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19 10:54:43

아이신기오로 가문

아이신교로 가문에서 넘어옴
파일:청나라 군주기.svg
청 황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d4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rowcolor=#ffd400> 제1대 제2대 제3대
천명제 숭덕제 순치제
<rowcolor=#ffd400> 제4대 제5대 제6대
강희제 옹정제 건륭제
<rowcolor=#ffd400> 제7대 제8대 제9대
가경제 도광제 함풍제
<rowcolor=#ffd400> 제10대 제11대 제12대
동치제 광서제 선통제
<colbgcolor=#00386a> 추존 황제 · 건주여진 추장 · 태상황 · 비황족 추존자
내각총리대신 · 비정통 황제 및 반란 지도자 · 황태자
청 황후 · 청 후궁 · 봉사손
삼황오제 · · ·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진(秦) ·
삼국시대 · 사마진 · 오호십육국 · 남북조 · ·
오대 · 십국 · · 서하 · · · ·
중화민국 국가원수 · 중화민국 총통 · 중화인민공화국
}}}}}}}}}}}}}}}

파일:청나라 군주기.svg
청 황실 봉사손 (황실 수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d4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rowcolor=#ffd400> 초대
(제12대)
제2대
(제13대)
제3대
(제14대)
선통제 진푸제 진푸런
<rowcolor=#ffd400> 제4대
(제15대)
진위장
청 황제
}}}}}}}}}}}}}}} ||

아이신기오로 가문
{{{#ffd400,#ffd400
ᠠᡳᠰᡳᠨ ᡤᡳᠣᡵᠣ | 愛新覺羅}}}
파일:청나라 황제 용보.png
<colbgcolor=#00386a><colcolor=#ffd400,#ffd400> 건립일 1616년 2월 17일
창립자 아이신기오로 누르하치
現 가주 진위장[1]
국가 후금
대청국
만주국

1. 개요2. 역사3. 작위4. 신라 관련 유사역사학

[clearfix]

1. 개요

아이신기오로(만주어: ᠠᡳᠰᡳᠨ ᡤᡳᠣᡵᠣ, 한자: 愛新覺羅[2])는 후금 청나라 만주국의 황실 가문이다. 만주 역사상 마지막 왕조이며, 중원과 중국인을 지배한 중원의 마지막 정복왕조이기도 하다.

영어 위키백과에 따르면 "1660년에 아이신 기오로 가문의 핵심 지파는 378명이었고 1915년에 29,292명이었다"고 한다. 한편 중국어 위키백과에 의하면 "최근 3세기 동안 후금(後金)과 청(淸)나라의 황제는 수많은 후비를 거느렸고, 그들의 자손도 공족(公族)의 지위로 인해 많은 첩을 거느린 데다 중국의 다자(多子)·다손(多孫)을 숭상하는 오랜 전통 풍습 때문에 애신각라 가문의 자손들이 빠르게 번성했다. 현재 애신각라씨는 30만~40만 명으로 추정된다."고 한다.[3] 청나라 멸망 직후 일부 만주족이 해외로 망명하기도 했기 때문에, 한국[4] 러시아 등 중국의 주변국에도 아이신 기오로 가문의 생물학적 후손이 소수나마 존재할 것으로 추정된다. 청나라 멸망 직후 해외로 망명한 만주족의 후손인지는 확실하지 않지만[5] 일본에도 아이신기오로 가문의 후손인 아이신카쿠라 이[6]가 있다.

2.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청나라/왕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청나라 만주족 출신의 아이신기오로 가문에 의하여 세워졌다. 누르하치가 여진의 여러 부족을 통일하고 1616년 스스로 황제의 자리에 올라 국호를 (金)[7][8]이라 하고, 허투 아라(흥경)에 도읍하였다. 이 사람이 청의 태조이며, 아이신기오로 누르하치라고 불리었다.

