임명된 후 1983년부터 일본이 조선의 역사를 바꿔놨듯 안성의 역사를 바꾸기 시작했다. 지금은 중국이 우리의 역사를 왜곡하듯 평택은 안성의 역사를 왜곡하고 있다.(안성천과 안성평야 그리고 안성IC등, 평택은 안성뿐 아니라 아산과 당진에게도 왜곡을 일삼고 있다. 그 대표적인게 아산호와 서해대교이다.) [18] 안성땅 뺏기를 시작으로 경부선 철도를 평택에 유치하기 위해 안성선(安城線)을 폐선시키고 1986년 평택역을 신설하여 경부선 철도 노선을 평택으로 바꾸었다. [19] 도로의 발달로 인해 폐선이라고 했지만 그것 이외에는 변명 사유가 없었다. [20] 안성의 시가인 안성의 노래는 1998년 군에서 시로 승격했을 때 기념으로 제작되었다. [21] 공도는 교통편이 편리하여 발전에 큰 도움이 되었다.그래서 인근 소사,용이,청룡,이 클 수 있었다. 예컨대 수원은 전부터 경기도에서 제일 큰 도시이다.현재도 경기도에서 제일 큰 도시인데.불과 20년전 용인과 화성의 인구가 10만명 였을 당시, 수원은 100만 도시였다.하지만 수원은 면적이 작아 더이상 발전할 곳이 부족하여 용인 기흥과 화성 병점 그리고 오산 전체를 수원으로 편입하려고 했었다. 만약 당시 그랬더라면 수원은 2024년 현재 부산과 겨룰 만큼 300만명 가까이 되는 도시가 되었을 것이다.그 덕에 기흥과 병점이 발전이 되었고,전철까지 연결이 되었다. [22] 이 계획이 순조롭게 진행됐다면 안성시내가 공도읍에 인구 면에서 확실한 우세를 점했을 것이다. [23] 스타필드 안성과 38국도에 자리하고 있어 교통성이 좋다. [24] 역사의 안성천과 안성비봉산 근처에 개통한다. [25] 수도권 3대 호수 중 한곳인 고삼호수와 멋진 고삼교의 풍경과 함께 전국 최고의 휴게소(바우덕이 휴게소)를 건설중이다. [26] 멋진 금광호수와 차량산맥이 지나는 안성평야를 보게 된다. [27] 한국포도의 근원지이자 안성포도 재배지와 산업공단 그리고 아름다운 서운산 인근에 개통된다. [28] 경부고속도로, 중부고속도로, 세종포천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등 송탄IC와 일죽IC의 행정구역은 안성시 이며,일죽은 동안성IC,송탄은 북안성IC로 변경하는 것이 맞다. 또한 세종포천고속도로 안성구간 IC명은 가칭이다. 세종포천고속도로는 2024년 12월에서 2024년 11월 앞당겨 개통하기 위해 준비중이다. [29] 20년전 평일 버스전용차로 시행 당시 오산IC까지 였지만 차량 증가와 안성부근 교통량 증가로 안성IC까지 연장 시행했다. 비로서 수도권 최남단인 안성까지 연장이 됨으로서 경부고속도로 기준으로 수도권은 지역 전부 평일 버스전용차로가 시행되었다. [30] 민영제가 아닌 공영제로 시행 [31] 저렴하고 빠르게 이동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또한 광역버스는 경기도에서 안성을 포함한 주요도시 12개 지역만 광역버스 노선이 존재한다.(경기 남부 9개 지역, 경기북부 3개 지역) [32] 광역버스 노선과 같는 안성출발 시외버스가 존재하지만 별개이다. [33] 안성 동부권의 상당부분이 한강수계지역으로 묶여있다. [34] 안성시 약40%가 묶여있다.평택시에서는 수질문제 개선 및 식수 해결을 빌미로 해제하기 어렵다고 변명을 하고 있지만,해당 상수원은 4급수로 전락하여 더러운 물이고 환경부에서 대체용수를 지원하겠다고 했지만,사실 평택시의 속내는 안성시의 발전을 무섭고 두려워 하고 있다.과거부터 안성의 역사를 바꾸고 늘 방해만 했던 평택시이다.왜냐하면 2024년 6월 기준 평택시 인구 60만명(평택시에 거주중인 외국인 인구 4만명 포함)중에 절반는 송탄 인구이며,나머지 인구 30만중에 10만명은 안성 인구이기 때문이다.