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2-19 08:18:39

튀르키예-아랍에미리트 관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중국 대만 국기.svg
중화권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파일:동튀르키스탄 깃발.svg
위구르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가가우지아 기.svg
가가우지아
파일:몰도바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파일:쿠르드족 깃발.svg
쿠르드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아메리카 · 아프리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다자관계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UN기.svg
키프로스 5+1 회담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튀르키예·시리아·이라크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아랍 연맹 깃발.svg
튀르키예·이란·아랍권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튀르키예·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연합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아프리카 · 아메리카 · 오세아니아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튀르키예 아랍에미리트

1. 개요2. 역사적 관계
2.1. 19세기2.2. 20세기2.3. 21세기
3. 문화 교류4. 대사관5. 관련 문서

1. 개요

튀르키예 아랍에미리트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양국간에는 종교, 문화에서 공통점이 있다보니 교류가 많은 편이다.

2. 역사적 관계

2.1. 19세기

19세기 당시 아랍에미리트 일대에 해당하는 지역은 오만 제국의 영향을 강하게 받던 지역이었다. 이 지역에서는 해적들이 난립하였으며, 인도양 홍해를 연결하는 무역로를 위협하였다.

2.2. 20세기

영국의 보호국 트루셜 스테이트는 1971년 12월부로 독립하고 아랍 토후국( 아미르)들의 연합이란 뜻에서 아랍에미리트라는 국명을 갖게 되었다. 이후 터키와 아랍에미리트는 공식수교했다.

2.3. 21세기

양국은 이슬람 협력기구의 회원국들이다. 그리고 양국은 종교에서 공통점이 존재하며 무슬림 비중이 높다. 하지만 튀르키예는 공식적으로 세속주의 국가이고 오늘날 정의개발당 정권 하에서 세속주의 원칙이 다소 허물어진 상황에서도 와하브파를 경계하는 입장이며, 아랍에미리트는 국민 상당수가 와하브파 신도이다. 아라비아 반도의 와하브파 신도들은 사우디 왕가가 오스만 제국에 대항해 독립운동을 하던 시절의 영향으로 반튀르크 감정이 강한 편이며, 같은 순니파이긴 하지만 하나피파와도 사이가 안 좋은 편이다. 튀르키예는 하나피파 법학파가 우세한 국가들 중 가장 영향력이 강한 편이다. 아랍에미리트의 와하브파 무슬림들이 튀르키예를 무늬만 무슬림 국가라고 비판한다거나 하는 경우가 흔하다. 같은 맥락에서 아랍에미리트 정부 차원에서도 튀르키예에 대해 견제를 하는 경우가 있었다.

다만 튀르키예가 나이롱 무슬림 국가라고 비판받던 것도 시리아 내전 이후 옛말이 되어가고 있다. 시리아 내전의 결과 유럽 난민 사태가 발발했을 당시 튀르키예는 시리아인 난민들을 대거 받아들였으나, 아랍에미리트 측은 시리아인 난민 수용을 제스쳐만 취하고 적극 거부하였던 바 있다. 오늘날 아랍에미리트 같은 걸프 아랍 왕정 국가에서 튀르키예를 나이롱 무슬림 국가라고 욕하면 서구권을 포함한 세계 각국에서 조롱만 돌아올 뿐이다. #1] #2

파일:external/imgnews.naver.net/144153206577_20150907_99_20150906213502.jpg
  • 2015년 기준 시리아 난민 수용 현황. 아랍에미리트와 사우디아라비아 같은 걸프 아랍 왕정 국가들은 사실상 시리아 난민들을 거의 받지 않았다.

2021년 11월 24일에 에르도안 대통령이 튀르키예를 방문한 무함마드 빈 자예드 알나흐얀 아랍에미리트 왕세제와 회담했다. #

2022년 1월 19일에 튀르키예는 아랍에미리트와 50억 달러 규모의 통화 스와프를 체결했다. #

2월 14일에 에르도안 대통령이 아랍에미리트를 방문해 아랍 국가들과의 관계개선에 나섰다. # 2월 15일에 에르도안 대통령은 아랍에미리트와 13개분야 협약 및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

2023년 3월 3일, 양국은 무역규모를 400억 달러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한 MOU를 체결했다. #

3. 문화 교류

튀르키예 드라마도 아랍에미리트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그리고 아랍에미리트 국민들 사이에서 튀르키예는 유럽 문화도 즐기고 무슬림으로서 편의도 즐기는 이른바 할랄 관광도 가능한 인기 관광지로 꼽히고 있다.

4. 대사관

앙카라에 주 튀르키예 아랍에미리트 대사관, 아부다비에 주 아랍에미리트 튀르키예 대사관이 존재한다.

5. 관련 문서