청나라 멸망 이후에는 만주족들은 대부분 한족 성씨로 이름을 바꾸었다. 애신각라(아이신기오로)씨뿐만 아니라 뉴호록(니오후루)씨, 과이가(구왈기야)씨 같은 만주족 고관의 성씨들은 대부분 한족처럼 훈이나 음의 하나를 따서 한자성으로 바꾸었다. 아이신기오로씨는 김씨로 많이 바꾸었는데, 아이신(Aisin)이 을 뜻하기 때문이다.

청나라의 마지막 황제였던 아이신기오로 푸이가 출신을 눈여겨본 일본에 의해 만주국의 황제로 추대되기도 하였으며, 만주국의 멸망과 함께 역사의 전면에서 사라졌다.

3. 작위

청나라의 황족에게는 친왕 또는 군왕의 작위가 내려졌다. '친왕'과 '군왕'은 만주어 '호쇼이 친왕(和碩親王·화석친왕)'과 '도로이 기윤왕(多羅郡王·다라군왕)'이란 작위를 간략히 부르는 약칭이며, 1636년에 '청(淸)' 국호 및 황제가 선포되면서 후금 시절 '암바(大) 버일러(貝勒·패륵)'와 '호쇼이 버일러'가 왕작 형태로 변화된 것이었다. 때문에 친왕이라는 작위에 딱히 황족이라는 의미를 둔 것이 아니었고, 오삼계·상가희·경중명 등도 '호쇼이 친왕'으로 책봉될 수 있었던 것이다. 순치제 당시까지는 화남 지방을 외번으로 편제하여, 중앙에서 직할하지 않고 간접통치하는 체제를 구상했던 것으로 보이는데, 때문에 청 초기에는 한족 출신의 항장(降將)을 왕으로 책봉한 삼번(三藩)이 형성되었다. 하지만 강희제는 삼번의 철번을 시도했고, 이에 대한 반발로 일어난 삼번의 난을 진압하면서 중원 전역의 직할통치를 실현시켰다. 삼번의 철번 이후로는 종친과 몽골 각부 족장이 아닌 인물들에게 더이상 왕작이 수여되지 않았다.

청나라의 종친 작위는 독특하게 운영되었는데, 품계가 주어지지 않는 최고 서열 작위 8종을 설치하고 이를 '입팔분공(入八分公)'으로 불렀다. 친왕과 군왕의 봉호는 대체로 1글자인 존호가 지정되었고, 이를 '호쇼이 ○친왕'·'도로이 ○기윤왕' 식으로 결합했는데, 그 약칭 또한 '○친왕'·'○군왕'이 되었다. 입관 이전에는 2글자로 쓰이기도 했는데, 이런 경우는 나중에 1글자로 고쳐지기도 했다. 승택친왕(承澤親王)이 그 예인데, 이후 한 글자인 장친왕(莊親王)으로 고쳐졌다. 또한 청나라의 경우 황족 포함 모든 만주족이 북경을 포함한 전국 주요 대도시에 소재한 팔기주방 내에서 거주할 의무가 있었는데, 지배민족인 만주족이 한족을 사사로이 괴롭히는것을 막으려는 목적과 한족과 섞여살며 동화되지 않은 팔기의 군사조직을 유지하기 위함이었다. 따라서 황족도 만주족 전용 주거지역인 북경성의 '여(呂)'자 모양 구획 중 북쪽 작은 사각형 지역 내에 거주해야 했으므로, 이전의 다른 왕조들처럼 자신의 임지로 부임하지 않았고 관저인 '왕부(王府)'가 주어졌다.

그리고 황자라고 하여 무조건 친왕 작위를 수여한 것이 아니라, 황자는 일반적으로 버일러 작위를 받은 뒤 공과에 따라 승강되는 개념이었다. 작위의 세습에는 제한이 있었으며 대체로 아버지의 작위에서 몇 단계 낮은 작위에서 출발하는 특례만 주어지는 것이 원칙이었다. 그러나 일부 친왕과 군왕 작위는 대수(代數) 제한도 없고 강등도 없게 하여 세습하도록 하는 특권이 부여됐는데, 이것을 세습망체(世襲罔替)[9]라고 한다. 세습망체의 혜택을 받은 친왕과 군왕들을 속칭 철모자왕(鐵帽子王)이라고 했다. 정말 철밥통로 된 모자를 쓰는 왕이라는 뜻이다.

