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20 03:39:22

아미르 갈레노에이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002395>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 화이트.svg 아시아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감독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로스
아와

파일:Guam_national_football_team.png
빈센초 A.
안네세

파일:All_Nepal_Football_Association_crest.png
개리
화이트

파일:Chinese_Taipei_FA.png
공석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svg
박순태

파일:attachment/timoreast.png
키무라
코키치

파일:Laos_FA.png
미오드라그
라둘로비치

파일:레바논 대표팀 로고.png
라자루
올리베이라

파일:attachment/macau.png
김판곤

파일:말레이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알리
수자인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Football_Association_of_Maldives.png
오츠카
이치로

파일:Mongolia_FA.png
미하엘
파이히텐바이너

파일:attachment/Myanmar_Football_Federation.png
드라간
탈라지치

파일:바레인 대표팀 로고.png
하비에르
카브레라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1px-Bangladesh_Football_Federation.svg.png
공석

파일:베트남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페마
도르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hutan_FA.png
공석

파일:북마리아나 제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신영남

파일:북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마리오
리베라

파일:Brunei_FA_logo.png
로베르토
만치니

파일: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앤디
모리슨

파일:Sri_Lanka_2021.png
엑토르
쿠페르

파일:시리아 축협 로고.png
오구라
츠토무

파일:attachment/singapore.png
파울루
벤투

파일:아랍에미리트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애슐리
웨스트우드

파일:Afghanistan_Football_Federation_logo.png
미로슬라프
수쿠프

파일:예멘 대표팀 로고.png
야로슬라프
실하비

파일:ofa logo.png
후세인
아무타

파일:요르단 대표팀 로고.png
스레츠코
카타네츠

파일:UFA logo.png
헤수스
카사스

파일:Iraq_National_Team_Badge.png
아미르
갈레노에이

파일:이란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이고르
슈티마츠

파일:인도 대표팀 로고.png
신태용

파일: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모리야스
하지메

파일: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브란코
이반코비치

파일:중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틴틴
마르케스

파일:카타르 축구 협회 로고.svg
펠릭스
달마스

파일:attachment/Cambodia.png
후이
벤투

파일:Kuwait_FA.png
슈테판
타르코비치

파일:키르기스스탄 축구 연합 로고.png
겔라
셰킬라제

파일:Tajikistan_FA.png
이시이
마사타다

파일:Thailand FAT 2018.png
메르겐
오라조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대표팀 로고.png
스티븐
콘스탄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ew2008_PFFlogo.png
마크람
다부브

파일:팔레스타인 대표팀 로고.png

생피에트

파일:필리핀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그레이엄
아놀드

파일:호주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안데르센

파일:홍콩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colbgcolor=#f7f7f7,#191919>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아시아 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아프리카
파일: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로고.svg 북중미카리브 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 남미
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유럽 파일: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로고.svg 오세아니아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감독 }}}}}}}}}

아미르 갈레노에이의 감독직 및 기타 직책
{{{#!folding ▼ 둘러보기 틀 모음
대표팀
파일:이란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35대, 43대
클럽

}}} ||
تیم ملی فوتبال ایران
파일:아미르 갈레노에이.jpg
<colbgcolor=#FFFFFF> 이름 아미르 갈레노에이
Amir Ghalenoei
본명 아르데쉬르 "아미르" 갈레노이
Ardeshir "Amir" Ghalenoei
اردشی امیر قلعه‌نویی
출생 1963년 11월 21일 ([age(1963-11-21)]세)
이란 테헤란
국적
[[이란|]][[틀:국기|]][[틀:국기|]]
직업 축구 선수 (미드필더 / 은퇴)
축구 감독
소속 <colbgcolor=#FFFFFF><colcolor=#ff0000> 선수 라 아한 테헤란 FC (1979~1981 / 유스)
라 아한 테헤란 FC (1981~1982)
샤힌 테헤란 FC (1982~1987)
알 사드 SC (1987~1989)
에스테그랄 테헤란 FC (1989~1997)
감독 케샤바르츠 FC (1999~2000)
바르그 테헤란 FC (2001~2002)
에스테그랄 테헤란 FC (2002 / 임시감독)
에스테그랄 아흐바즈 FC (2002~2003)
에스테그랄 테헤란 FC (2003~2006)
이란 대표팀 (2006~2007)
사나트 메스 케르만 FC (2008)
에스테그랄 테헤란 FC (2008~2009)
세파한 SC (2009~2011)
트락토르 SC (2011~2012)
에스테그랄 테헤란 FC (2012~2015)
트락토르 SC (2015~2017)
조브 아한 이스파한 FC (2017~2018)
세파한 SC (2018~2020)
골 고하르 시르잔 FC (2020~2023)
이란 대표팀 (2023~ )
국가대표 20경기 1골 ( 이란 / 1985~1996)

1. 개요2. 선수 경력3. 감독 경력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이란 축구인.