여하튼 2024년5월 40년만에 평택송탄취수장 해제 발표는 안성시의 약5% 밖에 되지 않는 면적이였고, 정부와 용인시에서 반도체 개발을 이유로 압력하여 평택시는 평택송탄취수장 해제를 발표하여 2025년 평택송탄취수장이 40년만에 해제하게 된다. [35] 1895년 프랑스 콩베르트 신부가 안성에 자리를 잡고 프랑스에서 묘목을 갖고와 안성시 구포동에서 재배를 시작한 것이 시초!이며,포도와 성당 그리고 학교를 설립했다. [36] 안성맞춤이라는 말은 안성에서 만들어진 유기에서 유래된 말이다. [37] 카페 바로 옆의 오락실이다. 근처의 논스톱 오락실 2호점에는 BEMANI 시리즈가 없다. 대신 EZ2AC가 있다. [38] 유천취수장은 1970년대 안성발전을 막기위해 상수원보호구역으로 지정을 하였고 2024년 안성시에서는 이를 해제하기 위해 추진중이다.평택시에서는 수질개선이라는 말도 안되는 이유로 버티기 자세를 하고 있는데 앞으로 해제를 지켜봐여 한다. [39] 간혹 정신나간 평택사람들이 평택 스타필드라고 한다. [40] 정확히는 아직 서인사거리가 상업중심지이나 유동인구는 아양지구가 훨씬 많다. 그래서 그런지 서인사거리는 10시만 지나면 깜깜해지나 아양지구는 새벽에도 활성화되어 있다.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43] 우편취급국 3곳 제외 [44] 출장소 2곳 포함 [45] 출장소 1곳 포함 [46] 출장소 1곳 포함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48] 한국, 중국, 일본 3국은 지난 2012년 제4회 한중일 문화장관회의 합의에 따라 2014년부터 매년 각 나라의 독창적인 지역문화를 보유한 도시룰 동아시아 문화도시로 선정해 다양한 문화교류와 협력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49] 바우덕이'는 조선 후기 경기도 안성 남사당패를 이끈 여성 꼭두쇠로 뛰어난 기량으로 15살이라는 어린 나이에 남사당패의 우두머리인 꼭두쇠가 됐다. [50] 한편 한중일 3국은 2024년 일본에서 열릴 예정인 제15회 한·중·일 문화장관회의를 통해 3국의 2025년 동아시아 문화도시를 공식적으로 선포할 예정이다. [51] 수도권 3대 호수중 한 곳이며, 전국 최고의 휴게소인 바우덕이 휴게소가 고삼교 위에 2024년 9월 완공한다. [52] 김대건 신부가 이곳에 자리하고 있다.안성지역에는 추기경도 배출해낸 지역이다 [53] 안성IC 옆 경기 남부를 비롯하여 아래지방에서도 많은 관광객이 찾아오며 연간 1500만명이 찾는다. [54] 대한민국 우유의 역사가 시작 된 곳,1960년대 박정희 대통령이 어린이들에게 우유를 공급해 주기위하여 한독목장(안성목장)을 만들었고, 이곳은 2012년 체험 테마파크로 조성했으며,일출이 뛰어나 전국에서 많은 사진작가들이 이곳을 찾는다.또한 계절마나 꽃 풍경에 많은 관광객들이 찾아오고 있다. [55] 천년고찰이며,보물과 문화재 그리고 전설이 많아 관광객이 많다. [56] 안성향교를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 준비를 하고 있다. [57] 포도 역사가 이곳에서 시작 되었으며, 한옥양식의 성당이.매력적이다. 1985년 만들어져 100년이 넘는 역사를 갖고 있다. [58] 안성시 보개에 위차하고 있으며 간혹 이곳 정상에서 캠핑을 하는 캠핑러들도 있다. [59] 뉴진스의 뮤비 촬영지이자,삼국시대 신라의 북진 과정에서 축조한 성곽. 산성. 시도기념물이며,죽주산성은 1236년(고종 23) 죽주방호별감 송문주가 몽골군과 15일간 전투를 펼쳐서 승리한 곳이다. [60] 경기남부에서 차로 10분이내에 물과 산 즉 자연이 있는 곳으로 안성이 유일하다.발전이 덜 된 인근 평택 쪽을 보아도 유명 호수와 산이 있지는 않다. 그래서 안성시 안에 있는 호수나 산을 평택시민들도 많이 이용한다. [61] 1990년대 에버랜드가 유치될 곳이였다. 