역사상 세습망체를 받은 친왕과 군왕은 다음과 같다. 다만 이들 작위 모두가 처음부터 철모자왕이었던 것은 아니고 개국공신 대부분은 관례적으로 선조와 같은 계급으로 하오기의 기주 직위와 함께 세습이 이뤄지던 것을 건륭 연간에 황제의 권위로 공식화한 것이다. 예를 들어 시조들의 여러 논란으로 인해 오랜 기간 홀대받았던 한자가 다른 세 예친왕작은 건륭제 대에야 시조들이 공신으로 인정받아 철모자왕 작위도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이 과정에서 여러 번 작위명이 바뀌기도 했다.
  • 호쇼이 예친왕(和碩禮親王): 1636년 창설, 정홍기 기주
    시조는 누르하치의 2남인 아이신기오로 다이샨. 그의 7남 만다하이가 손친왕작을 받고 아버지의 대를 이어 다이샨의 손자에게까지 작위가 이어졌다가 도르곤 숙청 때 만다하이가 도르곤의 재산을 빼돌린 혐의가 드러나 추탈되었고, 이후 8남의 아들이자 삼번의 난 대만 복속에 공을 세운 기여슈가 강친왕(康親王)에 봉해져 가문이 이어지다가 건륭 연간에 다이샨, 도르곤, 도도에 대한 재평가에 힘입어 영은의 대부터 작위명이 강친왕에서 예친왕으로 개봉되었다. 예친왕은 정홍기의 기주 직위를 겸했다.
    {{{#!folding 【 목록 펼치기·접기 】
대수 시호 이름 재위 생몰년 선대와의 관계
1 예열친왕(禮烈親王) 다이샨(代善) 1636~1648 1583~1648 시조
2 손간친왕(巽簡親王)(패륵) 만다하이(滿達海) 1648~1652 1622~1652 제7자
3 -
회민패륵(懷愍貝勒)
창아다이(常阿岱) 1652~1659 1622~1652 장남
4 강량친왕(康良親王) 기여슈(傑書) 1659~1697 1645~1697 다이샨의 손자
5 강도친왕(康悼親王) 춘타이(椿泰) 1697~1709 1683~1709 제5자
6 강수친왕(康修親王) 총안(崇安) 1709~1733 1705~1733 아들
7 강간친왕(康簡親王) 바르투(巴爾圖) 1733~1753 1674~1753 기여슈의 제4자
8 예공친왕(禮恭親王) 영은(永恩) 1753~1805 1727~1805 총안의 제2자
9 - 소련(昭槤) 1805~1816 1776~1829 아들
10 예안친왕(禮安親王) 인지(麟趾) 1817~1821 1756~1821 총안의 손자
11 예화친왕(禮和親王) 전령(全齡) 1821~1850 1817~1850 장손
12 예각친왕(禮恪親王) 세탁(世鐸) 1850~1914 1843~1914 제3자
12 예각친왕(禮恪親王) 세탁(世鐸) 1850~1914 1843~1914 제3자
13 예돈친왕(禮敦親王) 성후(誠厚) 1914~1917 1864~1917 아들
14 - 성곤(誠) 1917~1929 1886~1929 양자
15 - 준명(濬銘) 1929~1945 1918~1951 양자 }}}
  • 도로이 순승기윤왕(多羅順承郡王)
    시조는 누르하치의 2남인 다이샨의 3남 사할랸의 차남 럭더훈. 사할랸은 다이샨의 장남인 요토와 함께 홍타이지를 칸으로 세운 공이 있어 친왕으로 봉작되었는데 일찍 죽었다. 사할랸의 장자인 아달리가 군왕위를 물려받았는데 홍타이지가 급사한 후 요토의 동생 쇼토와 함께 도르곤을 옹립하려다 손절당해 목이 달아났고, 가문은 차남이었던 럭더훈이 잇게 되었다. 철모자왕 예친왕 가문에서 갈라진 후손이기 때문에 군왕위를 물려 받았지만, 사할랸의 경우 강희 연간에 영의친왕(穎毅親王)으로 추봉되었고 건륭 연간에 다른 개국공신들과 함께 태묘에 배향되었다.
  • 도로이 극근기윤왕(多羅克勤郡王)
    시조는 누르하치의 2남인 다이샨의 장남 아이신기오로 요토. 철모자왕 예친왕 가문에서 갈라진 후손이기 때문에 순승군왕가처럼 군왕위를 물려 받았다. 누르하치 생전부터 다이샨과 달리 크게 신임받고 군공을 세워 성친왕(成親王)까지 올랐지만 아이신기오로 망구르타이 숙청 때 망굴타이를 비호한 죄로 탄핵받아 친왕에서 버일러로 작위가 강등된 신분으로 자신의 조카뻘인 삼촌 도르곤과 함께 산동을 털던 중 제남에서 병사했다. 이후 극근군왕으로 추봉되었고, 후손들은 도로이 연희기윤왕(多羅衍僖郡王)과 도로이 평기윤왕(多羅平郡王) 등으로 작위명이 바뀌어가며 후사를 이어가다 건륭 연간에 개국영웅들의 후손에게 철모자왕 작위를 내리면서 극근군왕작으로 돌아왔다. 극근군왕은 양홍기의 기주 직위를 겸했다.