이란 리그에서 명문 팀을 두루 맡은 잔뼈가 굵은 감독이다. 또한 이전의 대표팀 감독직 실패 경력를 딛고 다시 돌아와 대표팀을 이끌고 있는 감독이기도 하다.

여담으로, 포탈에는 '갈레노에이'와 '갈레노이에'가 혼동되며, 포탈에도 갈레노에이가 아니라 갈레노이에라고 쳐야 이 사람의 프로필이 딱 뜨며, 갈레노에이라고 치면 옛날 기사들이 많이 나온다.

2. 선수 경력

테헤란 출생으로 지역 클럽인 라 아한 테헤란 FC 유스 팀에서 성장하여 1군 팀까지 올라가 데뷔했다. 1982년 샤힌 테헤란으로 이적해 팀의 2번의 페르시안 걸프 프로 리그 준우승을 이끌면서 주목을 받아 카타르 스타스 리그 알 사드 SC에 이적하며 첫 해외 리그를 경험했다. 알 사드에서의 3년 동안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우승과 2번의 카타르 스타스 리그 우승에 공헌하였다.

1989년 알 사드를 떠나 이란 최고의 명문 팀 중 하나인 에스테그랄 테헤란 FC에 합류했다. 이적 직후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우승을 또 다시 경험하고 국내 리그 정상도 또 한번 올랐지만 이 시기 잦은 부상 결장을 했고 설상가상으로 에스테그랄이 1992-93 시즌 충격의 2부 리그 강등을 당하게 되었다. 이에 많은 주축 선수들이 이탈했지만 갈레노에이는 잔류를 택해 에스테그랄 팬들의 절대적 지지를 받는 선수가 된다. 갈레노에이는 팀의 1부 리그 복귀를 도왔고 이후 비록 에스테그랄에서 우승을 경험하지 못했어도 팬들의 사랑 속에 1997년 선수 생활을 마무리했다.

국가대표로도 꽤 활약했다. 1985년 이른 나이에 이란 B팀에 한 번 뽑힌 것을 제외하고는 국가대표에 뽑힌 적이 없었다가 1993년 이란 축구 레전드 중 하나인 알리 파르빈 감독 체제에서 비로소 대표팀 정규 멤버가 되었다. 1993년 9월 보스니아와의 A매치에서 데뷔전을 가졌고 1996년까지 국가대표로 20경기 1골을 기록했다. 그러나 1996 AFC 아시안컵 아랍에미리트 대회 최종 엔트리에서 탈락했고 이후 국가대표에 다시 뽑히지는 못했다.

3. 감독 경력

1999년 케샤바르츠 FC의 감독 경력을 시작하였다. 2003년부터 2006년까지 에스테그랄 테헤란 FC의 감독으로 부임하여 2005-06 시즌 리그 우승을 차지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2006 FIFA 월드컵 독일 종료 이후 이란 대표팀 감독으로 부임하였으나 부임 후 열린 2007 AFC 아시안컵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태국·베트남에서 대한민국을 상대로 승부차기 끝에 패배하며 8강이라는 기대 이하의 성적을 거두며 물러났다. 이후에는 페르시안 걸프 프로 리그의 여러 팀을 맡으며 커리어를 쌓고 있다.

2023년, 이란 대표팀 감독으로 16년 만에 복귀하였다. 이란 대표팀으로서도 카를로스 케이로스 - 마르크 빌모츠 - 드라간 스코치치 이후 12년 만의 국내파 감독 선임이다.[1] 부임 이후 이란이 과거 10여 년 동안 지켜온 질식 수비 대신 확실한 패스와 골 결정력을 팀 컬러로 9경기 8승 1무라는 호성적을 거두고 있다.[2] 이 상승세는 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 본선에서도 이어져서 조별리그 C조에서 비록 약체긴 하지만 팔레스타인을 4대1로 대파하며 좋은 출발을 했다. 이후 2차전 상대 홍콩에게도 승리하면서 팀을 16강에 올려놓는데 성공했으며, 16강에 확정된 이후에 치른 UAE전도 2대1로 이기며 3전 전승으로 16강 진출에 성공했고, 16강 상대는 시리아로 결정되었으며, 16강전은 승부차기까지 간 끝에 간신히 승리하면서 8강에 진출했고, 8강 상대는 일본으로 결정되었다. 8강전 경기 결과는 2대1로 역전승하며 4강 진출. 그러나 4강에서는 개최국 카타르를 맞아서 2대3으로 패하며 4강에서 대회를 마쳤다. 이로써 이란의 AFC 아시안컵 우승도 또다시 3년 뒤로 미뤄지게 되었다.[3]

4. 둘러보기

파일:2007 AFC Asian Cup Official Logo.png
2007 AFC 아시안컵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태국·베트남 참가 감독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FFFFFF, #FFFFFF)"
{{{#!wiki style="color: #000000;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000"
A조 파일:태국 국기.svg
찬윗
폴치윈