지금은 생태공원이 조성되어 이곳에 거주하고 있는 사람들도 많다. [62] 패러글라이이딩 및 레저스포츠를 즐길 수 있으며 1200년도에 창건된 사찰과 바우덕이 사당이 근처에 있다. [63] 명인이 담근 각종 장과 수천개의 항아리 장독대가 있다. [64] 초대형 강아지 테마파크로 많은 관광객들이 유기견과 이곳을 찾는다. [65] 아시아 최대규모의 찜질방이자 야외에는 수영장도 있다. [66] 캠핑과 더불어 타지역에서 많이 안성시에 있는 카페를 찾는다.인근 지역들에는 대형카페는 있어도 뛰어난 경관을 갖고 있는 카페가 많지는 않는데 안성지역에는 유독 많다. [67] 안성맞춤 남사당 바우덕이 축제는 2001년부터 개최되고 있는, 국내 최고의 전통문화공연 축제이다. 우리나라 대중예술의 효시인 남사당패를 소재로, 다양한 볼거리와 공연을 선사한다.추가로 안성의 모든 특산품도 함께 홍보하고 있다. [68] 안성포도의 우수성을 홍보하고 브랜드 가치 향상 및 농가소득 증대를 위하여 안성 포도 농가와 함께 축제 기간에 맛 좋은 포도를 판매한다. 포도 품평회, 포도와인 만들기, 지역 농산물 판매, 노래자랑 등 다양한 행사를 기획하고 있다.있다.기존에 안성에는 배 축제와 함께 개최했지만,바우덕이 축제가 생기고 배 축제는 폐지 되었다. 추가로 안성포도는 국내 포도 역사의 근원지'이자 시초'이며,안성포도는 거봉과 국내유일의 마스커트가 일품이다. [69] 겨울철 얼음판 위에서 펼쳐지는 빙어낚시 겨울 레포츠를 체험할 수 있다. 안성빙어축제가 열리는 곳으 차련산맥 물줄기의 전형적인 계곡형 1급수 저수지로서 총면적 18만평의 경기도 안성시를 대표 하는 대형급 저수지다. 상수원 지역에 오염원 이 없어 1급수를 자랑한다.수도권에서 느낄 수 있는 청정 축제!대표 프로그램은 빙어낚시,물낚시체험장,눈꽃포토존,무료 체험프로그램은 손잡기, 눈썰매 얼음썰매, 얼음팽이, 연날리기 [70] 죽주대고려문화축제는 죽주산성에서 몽고군의 침략을 물리친 송문주 장군의 넋을 기리고 그 위상을 후대에 알리기 위해 매년 개최되고 있다. 이번 축제는 약 3만 명 정도가 찾는 동안성 지역의 최대 축제로 지역의 문화적 가치를 되새기고 농축산물 판매 증가와 안성시의 발전, 시민들의 화합을 추구한다. 또한 신명의 노래, 중앙대타악단, 도전! 역사골든벨 등 역사를 재미있게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고 있어 지역 예술인과 주민들이 함께하는 참여의 장이 되고 있다. [71] 산내들 푸른 안성 환경축제’는 ‘지구의 회복, 일상의 회복’이란 부제로 온라인 환경축제, 환경주간행사, 환경의 날 기념식 3가지로 진행된다.진행된다.추가로 환경주제의 그림그리기 대회도 개최한다. [72] 안성맞춤이란 대명사가 바로 안성유기에서 탄생했다.최고의 품질 [73] 대한민국 포도 역사의 시발점이다. 100년이 넘는 역사를 갖고 있고, 안성거봉포도는 전국 최고이자,안성에서만 재배되는 마스카트가 일품 [74] 경기도 최고이자ㅏ, 전국 4대'주산지'이다. [75] 최고의 자연에서 키운 한우'전국 3대 일품 한우 [76] 안성인삼은 6년근 홍삼으로 국내3대 인삼'이자 최고의 품질을 자랑 [77] 경기미'이자 우리나라 3대 명품 쌀, 넓고 깨끗한 안성평야에서 재배하여 더욱 일푸 [78] 안성 생막걸리는 안성마춤 생막걸리는 햅살로 빚은 일품 생막걸리,품질을 위한 엄격한 재배로 안성시에서 품질을 보증하고 있는 안성마춤쌀을 사용하여 술을 빚는다. 안성마춤쌀을 가까로운 조정기술로 도정하였고 지하 150m를 사용하여 빚은 정통 막걸리이다. 길 따라 벗 따라 막걸리는 무형문화재 2호가 빚은 막걸리'이다. [79] 쌀을 깨끗하게 씻어서 찐 지에밥과 약수, 누룩으로 발효시키고 숙성시킨 다음 술을 걸러낸다. 숙성시킬 때 강냉이 따위를 넣어 주기도 한다. 생산된 원액은 물을 타지 않고 그대로 살균처리하여 술을 제조한다.알코올 도수 11도와 13도로 술맛이 좋고 피부 미용에도 효과가 있으며, 마시고 나서 뒤끝이 깨끗하고 숙취가 거의 없다. 