  • 호쇼이 승택친왕(和碩承澤親王) → 호쇼이 장친왕(和碩莊親王)
    시조는 홍타이지의 5남 쇼서. 쇼서는 생모가 홍타이지에 의한 약탈혼과 하사혼(...)과 가정폭력으로 인한 이혼(...)과 4혼을 거치며 기구한 삶을 살았던데다 마찬가지로 모계 혈통이 미천한 형 중에서도 호오거가 월등히 높은 능력을 뽐냈기 때문에 일찌감치 후계구도에서는 멀어졌지만, 산해관 돌파와 입관 후 하남 정복 등 여러 전역에서 도도와 함께 큰 공을 세웠다. 이후 삼촌들을 숙청한 순치제가 자신의 어린 시절을 함께한 형을 추켜세우며 친왕에 봉했지만 30대의 나이로 요절했다. 그러다 반세기가 지나 옹정 연간에 2대 장친왕 복고다(博果鐸, 박과탁)가 후사 없이 죽자 양자로 쇼서의 차남의 후손이 아닌 강희제의 16남이자 옹정제의 심복 중 하나인 장각친왕 윤록을 "선황께서 살아생전 약속을 하셨다"는 카더라 통신을 근거로 입적시켜 계승케 하는 바람에 뒷말이 좀 많았다. 그래도 옹정제와 윤록이 차남의 후손들에게도 작위와 별개로 여러 혜택을 챙겨주면서 작위 계승 논란은 적당히 무마되었다. 이 문제의 원인은 쇼서의 두 아들 중 차남인 혜군왕 보옹고로(博翁果諾, 박옹과락)가 사고를 쳐서 작위를 박탈당하고 복권되지 못한 데에 있었다. 흔한 여염집이라면 그냥 차남 집으로부터 양자를 들여왔겠지만 이 집안은 황족이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작위가 복권되지 않는 한 그 후손들은 친왕위나 군왕위를 세습할 수 없었다. 하지만 순치제의 다른 후손도 아니고 굳이 강희제의 아들 중에서도 자신의 말을 잘 듣는 윤록을 지명한 것은 옹정제가 명문가 작위를 뺏어다가 동생을 챙겨준거라고밖에 볼 수 없다.
  • 호쇼이 숙친왕(和碩肅親王): 양백기 기주
    시조는 홍타이지의 장남인 호오거. 후대에는 호쇼이 현친왕(和碩顯親王)으로 개봉되었다가 건륭 연간에 다시 호쇼이 숙친왕으로 환원되었다. 숙친왕은 양백기의 기주 직위를 겸했다.
  • 호쇼이 정친왕(和碩鄭親王): 양람기 기주
    시조는 누르하치의 유일한 동복동생 슈르하치의 6남이자 순치제 시절 섭정인 아이신기오로 지르가랑. 후대에는 호쇼이 간친왕(和碩簡親王)으로 개봉되었다가 건륭 연간에 호쇼이 정친왕으로 환원되었다. 정친왕은 양람기의 기주 직위를 겸했다.
  • 호쇼이 예친왕(和碩豫親王): 1636년 창설, 정람기 기주
    시조는 누르하치의 15남이자 아이신기오로 도르곤의 동생인 도도. 예친왕은 정람기의 기주 직위를 겸했다.
    {{{#!folding 【 목록 펼치기·접기 】
대수 시호 이름 재위 생몰년 선대와의 관계
1 예통친왕(豫通親王) 도도(多鐸) 1636~1649 1614~1649 시조
10 예후친왕(豫厚親王) 유전(裕全) 1820~1840 ?~1840 아들
11 예신친왕(豫愼親王) 의도(義道) 1841~1868 1819~1868 제2자
12 예성친왕(豫誠親王) 본격(本格) 1868~1898 1846~1898 아들
13 - 무림(懋林) 1899~1913 1892~1913 양자
14 - 단진(端鎭) 1913~1945 1909~1962 아들 }}}
  • 호쇼이 예친왕(和碩睿親王): 1636년 창설, 정람기
    시조는 누르하치의 14남이자 순치제 시절 섭정인 아이신기오로 도르곤. 다만 도르곤은 슬하에 아들이 없어 동생인 도도의 아들이 양자로서 가문을 계승해오다가 건륭제 때 복권되어 친왕이 된다.
    {{{#!folding 【 목록 펼치기·접기 】
대수 시호 이름 재위 생몰년 선대와의 관계
1 예충친왕(睿忠親王) 도르곤 1636~1650 1612~1650 시조
2 패륵(貝勒) 도르보(多爾博) 1650~1673 1643~1673 양자