파일:이라크 국기.svg
조르반
비에이라

파일:호주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그레이엄
아놀드


파일:오만 국기.svg
가브리엘
칼데론


B조 파일:베트남 국기.svg
알프레트
리들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브루노
메추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이비차
오심
파일:카타르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제말루딘
무소비치
C조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노리잔
바카르
파일:중국 국기.svg

주광후
파일:이란 국기.svg
아미르
갈레노에이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라우프
이닐레예프
D조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이반
콜레프


파일:바레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밀란
마찰라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베어벡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엘리우
도스 안요스

역대 대회의 참가 감독
1956 1960 1964 1968 1972 1976
1980 1984 1988 1992 1996 2000
2004 2007 2011 2015 2019 2023
2027
}}}}}}}}}}}}

파일: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 로고_좌우_White.svg
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 참가 감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000; letter-spacing:-1px"
<colbgcolor=#260259> A조 파일: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 아이콘.svg
틴틴
마르케스

파일:2023 AFC 아시안컵 중국 아이콘.png
알렉산다르
얀코비치
파일:2023 AFC 아시안컵 레바논 아이콘.png
미오드라그
라둘로비치
파일:2023 AFC 아시안컵 타지키스탄 아이콘.png
페타르
세그르트
B조 파일:2023 AFC 아시안컵 오스트레일리아 아이콘.png
그레이엄
아놀드
파일:2023 AFC 아시안컵 우즈베키스탄 아이콘.svg
스레츠코
카타네츠
파일:2023 AFC 아시안컵 시리아 아이콘.png
엑토르
쿠페르
파일:2023 AFC 아시안컵 인도 아이콘.png
이고르
슈티마츠
C조 파일:2023 AFC 아시안컵 이란 아이콘.png
아미르
갈레노에이
파일:2023 AFC 아시안컵 UAE 아이콘.png
파울루
벤투
파일:2023 AFC 아시안컵 팔레스타인 아이콘.png
마크람
다부브
파일:2023 AFC 아시안컵 홍콩 아이콘.png

안데르센
D조 파일:2023 AFC 아시안컵 일본 아이콘.png
모리야스
하지메
파일:2023 AFC 아시안컵 이라크 아이콘.png
헤수스
카사스
파일:2023 AFC 아시안컵 베트남 아이콘.png
필립
트루시에
파일:2023 AFC 아시안컵 인도네시아 아이콘.png
신태용
E조 파일:2023 AFC 아시안컵 대한민국 아이콘.png
위르겐
클린스만
파일:2023 AFC 아시안컵 요르단 아이콘.png
후세인
아무타

파일:2023 AFC 아시안컵 바레인 아이콘.png 파일:2023 AFC 아시안컵 말레이시아 아이콘.png
김판곤
F조 파일:2023 AFC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 아이콘.png
로베르토
만치니
파일:2023 AFC 아시안컵 오만 아이콘.png
브란코
이반코비치
파일:2023 AFC 아시안컵 키르기스스탄 아이콘.png
슈테판
타르코비치
파일:2023 AFC 아시안컵 태국 아이콘.png
이시이
마사타다
역대 대회의 참가 감독
1956 1960 1964 1968 1972 1976
1980 1984 1988 1992 1996 2000
2004 2007 2011 2015 2019 2023
2027
}}}}}}}}}




[1] 가장 마지막 자국인 대표팀 감독은 2009년부터 2011년까지 감독을 맡았던 압신 고트비였다. 그 또한 미국 이중국적자임을 감안하면 2009년 물러난 알리 다에이가 가장 마지막 토종 이란인이었다. [2] 지난날 이란이 구사했던 강력한 피지컬을 활용한 질식 수비는 확실히 위협적이었지만, 정작 그 실태는 월드컵 16강 진출은커녕 아시안컵 48년 연속 무관을 기록하는 등 초라한 성적표였다. 이런 와중에 꾸준히 상승곡선을 그리는 일본, 2010년대의 암흑기를 카타르 월드컵 16강 진출로 종결시킨 한국, AFC 편입 이후로 2015 아시안컵 우승과 2022 월드컵 16강 진출 등의 성적을 낸 호주, 막대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자국 리그의 수준을 끌어올리는 사우디아라비아, 2019 아시안컵 우승과 월드컵•아시안컵 개최로 신흥 강호로 떠오른 카타르까지 다른 아시아 국가들은 발전된 모습을 보이고 있으니 이란 입장에선 과거의 방식을 그대로 유지할 수는 없었던 것. [3] 우리나라에 묻혀서 그렇지 이란도 1976 AFC 아시안컵 이란 이후 50년 가까이 우승을 못 하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그래도 1960 AFC 아시안컵 대한민국 이후 60년 넘게 우승을 못 하고 있는 대한민국은 결승전이라도 이후에 더 갔는데, 반대로 이란은 저 이후 결승조차도 가본 적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