안성 지방 특유의 민속주 [80] 칠장사에서 전해져 오는 어사박문수 몽중등과시 설화를 스토리텔링해 자체 상표출원한 ‘어사 박문수 몽중등과(夢中登科)’ 찹쌀떡이 제4회 쌀 가공제품 품평회에서 금상을 수상 ‘어사 박문수 몽중등과 찹쌀떡’은 국내 전통떡업계 최초로 식약청 HACCP 지정을 받은 관내 생산업체 안성떡방㈜에서 안성 쌀을 원료로 생산한 제품이다. [81] 지리책에도 배 재배 북방한계선이 안성-증평-영주-태백-강릉으로 되어있다. [82] 제주도에서만 볼 수 있는 한라봉도 안성에서 재배되는데 한라봉 체험도 운영한다고 한다. [83] 안성 서일농원에서는 체험도 가능하다. [84] 역대 동아시아 문화도시 선정 현황은 다음과 같다.대부분 대도시와 역사적으로 문화예술의 도시들이다.- ’14년: 광주, 요코하마, 취안저우 - ’15년: 청주, 니가타, 칭다오 - ’16년: 제주, 나라, 닝보 - ’17년: 대구, 교토, 창사 - ’18년: 부산, 가나자와, 하얼빈 - ’19년: 인천, 도쿄 도시마구, 시안 -'20년: 순천, 기타큐슈, 양저우 * 코로나19로 순천, 기타큐슈는 ’21년으로 연기 - ’21년: 순천, 기타큐슈, 사오싱·둔황 - ’22년: 경주, 오이타현, 지난·원저우 - ’23년: 전주, 시즈오카현, 청두·메이저우 - '24년: 김해, 이시카와현, 웨이팡·다롄, 이다. 안성도 이 지역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되었고, 국가와 해외에서도 인정을 받게 되었다. [85] 롯데마트 안성점 건물에 함께 있다. [86] 아양중학교 [87] 공도고등학교 [88] 절차를 진행중 2013년 인천광역시와 기본 협약을 체결했지만, 위법행위 불법으로 법에 접촉되는 위법행위가 적발되 당시 박범훈 총장은 구속되어,징역을 살게 되었다.그래서 결국은 불법 이전 계획은 무산되었다. [89] 중앙대학교는 다른 명문대와 다르게 이원화 캠퍼스로 본교와 동일하다.(연세대,고려대,동국대 등 지방 캠퍼스와는 다른 구조이며 중앙대 안성은 하나의 본교 일원) [90] 1996년 평택대학교로 학명이 변경됨,평택에는 대학이 한개도 없어 안성의 피아선 대학교로 인하여 대학교 한개가 생기게 되었다. [91] 서안성변전소는 삼성에 전력을 공급해주고 있다. [92] 행정안전부장관,안기부 차장,경기도지사,등 안성에 엄청난 발전을 기여한 당시 4선 국회의원 이해구 전의원이 마지막으로 5선의 고지를 넘지 못하고 당시 2003년 안성'만 수도권'에서 유일하게 듣보잡 민주당 여성이 국회의원이 되면서 당시 안성은 전철 확정까지 된 상태에서 당시 여주군으로 전철이 변경되었고, 2010년까지 대략 7-8년 낙후되었다. 그래서 안성'은 그러한 갑질을 당하는 수모가 잠시 있었다.아이러니하게도 80년대와 같이 당시 평택'을 지역구로 하고 있는 국회의원은 여당의 3선 중진 이였기에 당연히 안성은 힘'이 없었다.그렇게 안성은 뼈아픈 역사를 갖고 있는데 또 다시 아픈 역사를 만들 뻔 한적이 잠시 있었다. [93] 평택에서는 안성에 라이벌 의식을 갖고 있다. [94] 평택시는 향후 인구 100만을 바라보고 있는데 절반은 안성시 인구 일듯 [95] 결국 용인 자연농원으로 흡수되어 에버랜드가 되었다. [96] 결국 무산되어 없었던 일이 되었다. [97] 안성 학생들에게 아직도 신나게 까이고 있다. [98] 상호발전을 위하여 2005년 4월 29일 자매결연 체결 [99] 양 도시 시의원들의 중재로 2011년 5월 6일 자매결연 체결 [100] 농축산물 거래를 위해 안성시에서 자매결연을 제의함에 따라 2011년 10월 7일 자매결연 체결 [101] 브레아시에서 제의함에 따라 2011년 3월 30일 자매결연 체결 [102] 경기도에서 추천한 도시로 2013년 11월2일 자매결연 체결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