3 진국공(鎭國公) 蘇爾發 1673~1708 ?~1708 아들
4 진국공(鎭國公) 塞勒 1708~1729 ?~1729 아들
5 보국각근공(補国恪勤公) 功宜布 1744~1746 ?~1746 제5자
6 예각친왕(睿恪親王) 여송(如松) 1746~1770 1737~1770 아들
7 예공친왕(睿恪親王) 순영(淳穎) 1778~1800 ?~1800 아들
8 예신친왕(睿愼親王) 보은(寶恩) 1801~1802 1777~1802 장남
9 예근친왕(睿勤親王) 단은(端恩) 1802~1826 1788~1826 순영의 제4자
10 예희친왕(睿僖親王) 인수(仁壽) 1826~1864 1810~1864 제6자
11 예각친왕(睿愨親王) 덕장(德長) 1864~1876 1838~1876 장남
12 예경친왕(睿敬親王) 괴빈(魁斌) 1876~1915 1864~1915 장남
13 - 중전(中銓) 1915~1939 1892~1939 장남 }}}
  • 호쇼이 이친왕(和碩怡親王): 1722년 창설, 정람기
    초대 이친왕은 강희제의 13남 윤상(胤祥). 강희 말년에 태자 윤잉(胤礽)을 옹호하다 잘못 찍혀서 십여 년 간 유폐되었으나, 윤잉의 측근이었던 옹정제가 즉위하자 충성에 대한 보답으로 이친왕에 봉해졌고 세습망체가 되었다.
    {{{#!folding 【 목록 펼치기·접기 】
대수 시호 이름 재위 생몰년 선대와의 관계
1 이현친왕(怡賢親王) 윤상(胤祥) 1722~1730 1686~1730 시조
2 이희친왕(怡僖親王) 홍효(弘曉) 1730~1778 1722~1778 제7자
3 이공친왕(怡恭親王) 영랑(永琅) 1779~1799 1746~1799 제2자
이친왕 추존 면표(綿標) - 1770~1799 제2자
4 이각친왕(怡恪親王) 혁훈(奕勛) 1799~1818 1793~1818 장남
5 - 재방(載坊) 1819~1821 1816~1821 장남
6 - 재원(載垣)[10] 1825~1861 1816~1861 혁훈의 제2자
7 이단친왕(怡端親王) 재돈(載敦) 1864~1890 1827~1890 [11]
8 - 부정(溥靜)[12] 1891~1900 1849~1900 장남
9 - 육기(毓麒) 1902~1945 1900~1948 장남
10 - 항추(恒樞) 1917~1979 장남
11 - 계운(啓運) 1945~ 장남 }}}
  • 호쇼이 공친왕(和碩恭親王): 1850년 창설, 정홍기
    초대 공친왕은 도광제의 6남 혁흔(奕訢). 혁흔의 손자 공현친왕 부위[13]와 그 아들 육첨까지 작위가 이어졌다. 육첨은 무려 2016년까지 살아있었다.
    {{{#!folding 【 목록 펼치기·접기 】
대수 시호 이름 재위 생몰년 선대와의 관계
1 공충친왕(恭忠親王) 혁흔(奕訢) 1850~1898 1833~1898 시조
2 공현친왕(恭賢親王) 부위(溥偉) 1898~1936 1880~1936 손자
3 - 육첨(毓嶦) 1936~1945 1923~2016 제7자 }}}
  • 호쇼이 경친왕(和碩慶親王): 1820년 창설( 1894년 재창설), 양황기
    초대 경친왕은 건륭제의 17남 경의친왕 영린이지만, 철모자왕작을 받은 인물은 비리로 인해 종가의 경군왕작이 박탈된 후 대신 경군왕 및 경친왕에 봉해진 영린의 손자 혁광이었다. 혁광 사후 아들 재진에게까지 작위가 이어졌다.
    {{{#!folding 【 목록 펼치기·접기 】
대수 시호 이름 재위 생몰년 선대와의 관계
1 경희친왕(慶僖親王) 영린(永璘) 1820 1766~1820 시조
2 경량친왕(慶良郡王) 면민(綿愍) 1820~1836 1797~1836 제3자
3 - 혁채(奕綵) 1837~1842 1820~1866 양자
4 - 면제(綿悌) 1842~1849 1817~1849 영린의 제5자
5 경밀친왕(慶密親王) 혁광(奕劻) 1849~1917 1838~1917 양자
6 경정친왕(慶貞親王)[14] 재진(載振) 1917~1947 1876~1947 장남 }}}
대수 시호 이름 재위 생몰년 선대와의 관계
1 순현친왕(醇賢親王) 혁현(奕譞) 1872~1891 1840~1891 시조

[1] 金毓嶂, 선통제의 이복 조카이며 직계로는 도광제의 현손자이다. [2] 애신각라 또는 애신교라 [3] 가문의 비핵심 인구까지 합치면 영문 위키의 서술과 배치되지 않는다. [4] 청나라 멸망 직후 일제 치하 조선으로 망명한 만주족이 일부 존재했다. [5] 만주국 멸망 직후나 문화대혁명이 있었던 시기에도 일부 만주족이 해외로 망명했을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6] 일본의 안과 전문의이며, 문춘 인터뷰에 의하면 청나라 3대 황제 순치제의 후손이라고 한다. # 푸이의 손자뻘 항렬이라 한다. [7] 후금(後金)이었다고 아는 사람이 많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원조 금나라와 구분하기 위해 부르는 별명일 뿐, 정식 국호는 그냥 금이었다. [8] 1636년에 국호를 청으로 변경했다. [9] 총 12개 가문이며 문자 그대로 대대로(世) 이어 받으며(襲) (작위의) 교체(替)도 없다(罔)는 뜻이다. [10] 함풍제의 고명 팔대신 중 한 사람. 신유정변 때 사사. [11] 윤상의 제4자 영랑군왕 홍교(寧良郡王 弘晈)의 현손 [12] 의화단의 난 책임으로 일시 작위 폐지 [13] 시호 '현(賢)'은 만주국에서 받았다. [14] 시호 貞은 사시(私諡)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